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807B1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807B1
KR100429807B1 KR10-2002-0002537A KR20020002537A KR100429807B1 KR 100429807 B1 KR100429807 B1 KR 100429807B1 KR 20020002537 A KR20020002537 A KR 20020002537A KR 100429807 B1 KR100429807 B1 KR 10042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feed
fric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113A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8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용지공급장치는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된 용지를 사이에 두고 대면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용지를 본체내부로 이송하는 이송롤러 및 이송아이들롤러와, 이송아이들롤러에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용지가 겹쳐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장치를 구비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찰패드를 이용하는 구조가 간단한 중송방지장치를 이송아이들롤러에 대면되도록 설치하여 전체적인 높이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Sheet supply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가 복 수장 겹쳐서 중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송방지장치를 구비한 용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소정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LSU)와,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현상제로 현상하여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융착 시키는 정착장치와, 현상장치에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공급장치를 구비한다.
용지공급장치는 프린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씩 취(pick-up)하여 프린터 내부로 공급하는 픽업롤러와, 픽업롤러에 의하여 취하여진 용지를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에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용지가 그 사이에 중송되면 마찰력의 차이로 상기 이송롤러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송된 용지이송을 막으며, 중송이 안되면 상기 이송롤러와의 마찰력이 소정 토크를 갖는 토크리미터의 토크보다 크게되어 이송롤러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용지를 이송시키는 역전롤러와, 소정 토크를 가지며 상기 역전롤러와 동축 상에 연결된 회전부와 고정부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는 주어진 토크보다 큰 량이 전달되면 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주어진 토크용량보다 적은량이 전달되면 축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토크리미터와, 상기 역전롤러의 동력을 절환하여 정지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절환장치인 전자클러치및 용지가 현상장치에 진입하기 전에 용지선단을 정렬 및 화상일치를 위해 소정시간 정지 후 현상장치로 진입시키는 레지스트레이션롤러를 구비한다.
이처럼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력제어를 위한 고가의 동력절환장치인 전자클러치가 장착되어 공간적 및 경제적 손실이 있으며, 별도의 역전롤러와 토크제어를 위한 고가의 토크리미터가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적으로 체적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중송되는 용지를 분리시킬 수 있는 보다 구조가 간단한 중송방지장치를 구비한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공급장치가 적용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지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송방지장치와 이송아이들롤러와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2...픽업롤러 153...이송아이들롤러
154...아암 157...이송롤러
170...중송방지장치 171...마찰패드
172...가압플레이트 174...가압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는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된 용지를 사이에 두고 대면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용지를 본체내부로 이송하는 이송롤러 및 이송아이들롤러와, 상기 이송아이들롤러에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용지가 겹쳐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송방지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송방지장치는 상기 이송아이들롤러에 대면되도록 설치되는 마찰패드와, 상기 마찰패드가 장착되는 것으로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이송아이들롤러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가압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공급장치가 적용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지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현상장치(120), 전사장치(130), 정착장치(140) 및 용지공급장치(150)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장치(120)는 광주사장치(110)에 의하여 상기 감광매체(12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분말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소정 색상의 현상제를 도포하여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전사장치(130)는 용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매체(121)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121)를 가압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매체(121)에 형성된 소정 색상의 화상을 상기 용지공급장치(150)에 의하여 이송된 용지에 전사시킨다.
상기 정착장치(140)는 용지배출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장치(130)에 의하여 화상이 전사된 용지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용지에 화상을 융착시킨다.
상기 용지공급장치(150)는 상기 현상장치(120)에 의하여 소정의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121)와 이에 대향되게 설치된 전사장치(130)사이에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152), 이송아이들롤러(153), 아암(154), 이송롤러(157), 가압부재(158), 가이드부(159) 및 중송방지장치(170)를 구비한다.
