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836B1 -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836B1
KR100430836B1 KR10-2001-0076344A KR20010076344A KR100430836B1 KR 100430836 B1 KR100430836 B1 KR 100430836B1 KR 20010076344 A KR20010076344 A KR 20010076344A KR 100430836 B1 KR100430836 B1 KR 10043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llar
inner flow
bolt holes
gap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233A (ko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한국스틸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스틸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스틸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8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건설에 사용되는 강재(steel)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PSC거더(Pre-Stressed Concrete girder)공법 또는 스틸박스 공법 등에 적용 가능한, 교량의 슬라브(slab)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은 빔결합체와, 상기 빔결합체의 양단에 고정되어 다수의 수평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 걸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간극조절판과, 상기 다수의 빔 결합체를 하나로 연결하는 제 1, 제 2 및 보조 필러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빔 결합체 상에 장착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있어서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닥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여 보다 개선된 교량의 상부 콘크리트 슬라브의 타설 및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Steel form for slab concrete applicable to PSC beam or steel box method}
본 발명은 교량의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PSC거더(Pre-Stressed Concrete girder)공법 또는 스틸 박스(steel box)공법 등을 사용하여 건설되는 교량의 슬라브(slab)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강재(steel)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란 하천, 호소(湖沼), 해협, 만(灣),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構築物)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건설되는 고가구조물이다. 이러한 교량은 재질이나 구조 또는 제조공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는데, 특히 근래에 들어 교량을 통한 소통량이 많아지고,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그 시공 및 보수 유지에 유리한 장점과 함께 강도 등의 여러 가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공법이 개발되었는데, 이중 하나의 방법으로 거더(girder)교가 있다.
통상 빔(beam)이라 불리기도 하는 거더(Girder)는,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교각과 교각사이에 걸쳐 놓여져, 교량 상판 슬라브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일컫는 말로써, 통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 이하 PSC 라 한다.) 재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PSC 거더를 사용하여 교량을 축조하는 PSC 거더 공법은 먼저 교각의 상단에 다수의 PSC 거더를 설치한 후, 각 PSC 거더를 연결하는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을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되는데, 이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목재 거푸집이다. 이러한 목재 거푸집은 슬라브 콘크리트의 양생 후 해체하여 철거하므로 슬라브 콘크리트의 균열 등의 추적 조사와, 보수에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시공성 및 안전관리에 불리하고, 현장에서 직접 목재를 사용하여 짜 맞추어야 함에 따라 시공기간 및 제작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영구적인 사용이 불리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강재 거푸집의 한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180256 호에 소개된 교량형 강재 슬라브 거푸집구조가 소개된 바 있는데, 도 1 및 도 2 는 각각이러한 강재 슬라브 거푸집이 PSC 거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강재 슬라브 거푸집은, 거더(1) 상부에 위치하는 철근(16)을 사용하므로 이의 간격 및 규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작업성이 불리하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더불어 PSC 거더(1)에 설치되는 강재 빔(20)이 긴밀히 고정되지 않아 작업에 위험 가능성이 있으며, 합판(14)과 거더(1)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때로는 현장에서 합판을 커팅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전술한 일반적인 강재 슬라브 거푸집은, 한쌍의 대향하는 PSC 거더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이와 다른 공법의 교량, 즉, 스틸박스 공법 등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행 출원된, 출원번호 2000-36692 호의 '피씨 빔 공법 또는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 도 4a 및 4b에 도시한 구성을 가지는 거푸집을 소개한 바 있다.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행 출원된 강재 슬라브 거푸집의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는 이러한 강재 슬라브 거푸집이 PSC 거더상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b는 이 강재 슬라브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선행 출원된 슬라브 강재 거푸집은, 상부면이 실질적으로 수평한 한 쌍의 PSC거더(1) 사이에 설치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한 쌍의서로 대응하는 PSC거더(1) 중 하나의 PSC 거더쪽에 위치하며, 그 일 끝단의 상측에 볼트공이 형성된 제 1 수평부(33)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내측 유동빔(30)과; 실질적으로 상기 내측 유동빔(30)의 볼트공이 형성된 제 1 수평부(3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대향적인 제 2 수평부(23)를 타단에 각각 가지고, 상기 각 내측 유동빔(30)의 타 끝단의 소정길이를 그 일단의 내부에 각각 수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외곽고정빔(20)과; 상기 외곽고정빔(20) 상부에, 각각이 외곽고정빔과(20)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서로 수평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세로 지지대(90)와; 각 PSC거더(1)의 상면 가장자리에 일단이 걸쳐지고, 타단에 상기 내측 유동빔(30) 및 외곽고정빔(20)의 제 1 및 제 2 수평부(33, 23)의 볼트공과 각각 대응하는 볼트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간극조절판(41, 42)과; 상기 간극 조절판(41, 42)과, 상기 내측 유동빔(30) 및 외곽고정빔(20)의 제 1 및 제 2 수평부(33, 23) 사이에, 상기 내측 유동빔(30)의 및 외곽고정빔(20)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일방향으로 오픈된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필러 플레이트(71, 72)와; 상기 내측 유동빔(30) 및 외곽고정빔(20) 각각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상기 내측 유동빔(30) 및 외곽고정빔(20)과,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71, 72)와, 복수개의 간극조절판(41, 42)의 각 볼트공을 관통하는 각각의 다수의 볼트(61)와; 상기 각 간극 조절판(41, 42)의 상부에서 상기 다수의 볼트(61)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62)와; 상기 다수개의 세로 지지대(90) 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강재 슬라브 거푸집은 PSC거더상의 