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244B1 -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 - Google Patents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244B1
KR100429244B1 KR10-2001-0023507A KR20010023507A KR100429244B1 KR 100429244 B1 KR100429244 B1 KR 100429244B1 KR 20010023507 A KR20010023507 A KR 20010023507A KR 100429244 B1 KR100429244 B1 KR 10042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effect
beverage
cadmium
di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360A (ko
Inventor
이진태
안봉전
이임식
Original Assignee
매일유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유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일유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에 관한 것으로 녹용 및 녹육과 한약재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100∼110 ℃에서 5시간 추출하여 한약재 찌꺼기와 추출액을 분리하고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에 감미보조제를 혼합하여 한방음료를 제조하였고, 상기 한방음료로 효소학적 생리기능성 실험과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능,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의 저해효과,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효과,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 골다공증 예방효과, 보혈효과 및 중금속 제거효과 그리고 강장작용이 있는 한방음료를 제공하는 뛰어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 {Herb drink including of deer antler and material of herbal medicine}
본 발명은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녹용과 기타 한약재 및 감미보조제 등을 효과적으로 배합 제조하여, 노화억제능, 천연항산화효능, 통풍예방효능, 미백효능, 혈압상승억제효능, 골다공예방효능, 보혈효능 및 강장작용 등을 가지고 있는 한방음료에 관한 것이다.
녹용(Antler, Cervi parvum cornu)은 사슴과(Cervidae)에 속하는 사슴의 갓 자란 골질화되지 않은 어린 뿔을 채취 가공하여 말린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슴뿔은 선단부터 종(縱)으로 선단(tip), 상대(upper section), 중대(mid section), 하대(base)의 네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선단(tip)과 상대는 녹용, 중대는 녹용각, 하대는 녹각의 범주에 속한다. 녹용은 횡(橫)적으로 벨벳층(velvet layer)과 스폰지층(spongy bone 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벨벳층은 표피(epidermis)로 구성된 껍질을 지칭하고 스폰지층은 조골(造骨)세포(osteoblast)가 성장한 차연골(軟骨)조직(chondroclasia)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골질화(骨質化)한 연골, 뼈조직, 및 박판 뼈조직(lamellar bone)으로 구성된다.
녹용은 산지 및 사슴의 종류에 따라 마록, 매화록, 시베리아산 대록, 뉴질랜드산 직록, 순록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한방에서는 옛부터 최고의 보혈강장제로 널리 사용되어 온 고귀한 생약재이다.
그러나 기존의 녹용의 소비는 옛날부터 내려온 생녹용 이나 건녹용 자체 또는 한약재를 첨가한 중탕제품이 소비의 주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 들어 서구나 국내에서 녹용 분말을 캡슐화 시킨 제품이 선을 보이고 있다. 현재 시중에는 녹용, 영지버섯, 동충하초 등 여러 종류의 한방재료를 이용한 한방식품이 판매되고 있으나 제품에 대한 효능에 대한 실험적 결과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며 또한 일부 중탕 제품은 건강식품으로 한 때 많은 소비가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업체별 과다경쟁과 소규모 영세 업체의 난립으로 저질 제품이 생산되기도 하여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고있는 현실이다.
그래서 이에 부응하여 녹용 및 기타 한약재의 특성을 통한 배합비율과 제조방법으로 노화억제능, 천연항산화효능, 통풍예방효능, 미백효능, 혈압상승억제효능, 골다공예방효능, 보혈효능 및 강장작용 등을 가지고 있는 한방음료의 등장과 이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와 유사한 한방음료가 많이 개발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효능이 확실하게 입증된 바가 없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등록 제10775호에서는 녹용과 꿀(1 : 1)의 성숙엑스 1-5중량, 생인삼과 꿀(1 : 1)의 성숙엑스 5-10중량, 자라생혈, 육신, 장기와 꿀(1 : 1 : 1 : 1)의 성숙엑스 1-5중량, 자라와 꿀(1 : 1)의 성숙엑스 1-5중량 그리고 국화엑스 5-10중량, 밀감피(진피)엑스 5-15중량, 미배아,흑두생순, 명귤차(1 : 10 : 9)엑스 10-20중량, 생강엑스 5-15중량, 감초엑스 10-20중량, 계피엑스 5-15중량, 숙지황 5-15중량, 그리고 식염 1-5, 비타민 B1, B2, C 및 구연산, 박하 등을 함유한 알콜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효능에 관하여는 입증된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 및 기타 한약재와 감미보조제를 추출 혼합하여 종래의 한방음료와 차별화 될 수 있고, 소비자들로부터 불신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한방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거가지 생리적 기능실험을 통하여 상기 한방음료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녹용, 녹육, 단삼, 백출, 당귀, 천궁, 대추, 계피, 황기, 생강, 박하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정제수를 투입하고 100∼110℃에서 5시간 동안 추출을 한 다음, 한약재 찌꺼기와 추출액을 여과공정을 통해 분리한다. 