KR102175725B1 -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725B1
KR102175725B1 KR1020200057953A KR20200057953A KR102175725B1 KR 102175725 B1 KR102175725 B1 KR 102175725B1 KR 1020200057953 A KR1020200057953 A KR 1020200057953A KR 20200057953 A KR20200057953 A KR 20200057953A KR 102175725 B1 KR102175725 B1 KR 102175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ody
duct
elastic pad
pres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후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20005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1수납대 및 제2수납대가 서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고정와이어가 통과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구조물에 대향되는 일면에 밀착홀부가 형성되는 덕트본체; 상기 밀착홀부를 통해 돌출 가능하게 탄성패드가 설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패드를 굴곡시키면서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시켜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 벽면에 고정시키는 밀착부; 상기 덕트본체의 일단 및 타단에 다른 상기 덕트본체을 연결시켜 복수 개의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덕트본체가 연속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덕트본체가 파손되는 경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덕트본체와 연결 또는 분리시켜 상기 덕트본체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착탈부; 및 상기 밀착부를 조작하여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에 밀착시키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덕트본체를 서로 연결 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밀착부를 조작하여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덕트본체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켜 분리 가능하게 변환시키는 연동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ELECTRICAL WIRING DUCT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케이블을 복수 개의 공간에 구획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고, 덕트본체가 구조물에 밀착되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덕트본체 중에 파손이 발생된 덕트본체를 손쉽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으며, 덕트본체 교체 시에 구조물에 밀착되었던 덕트본체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진행하면 연동부의 작동에 의해 덕트본체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덕트본체와 분리되어 덕트본체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케이블로서 이용되는 UTP 케이블(cable)은, 예를 들어 구리 등의 도체를 절연체로 피복하여 구성된 도선들을 나선형으로 꼬아 페어유닛(Pair Unit)을 만들고, 이러한 개개의 페어 유닛들을 복수 개 모아 다시 피복한 형태로 구성된다.
UTP 케이블은 예컨대, L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비차폐 연선 케이블로서, 절연피복된 두 개의 도선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인 도선의 페어유닛이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UTP 케이블은 최근 ATM 및 Ethernet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그 정보 전송능력 증대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송능력 증대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개발 보완되어 왔다.
한편,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은 예를 들어 동 별로 단자함을 설치하여 통신사로부터 회선을 인가받고, 상기 단자함에서 각 동별 세대에 UTP 케이블을 분기함으로써 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은 건물 각 층에 공급되기 때문에 정리되지 않을 경우 서로 얽히게 되어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고, 건물저층의 공급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고층의 공급에는 어려움이 있어 설치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 고층건물의 각 층에 새로운 케이블을 배선할 때는 케이블 전체를 옥상으로 이동하여 옥상에서부터 하층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층에 케이블을 배선하였고, 또한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각 층으로 공급할 때는 케이블의 단부에 노끈을 연결하여 이 노끈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각 층에 케이블을 배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케이블 배선방법은 케이블이 정리되지 않아 배선된 여러 가닥의 케이블들이 건물 외벽 여러 곳에 방치되어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고, 케이블들을 고층으로 공급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배선공수가 증가되어 배선능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외벽에 손상을 주게 되어 공동주택 거주자의 민원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 배선용 덕트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배선용 덕트는,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배선홀이 형성되어 배선홀에 다수의 UTP 케이블이 배선되며 덮개가 구비된 덕트 본체와, 덕트 본체를 연쇄적으로 이음하는 조인트와, 덕트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UTP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하는 모듈러와, 덕트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인장재 배선부에 UTP 케이블과 이격되도록 배선되며 일측 이상이 인장되어 덕트 본체에 공동주택의 외벽을 향하는 압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덕트 본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재와, 덕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덕트 본체가 공동주택의 외벽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논슬립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840호(2011년 11월 03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배선용 덕트는, 지진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덕트 일부분이 파손되는 경우에 파손된 덕트만을 분리시킬 수 있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덕트 일부분에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덕트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배선용 덕트는, 덕트와 덕트 사이의 체결부재를 해체하여 파손된 덕트를 다른 덕트들과 분리시켜도 덕트를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에 의해 덕트와 구조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어렵고, 새로운 덕트를 설치할 때에 덕트와 덕트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없으며, 덕트와 구조물 사이의 연결도 손쉽게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을 복수 개의 공간에 구획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고, 덕트본체가 구조물에 