철근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서로 대향하는 두 수평면, 즉 PSC 거더의 상부면을 사용하여 장착되므로 이러한 PSC 공법 이외의 다른 공법, 특히 스틸박스 공법에도 적용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출원인에 의해 선행 출원된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 거푸집은, 사용상에 있어서 몇 가지 단점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강재 거푸집 내에 다수의 세로 지지대(90)를 포함하므로, 거푸집 자체의 하중이 커짐과 동시에 내측 유동빔(30)의 일 끝단 및 외곽유동빔(20)의 타 끝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수평부(33, 23)와, 여기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71, 72) 등이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술한 강재 슬라브 거푸집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요소,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수평부(33, 32)나,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71, 72) 등을 포함하므로 그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거푸집의 제작비용 및 중량을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보다 단순한 조립방법을 통하여 안정적인 장착 및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을 가능하게 하는 보다 개선된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PSC거더에 장착된 일반적인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 거푸집의 단면도와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행 출원된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
도 4a, 도 4b는 각각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행 출원된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 거푸집이 PSC거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와 평면도
도 5는 PSC거더 공법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SC거더 공법에 적용 가능한 강재 거푸집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이 PSC거더 상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스틸박스공법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푸집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이 스틸박스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a는 도 9의 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b는 도 9의 III-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강재 슬라브 거푸집 102 : 외곽고정빔
104 : 내측유동빔 123 : 빔 결합체
125 : 빔 구조물
106a, 106b :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
108 : 보조필러플레이트 110a, 110b :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
140 : 바닥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수평한 제 1 상부면과 제 2 상부면을 각각 가지는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으로서, 상기 제 1 상부면을 향한 일단에 각각 볼트공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동일높이에 일정 간격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내측유동빔과; 상기 다수의 내측유동빔의 각 타단 소정길이를 그 내부에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각각 수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높이에 일정 간격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2 상부면을 향한 타단에 각각 볼트공이 형성된 다수의 외곽고정빔과; 상기 다수의 내측유동빔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과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볼트공을 가지고, 상기 각 내측유동빔의 일단 상부에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 1 필러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외곽고정빔의 타단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과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볼트공을 가지고, 상기 각 외곽고정빔의 타단 상부에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 2 필러플레이트와; 상기 외곽고정빔 및 내측유동빔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는 바닥재와; 각 일단이 상기 제 1 상부면 또는 제 2 상부면에 각각 걸쳐지고, 각 타단에는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다수의 볼트공 또는 제 2 필러플레이트의 다수의 볼트공과 각각 일대일 대응하는, 치우친 장공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 1 간극조절판 또는 제 2 간극조절판과; 상기 각 외곽고정빔의 타단 또는 내측유동빔의 일단 하부에서 상방으로 차례로 각각 상기 다수의 외곽고정빔의 볼트공과,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볼트공과, 상기 다수의 제 1 간극조절판에 형성된 장공 또는 상기 다수의 내측유동빔의 볼트공과, 상기 제 2 필러플레이트의 볼트공과, 상기 다수의 제 2 간극조절판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와; 상기 제 1 간극조절판 또는 제 2 간극조절판의 상부에서 상기 다수의 볼트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너트를 포함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와 실질적으로 동일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다수의 볼트공과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일방향으로 오픈된 볼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와 제 1 간극조절판의 사이에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와 동일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바닥재와,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이음새 부분을 오버랩하는 보조 필러플레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다수의 외곽고정빔 및 내측유동빔의 이격거리는 350mm 내지 450mm이고, 상기 바닥재는 섬유 강화 플래스틱 이나 합판 또는 코팅된 합판 중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 및 제 1 및 제 2 너트는 아연 도금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로 대향하는 제 1 상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분기하여 제 2 수직면에 각각 연결되는, 서로 이격된 제 3 상부면과, 제 4 상부면을 더욱 포함하는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으로서, 상기 외곽 고정빔의 타 끝단과, 상기 내측유동빔의 일 끝단에 각각 저면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다수의연결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연결플레이트와 각각 결합되고, 상부 수평면에 볼트공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브라켓과; 상기 외측고정빔 또는 상기 내측유동빔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고, 상기 외측고정빔 및 내측유동빔과, 상기 바닥재의 사이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설되는 다수의 세로지지바와;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말단에서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기하여 제 2 필러플레이트의 말단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볼트공을 가지는 제 3 필러플레이트와, 제 4 필러플레이트와; 상기 제 3 및 제 4 필러플레이트 상에 하부에서 삽입되는 볼트와 너트에 일단에 치우진 장공이 관통되어 각각 고정되고, 각 타단은 제 3 및 제 4 수평면에 걸쳐지는 다수의 제 3 및 제 4 간극조절판을 더욱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의 4개의 상부면에 각각 제 1 내지 제 4 간극조절판이 걸쳐 지지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 