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631B1 -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 Google Patents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631B1
KR101035631B1 KR1020090015205A KR20090015205A KR101035631B1 KR 101035631 B1 KR101035631 B1 KR 101035631B1 KR 1020090015205 A KR1020090015205 A KR 1020090015205A KR 20090015205 A KR20090015205 A KR 20090015205A KR 101035631 B1 KR101035631 B1 KR 10103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intermediate body
sides
luminair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364A (ko
Inventor
고재완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9001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6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기와 조명용 등기구가 결합하는 하측판과, 상기 하측판의 상부와 하단부가 결합하고 상기 안정기 및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중간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하측판과 중간본체의 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명용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와 안정기가 고정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 하측판과, 단위 길이로 제작하거나 설치되는 장소의 크기에 따라 산출된 단위 길이로 제작한 중간본체를 제공함으로써, 중간본체에 결합되는 하측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등용 덕트, 억지 물림, 전기배선 정렬, 모듈화, 안전성, 이동설치

Description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Duct for Lamp and Wiring}
본 발명은 안정기와 조명용 등기구가 결합하는 하측판과, 상기 하측판의 상부와 하단부가 결합하고 상기 안정기 및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중간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하측판과 중간본체의 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명용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가정, 대형매장의 실내 또는 주차장과 같은 곳의 천장에 조명용 등기구(형광등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내부 하측에는 램프가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전기 케이블이 배선되는 덕트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명용 등기구가 설치되는 전등용 덕트는 다수 개의 덕트를 단위 길이 또는 모듈화된 형태로, 천장 벽체 내부에 일부가 함몰된 상태이거나, 천장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전등용 덕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등용 덕트(1)는 덕트본체(14)와 상부커버(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덕트본체(14)는 내부에는 격벽을 둔 사각 관의 형상으로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되고 양측면은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는 전기 케이블, 통신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스피커 선 등이 수용되는 수용부(1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형광등과 같은 등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등기구 설치부(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덕트본체(14)의 수용부(16)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하기 위해 상부커버(12)를 체결한다.
상기 덕트본체(14)의 외부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본체홈(18)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홈(18)은 상기 전등용 덕트(1)가 천장에 고정될 때 행거클램프(미도시)의 하단부가 걸리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커버(12)와 덕트본체(14)의 결합은, 상부커버(12)의 반원형 돌기와 반원형 홈이 상기 덕트본체(14)의 양측면의 상단에 구비된 반원형 홈과 반원형 돌기와 맞물려 이루어진다. 즉, 상부커버(12)의 반원형 돌기가 덕트본체(14)의 반원형 홈과 접하고, 상부커버(12)의 반원형 홈에 덕트본체(14)의 반원형 돌기가 접하여 결합한다.
상기 덕트본체(14)에는 상기 수용부(16)에 구비되는 안정기(미도시)와 상기 등기구 설치부(10)에 구비되는 조명용 등기구(램프, 미도시)가 연결되어 결합하기 위한 램프 홀더 삽입공이 구비된다.
즉, 각 현장의 조건에 맞게 주문을 받아 전등용 덕트를 만들고 조명용 등기구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램프 홀더 삽입공을 타공하는 과정을 거쳐 전등용 덕 트의 제작을 완성한다.
