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850U -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 Google Patents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850U
KR20190001850U KR2020180000171U KR20180000171U KR20190001850U KR 20190001850 U KR20190001850 U KR 20190001850U KR 2020180000171 U KR2020180000171 U KR 2020180000171U KR 20180000171 U KR20180000171 U KR 20180000171U KR 20190001850 U KR20190001850 U KR 201900018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eiling
attachment type
fram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707Y1 (ko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Priority to KR2020180000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0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는 부착형 등기구의 양단부에 접속형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부착형 등기구를 간편하게 연결하고, 전력공급 또한 따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부착형 등기구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고, 프레임본체의 일면에 볼트가 관통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체결부를 형성하여 프레임본체를 실내의 천장에 간편하게 부착시키고, 프레임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연결라인수용부와 그 내부에 연결라인을 수용시켜 다수의 부착형 등기구를 연결할 경우 프레임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배선작업이 불필요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 Mountable luminaires for easy installation }
본 고안은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착형 등기구가 실내의 천장에 간편하게 부착되도록 볼트가 직접적으로 관통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부착형 등기구가 간편하게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부착형 등기구의 양단부에 다양한 형상의 접속형 연결수단이 구비된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착형 등기구는 실내의 벽면 즉, 측벽 또는 천장 등에 부착되어 실내를 밝혀주는 조명기구로서 내부에 광원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정해진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광원체에서 발생된 빛을 분산시키는 커버와, 상기 광원체를 밝히기 위하여 전선이 연결된 안정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부착형 등기구는 상기 케이스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이 구비되는데 이에 관한 종래의 기술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1807549호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고정용 브라켓을 살펴보면 천장에 직착 고정되는 브라켓 몸체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측단으로는 천장에서 내려온 옥내 전원 케이블이 체결되고, 타측단에는 단부에 천장 직착등용 전원 커넥터가 연결된 단자 케이블이 체결되는 내부 커넥터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천장직착등 또는 부착형 등기구는 벽면에 부착할 경우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설치 작업시 1명의 작업자만으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고, 제품의 구성품이 불필요하게 늘어나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천장직착등 또는 부착형 등기구는 내부에 구비된 광원체에 전력이 연결되어 빛이 발생되도록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 다수의 전선들을 관통시키는 설치작업이 동반되어야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부착형 등기구는 다수개를 연이어 설치할 경우 각각의 등기구를 연결하는 배선작업이 동반되어야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착형 등기구의 일면에 볼트가 직접적으로 관통되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부착형 등기구를 실내의 천장에 간편하게 부착시키고, 부착형 등기구의 양단부에 접속형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부착형 등기구를 간편하게 연결하고, 전력공급 또한 따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부착형 등기구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고, 프레임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연결라인수용부와 그 내부에 연결라인을 수용시켜 다수의 부착형 등기구를 연결할 경우 프레임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배선작업이 불필요해지는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부착형 등기구로서 상기 천장에 부착된 판형상의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측 하부면에 형성되며 빛이 발생되는 광원체가 수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듀얼조명부와, 상기 한 쌍의 듀얼조명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체결부로 이루어진 등기구프레임과; 상기 등기구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된 박스형상의 접속본체와, 상기 접속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체와 연결된 컨버터기판과, 상기 컨버터기판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로 이루어진 접속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의 일단부에는 또 다른 부착형 등기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부의 입력단자와 접속되는 판형상의 접속형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형 연결수단은 상기 접속부의 일단면으로 삽입되는 판형상의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양측면에 전력이 전달되는 전도성재질의 연결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의 일단면에는 상기 연결본체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연결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본체는 상기 접속부와 또 다른 접속부가 연결될 경우 직선형 연결본체 또는 십자형 연결본체, 직각형 연결본체, T자형 연결본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의 모서리부분에는 또 다른 접속부가 직각으로 연결될 경우 모서리부분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연결유도챔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조명부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연결라인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라인수용부에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측에 구비된 접속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착형 등기구의 일면에 볼트가 직접적으로 관통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체결부가 형성됨으로써, 부착형 등기구를 실내의 천장에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둘째, 접속형 연결수단의 양측면에 전력이 전달되는 전도성재질의 연결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접속형 연결수단이 접속부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연결단자와 입력단자가 상호 접촉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부착형 등기구에 대한 전력공급을 따로 연결할 필요없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셋째, 접속부와 또 다른 접속부가 연결될 경우 연결본체의 형상을 직선형 연결본체 또는 십자형 연결본체, 직각형 연결본체, T자형 연결본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착형 등기구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고,