1 내지 제 4 간극조절판은 그 일단에 절곡된 수직벽을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수평면을 그 내부에 소정길이 인입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은 서로 대향하는 다수의 수평면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따라 PSC 거더 공법 또는 스틸박스 공법 등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빔 구조물과, 이러한 다수의 빔 구조물을 하나로 연결하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필러플레이트와, 이러한 다수의 빔 구조물 상에 장착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있어서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닥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빔 구조물이라 함은 다음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각기 다른 형태를 가지는 빔, 즉 내측 유동빔과 외곽 고정빔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연장 축소가 가능한 하나의 빔의 역할을 하는 빔 결합체와, 이러한 빔 결합체의 양 말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대응하는 두 수평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요소를 통틀어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이하 설명에서 일관되게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100), 특히 PSC거더공법에 적용가능한 슬라브 거푸집의 개략 분해 사시도로서,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빔 구조물 중 하나의 빔 구조물(125)에 한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100)은 교각 상에 기 설치된 다수의 PSC거더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PSC거더의 상부 수평면에 양 말단이 걸쳐짐으로써 지지되는데 즉, 서로 대향하는 PSC 거더사이에, 각 PSC 거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빔 결합체(123)와, 이러한 다수의 빔 결합체(123)을 하나로 연결하는 제 1,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 및 보조필러플레이트(108)와, 이러한 제 1, 제 2 및 보조필러플레이트(106a, 106b, 108)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과; 전술한 다수의 빔 결합체(123) 상에 장착되는 바닥재(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빔 결합체(123)는, 바람직하게는 그 단면이 ㅁ형상의 박스형이나 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의 일부분이 오픈된 형상을 가지는 외곽 고정빔(102)과, 바람직하게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내측유동빔(104)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외곽고정빔(102)과 내측 유동빔(104) 각각의 결합방법은, 각 외곽 고정빔(102)의 일 끝단을 통하여 대응되는 내측유동빔(104)의 타단의 소정길이가 그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인입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수축 또는 연장이 가능한 하나의 빔 결합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빔 결합체(123)의 양 말단, 즉 외곽유동빔(102)의 타단과, 내측유동빔(104)의 일단에는 관통된 볼트공(105a, 105b)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전술한 외곽 고정빔(102)의 측방에 스크류 등을 삽입하여, 내측 고정빔(104)의 길이를 고정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나 이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외곽고정빔(102)과, 내측유동빔(104)이 각각 결합된 빔 결합체(123)의 양 말단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또는 보조플레이트(106a, 106b, 108)를 매개로 하여 다수의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이 각각 결합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은 각각 일측에 치우친 장공(111a, 111b)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수의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의 장공(111a, 111b)은, 각각 전술한 빔 결합체(123)의 양 말단에 형성된 볼트공(105a, 105b)과 대응되도록 빔 결합체(123)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빔 결합체(123)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빔 결합체(123)의 볼트공(105a, 105b)과 간극 조절판(110a, 110b)의 장공(111a, 111b)을 차례로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112a, 112b)와,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의 상부에서 체결되는 다수의 너트(113a, 113b)에 의하여 빔 결합체(123)의 양 말단에 긴밀하게 고정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의 각 장공(111a, 111b)은 일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은 빔 결합체(123)의 양 말단에 길이방향으로 소정부분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이러한 돌출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PSC거더의 상부면에 걸쳐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특히 전술한 각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의 중심부를 위로 솟아오른 형상으로 하여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일반적인 평면 직사각형을 가지는 간극조절판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결합수단으로 사용되는 볼트(112a, 112b)와 너트(113a, 113b)는 각각 나사산이 사각형상인 것이 하중을 이기기에 유리하고, 특히 각 볼트(112a, 112b)의 헤드는 각진 형상으로, 약 27m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곽고정빔(102)과, 내측 유동빔(104)으로 이루어지는 빔 결합체(123)와, 상기 빔 결합체(123)의 양 말단에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빔 구조물(125)은 서로 동일한 간격,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 mm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빔 구조물(125)을 하나로 연결하기 위하여, 빔 결합체(123)의 상부와,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 사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가 개재된다.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빔 결합체(123)양 말단의 상부면과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의 사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가 전술한 다수의 빔 결합체(123)의 길이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체결됨으로써 다수의 빔 결합체(123)를 하나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에는 각각 전술한 볼트(112a, 112b) 및 너트(113a, 113b)를 공유할 수 있는, 동일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공(107a, 107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107a, 107b)은 전술한 빔 구조물(125)간의 이격거리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350mm에서 450mm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빔 구조물(125)의 간격을 고정하는 역할도 하게 되며, 이러한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는 각각 다수의 빔 결합체(123)를 하나로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나무 등의 싼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100)에는 내측 유동빔(104)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 1 필러플레이트(106a)와, 제 1 간극조절판(110a)사이에 보조필러플레이트(108)가 더욱 개재되는데, 이 보조필러플레이트(108)는 제 1 필러플레이트(106a) 보다 큰 폭을 가지고, 이와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빔 구조물(125)을 하나로 연결하도록 체결된다.