조명용 등기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서는 상기 전등용 덕트, 조명용 등기구, 안정기, 전기 케이블 등의 부재를 따로따로 준비하여 하나씩 결합하여 설치하므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결합 후 설치함으로 인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램프 홀더 삽입공의 위치가 상기 덕트본체(14)에 고정되어 있어, 조명용 등기구의 설치 위치를 현장 작업 시 변경할 수 없어, 원하는 크기의 덕트본체를 재주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덕트본체(14)의 수용부(16)에는 각 조명용 등기구를 위한 다수 개의 안정기(미도시) 및 안정기와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이 구비되어 통과하게 되며, 그 외에 통신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스피커 선 등이 지나가게 되어 상기 수용부(16) 내부에서 각종의 케이블 등이 꼬이거나 엉키게 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들의 합선 및 누전과 같은 안정성의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각 조명용 등기구가 연결된 제어 회로 및 스위치 회로 또는 각종 케이블의 시스템 연결 상태를 구별하기 힘들게 하여, 유지 및 보수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등용 덕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안정기와 조명용 등기구가 결합하는 하측판과 상기 하측판의 상부와 하단부가 결합하고 상기 안정기 및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중간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하측판이 상기 중간본체에 결합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명용 등기구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간본체의 상단부에 상부덮개를 구비함으로써, 추가적인 배선이나 센서용 케이블, 통신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스피커 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명용 등기구와 안정기가 고정되는 하측판은 램프 및 안정기가 고정되는 길이로 제작되고, 상기 조명용 등기구와 안정기 고정용 하측판이 중간본체와 결합하는 이외의 부분은 별도의 하측판을 구비하여, 상기 하측판들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조명용 등기구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측판, 중간본체, 상부덮개에 각각 내장되는 배선에 따라 다른 색상의 도장을 하여, 시스템, 제어 회로 또는 스위치 회로 별로 구분이 가능한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하부에는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가 수용되며 상부에는 배선과 안정기가 고정되는 하측판과,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되고 양측면의 하단부가 상기 하측판과 결합하여 상기 하측판에 고정된 안정기와 배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중간본체로 구성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이다.
상기 하측판은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가 고정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제1하측판과, 상기 중간본체에 상기 제1하측판이 결합하고 남는 부분에 결합되는 제2하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하측판과 제2하측판은 서로 위치를 바꾸어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본체와 하측판의 결합은 억지끼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억지끼움 방식을 위해, 상기 중간본체 양측면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계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측판 양측면의 상단부에는 상기 계지부가 걸리어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간본체의 양측면 상단부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상측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덮개는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하단부가 상기 중간본체의 돌출부와 결합하여 추가 배선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측판, 중간본체, 상측덮개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하측판, 중간본체, 상측덮개에 내선되는 배선의 종류에 따라 시스템의 연결을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측판과 중간본체가 결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중간부에 굴곡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삽입되고, 양측 단부 중 임의의 한쪽이 상기 중간본체의 양측면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보조고정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측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절개부가 형성된 보조고정편을 사용하여, 상기 하측판과 중간본체의 결합을 보조하여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편은 상기 중간본체의 양측면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삽입홈과 상기 하측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판과 중간본체의 결합은 볼트 고정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판의 상부에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본체의 내측에 삽입홈을 구비하여 볼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안정기와 조명용 등기구가 결합하는 하측판과, 상기 하측판과 결합하고 안정기 및 등기구용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중간본체로 구성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덕트를 제공함으로써, 중간 본체에 결합되는 하측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등기구의 램프와 안정기가 고정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 하측판에 안정기를 결합하여 조립하고, 중간본체는 단위 길이로 제작하거나 덕트가 설치되는 장소의 크기에 따라 산출된 단위 길이로 제작하여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덕트의 생산 공정을 간단하게 하여 생산 기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측판을 조명용 등기구의 길이 방향 크기에 대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주문을 받아 설계에 맞춰 덕트를 생산하는 방식에서, 규격품 생산으로 생산 방식을 변경하여 주문을 받기 이전에 선공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간본체의 상단부에 상부덮개를 구비하여 센서용 케이블, 통신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과 같은 추가 배선을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과 구분하여 설치함으로써, 케이블들의 합선 및 누전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측판과, 중간본체와, 상부덮개에 각각 내장되는 배선 또는 결합되는 케이블 및 장치에 따라 다른 색상의 도장을 함으로써, 회로 및 시스템이 구분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유지 및 보수 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1실시예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의 하측판(300)에 안정기(40)와, 연결단자(44)와, 전기 케이블(42)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의 복합 덕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덕트의 제1실시예는, 상측덮개(100)와, 중간본체(200)와, 제1하측판(300)과,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과, 반사갓(600)과,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50)와, 안정기(40)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덮개(100)는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하단부가 중간본체(200)와 결합하여 배선수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배선수용부(110)는 통신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각종 감지용 센서 또는 카메라 시스템에 사용되는 케이블이 추가로 배선되어 수용되는 공간이다.