밀착되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덕트본체 중에 파손이 발생된 덕트본체를 손쉽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으며, 덕트본체 교체 시에 구조물에 밀착되었던 덕트본체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진행하면 연동부의 작동에 의해 덕트본체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덕트본체와 분리되어 덕트본체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1수납대 및 제2수납대가 서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고정와이어가 통과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구조물에 대향되는 일면에 밀착홀부가 형성되는 덕트본체; 상기 밀착홀부를 통해 돌출 가능하게 탄성패드가 설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패드를 굴곡시키면서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시켜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 벽면에 고정시키는 밀착부; 상기 덕트본체의 일단 및 타단에 다른 상기 덕트본체을 연결시켜 복수 개의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덕트본체가 연속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덕트본체가 파손되는 경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덕트본체와 연결 또는 분리시켜 상기 덕트본체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착탈부; 및 상기 밀착부를 조작하여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에 밀착시키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덕트본체를 서로 연결 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밀착부를 조작하여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덕트본체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켜 분리 가능하게 변환시키는 연동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밀착홀부를 통해 상기 덕트본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되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탄성패드; 상기 탄성패드의 테두리를 상기 밀착홀부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패드 상면 테두리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덕트본체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금속가압대; 상기 탄성패드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고정되고, 상기 금속가압대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을 상기 금속가압대 상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금속가압대를 상기 탄성패드 측으로 가압시켜 탄성패드의 테두리가 상기 밀착홀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구조물 외벽에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축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블록; 상기 편심블록의 회전축을 이루도록 상기 작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압축; 및 상기 가압축의 일단에 굴곡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압축을 회전시켜 상기 편심블록이 상기 금속가압대를 상기 탄성패드 측으로 가압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는, 상기 덕트본체 일단에서 돌출되는 후크부재; 상기 덕트본체 타단에 구비되고, 다른 상기 덕트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후크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재와 걸림결합되는 걸림후크; 및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결합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는, 덕트본체에 밀착홀부가 형성되고, 밀착홀부를 통해 돌출되는 탄성패드가 구조물에 밀착되므로 덕트본체를 구조물에 밀착시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밀착부를 구동시켜 덕트본체를 구조물에 고정시키면 연동해제부의 작동으로 덕트본체와 덕트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착탈부가 고정상태로 변환되어 덕트본체의 연결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는, 파손된 덕트본체를 교체할 때에 덕트본체를 구조물에 고정시키고 있는 밀착부를 해제시키면 연동해제부의 작동에 의해 착탈부가 해제되므로 덕트본체 사이의 연결부위가 분리되면서 덕트본체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새로운 덕트본체를 덕트본체 사이에 배치시켜 착탈부 및 밀착부를 조작하여 새로운 덕트본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연동해제부 및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마감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연동해제부 및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마감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는, 복수 개의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1수납대(12) 및 제2수납대(14)가 서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고정와이어(17)가 통과되는 고정홈부(16)가 형성되며, 구조물에 대향되는 일면에 밀착홀부(18)가 형성되는 덕트본체(10)와, 밀착홀부(18)를 통해 돌출 가능하게 탄성패드(32)가 설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패드(32)를 굴곡시키면서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시켜 덕트본체(10)를 구조물 벽면에 고정시키는 밀착부(30)와, 덕트본체(10)의 일단 및 타단에 다른 덕트본체(10)을 연결시켜 복수 개의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덕트본체(10)가 연속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덕트본체(10)가 파손되는 경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덕트본체(10)와 연결 또는 분리시켜 덕트본체(10)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착탈부(50)와, 밀착부(30)를 조작하여 덕트본체(10)를 구조물에 밀착시키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덕트본체(10)를 서로 연결 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키고, 밀착부(30)를 조작하여 덕트본체(10)를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덕트본체(10)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켜 분리 가능하게 변환시키는 연동해제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진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다수 개의 덕트본체(1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의 일부분이 파손되어 다수 개의 덕트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덕트본체(10)를 교체할 때에는 작업자가 밀착부(30)를 해제하여 파손된 덕트본체(10)와 구조물을 서로 분리시키고, 이때, 연동해제부(70)의 작동에 의해 착탈부(50)가 분리상태로 변환되면서 파손된 덕트본체(10)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덕트본체(10)와 서로 분리 가능한 상태로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손된 덕트본체(10)가 구조물과 분리되면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덕트본체(10)와 분리되면 작업자는 덕트본체(10)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덕트본체(10)의 일측에는 케이블 및 고정와이어(17)가 덕트본체(10)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별도의 개폐부가 구비된다.