이러한 보조필러플레이트(108)에는 전술한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와 동일하게, 350 내지 450mm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공(109a)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볼트공은 일방향으로 오픈되어 있는 것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플레이트(108)는 전술한 내측 유동빔(104)과, 제 1 필러플레이트(106a) 및 제 1 간극조절판(110a)을 고정하는 볼트(112a) 및 너트(113a)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필러플레이트(108)는 후술하는 바닥판(140)의 고정과 더불어 빔 구조물(125)의 길이조정을 보조하게 되는데, 즉 보조필러플레이트(108)에 형성된 다수의 일 방향으로 오픈 된 볼트공(109a)에 의하여, 보조필러플레이트(108)는 그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그 폭 또한 제 1 필러플레이트(106a) 보다 큰 폭을 가지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닥재(140)가, 다수의 빔 구조물(125) 상에 장착될 경우에 제 1 필러플레이트(106a)와 바닥재(140)의 연결부분을 오버랩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보조필러플레이트(108)의 역할은 다음에 도시된 도면 및 이의 설명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다수의 빔 구조물(125)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의 받침 역할을 하는 바닥재(140)가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바닥재는 하나 이상의 작은 면적을 가지는 바닥재를 각각 이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재질에 있어서도 섬유강화플래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 FRP) 또는 합판이나 코팅된 합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100)의 평면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내측유동빔(104)의 일단을 각각 그 타단 내부에 수용하여, 수축 또는 연장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외곽고정빔(102)과, 이러한 내측유동빔(104)의 타단 및 외곽고정빔(102)의 일단 상부에서, 이들 각 다수의 빔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도 5의 106a, 106b)와, 이러한 제 1 필러플레이트(도 5의 106a)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필러플레이트(108)와, 전술한 제 2 필러플레이트(106b) 및 보조 플레이트 상(108)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a, 110b)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외곽고정빔(102) 및 내측유동빔(104)과,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도 5의 106a, 106b)와, 보조플레이트(108)와,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은 각각 빔 결합체의 저면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각각 차례로 내측유동빔(104), 제 1 필러플레이트(도 5의 106a), 보조 플레이트(108) 및 제 1 간극조절판(110a)를 관통하거나 또는 외곽고정빔(102), 제 2 필러플레이트(106b) 및 제 2 간극조절판(110b)을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 및 너트(도 5의 112a, 112b와 113a, 113b)에 이하여 긴밀하게 고정 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외곽고정빔(102) 및 내측유동빔(104)의 상부에는 제 1 필러플레이트(도 5의 106a)와 제 2 필러플레이트(106b)의 측면과 각각 연접하고, 특히 제 1 필러플레이트(도 5의 106a)와의 연접부위를 보조 플레이트(108)가 오버랩하는 바닥재(도 5의 140)가 장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완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도면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이 서로 대응하는 두 수평면, 일례로 한 쌍의 PSC거더(1) 사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러한 도 7과, 전술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장착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100)은, 먼저 서로 결합된 다수의 외곽고정빔(104) 및 내측유동빔(102)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축 또는 연장하여,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PSC거더(1)의 상단 측면부에 위치하게 한 후, 이러한 각 빔의 말단에 형성된 볼트공(105a, 105b)을 통하여 하방에서 상부로 다수의 볼트(112a, 112b)를 각각 삽입한다. 이와 같이 삽입된 각 볼트(112a, 112b)는 각 빔의 상부로 돌출되는데, 이러한 돌출된 다수의 볼트(112a, 112b)에 차례로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와, 다수의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을 끼워 넣는다.
이후 제 1 및 제 2 간극 조절판(110a, 110b)의 일단에 치우치도록 형성된 장공(111a, 111b)을 통하여 미세 길이를 조정하여,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의 타단이, 각 PSC거더(1)의 상부면에 걸쳐지도록 한 후 너트(113a, 113b)를 긴밀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바닥재가 장착되기 전 상태의 강재 거푸집은 도 7의 원내의 도면처럼 한쌍의 PSC 거더 사이에 걸쳐 지지된다.