넷째, 듀얼조명부의 하부에 프레임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연결라인수용부와 그 내부에 연결라인을 수용시킴으로써, 다수의 부착형 등기구를 연결할 경우 프레임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배선작업이 불필요해져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형 등기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형 등기구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형 등기구의 내부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형 등기구의 내부상태를 나타내 보인 구성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형 등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연결본체의 형상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W)에 설치되는 부착형 등기구(1)로서 상기 천장(W)에 부착된 판형상의 프레임본체(11)와,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양측 하부면에 형성되며 빛이 발생되는 광원체(F)가 수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듀얼조명부(12)와, 상기 한 쌍의 듀얼조명부(12)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천장(W)에 고정되는 볼트(B)가 관통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체결부(13)로 이루어진 등기구프레임(10)과; 상기 등기구프레임(10)의 양측부에 구비된 박스형상의 접속본체(21)와, 상기 접속본체(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체(F)와 연결된 컨버터기판(22)과, 상기 컨버터기판(22)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23)로 이루어진 접속부(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듀얼조명부(12)는 상기 광원체(F)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 즉, 상기 프레임본체(11)에서 하부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연장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듀얼조명부(12)의 상부에는 상기 광원체(F)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과판(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듀얼조명부(12)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투과판(미도시)이 고정되도록 정해진 깊이의 요입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듀얼조명부(12)의 하부 내측면에는 상기 광원체(F)가 고정되도록 정해진 높이의 단턱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속부(20)의 일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부착형 등기구(1)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부(20)의 입력단자(23)와 접속되는 판형상의 접속형 연결수단(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형 연결수단(30)은 상기 접속부(20)의 일단면으로 삽입되는 판형상의 연결본체(31)와, 상기 연결본체(31)의 양측면에 전력이 전달되는 전도성재질의 연결단자(3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본체(31)는 그 단면형상이 "H"형상이 90도 회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32)는 상기 연결본체(31)의 양측 내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0)의 일단면에는 상기 연결본체(31)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연결개방부(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개방부(24)는 상기 연결본체(31)의 단면형상 즉, "H"형상이 9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본체(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20)와 또 다른 접속부(20)가 연결될 경우 직선형 연결본체(311) 또는 십자형 연결본체(312), 직각형 연결본체(313), T자형 연결본체(314)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20)의 모서리부분에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또 다른 접속부(20)가 직각으로 연결될 경우 모서리부분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연결유도챔버(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듀얼조명부(12)의 하부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연결라인수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라인수용부(14)에는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양측에 구비된 접속부(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L)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W)에 설치되는 부착형 등기구(1)이다.
즉, 상기 부착형 등기구(1)는 내부에 광원체(F)를 수용하는 등기구프레임(10)과, 상기 등기구프레임(10)의 양측부에 체결되며 상기 광원체(F)를 작동시키는 컨버터기판(22) 및 전원을 연결하는 입력단자(23)로 이루어진 접속부(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20)의 일단부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부착형 등기구(1)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부(20)의 입력단자(23)와 접속되는 판형상의 접속형 연결수단(3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부착형 등기구(1)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천장(W)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형 연결수단(30)은 상기 접속부(20)의 일단면으로 삽입되는 판형상의 연결본체(31)와, 상기 연결본체(31)의 양측면에 전력이 전달되는 전도성재질의 연결단자(32)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본체(31)가 상기 연결개방부(24)로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단자(32)는 상기 접속부(20)의 입력단자(23)에 접촉되어 두개 또는 다수개의 부착형 등기구(1)에 전력을 따로 연결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본체(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20)와 또 다른 접속부(20)가 연결될 경우 직선형 연결본체(311) 또는 십자형 연결본체(312), 직각형 연결본체(313), T자형 연결본체(314)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착형 등기구(1)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20)의 모서리부분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접속부(20)가 직각으로 연결될 경우 모서리부분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연결유도챔버(25)가 형성됨으로써, 직각 즉, 십자형상, 직각형상, T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연결될 경우 그 모서리부분이 접촉되며 연결을 방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W)에 고정되는 볼트(B)가 관통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체결부(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본체(11)를 실내의 천장(W)에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듀얼조명부(12)의 하부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연결라인수용부(14)와, 그 내부에 연결라인(L)을 수용시킴으로써, 다수의 부착형 등기구(1)를 연결할 경우 프레임본체(11)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배선작업이 불필요해져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천장 F : 광원체
