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130Y1 - 전선의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의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130Y1
KR200225130Y1 KR2020000036780U KR20000036780U KR200225130Y1 KR 200225130 Y1 KR200225130 Y1 KR 200225130Y1 KR 2020000036780 U KR2020000036780 U KR 2020000036780U KR 20000036780 U KR20000036780 U KR 20000036780U KR 200225130 Y1 KR200225130 Y1 KR 200225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coupled
floor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2020000036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130Y1/ko

Link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선의 외주면에 돌기부와 삽입부를 형성하도록 변경함과 함께 상기 전선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양측에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을 연이어서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므로 상기 전선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각 전선이 바닥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에 각 전선의 설치작업이 원활함에 따라 작업손실 및 시간 절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면을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인해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에 복수개의 전선이 결합된 전체적인 형상이 미려하면서도 지나다니는 사람의 발이 걸려서 전선이 바닥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류가 흐르는 코어(core)(11)와, 상기 코어(11)의 외주면을 감싸는 피복(12)으로 이루어진 전선(10)에 있어서, 상기 전선(10)의 양측에는 지지부재(50)(6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지지부재(50)(60)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10)이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의 체결장치{APPARATUS FOR COUPLING OF WIRE}
본 고안은 전선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선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전선을 바닥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하도록 한 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電線)은 전류(電流)가 통하는 줄이다.
상기 전선의 종류에는 전기줄, 전보줄, 전신줄 등이 있는데, 즉 초고압선 및 중저압선 등 약전류 선로에 대하여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전력선이 있고, 정보화시대에 발맞추어서 동축(COAXIAL) 및 무선통신망 누설 동축(LEAKAGE COAXIAL) 케이블 등 통신 및 정보매체를 전달(음성은 물론 동영상까지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통신선이 있으며, 전기, 전자기기의 기기 내부 배선이나 기기간 배선 및 산업용 기기(컴퓨터, 제어기기, 공작기기 등)에 사용되는 기기용 및 철도차량 내부의 각종 모터, 발전기, 조명 및 제어 회로의 배선 등에 사용하도록 도체의 외주면을 고무, 종이, 면사, 견사 등으로 피복하든가 또는 에나멜, 합성수지 등을 칠하여 전기 절연하도록 하는 절연선 등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사무실 등에 사용되는 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선(1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導體)인 코어(core)(11)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코어(11)의 외주면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파손 및 손상에 의해 코어(11)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연체(絶緣體)인 피복(12)이 감싸져 있다.
상기 코어(11)는 동선(銅線)이나 알루미늄선 등 전기가 잘 흐르도록 하기 위해 도체(導體)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복(12)은 고무, 종이, 합성수지 등으로 코어(11)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선(10)을 하나로 묶어 바닥에 고정하도록 하는 몰드(Mold)(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몰드(20)는 상방에 복수개의 전선(10)이 위치되도록 하는 하부대(22)가 바닥에 부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부대(22)의 상부에는 하방에 복수개의 전선(10)이 놓여지는 상부대(2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대(22)의 저면은 바닥에 몰드(20)가 부착시키는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밋밋한 상태로 형성되어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에 몰드(20)를 접착할 수 있다.
이 때, 상부대(21)와 하부대(22)의 결합 및 분리 즉, 착탈시키는 구조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항이므로 굳이 설명하지 않겠다.
이러한 구조의 전선(10)은 전기를 공급하는 회사의 전기 공급장치로부터 시작하여 변전소와 변압기를 통해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으로 전기가 공급될 때 상기 전기는 전선(10)을 타고 흐르게 된다.
즉, 상기 전선(10)의 피복(12)이 외주면에 감싸져 있는 코어(11)따라 전기가 흐르고 상기 흐르는 전기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전원공급부인 콘센트에 접속된 전기, 전자기기인 가전제품 또는 컴퓨터 및 그의 주변기기로 전달되어 상기의 기기를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전선(10)이 각종 기기와 다 접속하기 위해서는 복수개가 필요하게 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선(10)은 바닥에 그대로 널려 있으면 상기 널려져 있는 전선(10)에 의해 바닥이 어지러우면서 지저분하고 또한, 사람이 지나다닐 때 걸리적거리게 되므로 상기 전선(10)을 정리정돈하여야 한다.