이때 다수의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은 각각, 그 하부에 개재되는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에 의하여 일단이 각 빔의 상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의 일단의 하부면과,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의 일 측면과, 외곽고정빔(102) 및내부유동빔(104)의 상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제 1 필러플레이트(106a)와 제 2 필러플레이트(106b)의 측면과 각각 연접하도록 장착되는 바닥재(140)의 말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 오른쪽 원내도면과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의 측면과, 바닥재(140)의 양 측면이 정확히 밀착되지 않아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향하는 두 수평면 즉, PSC거더(1)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거나, 빔 구조물(125)의 미세 길이조정이 되지 않을 경우, 또는 바닥재(140)의 길이가 정확하지 못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바닥재(14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전술한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106a, 106b)의 측면과, 바닥재(140)의 측면이 밀착되지 못한 소정의 공간(150)을 통해서 통해 콘크리트 등이 누설되어 작업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에 포함되는 보조플레이트(108)를 통하여 해결 가능한데, 즉 전술한 바닥재(14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바닥재(140)를 제 2 필러플레이트(106b) 쪽으로 최대한 밀착한 후, 제 1 필러플레이트(106a)의 상부에 보조필러플레이트(108)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보조필러플레이트(108)는 일방향으로 오픈된 볼트공(109a)을 가지고 있어 소정의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제 1 필러플레이트(106a)보다 큰 폭을 가지므로 바닥재(140)를 제 2 필러플레이트(106b)에 밀착시킬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제 1 필러플레이트(106a)와 바닥재(140)와의 공간(150)을 오버랩하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의 길이조정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거푸집의 바닥재(14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여 교각의 상부 슬라브가 구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해체되는데, 이는 빔 구조물(125)의 양 말단 하부에 위치하는 볼트(112a, 112b)의 헤드를 풀어 콘크리트와 거푸집을 쉽게 분리하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110a, 110b)과 너트(113a, 113b)는 각각 콘크리트 내에 잔류하므로, 이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간극 조절판(110a, 110b)과, 너트(113a, 113b)는 그 표면에 아연이 도금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행 출원된, 출원번호 2000-36692 호의 '피씨 빔 공법 또는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와 비교할 경우에, 빔 구조물의 간격을 350mm 내지 450mm 정도로 조절하여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세로 지지바를 생략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자체의 중량 및 제조비용을 큰 폭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곽고정빔 및 내부유동빔의 말단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하여 다수의 요소를 직접 결합하므로 수평부가 필요없게 되어 제작비용을 더욱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거푸집이 장착될 수 있게 한다. 특히 값싼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와, 일측에만 개재되는 제 3 필러플레이트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공정의 진행과 더불어 신뢰성 있는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내용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스틸 박스(steel box)공법에도 적용이 가능한데, 스틸박스 공법이란 다수의 교각 상에 일정한 규격의 스틸박스를 서로 연결시켜 정렬하고,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된 스틸박스의 상부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슬라브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스틸박스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수평면(192) 상에 사각 형상으로 규칙성을 가지고 배열된 다수개의 홀(19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틸박스의 상부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홀(190)에 대응되는 다수의 거푸집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스틸박스 공법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PSC공법에 적용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에 다소의 변형을 통해 구현 가능한데, 이러한 두 공법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수평면인 제 1 PSC 거더 및 제 2 PSC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것과 비교하여, 스틸박스 공법은 이러한 서로 이격된 제 1 수평면의 양 말단에서 분기하여 제 2 수평면의 말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 3 및 제 4 수평면을 더 포함하는 환경, 즉, 가운데 사각형상의 홀이 형성된 스틸박스의 상부에, 각각의 홀에 대응되며 인접하는 네 수평면에 사이에 설치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PSC 공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과 비교하여 기술적으로 큰 차이는 없으나, 거푸집이 장착되는 환경의 차이, 즉 네 개의 수평면에 의하여 다소의 변형이 불가피하다. 이하 이러한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빔 결합체는, 각각 하나의 외곽고정빔과 내부유동빔의 결합을 의미하며, 이러한 빔 결합체의 양 말단에 거푸집의 지지를 위하여 다수의 요소가 결합된 것을 의미함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200)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는 각각 외곽고정빔(202)과 내부유동빔(20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빔 결합체(205)와, 이러한 다수의 빔 결합체(205)를 하나로 연결하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필러 플레이트(230)와, 전술한 빔 결합체(205)의 양 말단 및 필러플레이트와(230)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200)이 스틸박스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간극조절판(218)과, 이러한 빔 결합체의(205)의 상부에,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세로 지지바(220)와, 이러한 다수의 세로지지바(220) 상에 장착되는 바닥재(240)와, 상기 바닥재(240)의 상부에 덧씌워지는 상부프레임(2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빔 결합체(205)는, 각각 다수의 외곽 고정빔(202)과, 이러한 다수의 외곽 고정빔(202) 각 일 끝단 내부로, 서로 대응하는 각 타단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수축 또는 연장이 가능한 내측유동빔(204)으로 각각 구성된다.
