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594A -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594A
KR20090078594A KR1020080004499A KR20080004499A KR20090078594A KR 20090078594 A KR20090078594 A KR 20090078594A KR 1020080004499 A KR1020080004499 A KR 1020080004499A KR 20080004499 A KR20080004499 A KR 20080004499A KR 20090078594 A KR20090078594 A KR 20090078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lamp
cover
wiring duc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876B1 (ko
Inventor
윤덕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00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8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무용 빌딩, 학교, 지하철, 주차장, 대형매장 등의 천정에 배치하여 조명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 양쪽에 형성된 측벽의 외측 중간에 연결홈이 안쪽으로 굴곡 형성되고 측벽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홈으로 생긴 돌출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보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수단끼리는 가로질러지는 격벽으로 연결하여서 이를 기준으로 배선공간과 전기장치수납공간을 구획하고 배선공간의 개구부와 전기장치수납공간의 개구부에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에 결합할 수 있는 등갓이 마련되는 특징이 있다.
배선 덕트, 등 기구, 조명등, 등갓

Description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A Wiring Duct Built-in Luminaire}
본 발명은 업무용 빌딩, 학교, 지하철, 주차장, 대형매장 등의 천정에 배치하여 조명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는 배선 덕트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배선 덕트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나 그중에 하나를 소개하면 국내 특허 제10-0714420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본체(80)의 양쪽에 측벽(81)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격벽(83)이 가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덮개(84)와 베이스커버(85)가 구비되고 베이스커버(85)에는 등갓(86)과 램프홀더(8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81)에는 요홈(8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격벽(83)의 하부에는 절연튜브(89)가 피복된 전선 지지부재(88)가 전선(91)을 정리하기 위하여 나사못(90)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은 전선을 배선하고 동시에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측벽(81)의 요홈(82)이 형성된 부분이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측벽(81)의 하단에 결합한 베이스커버(85)는 양쪽의 걸림부(85a)에 의하여 측벽(81)의 걸림부(81a)에 결합하고 있는데, 베이스커버(85)에는 등갓(86), 램프홀더(87), 램프, 안정기 등으로 구성된 형광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형광등의 하중이 측벽(81)의 지지력보다 크면 형광등이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커버(85)가 측벽(81)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부연컨대, 측벽(81)의 요홈(82)은 이 부분에서 약간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취약한 부분이며 이 부분의 변형에 의해 베이스커버(85)를 잡아주고 있는 측벽(81)의 결합력이 약화하여 형광등이 배선 덕트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부분의 보강이 요구된다.
둘째, 등갓(86)을 베이스커버(85)에 설치하는 구조로 된 것이어서 그 설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즉, 등갓(86)을 베이스커버(85)에 설치하려면 베이스커버(85)를 덕트 본체(70)에 설치하고 다시 베이스커버(85)에 등갓(86)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조를 구성한 다음 이에 등갓(86)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등갓(86)이 설치되는 부분에서는 베이스커버(85)가 등갓(86)과 중복 설치되어 베이스커버(85)가 낭비되는 결점이 있다.
셋째, 전선(90)을 배선하기 위하여 절연튜브(89)가 피복된 전선 지지부재(88)와 이를 고정하는 나사못(91)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3가지의 부속품이 추가되고 이에 따른 작업이 늘어나게 되므로 설치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덕트 본체의 측벽을 보강하고 등갓은 덕트 본체에 직접 설치가능하게 하며 배선공간을 본체에 확보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중간에 연결홈이 형성된 양 측벽과, 이 양 측벽의 내측에 연결홈으로 생긴 돌출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보강수단과, 이 보강수단을 가로로 연결하는 격벽과, 이 격벽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부로 개구되는 배선공간과, 이 배선공간의 개구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마련되고 하부로 개구되는 조명기구의 전기장치수납공간과, 이 전기장치수납공간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등갓과, 이 등갓이 없는 부분을 덮는 하부커버를 구비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등갓의 상면에 덕트 본체의 전기장치수납공간의 개구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형성하여서 된 다른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등 기구의 소켓을 3등형으로 구성하여서 된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본 발명은 배선 덕트의 측벽을 보강하여 측벽의 변형요인을 제거함으로써 형광등이 배선 덕트 본체로부터 떨어져 나갈 염려가 없어지고 동시에 등 기구를 배선 덕트 본체에 직접 설치가능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베이스커버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재절감효과를 얻은 것 등의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의 일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 본체에 등 기구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배선 덕트 연결구의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덕트 본체(10)와,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30)와, 등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 본체(10)는 양쪽에 측벽(11)이 형성되고 측벽(11)의 외측 중간에 연결홈(12)이 안쪽으로 굴곡 형성되며 측벽(11)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홈(12)에 의해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12a)를 에워싸는 형태로 보강수단(13)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수단(13)끼리는 가로질러지는 격벽(14)으로 연결되며 이를 기준으로 배선공간(15)과 전기장치수납공간(16)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측벽(11)의 상.하단에는 배선공간(15)과 전기장치수납공간(16)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30)와 등갓(40)이 결합하는 결합수단(17)(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커버(20)는 판상(板狀)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상기 본체(10)에 결합하도록 결합수단(2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커버(30)도 역시 상기 상부커버(20)와 마찬가지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상기 본체(10)에 결합하도록 결합수단(3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 기구는 등갓(40)과, 소켓(60)과, 형광등(61)과, 안정기(6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갓(40)은 상면에 상기 본체(10)의 전기장치수납공간(16)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수단(18)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41)(4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등갓(40)은 선택적으로 하부투명커버(50)를 설치할 수 있는 삽입부(43)가 형성될 수도 있고, 등갓(40)의 양단부를 막아주는 양쪽 커버(도시되지않음)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수단(4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소켓(60)은 형광등(61)이 한 개만 설치되는 외등형과 두 개가 설치되는 2등형은 보편적이나 본 발명에서 형광등을 세 개 설치할 수 있는 3등형을 새로 개발하였다. 이 3등형은 필요에 따라 등 3개 중에서 조작에 의하여 한 개만 킬 수도 있고 두 개만 킬 수도 있고 또 세 개 다 킬 수 있게 하면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51은 반사 갓, 52는 전선이다. 또, 70 내지 72는 덕트 연결구로서, 70은 직각연결구, 71은 3방향 연결구, 72는 4방향 연결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측벽(11)의 내부에 보강수단(13)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연결홈(12)의 변형가능성을 방지하였으며 격벽(14)의 상부에 배선 공간(15)을 마련하여 이에 전선(52)을 배선하게 하여 전선배선을 위한 별도의 부속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본체(10)의 하단에 등갓(40)을 설치할 때는 하부커버(30)를 설치할 필요없이 등갓만 설치가능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특히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선 덕트는 빌딩주차장, 클린 룸(clean room), 대형매장, 학교 등의 천장에 조명기구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치가 큰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배선 덕트와 등 기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의 일 실시 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 본체에 등 기구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선 덕트 연결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덕트 본체 11; 측벽 13; 보강수단 14; 격벽 15; 배선공간
16; 전기장치수납공간 20; 상부커버 30; 하부커버 40; 등갓