개폐부는, 덕트본체(10)의 일측부가 덕트본체(1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절개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절개부를 덕트본체(10)에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개폐부가 설치되어 케이블 및 고정와이어(17)를 파손된 덕트본체(1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개폐부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구성이므로 개폐부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밀착부(30)는, 밀착홀부(18)를 통해 덕트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되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탄성패드(32)와, 탄성패드(32)의 테두리를 밀착홀부(18)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탄성패드(32) 상면 테두리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덕트본체(10)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금속가압대(34)와, 탄성패드(3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돌출부(32a)에 고정되고, 금속가압대(34)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작동축(36)과, 작동축(36)을 금속가압대(34) 상측으로 당기면서 금속가압대(34)를 탄성패드(32) 측으로 가압시켜 탄성패드(32)의 테두리가 밀착홀부(18)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구조물 외벽에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38)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가압부(38)를 조작하여 금속가압대(34)를 탄성패드(32) 측으로 이동시키면 금속가압대(34)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가압편(34a)이 탄성패드(32)의 테두리를 밀착홀부(18)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탄성패드(32)의 중앙부를 덕트본체(10) 내측으로 오목하게 변형시키면서 탄성패드(32)를 구조물 벽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압부(38)는, 작동축(36)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블록(38a)과, 편심블록(38a)의 회전축을 이루도록 작동축(36)에 설치되고, 덕트본체(10)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압축(38b)과, 가압축(38b)의 일단에 굴곡되게 연결되고, 가압축(38b)을 회전시켜 편심블록(38a)이 금속가압대(34)를 탄성패드(32) 측으로 가압시키는 레버부재(38c)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레버부재(38c)를 회전시켜 가압축(38b)이 회전되면 가압축(38b)에 연결되는 편심블록(38a)이 회전되면서 편심블록(38a)의 편심부위가 금속가압대(34)를 탄성패드(32) 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금속가압대(34)가 밀착홀부(18)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탄성패드(32)의 테두리를 밀착홀부(18)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패드(32)의 테두리가 구조물 벽면에 밀착되고, 탄성패드(32)의 중앙부가 덕트본체(10)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면서 탄성패드(32)와 구조물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면서 탄성패드(32)는 구조물 벽면에 밀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착탈부(50)는, 덕트본체(10) 일단에서 돌출되는 후크부재(52)와, 덕트본체(10) 타단에 구비되고, 다른 덕트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후크부재(52)가 삽입되는 결합홈부(54)와, 결합홈부(54)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크부재(52)와 걸림결합되는 걸림후크(56)와, 걸림후크(56)를 결합홈부(54)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8)를 포함한다.
따라서 덕트본체(10)의 일단을 다른 덕트본체(10)의 타단에 밀착시키면 후크부재(52)가 결합홈부(54)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걸림후크(56)와 걸림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덕트본체(10)가 서로 연결되면서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동해제부(70)는, 가압축(38b)에 설치되는 롤러부재(72)와, 롤러부재(72)에 권취되고, 걸림후크(56) 배면에 연결되는 해제와이어(74)와, 해제와이어(74)를 걸림후크(56)까지 굴곡되게 안내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7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부재(38c)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이드롤러(76)에 권취된 해제와이어(74)가 당겨지면서 걸림후크(56)를 후퇴시키게 되어 걸림후크(56)와 후크부재(52) 사이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게 된다.