이러한 다수의 빔 결합체(205)는 서로 평행하게 동일간격 이격하여 배열되는데, 이들 다수의 외각 고정빔(202)과 내측 유동빔(204)은 각각,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그 단면의 형상이 ㅁ자 형상의 박스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각 외곽고정빔(202)의 소정 위치에 측방에서 삽입되는 스크류(205) 등을 통하여, 그 내부의 슬라이딩되는 내측 유동빔(204)을 고정하여 빔 결합체(205)의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빔 결합체(205)의 양 말단, 즉 외곽고정빔(202)의 타단 및 내부 유동빔(204)의 일단에는 각각 연결플레이트(206)를 매개로 고정되는 브라켓(208)이 위치하는데, 이를 도 9의 III-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인 도 10b의 원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각 빔 결합체(205)의 양 말단에 부착되는 연결플레이트(206)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빔 결합체(205)의 양 말단 측벽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특히 각 연결플레이트(206)는 저면에서 상방으로 상승된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여 부착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닥재(240) 및 상부프레임(250)이 장착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 될 경우에, 양생된 콘크리트의 아랫부분에 우묵부를 형성하기 위함이고, 이는 스틸박스 공법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각각의 연결플레이트(206)의 끝단에는 다수의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브라켓(208)이 장착되는데, 이 각각의 브라켓(208 : 도 8 참조)은 일례로,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수직벽과, 이를 일 측면에서 서로 연결하는 하나의 측벽과, 상부에 ㅁ자 형상을 가지는 수평면(208a)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브라켓(208)의 상부 단면은 ㅁ자 형상을 가지며, 하부 단면은 ㄷ자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의 일측벽에는 각각 연결플레이트(206)의 끝단(206)과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볼트공(208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브라켓(208)의 측벽에 형성된 볼트공(208b) 및 연결플레이트(206)의 타단의 볼트공(206a)은 각각 다수개가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206)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각 연결플레이트(206)와 브라켓(208)은 두 개 이상의 볼트 및 너트(210b)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긴밀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브라켓(208)의 상부 수평면(208a)에는 볼트공(20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브라켓(208)은 하나의 사각 프레임형상의 필러플레이트(230)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전술한 다수의 빔 결합체(250)를 하나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러한 필러플레이트(230)는 중앙에 사각의 홀을 가지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때 전술한 필러플레이트(230)의 내부 홀은 스틸박스의 사각 홀(도 9의 190)보다 일정정도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고, 프레임 형상의 사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공(231)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 필러플레이트(230) 상의 다수의 볼트공(231)은, 그 하부의 브라켓(208)의 상부 수평면에 형성된 볼트공(209)과 각각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필러 플레이트(23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빔 구조물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일례로 목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러플레이트(230)는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와는 달리,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필러플레이트(230)의 사각 프레임형상의 네 개의 면 중 빔 구조물(205)이 결합되지 않는 면, 즉 도 8의 단축방향의 필러플레이트 면에는, 도 10a의 원내도면과 같이 그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는 볼트(210a)와, 여기에 체결되는 너트(211b)를 통하여 간극조절판(218)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러플레이트(230)의 단축 방향의 면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아니므로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보다 견고한 거푸집을 위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필러플레이트(230) 상에는, 상기 필러플레이트(230)의 다수의 볼트공(231)과 각각 대응하는, 일방향으로 치우친 장공(219)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간극조절판(218)이 위치하는데, 전술한 다수의 브라켓(208)과, 그 상부의 필레이트(230) 및 다수의 간극조절판(218)은 각각 상기 브라켓(208)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삽입되는 볼트(210a) 및 너트(211a)를 통하여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때 특히 각각의 간극 조절판(218)은, 그 일단이 절곡된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어, 장공(219)을 가지는 수평부(218a)와 수직부(218b)로 구분이 가능한데,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슬라브 거푸집이, 스틸박스의 홀(도 9의 190)에 대응된 상태에서, 스틸박스의 상부 면(192)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필러플레이트(230)와 간극조절판(218)의 사이에, 스틸박스의 홀의 입구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수평면의 일부를 소정길이 인입한 상태에서 이를 고정하기 위해서이다.
즉, 도 9의 III-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 10b의 원내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강재 거푸집이스틸박스에 고정될 경우에, 절곡된 다수의 간극조절판(218)의 수직부(218b)의 저면이, 필러플레이트(230)과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그 하부 저면에서 삽입되어 필러플레이트(230)의 볼트공과, 각 간극조절판(218)의 볼트공을 관통하는 볼트(210a)가 삽입되는데, 이때 스틸박스 상면의 홀 가장자리 부분(193)은 필러플레이트(230)와, 볼트(210a)와, 간극조절판(218)의 상부 수평면(218a)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내에, 소정길이 인입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각 간극조절판(218)의 상부에 너트(211a)가 고정되어 이들은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는 도 9의 I-II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인 10a의 원내 도면과 같이, 그 하부에 브라켓 등이 개재되지 않고, 필러플레이트(230)와, 그 상부의 간극조절판(218)이 직접 결합되는 부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때 상기 간극조절판(218)의 수평면(218a)은 전술한 PSC거더 공법에 사용된 간극조절판의 예시와 같이 그 중앙부분이 위로 불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빔 결합체(205)를 하나로 고정하는 필러플레이트(230)와, 상기 필러플레이트(230)의 상부에, 스틸박스 상면 홀(193)의 가장자리부분을 사이에 두고 긴밀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간극조절판(218)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거푸집이 스틸박스의 각 홀(192)에 대응된 상태로 걸쳐져 고정되면, 이러한 빔 결합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 상부에 다수의 세로 지지바(220) 및 바닥재(240)와, 상부 플레이트(250)가 덧씌어져 도 9와 같이 이루어진다.