중간본체(200)와 결합하는 상기 상측덮개(100)의 양측면의 하단부는 반원형 홈과 반원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본체(200)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반원형 돌기와 반원형 홈에 접하여 결합한다.
상기 상측덮개(100)의 반원형 홈의 위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중간본체(200)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오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본체(200)는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하단부가 하측판(300, 400, 500)과 결합하여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10)는 제1하측판(300)에 고정되는 안정기(40)와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42)을 수용한다.
상기 중간본체(200)의 양측면의 외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중간본체홈(230)이 구비된다. 상기 중간본체홈(230)은 복합 덕트가 천장에 설치될 때 행거에 걸리어 고정되도록 한다.
하측판(300, 400, 500)과 결합하는 중간본체(200) 양측면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구부러져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하측판의 제1걸림돌기에 걸리어 하측판(300, 400, 500)과 중간본체(200)를 결합하도록 하는 계지부(206)가 구비된다.
상기 계지부(206)를 이용하여 하측판(300, 400, 500)과 중간본체(200)가 결합할 때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보조고정판 또는 보조고정편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돌기(202)와 제2돌기(204)를 상기 계지부(206)의 위쪽에 구비한다.
상기 제1돌기(202)와 제2돌기(204)는 상기 중간본체(200)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202)와 제2돌기(204)의 사이에는 보조고정판(60) 또는 보조고정편(70)이 삽입되는 삽입홈(20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03)은 하측판(300, 400, 500)이 상기 중간본체(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판(300, 400, 500)의 상측 외부면이 위치하는 높이에 구비되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원 안의 부분 확대도는 상기 계지부(206)와 하측판의 제1걸림돌기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계지부(206)와 하측판(300, 400, 500)의 제1걸림돌기(307, 407)를 이용하여, 하측판(300)과 중간본체(200)를 분리/결합하는 것은 억지끼움/억지빠짐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본체(200)의 폐쇄되는 상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상측덮개(100)와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배선수용부(110)에 추가로 배선되는 케이블들이 서로 엉키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공간을 분할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22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판은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50)와 안정기(40)와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42)이 고정되어 일체형으로 중간본체(200)에 결합하는 제1하측판(300)과, 센서(80) 또는 카메라 등의 기타 장치가 설치되는 제2하측판(400), 제3하측판(500)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하측판(300)은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하부의 공간에는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50)가 수용되고, 길이 방향은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50)가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간본체(200)에 제1하측판(300)이 결합된 후 남는 공간에는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이 결합된다.
예를 들면, 중간본체(200)의 길이가 2m, 제1하측판(300)의 길이가 1.5m이면, 상기 제1하측판(300)이 상기 중간본체(200)에 결합되는 1.5m 이외의 0.5m의 부분에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을 각각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하측판(300)을 상기 중간본체(200)의 중간 부분에 결합하고 양 옆으로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을 결합할 수도 있고, 어느 한 쪽으로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을 같이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1하측판(300)에 설치되는 조명용 등기구의 위치를, 설치 현장에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판(300)의 양측면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구부러져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제2걸림돌기(309)가 구비되어 반사갓(600)의 끝단이 접하여 반사갓(600)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하측판(300), 제2하측판(400), 제3하측판(500)의 양측면의 상단부에는 상기 중간본체(200)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중간본체(200)에서 계지부(206)가 구부러져 돌출된 정도로 내측으로 단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계지부(206)가 걸리어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의 형상을 하는 제1걸림돌기(307)가 형성되어 있다.