B : 볼트 L : 연결라인
1 : 부착형 등기구 10 : 등기구프레임
11 : 프레임본체 12 : 듀얼조명부
13 : 체결부 14 : 연결라인수용부
20 : 접속부 21 : 접속본체
22 : 컨버터기판 23 : 입력단자
24 : 연결개방부 25 : 연결유도챔버
30 : 접속형 연결수단 31 : 연결본체
311 : 직선형 연결본체 312 : 십자형 연결본체
313 : 직각형 연결본체 314 : T자형 연결본체
32 : 연결단자

Claims (6)

  1. 실내의 천장(W)에 설치되는 부착형 등기구(1)에 있어서,
    상기 천장(W)에 부착된 판형상의 프레임본체(11)와,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양측 하부면에 형성되며 빛이 발생되는 광원체(F)가 수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듀얼조명부(12)와, 상기 한 쌍의 듀얼조명부(12)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천장(W)에 고정되는 볼트(B)가 관통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체결부(13)로 이루어진 등기구프레임(10)과;
    상기 등기구프레임(10)의 양측부에 구비된 박스형상의 접속본체(21)와, 상기 접속본체(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체(F)와 연결된 컨버터기판(22)과, 상기 컨버터기판(22)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23)로 이루어진 접속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0)의 일단부에는 또 다른 부착형 등기구(1)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부(20)의 입력단자(23)와 접속되는 판형상의 접속형 연결수단(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형 연결수단(30)은 상기 접속부(20)의 일단면으로 삽입되는 판형상의 연결본체(31)와, 상기 연결본체(31)의 양측면에 전력이 전달되는 전도성재질의 연결단자(32)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20)의 일단면에는 상기 연결본체(31)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연결개방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31)는 상기 접속부(20)와 또 다른 접속부(20)가 연결될 경우 직선형 연결본체(311) 또는 십자형 연결본체(312), 직각형 연결본체(313), T자형 연결본체(314)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0)의 모서리부분에는 또 다른 접속부(20)가 직각으로 연결될 경우 모서리부분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연결유도챔버(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조명부(12)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연결라인수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라인수용부(14)에는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양측에 구비된 접속부(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L)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KR2020180000171U 2018-01-12 2018-01-12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KR200490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71U KR200490707Y1 (ko) 2018-01-12 2018-01-12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71U KR200490707Y1 (ko) 2018-01-12 2018-01-12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50U true KR20190001850U (ko) 2019-07-22
KR200490707Y1 KR200490707Y1 (ko) 2019-12-19

Family

ID=6743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71U KR200490707Y1 (ko) 2018-01-12 2018-01-12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1550A (zh) * 2022-06-21 2022-09-27 广东新特丽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拆装环形模块化吊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9683A1 (de) * 2011-02-17 2012-08-23 Tridonic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binden und kontaktieren zumindest einer led-einheit, sowie led-einheit und leuchtsystem
KR101356218B1 (ko) * 2012-02-02 2014-01-29 주식회사 바이필룩스 라인형 조명장치
KR20160106885A (ko) * 2015-03-03 2016-09-13 양경호 천장설치용 라인 조명등
CN107110452A (zh) * 2014-11-24 2017-08-29 金·舒瓦·夏因 模块化照明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9683A1 (de) * 2011-02-17 2012-08-23 Tridonic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binden und kontaktieren zumindest einer led-einheit, sowie led-einheit und leuchtsystem
KR101356218B1 (ko) * 2012-02-02 2014-01-29 주식회사 바이필룩스 라인형 조명장치
CN107110452A (zh) * 2014-11-24 2017-08-29 金·舒瓦·夏因 模块化照明系统
KR20160106885A (ko) * 2015-03-03 2016-09-13 양경호 천장설치용 라인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1550A (zh) * 2022-06-21 2022-09-27 广东新特丽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拆装环形模块化吊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707Y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6727B1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0920509B1 (ko) 레이스웨이 조명기구 및 그 설치방법
KR20150099110A (ko) 조명등 장치
JP2014078427A (ja) 照明器具
JP2022019916A (ja) 照明器具
US5221138A (en) Serial light fixture
KR20190001850U (ko)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WO2014136160A1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US6984131B2 (en) Lamp tube conversion apparatus
JP6811431B2 (ja) 照明器具
JP6372779B2 (ja) 照明器具
JP6111497B2 (ja) 照明器具
JP4530160B2 (ja) 照明装置
JP2016046101A (ja) コネクタ、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JP2020161401A (ja) 照明装置
JP6410172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JP7072224B2 (ja) 直管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6813800B2 (ja) 配線レール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080004836U (ko) 램프를 갖는 건축용 마감재
JP7012246B2 (ja) 照明器具
JP5450779B1 (ja) 照明器具の連結金具及び照明装置
JP2021016245A (ja) 配線ダクト、電気器具、配線ダクトシステムの生産方法、及び電気器具の設置方法
JP2023138162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JP2023148738A (ja) 照明装置
JP2022164317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