상기 픽업롤러(152), 이송아이들롤러(153) 및 아암(154)은 픽업롤러 축(S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동력을 전달받는 제 1이송롤러 축(S2)과 상기이송롤러(157)가 설치되는 제 2이송롤러 축(S3)으로 구성되는 이송롤러 축이 상기 픽업롤러 축(S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이송롤러 축(S2)과 제 2이송롤러 축(S3)은 연결부재(156)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1이송롤러 축(S2)의 토크를 제 2이송롤러 축(S3)에 전달된다. 상기 연결부재(156)는 양 축의 축선이 상호 일치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는 커플링(Coupl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롤러 축(S1)과 제 1이송롤러 축(S2)에는 별도의 전동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동력전달장치인 픽업기어(151) 및 이송기어(15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픽업롤러(152)는 픽업롤러 축(S1)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세트(160)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씩 픽업한다. 상기 픽업롤러(152)는 소정길이의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용지에 접촉하는 원호길이는 픽업롤러(152)가 1회전하여 용지를 픽업하여 상기 이송롤러(157)에 진입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152)의 반경(R1)은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의 반경(R2)보다도 0.1 ∼ 2㎜ 범위 내에서 더 크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픽업롤러 축(S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아이들롤러(153)에 의하여 상기 픽업롤러(152)의 용지 픽업동작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상기 픽업롤러 축(S1)에는 상기 픽업롤러(152)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의 이송아이들롤러(15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 축(S1)에는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에 대향되어 가압하면서 회전되도록 이송롤러(15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와 이송롤러(157)의 접촉면에는 상기 픽업롤러(152)에 의하여 픽업되어 이송된 용지가 끼워져 이송된다.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는 상기 픽업롤러 축(S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픽업롤러(152)가 회전하면 같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송롤러(157)와 접촉되어 그 접촉부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아암(154)은 상기 픽업롤러 축(S1)이 회전함에 따라, 카세트(160)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픽업롤러(152)측으로 밀어 올리도록 설치되는 낙-업 플레이트(Knock-up plate, 161)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용지를 상기 픽업롤러(152)와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킨다.
상기 아암(154)은 상기 픽업롤러(152)와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픽업롤러축(S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낙-업플레이트(161)와 접촉되는 부분까지의 길이는 상기 픽업롤러(152)의 반경(R1)보다도 더 크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152)가 용지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암(154)은 낙-업 플레이트(161)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아암(154)이 낙-업 플레이트(161)와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픽업롤러(152)와 용지는 이격되므로 용지가 픽업되지 않는다. 상기 아암(154)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변형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159, 도 1참조)는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152)에 의하여 픽업된 용지를 상기 이송롤러(157)와 이송아이들롤러(153)사이에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압부재(158)는 상기 제 2이송롤러 축(S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이송롤러 축(S3)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롤러(157)를 이송아이들롤러(153)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2이송롤러 축(S3)을 가압하는 가압부(158a)와 상기 가압부(158a)를 지지하는 지지부(158b)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송방지장치와 이송아이들롤러와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송방지장치(170)는 상기 카세트(160, 도 1참조)로부터 상기 픽업롤러(152)에 의하여 픽업된 용지가 복 수장이 겹쳐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마찰패드(171), 가압플레이트(172) 및 가압스프링(174)을 구비한다.
상기 마찰패드(171)는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에 대면되어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용지가 중송되는 경우에 이에 접촉되는 용지를 이송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마찰패드(171)는 소정 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와 용지와의 마찰계수를 μ1 이라 하고, 용지사이의 마찰계수를 μ2라 하고, 용지와 마찰패드(171)와의 마찰계수를 μ3라 하면, 마찰계수의 상대적인 크기는 μ1 > μ3 > μ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프링(174)에 의한 수직응력이 동일하면, 마찰계수의 크기에 따라 마찰력의 차이가 발생되므로, 이러한 마찰력의 상대적인 크기의 차이에의하여 용지의 중송이 방지된다.
