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447B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447B1
KR100429447B1 KR10-2001-0074185A KR20010074185A KR100429447B1 KR 100429447 B1 KR100429447 B1 KR 100429447B1 KR 20010074185 A KR20010074185 A KR 20010074185A KR 100429447 B1 KR100429447 B1 KR 10042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ase
fixed
speak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451A (ko
Inventor
고바야시다카시
오타요시주미
미야모토가주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Publication of KR2002004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10Telepho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는 둘레 돌출부를 갖는 케이스와, 자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케이스에 고정된 요크와, 케이스에 제공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둘레 돌출부를 구비하는 진동판은 둘레 돌출부에서 케이스의 외부벽에 고정된다. 보호판은 케이스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및 다른 휴대 장치와 같은 이동 통신 장비에 사용되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피커를 도시하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자기(磁氣) 재료로 만들어진 요크(2)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케이스(1)내에 삽입 성형에 의해 묻혀있다. 영구 자석(3)은 요크(2)에 고정되고, 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상부판(4)은 자석(3) 상에 접착되어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상부판(4)과 요크(2) 사이에 자기 간극을 형성한다.
진동판(6)은 케이스(1) 둘레의 등성이 부분(1b)에 고정된다. 진동판(6)의 배면에 고정된 음성 코일(5)은 자기 간극에 삽입된다. 금속으로 만들어진 보호판(7)은 진동판(6)이 삽입된 케이스(1)에 고정된다. 복수 개의 음배출구가 케이스(1) 및 보호판(7)에 형성된다. 진동판(6) 및 보호판(7)은 원통형 둘레 돌출부(1a)에 배치된다.
음성 코일(5)의 한 쌍의 말단(9)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6)의 배면에 부착된다. 각각의 코일 말단(9)은 케이스(1)의 둘레벽에 형성된 홈(9)을 통해 케이스(1)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케이스(1)의 배면에,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기판(8)이 접착되고, 한 쌍의 단자판(10)이 기판(8)에 고정된다. 각 단자판은 V자 형상이고 각 코일 말단(9)은 단자판(10)의 하나의 가지에 납땜된다. 단자판(10)의 다른 가지는 코일 말단(9)을 스피커가 장착될 장비의 회로에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신호 전류가 단자판(10)을 통해 음성 코일(5)에 공급될 때, 진동판이 진동하여 음을 생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다른 종래 스피커는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22) 및 상부 케이스(23)를 포함하는 점이 전술한 스피커와 다르다. 상부 케이스(23)는 둘레 돌출부(23a) 및 등성이 부분(23b)를 구비한다.
진동판(6)은 둘레 돌출부(23a)에 의해 배치되고, 진동판(6)의 둘레 부분은 등성이 부분(23b)에 접착된다. 보호판(7)은 진동판(6)의 둘레에 고정된다.
상부 케이스(23)에 형성된 홈(23c)으로부터 돌출된 음성 코일(5)의 끝(9)은기판(8)의 단자판에 접속된다. 하부 케이스(22) 및 상부 케이스(23)는 접착제로 접착된다.
전술된 종래 스피커에 있어서, 진동판(6)은 둘레 돌출부[1a(23a)]에 의해 배치되고 등성이 부분[1b(23b)]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진동판(6)의 유효 직경은 등성이 부분 폭의 2 배만큼 줄어든다. 스피커에 의해 생성되는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진동판의 직경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반면에 진동판의 직경이 감소되면 생성되는 음질은 나빠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레 돌출부를 갖는 케이스, 자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케이스에 고정된 요크, 케이스에 제공되는 영구 자석, 케이스의 둘레 돌출부에 고정되고 원통형 둘레를 갖는 진동판, 진동판의 배면에 고정된 음성 코일, 케이스에 고정된 보호판을 포함하는 스피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있어서, 진동판 원통형 둘레부는 케이스 둘레 돌출부의 외부벽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진동한의 원통형 돌출부는 케이스의 원통형 돌출부 내부벽에 접착된다.
진동판의 둘레부는 케이스의 둘레부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 상부 에지에 고정된다.
보호판은 진동판의 원통형 둘레부의 외부벽에 접착되는 원통형 둘레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그리고 특징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 스피커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스피커의 배면도.