폐쇄되는 상부의 외측면에는 "T" 형상의 돌출부(303)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하측판(300), 제2하측판(400), 제3하측판(500)과 중간본체(200)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고정판(60) 또는 보조고정편(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303)는 안정기를 하측판에 고정시키거나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42)과 연결단자(44)를 고정하거나 또는 추가 장치의 고정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판(300)에는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50)를 안정기(40)와 연결하기 위한 램프 홀더(46)가 삽입되는 램프 홀더 삽입부(305)가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제1하측판(300)에 안정기(40)와, 연결단자(44)와,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42)이 제1하측판(300)의 상단 외부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안정기(40)와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를 연결하기 위한 램프 홀더(46)가 램프 홀더 삽입부(305)를 통해 제1하측판(300)의 하부로 개방된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램프 홀더와 연결되는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42)은 안정기(40)로 이어진다.
[도 3]에 도시된 조명용 등기구 결합형 제1하측판(300)은 조명용 등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되므로,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에 관계없이 대량으로 생산해두고 필요시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은 제1하측판(300)과 유사한 형상이나, 안정기(40),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50), 조명용 등기구의 전기 케이블(42)이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에는 감시용 카메라 또는 차량 또는 사람을 감지하여 조명용 등기구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는 센서와 같은 감지기 등이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에 대해서는, 센서(80)가 설치되는 제2하측판(400)을 기본으로 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하측판(400)의 중앙 부분에 센서(80)를 결합하기 위한 구비되는 센서 결합 구멍(410)이 추가로 형성되며, 그 외의 제1걸림돌기(407), 제2걸림돌기(409), 돌출부(403)는 제1하측판(300)에 구비된 것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결합 구멍(410)에 고정되는 센서(80)는 센서용 전선(82)에 연결되어 시스템에 신호를 보낸다.
본 발명은 상기 상측덮개, 중간본체, 제1하측판, 제2하측판, 제3하측판을 각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 케이블의 속성 또는 연결되는 시스템, 또는 전기 케이블의 전원 방향에 따라, 외부에서 구분하기 쉽도록 표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으로는, 상측덮개, 중간본체, 제1하측판, 제2하측판, 제3하측판을 각기 다른 색상으로 도장을 하거나, 각각에 식별 표시수단(예를 들면, 스티커 또는 태그 등)을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덕트가 주차장에 설치된다고 가정할 때, 조명용 등기구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과, 차량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센서와 시스템을 연결하는 센서 케이블과, 주차장 내부를 감시하도록 하는 감시 카메라와 시스템을 연결하는 데이터 케이블과, 유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케이블이 상기 복합 덕트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에는 다수 개의 복합 덕트가 설치되고, 요구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카메라와 센서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하측판(400)에 차량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 고, 제3하측판(500)에는 카메라가 설치된다고 하면, 카메라가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하측판(500)은 흰색으로 표시하고, 센서가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하측판(400)은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용 등기구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중간본체는 전기 케이블이 어느 스위치 회로에 연결되는지를 고려하여 같은 스위치 회로에 연결되는 것은 같은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덕트를 구성하는 상측덮개, 중간본체, 제1하측판, 제2하측판, 제3하측판에 표시된 색상을 보고 어느 시스템 또는 어느 스위치 회로 또는 어느 제어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중간본체(200)와 제1하측판(300)이 결합하는 형상을, [도 6]은 제1실시예의 중간본체(200)와 제1하측판(300)이 분리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중간본체(200)의 계지부(206)가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압력에 의해([도 5]의 위에서 아래로 그려진 화살표의 방향으로) 제1하측판(300)의 제1걸림돌기(307)와 접하게 되고, 결합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본체(200)의 양측면은 점점 상기 제1걸림돌기(307)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본체(200)의 양측면은 탄성으로 약간 벌어졌다가 상기 계지부(206)가 상기 제1걸림돌기(307)의 하부로 이동되면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상기 계지부(206)가 상기 제1걸림돌기(307)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를 억지끼움 방식이라고 한다.