이때 다수의 세로 지지바(220)는 도 8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그 단면이 ㅁ자 형상을 가지는 C-형강이 사용되는 것이 하중을 견디기에 유리하고, 이는 각 빔 구조물(290)상에 별다른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놓여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세로지지바(220)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목재 판재 등을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후술하는 바닥재(240)와 상기 세로지지바(220)와의 들뜸을 방지하고, 차후에 상기 바닥재(240)가 상기 세로 지지바(220) 위에 고정될 필요성이 생겼을 때 못, 볼트 등의 결합수단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세로지지바(220)의 상부에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필러플레이트(230)의 안쪽으로 바닥재(240)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바닥재(240)는 바람직하게는 목적에 따라 섬유강화플래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 FRP) 또는 합판이나, 코팅된 합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바닥재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200)에는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바닥재와, 필러플레이트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공간을 오버랩하는 보조필러플레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닥재(240)의 상부로 덧씌워지는 철제 프레임(250)에 의하여 이 부분이 오버램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바닥재(240)의 상부에 덧 씌워지는 철제 사각 프레임(250)은 그 측벽이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스틸 박스 공법의 교량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형상에 있어서, 그 하부면에 일정정도의 우묵부를 갖는 특성 때문이다.
즉, 전술한 빔 구조물(205)의 양 말단에 각각 서로 대응하는 사선방향으로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206) 및 브라켓(208)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거푸집(200)의 바닥재(240)는, 스틸박스의 상면위로 일정정도 상승하여 위치하는데, 이러한 바닥재(240)의 가장자리 일부분과, 필러플레이트(230)의 사이공간을 오버랩하면서, 그 저면이 상기 필러플레이트(2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측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경사를 가지는 상부프레임(250)이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거푸집(200)이 스틸박스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8와 같이 양 말단에 연결플레이트(206)를 가지는 빔 결합체(205)를 대강의 길이로 조정하여 각각의 연결플레이트(206)에 브라켓(208)을 결합한다. 이러한 브라켓(208)의 상부 수평면(208a)에 형성된 볼트공(209)으로, 각각 하방에서 상부 방향으로 볼트(210a)를 삽입하고, 이러한 각각의 볼트(210a)를 공유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231)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필러플레이트(230)를 장착한 후, 이를 스틸박스의 상부 하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각각의 볼트(210a)를 통하여, 다수의 간극조절판(218)을 각각 결합하고 그 상부에 너트를 긴밀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간극조절판(218)은 수직부(218b)와 수평부(218a)로 이루진,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수평부(218a)에 형성된 장공(219)에 볼트(210a)를 관통 삽입한 상태에서, 그 위치를 조정하여 볼트의 측면이 스틸박스의 홀 가장자리 부분(193)의 측면에 접촉되고, 수평부(218a)가 스틸박스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볼트(210a)에 결합되는 너트(211b)를 사용하여 긴밀하게 조이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200)은 스틸박스에 지지된다.
이후 상기 다수의 빔 구조물(205)상에, 이와 직교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지지바(220)를 올려놓은 후, 그 상부에 바닥재(240)를 장착하게 된다. 이후 이러한 바닥재(240)의 상부에, 저면이 상기 브라켓(208)의 상부면(208a)에 의하여 지지되고, 바닥재(240)의 가장자리 일부와 오버랩되는 철제프레임(250)을 덧씌움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 공법에 사용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200)이 완성된다. 이때 특히 결합수단으로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는, 나사산이 사각형상인 것이 하중을 이기기에 유리하고, 상기 볼트와 너트의 헤드는 각진 형상으로, 약 27m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도 9와 같이 장착된 스틸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게 되는데, 이후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상기 브라켓(208)의 상부 수평면(208a)에 결합된 볼트(210a)를 풀어 해체 되게 된다. 이때 간극 조절판(218) 및 너트(211a)는 콘크리트내에 매입되므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간극 조절판(218) 및 너트(211a)의 재질은 그 표면에 아연등의 도금층이 형성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다수의 수평면 사이에 장착되는 모든 거푸집에 응용이 가능하도록, 연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빔 결합체에 의하여 손쉽게 그 길이를 조절가능하므로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음과 동시에, 분해에 있어서 그 하부의 볼트를 풀거나 또는 조이는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닥재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부분, 즉 보조필러플레이트 또는 철제 프레임등에 의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수의 간극조절판을 통하여 별다른 주변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여 보다 개선된 교량의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 및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5)

  1. 서로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수평한 제 1 상부면과 제 2 상부면을 각각 가지는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으로서,
    상기 제 1 상부면을 향한 일단에 각각 볼트공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동일높이에 일정 간격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내측유동빔과;
    상기 다수의 내측유동빔의 각 타단 소정길이를 그 내부에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각각 수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높이에 일정 간격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2 상부면을 향한 타단에 각각 볼트공이 형성된 다수의 외곽고정빔과;
    상기 다수의 내측유동빔의 일단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과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볼트공을 가지고, 상기 각 내측유동빔의 일단 상부에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 1 필러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외곽고정빔의 타단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과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볼트공을 가지고, 상기 각 외곽고정빔의 타단 상부에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 2 필러플레이트와;