Claims (3)

  1. 외부 중간에 연결홈이 형성된 양 측벽과, 이 양 측벽의 내측에 연결홈으로 생긴 돌출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보강수단과, 이 보강수단을 가로로 연결하는 격벽과, 이 격벽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부로 열려있는 배선공간과, 이 배선공간의 개구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마련되고 하부로 열려있는 조명기구의 전기장치수납공간과, 이 전기장치수납공간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등 기구와, 이 등 기구가 없는 부분을 덮는 하부커버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 기구를 구성하는 등갓은 상면에 덕트 본체의 전기장치수납공간의 개구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 기구의 소켓은 3등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KR1020080004499A 2008-01-15 2008-01-15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KR10095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499A KR100953876B1 (ko) 2008-01-15 2008-01-15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499A KR100953876B1 (ko) 2008-01-15 2008-01-15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594A true KR20090078594A (ko) 2009-07-20
KR100953876B1 KR100953876B1 (ko) 2010-04-20

Family

ID=4133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499A KR100953876B1 (ko) 2008-01-15 2008-01-15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8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31B1 (ko) * 2009-02-24 2011-05-1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20160003909U (ko) * 2015-05-06 2016-11-16 김진해 레이스웨이 조명 시스템
KR102459516B1 (ko) * 2021-11-09 2022-10-26 김성수 스피커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34B1 (ko) 2013-07-17 2013-09-12 장보영 시스템 배선관로용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49Y1 (ko) * 2000-07-04 2001-02-15 주식회사동아판매상사 트렁킹 닥트
KR100745191B1 (ko) * 2005-03-21 2007-08-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200404598Y1 (ko) 2005-10-05 2005-12-2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디퓨저 결합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31B1 (ko) * 2009-02-24 2011-05-1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20160003909U (ko) * 2015-05-06 2016-11-16 김진해 레이스웨이 조명 시스템
KR102459516B1 (ko) * 2021-11-09 2022-10-26 김성수 스피커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876B1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119B1 (en) Multi-lamp fluorescent light fixture
US9970634B1 (en) Recessed luminaire for remodel applications
KR101622022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0953876B1 (ko)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JP2017112059A (ja) 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US6530673B1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device and lamp protecting device
JP6308467B2 (ja) 照明器具
JPH04138608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用連結部材
US8382344B2 (en) Remote ballast assembly
JP4839859B2 (ja) 配線ダクト
KR102032908B1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102055934B1 (ko) 엘이디 조명등용 확장블록
KR200404598Y1 (ko) 전등용 덕트의 디퓨저 결합 구조
JP2010186595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00096364A (ko)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JP2007066760A (ja) 照明器具
JP2007109604A (ja) 安定器及び照明装置
KR20200027108A (ko) 착탈형 led 조명장치
CN218124231U (zh) 接线装置及照明灯具
KR20190001850U (ko)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CN204986677U (zh) 照明装置
KR200370044Y1 (ko) 천장 조명등 설치구조
KR20080004836U (ko) 램프를 갖는 건축용 마감재
KR100559780B1 (ko) 등기구장치
KR200371522Y1 (ko) 비상 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