상기 억지끼움 방식으로 제1하측판(300)과 중간본체(200)가 결합한 복합덕트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하측판(300)의 양측면 하단부를 양쪽에서 눌러 압력을 가하면([도 6]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그려진 화살표의 방향으로), 상기 제1하측판(300)의 양측면이 내측으로 들어간다.
이때 중간본체(200)의 양측면 하단부는 측면 상단부의 방향으로 힘을 받아 중간본체(200)의 계지부(206)가 상기 제1하측판(300)의 제1걸림돌기(307)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중간본체(200)와 제1하측판(300)이 분리된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억지빠짐 방식이라고 한다.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도, 상기 제1하측판(300)과 중간본체(200)가 결합하는 억지끼움/억지빠짐 방식을 사용하여 중간본체(200)에 결합/분리된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1하측판(300)과 중간본체(200)의 결합을 보조하는 보조고정판(60)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b)는 상기 보조고정판(6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b)에 도시된 보조고정판(60)은 평평한 판의 형상에 중간 부분에 제1하측판(300)의 돌출부(303)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는 굴곡이 형성된 돌출부(64)와, 상기 돌출부(64)의 양측으로는 상기 돌출부(64)와 단을 이루어 형성되어 중간본체(20)의 삽입홈(203)에 삽입되는 삽입부(62)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개의 모서리는 소정의 경사각으로 형성된 모떼기면(66)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고정판(60)의 삽입부(62)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중간본체(200)의 삽입홈(203)에 삽입되고, 상기 보조고정판(60)의 돌출부(64)에 제1하측판(300)의 돌출부(303)가 삽입되어, 중간본체(200)과 제1하측판(300)의 결합을 보조한다.
상기 보조고정판(60)은 양측면에 구비되는 중간본체(200)의 삽입홈(203)과 제1하측판(300)의 돌출부(303)에 하나씩 삽입된다.
즉, 제1하측판(300)과 중간본체(200)가 제1하측판(300)의 제1걸림돌기(307)와 중간본체(200)의 계지부(206)의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고정판(60)을 양측에 하나씩 추가로 중간본체(200)의 삽입홈(203)과 제1하측판(300)의 돌출부(303)에 삽입하여 결합을 좀 더 견고하게 한다.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1하측판(300)과 중간본체(200)의 결합을 보조하는 보조고정편(70)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b)는 상기 보조고정편(7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b)에 도시된 보조고정편(70)은 중간본체(200) 내부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의 폭을 가지며 제1하측판(300)의 "T"형 돌출부(303)의 지지부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납작한 편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보조고정편(70)은 제1하측판(300)의 상단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는 돌출부(30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303)에 대응하는 위치에 두 개의 삽입절개부(72)가 구성되어 있다.
제1하측판(300)의 제1걸림돌기(307)와 상기 중간본체(200)의 계지부(206)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억지끼움 방식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보조고정편(70)의 삽입절개부(72)는 제1하측판(300)의 돌출부(303)에 삽입되고 양측 단부는 중간본체(200)의 삽입홈(203)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상기 보조고정판(60)과 보조고정편(70)이 결합하는 방식을 제1하측판(300)과 중간본체(200)를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제2하측판(400)과 제3하측판(5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덕트가 설치되는 장소 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한 것으로, 제2실시예는 제1하측판(320), 제3실시예는 제1하측판(340)과 중간본체(230), 제4실시예는 제1하측판(360), 중간본체(250), 상측덮개(130)의 형상이 각각 다르게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2실시예를 일부 분리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예는 제1하측판(320)의 양측면이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양측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1하측판(320)이 중간본체(200)와 결합된다.