    상기 외곽고정빔 및 내측유동빔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필러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는 바닥재와;
    각 일단이 상기 제 1 상부면 또는 제 2 상부면에 각각 걸쳐지고, 각 타단에는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다수의 볼트공 또는 제 2 필러플레이트의 다수의 볼트공과 각각 일대일 대응하는, 치우친 장공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제 1 간극조절판 또는 제 2 간극조절판과;
    상기 각 외곽고정빔의 타단 또는 내측유동빔의 일단 하부에서 상방으로 차례로 각각 상기 다수의 외곽고정빔의 볼트공과,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볼트공과, 상기 다수의 제 1 간극조절판에 형성된 장공 또는 상기 다수의 내측유동빔의 볼트공과, 상기 제 2 필러플레이트의 볼트공과, 상기 다수의 제 2 간극조절판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와;
    상기 제 1 간극조절판 또는 제 2 간극조절판의 상부에서 상기 다수의 볼트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너트
    를 포함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와 실질적으로 동일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다수의 볼트공과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일방향으로 오픈된 볼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와 제 1 간극조절판의 사이에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와 동일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바닥재와,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이음새 부분을 오버랩하는 보조 필러플레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
  3. 청구항 1항 또는 제 2항 중 선택된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외곽고정빔 및 내측유동빔의 이격거리는 350mm 내지 450mm이고, 상기 바닥재는 섬유 강화 플래스틱 이나 합판 또는 코팅된 합판 중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간극조절판 및 제 1 및 제 2 너트는 아연 도금 처리된 강재 슬라브 거푸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향하는 제 1 상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분기하여 제 2 수직면에 각각 연결되는, 서로 이격된 제 3 상부면과, 제 4 상부면을 더욱 포함하는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으로서,
    상기 외곽 고정빔의 타 끝단과, 상기 내측유동빔의 일 끝단에 각각 저면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연결플레이트와 각각 결합되고, 상부 수평면에 볼트공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브라켓과;
    상기 외측고정빔 또는 상기 내측유동빔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고, 상기 외측고정빔 및 내측유동빔과, 상기 바닥재의 사이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설되는 다수의 세로지지바와;
    상기 제 1 필러플레이트의 말단에서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기하여 제 2필러플레이트의 말단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볼트공을 가지는 제 3 필러플레이트와, 제 4 필러플레이트와;
    상기 제 3 및 제 4 필러플레이트 상에 하부에서 삽입되는 볼트와 너트에 일단에 치우진 장공이 관통되어 각각 고정되고, 각 타단은 제 3 및 제 4 수평면에 걸쳐지는 다수의 제 3 및 제 4 간극조절판을 더욱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의 4개의 상부면에 각각 제 1 내지 제 4 간극조절판이 걸쳐 지지되는 강재 슬라브 거푸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간극조절판은 그 일단에 절곡된 수직벽을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수평면을 그 내부에 소정길이 인입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강재 슬라브거푸집
KR10-2001-0076344A 2001-12-04 2001-12-04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043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44A KR100430836B1 (ko) 2001-12-04 2001-12-04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44A KR100430836B1 (ko) 2001-12-04 2001-12-04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169U Division KR200241039Y1 (ko) 2001-04-11 2001-04-11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233A KR20020080233A (ko) 2002-10-23
KR100430836B1 true KR100430836B1 (ko) 2004-05-17

Family

ID=2772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344A KR100430836B1 (ko) 2001-12-04 2001-12-04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51B1 (ko) 2010-01-29 2010-05-04 우병태 스틸박스 교량의 상판슬래브 거푸집설치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51B1 (ko) 2010-01-29 2010-05-04 우병태 스틸박스 교량의 상판슬래브 거푸집설치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233A (ko)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7678B1 (en) Devic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beams to pillars or similar load-bearing structural elements
JP7168429B2 (ja) 床型枠材
KR20190084712A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JP2004176482A (ja) 非埋込み型柱脚の施工方法及びその非埋込み型柱脚構造
KR101013009B1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0430836B1 (ko)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241039Y1 (ko) 피에스씨 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JP3712458B2 (ja) 梁型枠支持装置
JPH0665963A (ja) コアウォール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
JP3245952U (ja) 木製柱支持金具
KR200406524Y1 (ko) 가시설 시스템
JP200628331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及びその構築方法
JP4656460B2 (ja) 建物の補強構造
CA2030101C (en) Shear resistant building panel assembly
KR100339440B1 (ko) 강합성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KR200143184Y1 (ko) 거푸집용 지지장치
JP7299793B2 (ja) ユニット建物
KR100377576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체
KR200143185Y1 (ko) 거푸집용 지지장치
KR20040033238A (ko) 탄소판을 이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공법
JP4282540B2 (ja) 鉄筋類支持架台用スペーサー
JPH1046706A (ja) コンクリート製壁体パネルによる建物構造におけるパネルの定着構造及びその定着方法
WO2022174913A1 (en) Molded part set for wind turbine foundation and wind turbine foundation
JP2024097357A (ja) Rcs構法
JP2993952B1 (ja) 鋼板とコンクリートのサンドイッチ合成床版及びその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