도 6은 다른 종래 스피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 케이스
25a : 케이스 둘레 돌출부
25b : 종래 스피커의 둘레 돌출부
25c : 기울어진 표면
25e : 환상(環狀) 돌출부
26 : 요크
27 : 영구 자석
28 : 영구 자석에 접착된 상부판
30 : 진동판
30a :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둘레부
30b : 둘레 돌출부(25a)의 상부 표면과 맞물린 둘레부
30c :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둘레부
31 : 음성 코일
32, 40 : 보호판
33 : 음성 코일의 한 쌍의 끝
35 : 기판
40a : 보호판의 원통형 둘레부
40b : 보호판의 원통형 둘레부
40c : 원통형 둘레부 배면의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표면
41 : 등성이(shoulder)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케이스(25)는 평평한 상부 표면을 갖는 둘레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상부 표면은 참조 번호 25b 로 표시된 종래 스피커의 둘레 돌출부의 폭보다 현저하게 좁은 폭을 갖는다. 상기 스피커는 자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삽입 성형에 의해 케이스(25)에 묻힌 요크(26), 상기 요크(26)에 고정된 영구 자석(27), 상기 자석(27)에 접착된 상부판(28)을 포함한다.
진동판(30)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둘레부(30a)를 갖는다. 진동판(30)은 둘레 돌출부(25a)의 상부 표면과 맞물린 둘레부(30b)에서 그리고 원통형 둘레부(30a)에서 케이스(25)에 접착된다. 진동판(30)의 배면에 고정되는 음성 코일(31)은 상부판(28)과 요크(26) 사이의 자기 간극 내에 삽입된다. 금속으로 만들어진 보호판(32)은 둘레부(30b)에서 진동판(30)에 고정된다. 복수 개의 음배출구는 케이스(25) 및 보호판(32)에 형성된다.
음성 코일(31)의 한 쌍의 끝(33)은 진동판(30)의 배면에 접착된다. 각각의 코일 끝(33)은 케이스의 둘레벽 내에 형성된 홈을 통해 케이스(25)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케이스의 둘레벽을 따라 휘어져 기판(35) 상의 단자판에 납땜으로 고정된다. 단자판은 도 5의 종래 단자판(10)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단자판은 스피커가 장착되는 장비의 단자와 접속된다.
진동판(30)은 원통형 둘레(30a)를 케이스(25)의 외부벽과 맞물림으로써 정확하게 중심이 맞춰진다. 둘레 돌출부(25a)의 상부 표면은 등성이 없이 형성되므로, 상부 표면의 폭은 참조 번호 25b 로 표시된 종래의 둘레 돌출부의 폭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좁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양질의 음을 생성하는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둘레 돌출부(25a)의 상부 표면의 폭이 줄어들면, 진동판(30)의 둘레부(30b)에서의 접착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원통형 둘레부(30a)가 케이스에 접착되므로, 접착 강도는 떨어지지 않는다.
제2 실시예가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보호판(40)은 또한 원통형 둘레부(40a)를 갖는다. 상기 원통형 둘레부(40a)는 케이스(25)의 외부벽 상에 형성된 등성이(41)와 맞물려서 보호판(40)의 높이가 결정된다. 원통형 둘레부(40a)는 진동판(30)의 원통형 둘레부(30a)에 접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판(30)의 둘레부(30b)를 둘레부(25a)의 상부 표면에 접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부 표면의 대부분은 내부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표면(25c)으로 형성된다. 진동판(30)의 둘레부(30b)는 뾰족한 상부 에지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진동판의 유효 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가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25)의 둘레 돌출부(25a)는 매우 좁은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표면(25d)을 가지며, 환상(環狀) 돌출부(25e)를 갖는다. 진동판(30)은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둘레부(30c)를 가지며, 보호판(40)은 원통형 둘레부(40b)를 갖는다. 원통형 둘레부(40b)의 배면은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표면(40c)으로 형성되고, 이로써 뾰족한 하부 에지를 형성한다.
진동판(30)의 둘레부(30b)는 케이스(25)의 둘레 돌출부(25a)의 상부 표면상에 고정되고, 진동판(30)의 원통형 둘레부(30c)는 환상 돌출부(25e)의 내부벽에 접착된다. 보호판(40)의 뾰족한 하부 에지는 진동판(30)의 둘레부(30b) 상에 고정된다. 원통형 둘레부(40b)의 외부벽은 진동판(30)의 원통형 둘레부(30c)의 내부벽에 접착된다.
진동판(30)의 유효 직경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증가된다.