반대로 작업작 레버부재(38c)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이드롤러(76)에 권취된 해제와이어(74)가 풀리면서 걸림후크(56)를 당기던 장력이 해재되고, 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후크(56)가 전진되면서 후크부재(52)와 걸림후크(56) 사이의 걸림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동해제부(70)의 작동에 의해 밀착부(30)와 착탈부(50)의 작동이 연동되므로 작업자는 덕트본체(10)를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과 덕트본체(10)들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작업을 한 번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크부재(52)와 걸림후크(56) 사이의 걸림결합을 해제한 후에는 파손된 덕트본체(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덕트본체(1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타격하면서 덕트본체(10)들 사이에 유격을 형성하여 타손된 덕트본체(1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부재(38c)의 작동에 의해 밀착부(30) 및 착탈부(50)의 작동을 종료한 후에는 레버부재(38c)를 덕트본체(10) 외벽에 미려하게 수납하는 마감부(8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덕트본체(1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레버부재(38c)를 덕트본체(10) 외벽에 수납하여 덕트본체(10)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마감부(80)는, 가압축(38b)과 레버부재(38c)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부(82)와, 레버부재(38c)의 조작이 완료된 후에 힌지부(82)를 중심으로 레버부재(38c)를 회전시켜 덕트본체(10) 외벽 측으로 레버부재(38c)를 이동시키면 레버부재(38c)가 수납될 수 있도록 덕트본체(10) 외벽에 형성되는 마감홈부(84)를 포함한다.
따라서 덕트본체(10)를 구조물 벽면에 밀착되게 배치시킨 후에 작업자가 레버부재(38c)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밀착부(30)와 착탈부(50)를 작동시키면 밀착부(30)의 작동에 의해 덕트본체(10)가 구조물 벽면에 밀착되고, 덕트본체(10)들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져 다수 개의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로를 이루게 되고, 작업자가 힌지부(82)를 중심으로 레버부재(38c)를 회전시키면 레버부재(38c)는 마감홈부(84)에 삽입되어 덕트본체(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감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감홈부(84)는, 가압축(38b)이 돌출되는 홀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일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제1굴곡홈부(86)와, 가압축(38b)이 돌출되는 홀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타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제2굴곡홈부(88)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버부재(38c)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설치작업을 완료한 후에 레버부재(38c)를 힌지부(82)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1굴곡홈부(86)에 수납되고, 레버부재(38c)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해체작업을 완료한 후에 레버부재(38c)를 힌지부(82)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2굴곡홈부(88)에 수납된다.
제1굴곡홈부(86) 및 제2굴곡홈부(88)는, 각각 레버부재(38c)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제1굴곡홈부(86) 및 제2굴곡홈부(88)에 수납되는 레버부재(38c)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복수 개의 케이블을 복수 개의 공간에 구획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고, 덕트본체가 구조물에 밀착되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덕트본체 중에 파손이 발생된 덕트본체를 손쉽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으며, 덕트본체 교체 시에 구조물에 밀착되었던 덕트본체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진행하면 연동부의 작동에 의해 덕트본체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덕트본체와 분리되어 덕트본체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덕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덕트본체 12 : 제1수납대
14 : 제2수납대 16 : 고정홈부
17 : 고정와이어 18 : 밀착홀부
30 : 밀착부 32 : 탄성패드
32a : 돌출부 34 : 금속가압대
34a : 가압편 36 : 작동축
38 : 가압부 38a : 편심블록
38b : 가압축 38c : 레버부재
50 : 착탈부 52 : 후크부재
54 : 결합홈부 56 : 걸림후크
58 : 탄성부재 70 : 연동해제부
72 : 롤러부재 74 : 해제와이어
76 : 가이드롤러 80 : 마감부
82 : 힌지부 84 : 마감홈부
86 : 제2굴곡홈부 88 : 제2굴곡홈부

Claims (4)

  1. 복수 개의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1수납대 및 제2수납대가 서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고정와이어가 통과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구조물에 대향되는 일면에 밀착홀부가 형성되는 덕트본체;
    상기 밀착홀부를 통해 돌출 가능하게 탄성패드가 설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패드를 굴곡시키면서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시켜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 벽면에 고정시키는 밀착부;
    상기 덕트본체의 일단 및 타단에 다른 상기 덕트본체을 연결시켜 복수 개의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덕트본체가 연속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덕트본체가 파손되는 경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덕트본체와 연결 또는 분리시켜 상기 덕트본체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착탈부; 및
    상기 밀착부를 조작하여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에 밀착시키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덕트본체를 서로 연결 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밀착부를 조작하여 상기 덕트본체를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덕트본체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켜 분리 가능하게 변환시키는 연동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밀착홀부를 통해 상기 덕트본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되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탄성패드;