그 다음 여과액을 4500rpm으로 1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과 상등액을 분리하고, 상기 상등액에 사과과즙, 액상과당 과 구연산을 혼합하여 한방음료를 제조한 후 상기 한방음료의 미백효과, 통풍에방, 고혈압 예빙효과등을 효소학적 생리기능성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골다공증 개선효과, 보혈효과 및 중금속 제거효과 그리고 강장작용에 효과를 동물실험등을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제조하는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공장단위에서 생산하는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농도를 달리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전자공여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은 농도를 달리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SOD-유사활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농도를 달리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저해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는 농도를 달리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멜라닌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저해율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는 농도를 달리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 저해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a에서 도 8c은 정상군, 대조구, 실험군의 대퇴골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9은 식이를 달리한 각 그룹별 실험용 쥐의 정자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a에서 도 10c는 정상군, 대조구, 실험군의 지구력을 검사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녹용 1.5∼2.5 중량%, 녹육 1.0∼2.0 중량%, 단삼 1.0∼1.3 중량%, 백출 0.1∼0.5 중량%, 당귀 1.0∼1.5 중량%, 천궁 0.5∼1.2 중량%, 대추 1.0∼2.0 중량%, 계피 1.0∼1.3 중량%, 황기 0.5∼1.2 중량%, 생강 1.0∼2.0 중량%와 박하 0.2∼0.7 중량%를 혼합하여 정제수 75∼80 중량%를 넣고, 100 ∼ 110 ℃에서 5시간 추출하여 한약재 찌꺼기와 추출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추출물은 4,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감미보조제로서 사과과즙 2.5∼3.5 중량%, 액상과당 6.0∼8.0 중량%, 구연산 0.005∼0.03 중량%을 혼합하여 한방음료를 만드는 단계 ; 상기 한방음료의 농도를 달리한 각 시료 1.0mL에 2×10-4M의 α,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1.0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시료첨가구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흡광도감소율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한방음료의 농도를 달리한 각 시료액 0.2mL에 트리스-염산(tris-HCl)의 완충용액(50mM tris+ 10mM EDTA, pH 8.5) 3.0mL와 7.2mM 파이로개롤(pyrogallol) 0.2mL를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0N 염산(HCl) 0.1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후 반응액 중 산화된 파이로개롤(pyrogallol)의 양을 420nm에서 측정하고, 시료 첨가구와 시료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흡광도 감소율로 SOD-유사활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반응구는 0.1M 인산칼륨 버퍼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에 잔틴(xanthine) 2mM을 녹인 기질액 1ml에 효소액 0.1ml(40mU/ml)와 농도를 달리한 한방음료 0.1ml를 가하고 대조구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0.1m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1N 염산(HCl) 1 ml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요산(uric acid)를 흡광도 292nm에서 측정하여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의 저해율을 측정하는 단계 ; 머쉬롬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110 unit/mL) 0.1mL, 기질로서 5mM L-DOPA 0.2 mL, 0.175 M 인산염 버퍼(phosphate buffer, pH 6.8) 0.2 mL의 혼합액에 농도를 달리한 한방음료 0.5 mL를 첨가하여 35℃,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크롬(chrome)을 475 ㎚에서 측정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율을 측정하는 단계 ; 반응구는 0.3 M 염화나트륨(NaCl)을 함유하는 0.1 M 인산 칼륨 버퍼 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8.3)에 기질 (Hippuryl-L-histidyl-L-leucine : HHL) 2.5 mL, ACE 0.1 mL와 탄닌용액 0.1 mL를 혼합했으며, 대조구는 탄닌 대신 증류수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1N 염산(HCl) 0.35 mL 첨가로 반응을 중지시킨 뒤 3mL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층으로부터 용매를 증류시킨 잔사에 2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된 하이퓨릭산(hippuric acid)을 흡광도 228 ㎚에서 측정하여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를 측정하는 단계 ; 6주령된 Sprague-Dawley 계 웅성 흰쥐에게 정상군(정상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대조구(카드늄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그리고 실험군(카드늄식이에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공급한 경우)으로 조성되는 실험식이를 공급하면서, 뼈의 Ca 함량과 뼈세포의 조밀도를 조사하여 골다공증 예방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 ; 6주령된 Sprague-Dawley 계 웅성 흰쥐에게 대조구(카드늄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그리고 실험군(카드늄식이에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공급한 경우)으로 조성되는 실험식이를 공급하면서, 혈액을 채취하여 헤모글로빈과 헤마크릿치를 측정하고, 각 장기조직 및 변에서 카드늄의 축적 및 배설량을 측정하여 보혈효과 및 중금속 제거효과가 있는 지를 조사하는 단계 ; 6주령된 Sprague-Dawley 계 웅성 흰쥐에게 정상군(정상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대조구(카드늄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그리고 실험군(카드늄식이에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공급한 경우)으로 조성되는 실험식이를 공급하면서, 정액을 채취하여 정자수를 측정하고, 지구력 정도를 측정하여 강장작용이 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음료에 사용되는 기본물질(한약재)의 효능을 한의학적으로 고찰하면, 먼저, 녹용의 맛은 달면서 짜고 성질은 온성(溫性)이며, 그 효능은 강장작용, 생장발육촉진작용, 조혈작용, 신경쇠약치료작용, 심부전증치료작용, 오장육부의 기능항진작용, 신체활력증강 및 심근운동개선 등의 효과와 피로회복, 신체저항력증진 효능등이 알려져 있다.