상기 발명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와 결부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이어지는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판의 유효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생성되는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7)

  1. 둘레 돌출부를 갖는 케이스와,
    자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요크와,
    상기 케이스에 제공되는 영구 자석과,
    원통형 둘레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의 둘레 돌출부에서 고정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배면에 고정된 음성 코일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보호판
    을 포함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원통형 둘레부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 돌출부의 외부벽에 접착되는 것인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원통형 둘레부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 돌출부의 내부벽에 접착되는 것인 스피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둘레부가 상기 케이스의 둘레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에지 상에 고정된 것인 스피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기 진동판의 원통형 둘레부의 외부벽에 접착된 원통형 둘레부 갖는 것인 스피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둘레 돌출부의 상부 상에 형성되고 내부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표면과, 상기 기울어진 표면의 외부에서 상기 둘레 돌출부의 정상 위에 형성된 환상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의 둘레부는 상기 기울어진 표면의 정상부 상에 고정되고, 상기 진동판의 원통형 둘레부는 상기 환상 돌출부의 내부벽에 접착되는 것인 스피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기 진동판의 원통형 둘레부의 내부벽에 접착된 원통형 둘레부 및 상기 진동판의 둘레부 상에 고정된 하부 에지를 갖는 것인 스피커.
KR10-2001-0074185A 2000-11-30 2001-11-27 스피커 KR100429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6372 2000-11-30
JP2000366372A JP2002171594A (ja) 2000-11-30 2000-11-30 スピー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451A KR20020042451A (ko) 2002-06-05
KR100429447B1 true KR100429447B1 (ko) 2004-05-03

Family

ID=1883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185A KR100429447B1 (ko) 2000-11-30 2001-11-27 스피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51332B2 (ko)
EP (1) EP1211911A3 (ko)
JP (1) JP2002171594A (ko)
KR (1) KR100429447B1 (ko)
CN (1) CN1165200C (ko)
TW (1) TW5198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793A (ja) * 2002-04-30 2003-11-14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及び振動板
JP3916997B2 (ja) * 2002-04-30 2007-05-23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2003324790A (ja) * 2002-04-30 2003-11-14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WO2004006620A1 (ja) 2002-07-04 2004-01-15 Nec Tokin Corporation 電気音響変換器
JP3908624B2 (ja) * 2002-07-25 2007-04-25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2005277876A (ja) * 2004-03-25 2005-10-06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ー装置
KR100799008B1 (ko) * 2004-03-31 2008-01-2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피커와, 이를 이용한 모듈, 전자 기기 및 장치, 스피커의제조 방법
KR101034597B1 (ko) * 2008-12-02 2011-05-16 임경순 목편을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버티컬 블라인드
US11968509B2 (en) * 2018-12-07 2024-04-2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271A (en) * 1925-08-19 1927-11-18 Neufeldt & Kuhnke Betr Sgesell Telephone with free vibrating diaphragm surface
JPS5853299A (ja) * 1981-09-25 1983-03-29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動電形スピ−カ
FR2572616A1 (fr) * 1984-10-30 1986-05-02 Thomson Csf Transducteur electro-acoustique a diaphragme piezoelectrique
JP3005099B2 (ja) * 1991-12-10 2000-01-31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3334842B2 (ja) * 1996-05-28 2002-10-15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52882A (ja) * 2000-11-06 2002-05-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マイクロスピーカの製造方法とそれによるマイクロスピーカ
JP2002152896A (ja) * 2000-11-06 2002-05-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マイクロ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1911A2 (en) 2002-06-05
EP1211911A3 (en) 2008-04-23
CN1165200C (zh) 2004-09-01
KR20020042451A (ko) 2002-06-05
US6751332B2 (en) 2004-06-15
CN1356853A (zh) 2002-07-03
TW519850B (en) 2003-02-01
US20020064293A1 (en) 2002-05-30
JP2002171594A (ja) 200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376B1 (ko) 진동 발생과 음향 발생의 겸용 장치를 구비하는 스피커
US6400825B1 (en) Microspeaker
US7085394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device
US6711274B2 (en) Compound speak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2408219A1 (en) Micro speaker
US7266213B2 (en) Compact speaker with a protective cover
JP3908624B2 (ja) 電気音響変換器
US20120177244A1 (en) Speaker
KR100429447B1 (ko) 스피커
KR100429664B1 (ko) 마이크로스피커
JP4557495B2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327024Y1 (ko) 마이크로 스피커에서의 고출력을 위한 진동판 결합구조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JPH09275599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0432615B1 (ko) 타원형 스피커
KR100503011B1 (ko) 소형 스피커
KR100534154B1 (ko) 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의 내부결합구조
JP2002199490A (ja) スピーカ
JP2004015574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1710187B1 (ko)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050001018A (ko) 소형 스피커
EP1204296A2 (en) Microspeaker
KR20050021102A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200330088Y1 (ko) 소형 스피커 유닛
KR200171845Y1 (ko) 버저의 진동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