상기 제1하측판(320)은 돌출부(323), 제1걸림돌기(327), 제2걸림돌기(329)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부재는 제1실시예의 제1하측판(300)에 구비된 부재와 기능 및 형상이 동일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3실시예의 일부 분리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의 제1하측판(340)은 상기 제1하측판(340)의 하부 공간에 두 개의 조명용 등기구의 램프(50)가 평행하게 설치될 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판(340) 양측면의 상단부의 폭은 중간본체(230)의 하단부와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양측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하측판(340)과 결합하기 위한 중간본체(230)는, 중간본체홈(230) 이하의 양측면 하단부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끝단부로 갈수록 양측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하측판(340)은 돌출부(343), 제1걸림돌기(347), 제2걸림돌기(349)를, 상기 중간본체(230)는 제1돌기(232), 제2돌기(234), 삽입홈(233), 계지부(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덕트의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예를 나타낸다.
제4실시예의 상측덮개(130)는 가운데가 볼록하게 돌출되며 양끝단과 곡선으 로 연결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측덮개(130)가 중간본체(250)와 결합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중간본체(250)는, 상기 상측덮개(130)의 양끝단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상단부가 구성되며, 상단부의 폭은 하단부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바깥쪽으로 둥글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본체(250)는, 중간본체(200)와 비교하여 상기의 외적인 형상이 다를 뿐, 수용부(210), 돌기부(220), 중간본체홈(230), 제1돌기(252), 제2돌기(254), 삽입홈(253), 계지부(256)의 기능과 형상은 동일하다.
제1하측판(360)은 양측면 상단부의 폭이 상기 중간본체(250)의 하단부의 폭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하단부의 폭은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안쪽으로 둥글게 경사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하측판(360)은 돌출부(363), 제1걸림돌기(367), 제2걸림돌기(36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 및 형상은 제1실시예의 제1하측판(300)과 동일하다.
상기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에서 제1하측판(340, 360, 380)과 중간본체(200, 230, 250)가 결합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의 억지끼움/억지빠짐의 방식을 사용한다.
제2하측판과 제3하측판의 형상도 각 실시예에 결합되는 제1하측판(340, 360, 380)에 대응하도록 바꾸어 구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5실시예의 일부 분리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하측판(380)과 중간본체(270)가 볼트(B)로 결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5실시예에서 볼트(B) 결합을 위해, 제1하측판(380)과 중간본체(270)의 형상이 바뀐다.
제1하측판(380)은 볼트(B)가 관통하는 볼트구멍(387)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구멍(387)은 상기 제1하측판(380)의 양측면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단이 형성된 곳에 구비된다. 즉, 제1실시예의 제1하측판(300)의 제1걸림돌기(307)가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제1걸림돌기(307) 대신에 볼트구멍(387)를 형성한다.
중간본체(270)는 제1돌기(272)와 제2돌기(274)가 하단 측면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272)와 제2돌기(274) 사이에는 볼트(B)가 삽입되는 삽입홈(273)이 구성된다.
상기 제1하측판(380)의 볼트구멍(387)에 볼트(B)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구멍(387)을 관통하는 볼트(B)는 상기 중간본체(270)의 삽입홈(27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하측판(360)은 돌출부(363), 제2걸림돌기(36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 및 형상은 제1실시예의 제1하측판(300)과 동일하다.