상기 전선(10)을 정리정돈함과 함께 바닥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는데, 즉 바닥에 전선(10)을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테이프를 이용하거나 못과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 및 도 2에서와 같은 몰드(Mold)(20)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복수개의 전선(10)을 정리정돈하기 위해 몰드(2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상기 몰드(20)의 하부대(22)를 바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대(22)의 저면에 형성된 접착부 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에 몰드(20)의 하부대(22)를 부착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하부대(22)의 상방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몰드(20)의 상부대(21) 하방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전선(10)을 놓은 다음 상기 상부대(21)를 하부대(22)에 결합시키므로 상기 상부대(21)와 하부대(22) 사이 즉, 몰드(20) 내에 복수개의 전선(10)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선 및 상기 전선을 바닥에 고정할 때에는 별도의 부재 즉, 테이프나 체결부재 및 몰드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선을 정리정돈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별도의 부재 사용으로 인한 설치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의 배선을 바꾸고자 할 때에는 테이프나 몰드를 바닥에서 제거하여야 하므로 인해 번거럽고, 바닥에 테이프나 몰드가 부착된 자국이 남게 되므로 더욱 더 지저분한 느낌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전선의 배선이 바뀌어진 자리에 테이프나 몰드를 다시 부착하여 전선을 고정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몰드에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보다 전선의 수가 많으면 상기 전선을 다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새로운 몰드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몰드로 인해 바닥이 울퉁불퉁한 상태가 되어 지나다니는 사람들에게 걸리적거리며, 또한 사람이 지나다니다가 몰드를 발로 건드리거나 차게 되면 상기 몰드의 상부대와 하부대가 분리되는 경우도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몰드가 바닥에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 몰드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인해 전체적인 전선을 다 커버할 수 없으므로 부분적으로는 전선이 외부로 드러나 사무실의 미관을 해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선의 외주면에 돌기부와 삽입부를 형성하도록 변경함과 함께 상기 전선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양측에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을 연이어서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므로 상기 전선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각 전선이 바닥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에 각 전선의 설치작업이 원활함에 따라 작업손실 및 시간 절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면을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인해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에 복수개의 전선이 결합된 전체적인 형상이 미려하면서도 지나다니는 사람의 발이 걸려서 전선이 바닥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선을 체결하는 몰드(Mold)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전선과 전선의 체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전선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전선이 체결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선 11: 코어
12: 피복 20: 몰드
21: 상부대 22: 하부대
30: 삽입홈 40: 삽입돌기
50: 제 1 지지부재 51: 결합홈
60: 제 2 지지부재 61: 결합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류가 흐르는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는 피복으로 이루어진 전선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양측에는 지지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이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전선과 전선의 체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전선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전선이 체결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전류가 흐르는 코어(core)(11)와, 상기 코어(11)의 외주면을 감싸는 피복(12)으로 이루어진 전선(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선(10)의 양측에는 전선(10)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재(50)(6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부재(50)(6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10)이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이란 어떠한 제품에 홈부와 상기 홈부에 삽입되도록 홈부와 동일한 형상의 돌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의 제품 중 어느 하나의 제품의 홈부에 제품 중 다른 하나의 제품의 돌부를 삽입한 다음 상기 제품 중 다른 하나의 제품의 홈부에 제품 중 또 다른 하나의 제품의 돌부를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개의 제품을 계속해서 연이어져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선(10)의 피복(12)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피복(12)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부로 파여지는 삽입홈(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30)과 대향되는 피복(12)의 외주면 타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삽입돌기(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부재(50)(6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 즉, 도면상 좌측에 위치되는 제 1 지지부재(50)에는 전선(10)의 삽입돌기(40)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부로 파여지는 결합홈(51)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 즉, 도면상 우측에 위치되는 제 2 지지부재(60)에는 전선(10)의 삽입홈(30) 내로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결합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삽입홈(30), 삽입돌기(40), 결합홈(51), 결합돌기(61)는 상술한 바와 같이만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구성들의 위치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위치를 잡을 수 있는데, 이는 전선(10) 및 각 지지부재(50)(60)를 제작할 때 상기 전선(10)의 사용목적이나 용도, 설치위치 및 상기 전선(10)의 제작 용이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각 지지부재(50)(60)의 상면은 도면에서와 같이, 외관의 형상이 미려함과 함께 사람의 발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지지부재(50)(6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라운드형상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코어(11)의 외주면에 감싸지는 피복(12)의 외주면 일측에 삽입홈(30)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삽입홈(30)가 대향되는 피복(12)의 타측에 삽입돌기(40)가 형성된 전선(10)을 제작하고, 상기 전선(10)의 양측에 전선(10)을 지지하면서 고정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 즉, 제 1 지지부재(50)와 제 2 지지부재(6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전선(10)과 각 지지부재(50)(60)를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돌기(40)를 제 1 지지부재(50)의 결합홈(51) 내로 삽입하여 결합함과 함께 상기 전선(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30) 내로 제 2 지지부재(60)의 결합돌기(61)를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상기 전선(10)은 각 지지부재(50)(60)에 의해 지지되면서 바닥에 고정된다.
이 때, 각 지지부재(50)(60)의 저면에는 상기 각 지지부재(50)(60)가 전선(10)을 고정할 수 있게 바닥에 부착되는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도록 밋밋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복(12) 외주면에는 삽입홈(30)과 삽입돌기(40)가 각각 형성된 전선(10)를 제작함에 따라 각 지지부재(50)(60) 사이에 복수개의 전선(10)를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 1 지지부재(50)의 결합홈(51)에 어느 하나의 전선(10)의 삽입돌기(40)를 삽입 결합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전선(10)의 삽입홈(30)에 다른 하나의 전선(10)의 삽입돌기(40)를 삽입 결합함과 함께 상기 다른 하나의 전선(10)의 삽입홈(30)에 또 다른 하나의 전선(10)의 삽입돌기(40)를 삽입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개의 전선(10)을 결합하고 나서 마지막 전선(10)의 삽입홈(30)에 제 2 지지부재(60)의 결합돌기(61)를 삽입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재(50)와 제 2 지지부재(60) 사이에 원하는 숫자의 전선(1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2 지지부재(50)(60) 사이에 복수개의 전선(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추가로 다른 전선(10)을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50) 및 제 2 지지부재(60)와 결합된 전선(10)을 탈거시키거나 상기 전선(10)과 전선(10)을 탈거시킨 후 그 사이에 추가하고자 하는 전선(10)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한다.