상기 가압플레이트(172)는 일측이 본체에 힌지결합(173)되며,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에 대향되는 부분에는 마찰패드(171)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스프링(174)은 일단이 본체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플레이트(172)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172)를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므로, 상기 마찰패드(171)는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지공급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픽업롤러 축(S1)이 회전되면서 상기 아암(154)은 상기 낙업플레이트(161)와 이격되며, 상기 카세트(160)에 적재된 용지는 상기 픽업롤러(152)에 의하여 픽업되면서 이송된다. 상기 픽업롤러(152)의 반경(R1)이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의 반경(R2)보다 약간 크므로, 용지가 픽업될 때에는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는 용지에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픽업롤러(152)에 의해 픽업된 용지는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에 접촉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용지는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와 중송방지장치(170)이 접촉된 사이를 통과한다. 용지 한 장이 그 사이를 지나가는 경우에는 원활하게 이송되지만, 복수장의 용지가 겹쳐서 이송되는 경우에 상기 마찰패드(171)에 접촉되는 용지는 마찰패드(171)와 용지와의 마찰계수의 차이에 의한 마찰력차이로 인하여 이송이 방해되므로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에 접촉하는 용지만이 이송된다.
상기 마찰패드(171)에 의하여 이송이 방해된 용지는 그 위에 접촉되어 있던 용지가 이송된 후 상기 이송아이들롤러(153)에 접촉되면서 이송된다.
용지는 상기 가이드부(159)에 안내되어 상기 이송롤러(157)와 이송아이들롤러(153)의 접촉부 사이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픽업롤러 축(S1)은 회전을 멈추게 되고 상기 제 1이송롤러축(S2)이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롤러(157)와 이송아이들롤러(153)는 맞물려 회전하면서 용지는 이송된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 축(S1)이 회전을 멈추면, 상기 아암(154)은 상기 낙업플레이트(161)에 접촉되므로 카세트(160)에 적재된 용지는 상기 픽업롤러(152)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용지 한 장이 이송되고,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용지는 다시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는 마찰패드를 이용하는 구조가 간단한 중송방지장치를 이송아이들롤러에 대면되도록 설치하여 전체적인 높이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된 용지를 본체내부로 이송하는 이송아이들롤러와;
    일측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가압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이송아이들롤러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아이들롤러에 대향하는 측에 마찰패드가 장착되어 있는 가압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중송방지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아이들롤러, 용지 및 마찰패드간의 마찰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용지가 겹쳐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아이들롤러 및 상기 용지간의 마찰계수는 상기 용지 및 상기 마찰패드와의 마찰계수보다도 크며, 상기 용지 및 상기 마찰패드간의 마찰계수는 상기 용지간의 마찰계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KR10-2002-0002537A 2002-01-16 2002-01-16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KR10042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37A KR100429807B1 (ko) 2002-01-16 2002-01-16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37A KR100429807B1 (ko) 2002-01-16 2002-01-16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113A KR20030062113A (ko) 2003-07-23
KR100429807B1 true KR100429807B1 (ko) 2004-05-03

Family

ID=3221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537A KR100429807B1 (ko) 2002-01-16 2002-01-16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8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51U (ko) * 1997-06-11 1999-01-15 윤종용 사무용기기의 중송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51U (ko) * 1997-06-11 1999-01-15 윤종용 사무용기기의 중송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113A (ko)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09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paper feeding apparatus for the same
KR100429807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CN110392661B (zh) 利用压力的片材分离器
JPH11286339A (ja) シート給送部材および該シート給送部材を有するシート給送装置
WO2014192395A1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0009743A1 (en) Paper feeding device for preventing paper slip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11314781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738576B2 (ja) 給紙装置
JP3611922B2 (ja) 用紙搬送装置
KR100538249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3783763B2 (ja) 給紙装置
JP3764674B2 (ja) 給紙装置
JP2002274686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シート材搬送装置
KR101080411B1 (ko) 용지픽업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3996443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
KR20050116208A (ko) 용지 이송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H11236139A (ja) トルクリミッタ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42773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36799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1097587A (ja) シート搬送分離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46067A (ja) トルクリミッタ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200220626Y1 (ko) 정착부의 배지롤러 보조장치
JPH10231033A (ja) 給紙・搬送装置
JPH02305737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200215469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