상기 중간본체(270)는 제1실시예의 중간본체(200)와 비교하여 제1돌기(272)와 제2돌기(274)의 돌출 방향만 다르고, 수용부(210), 돌기부(220), 중간본체 홈(230), 삽입홈(253)의 기능과 형상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중간본체, 하측판의 외부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3개의 제품인식 홈(L)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L)은 출원인이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할 경우 자사 제품임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홈(L)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자사 제품을 인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도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해당 업계에 종사하는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예들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명백히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등용 덕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1실시예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하측판에 안정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중간본체와 하측판이 결합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중간본체와 하측판을 분리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하측판과 중간본체의 결합을 보조하는 보조고정판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와 보조고정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하측판과 중간본체의 결합을 보조하는 평판식 보조고정편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와 보조고정편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2실시예의 일부 분리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3실시예의 일부 분리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덕트의 제5실시예의 일부 분리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설치용 하측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등용 덕트 14 : 덕트본체
12 : 상부커버 16 : 수용부
10 : 등기구 설치부
60 : 보조고정판 70 : 보조고정편
100, 130 : 상측덮개 110 : 배선수용부
200, 230, 250, 270 : 중간본체
203, 233, 253, 273 : 삽입홈
206, 236, 256 : 계지부
300, 320, 340, 360, 380 : 제1하측판
400 : 제2하측판 500 : 제3하측판
600, 610 : 반사갓

Claims (7)

  1.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되고 개방되는 하부에는 램프가 수용되며 상부에는 배선과 안정기가 고정되는 하측판과,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되고 양측면의 하단부가 상기 하측판과 결합하여 상기 하측판에 고정된 안정기와 배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중간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판은,
    조명용 등기구가 장착되는 제1하측판과,
    상기 중간본체에 상기 제1하측판이 결합하고 남는 부분에 결합되는 제2하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하측판과 제2하측판은 서로를 위치를 바꾸어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본체와 하측판의 결합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중간본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계지부를,
    상기 하측판에는 상기 계지부가 걸리어 고정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본체의 상부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하단부가 상기 중간본체의 돌출부와 결합하여 추가 배선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상측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판, 중간본체, 상측덮개의 외측면을 시스템의 연결을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6. 제4항에 있어서,
    중간부에 굴곡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삽입되 고, 양측 단부 중 임의의 한쪽이 상기 중간본체의 양측면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보조고정판이, 상기 하측판과 중간본체의 결합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절개부가 형성된 보조고정편이,
    상기 중간본체의 양측면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삽입홈과 상기 하측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에 삽입하여 상기 하측판과 중간본체의 결합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1020090015205A 2009-02-24 2009-02-24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10103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05A KR101035631B1 (ko) 2009-02-24 2009-02-24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05A KR101035631B1 (ko) 2009-02-24 2009-02-24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364A KR20100096364A (ko) 2010-09-02
KR101035631B1 true KR101035631B1 (ko) 2011-05-19

Family

ID=4300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205A KR101035631B1 (ko) 2009-02-24 2009-02-24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775B1 (ko) * 2010-12-24 2012-06-13 전철수 센서등
KR200482744Y1 (ko) * 2012-04-10 2017-03-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KR102646254B1 (ko) * 2023-03-14 2024-03-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541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
KR20060037131A (ko) * 2004-10-27 2006-05-0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KR20070104115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KR20090078594A (ko) * 2008-01-15 2009-07-20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541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
KR20060037131A (ko) * 2004-10-27 2006-05-0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KR20070104115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KR20090078594A (ko) * 2008-01-15 2009-07-20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364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7294B2 (en) Commercial lighting integrated platform
CA2951300C (en) Lighting assembly with light fixture mounted in electrical box
US9470375B2 (en) LED based line illumination luminaire and system
CN104329602B (zh) 拼接组件和拼接式led灯
US9004718B2 (en) LED decorative illuminated trim system
US81724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iling mounted systems
US2016032397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iling mounted systems
US20040114361A1 (en) Lighting fixture end cap
KR101235847B1 (ko)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구조
KR101622022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US101196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lighting systems
KR101035631B1 (ko)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101589365B1 (ko) 조명등 장치
KR102292015B1 (ko) 간편 장착 및 전원 연결구조를 갖는 레일조명
KR102032908B1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100784175B1 (ko) 주차장용 멀티 덕트
KR200494820Y1 (ko) 조명등 고정클립
KR100734491B1 (ko) 레이스웨이 조명시스템 및 그 조립방법
KR101173912B1 (ko) 분해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KR101048020B1 (ko) 전등용 덕트
KR20090078594A (ko)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KR101104804B1 (ko) 분리형 컨버터 외함의 용이한 장착구조를 갖는 엘이디 천장매입등
KR100672800B1 (ko)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단자함
KR102296224B1 (ko) 개선된 조립구조의 주차장용 엘이디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