    상기 탄성패드의 테두리를 상기 밀착홀부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패드 상면 테두리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덕트본체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금속가압대;
    상기 탄성패드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고정되고, 상기 금속가압대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을 상기 금속가압대 상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금속가압대를 상기 탄성패드 측으로 가압시켜 탄성패드의 테두리가 상기 밀착홀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구조물 외벽에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축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블록;
    상기 편심블록의 회전축을 이루도록 상기 작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압축; 및
    상기 가압축의 일단에 굴곡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압축을 회전시켜 상기 편심블록이 상기 금속가압대를 상기 탄성패드 측으로 가압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덕트본체 일단에서 돌출되는 후크부재;
    상기 덕트본체 타단에 구비되고, 다른 상기 덕트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후크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재와 걸림결합되는 걸림후크; 및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결합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57953A 2020-05-14 2020-05-14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10217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953A KR102175725B1 (ko) 2020-05-14 2020-05-14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953A KR102175725B1 (ko) 2020-05-14 2020-05-14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725B1 true KR102175725B1 (ko) 2020-11-06

Family

ID=7357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953A KR102175725B1 (ko) 2020-05-14 2020-05-14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7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67B1 (ko)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 덕트
KR102291368B1 (ko)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 벽체형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370013B1 (ko) * 2021-04-30 2022-03-03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
KR102475065B1 (ko) * 2022-02-25 2022-12-12 대성산업펌프 주식회사 간접 열을 이용하는 로스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259A (ja) * 1998-08-18 2000-03-03 Sankei Seisakusho:Kk 電線管用継手
KR20070104115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KR20110109354A (ko) * 2010-03-31 2011-10-06 (주)우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KR101377011B1 (ko) * 2012-07-20 2014-03-26 김승호 케이블 덕트 어셈블리
KR101426506B1 (ko) * 2014-05-16 2014-08-05 (주)성우엔지니어링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KR20160121689A (ko) * 2015-04-10 2016-10-20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지중 송전선로용 조립식 덕트
KR102007425B1 (ko) * 2019-01-31 2019-08-05 주식회사 다보테크 지중 케이블 인입전용 보호함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259A (ja) * 1998-08-18 2000-03-03 Sankei Seisakusho:Kk 電線管用継手
KR20070104115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KR20110109354A (ko) * 2010-03-31 2011-10-06 (주)우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KR101377011B1 (ko) * 2012-07-20 2014-03-26 김승호 케이블 덕트 어셈블리
KR101426506B1 (ko) * 2014-05-16 2014-08-05 (주)성우엔지니어링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KR20160121689A (ko) * 2015-04-10 2016-10-20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지중 송전선로용 조립식 덕트
KR102007425B1 (ko) * 2019-01-31 2019-08-05 주식회사 다보테크 지중 케이블 인입전용 보호함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67B1 (ko)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 덕트
KR102291368B1 (ko)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 벽체형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370013B1 (ko) * 2021-04-30 2022-03-03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
KR102475065B1 (ko) * 2022-02-25 2022-12-12 대성산업펌프 주식회사 간접 열을 이용하는 로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725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AU2015252666B2 (en)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kit
US200800073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terminated network connection
CN111952906A (zh) 一种热镀锌的双层电缆桥架
KR102178966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CN2869900Y (zh) 一种室内外两用光缆
KR102190049B1 (ko) 공동주택 외벽 케이블 배선용 덕트
CN102928937B (zh) 一种组合式光缆分纤箱
CN210260629U (zh) 一种电缆敷设放线装置
KR102253599B1 (ko)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
JP2004157263A (ja) アウトレット
KR20170133975A (ko) 입상 케이블 트레이용 슬리브의 무볼트 조인트 커넥터 장치
CN2812362Y (zh) 转弯管
JP4682016B2 (ja) 建屋内外部通信伝送路及び総合信号伝送システム
CN213027270U (zh) 一种热镀锌的双层电缆桥架
CN210516257U (zh) 一种用于高层建筑的防火电力电缆
KR100343333B1 (ko) 주거용 세대 단자함
CN210744714U (zh) 一种电缆连接器
CN202075472U (zh) 一种室内布线用易剥离带状软光缆
JP4505095B2 (ja) 分岐付ケーブル
CN106324775A (zh) 自承式通信用室外光缆
CN212277831U (zh) 一种通信用翻盖式线槽
JP5358163B2 (ja) 逓減型の複合通信ブランチケーブル
CN215867268U (zh) 一种室内用隐形光缆
CN216957511U (zh) 一种太阳能光伏发电系统用线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