한편, 각 지지부재(50)(60)의 상면은 상기 전선(10)의 상면과 일치된 상태를 유지면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라운드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지지부재(50)(60) 사이에 복수개의 전선(10)이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형상 즉, 결합된 각 지지부재(50)(60)와 각 전선(10)의 단면 형상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각 지지부재(50)(60)와 각 전선(10)의 저면이 바닥에 밀착되고, 상면의 중앙부는 바닥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양 끝단부가 라운드 된 형상으로 걸어 다니는 사람의 발이 걸리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전선(10) 및 상기 전선(10)을 체결하는 것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선의 양측에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된 지지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전선의 외주면에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을 연이어서 데이지 체인(daisy chain)방식으로 결합함에 따라 별도의 부재없이 상기 전선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전선의 설치 작업 시 작업손실 및 시간 절감, 설치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에 전선이 깨끗한 상태로 정리정돈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각 지지부재와 전선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전선과 전선이 체결되므로 상기 전선이 체결된 상태에서 각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바닥에 전선이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라운드 형상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각 지지부재와 전선이 결합된 전체 형상이 심플하면서 바닥에서 전선의 높이가 전선의 두께 즉, 높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전선이 지나 다니는 사람의 발에 걸리적거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선을 사람들이 지나다니다가 발로 건드리거나 차게 되더라도 상기 전선이 바닥에서 쉽게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에 복수개의 전선이 결합된 전체적인 형상이 깔끔하면서 미려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전선이 결합된 상태에서 각 지지부재 사이에 새로운 전선을 계속해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선을 원하는 숫자만큼 손쉽고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상기 전선의 외주면에 삽입홈과 삽입돌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결합함에 따라 상기 바닥에 설치되는 전선 전체의 형상이 동일하면서 일정한 형상이 유지되므로 상기 전선이 설치된 가정이나 사무실의 환경 및 미관이 깨끗하면서 정리정돈된 느낌을 받게 되므로 인해 본 제품에 대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킴과 함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전류가 흐르는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는 피복으로 이루어진 전선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양측에는 지지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이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복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부로 파여지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피복의 외주면 타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체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는 삽입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내부로 파여지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에는 삽입홈 내로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체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재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라운드형상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체결장치.
KR2020000036780U 2000-12-28 2000-12-28 전선의 체결장치 KR200225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80U KR200225130Y1 (ko) 2000-12-28 2000-12-28 전선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80U KR200225130Y1 (ko) 2000-12-28 2000-12-28 전선의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130Y1 true KR200225130Y1 (ko) 2001-05-15

Family

ID=7309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780U KR200225130Y1 (ko) 2000-12-28 2000-12-28 전선의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1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456A (ko) 2013-10-28 2015-05-07 구성모 정돈용 전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456A (ko) 2013-10-28 2015-05-07 구성모 정돈용 전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5255B2 (en) Customizable bus system
US20120293921A1 (en) Customizable bus systems
US20150170798A1 (en) Transmission cable having magnetic attraction capabilities
KR200225130Y1 (ko) 전선의 체결장치
KR100432000B1 (ko) 배선 정리기
KR200258405Y1 (ko) 케이블 고정용 수납구
KR200258703Y1 (ko) 멀티탭
JPS5848837Y2 (ja) 接続装置
KR200171332Y1 (ko) 배선덕트
KR200236626Y1 (ko) 다목적배선덕트
US20010035295A1 (en) Device for spacing multiple wires and/or cables
KR200285097Y1 (ko) 배선 덕트용 커버
CN216214619U (zh) 电动办公桌电路管理系统
CN212114662U (zh) 一种点对点布线式集成弱电箱
KR200330986Y1 (ko) 어댑터가 구비된 멀티탭
KR200400489Y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KR200161378Y1 (ko) 착탈형 콘센트의 취부구조
US20230187916A1 (en) System for Childproofing a Wall Outlet, While Functionally Moving and Aesthetically Hiding It and Securing an Electrical Cord or Data Cable to the Wall
JPH0511658Y2 (ko)
KR20080096070A (ko) 멀티탭
CN2503634Y (zh) 电磁波接地电线
KR20040003180A (ko) 매직테이프를 부착한 전선
KR200171330Y1 (ko) 배선덕트용 커버
CN206850663U (zh) 一种防电源线转动的适配器
KR19990010460U (ko) 전기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