녹육(鹿肉)은 오장의 기능을 왕성케하며 기력(氣力)을 고르게 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주며 유접분비를 촉진하고 영양흡수 촉진으로 전신기능을 왕성케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단삼은 관상동맥 확장 기능이 있어서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강하, 간 기능 활성화, 진정작용, 항염증 작용, 항암작용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출은 방향성 건위약으로 소화불량증이나 위염, 위궤양 같은 위장병, 당뇨병, 폐결핵, 기침, 류마티스관절염, 통풍, 열감기, 간질등을 치유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황기는 지나치게 많은 땀이 흐르는 것을 막는데 가장 대표적인 처방으로 유방이 붓는것, 비허설사, 탈홍, 기허혈탈, 기쇠혈서, 붕류 등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천궁은 몸을 덥게하고, 피를 맑게 하며, 동통을 물리치며 빈혈을 치료해 주는 효능이 있다.
당귀는 보혈, 간장작용이 탁월하여 피를 맑게 하고, 풍을 몰아내고 화렬시키어 혈을 보하고 어혈을 없애며 월경을 조절하고 진정의 효능이 있다.
계피는 차고 허(虛)한것을 따뜻하게 보하며 차가운데서 연유되는 복통을 다스리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위와 장의 점막을 자극하여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생강은 독을 억제하며 대추와 함께 쓰면 윈기를 늘이고 속을 덥게하며 습을 제거하며 작약과 함께 쓰면 경맥을 온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대추는 몸을 덥히고 강장, 이뇨, 진경, 진정약으로서 기운을 돋우며 식욕이 없을 때, 비약연변, 수액부족, 혈행불화, 심계정중 부인의 히스테리등을 다스리며 백약을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한 녹용과 녹육은 매일유업(주) 김천사슴목장에서 구입하였으며, 기타 한약재는 2000년 4월 대구 약령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6주령된 Sprague-Dawley 계 웅성 흰쥐로서, 효창사이언스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한방음료의 제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용, 녹육 그리고 기타 한약재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100∼110℃에서 5시간 동안 추출을 한 다음, 한약재 찌꺼기와 추출액을 여과공정을 통해 분리한다. 그 다음 여과액을 4500rpm으로 1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과 상등액을 분리하고, 상기 상등액에 사과과즙, 액상과당 과 구연산을 혼합하여 한방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한방음료를 연구실에서 소규모 생산 후, (주) 매일유업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시생산하였으며, 생산된 시제품 일부를 동결건조하여 실험시료료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추출액 상태로 냉장 보관하면서 실험용 쥐의 경구 투여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한방음료의 기본재료의 배합비는 표 1과 같다.
한방음료의 기본재료의 배합비
약 재 명 함 량(중량%)
녹 용 1.5∼2.5
녹 육 1.0∼2.0
단 삼 1.0∼1.3
백 출 0.1∼0.5
당 귀 1.0∼1.5
천 궁 0.5∼1.2
대 추 1.0∼2.0
계 피 1.0∼1.3
황 기 0.5∼1.2
생 강 1.0∼2.0
박 하 0.2∼0.7
사 과 과 즙 2.5∼3.5
액 상 과 당 6.0∼8.0
구 연 산 0.005∼0.03
정 제 수 75.0∼80.0
실험예 1 :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이화학적 성분분석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제품의 이화학적 검사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1) 산도 측정
산도는 AOAC의 방법에 따라 여과액을 0.1%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으로 하여 0.1N NaOH로 적정하고 적정치를 구연산으로 환산하여 적정산도(%)를 나타내었다.
산도 (%) = 0.1N NaOH의 적정수 (ml)× 0.0064(구연산 계수) ×100
시료의 중량 g
2) 당도 측정
제품액을 굴절 당도계(Atago Refrometer,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고형분 함량
다음과 같은 해사법으로 측정하였다. 액상 시료의 수분함량 및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칭량접시(도가니)에 작열 냉각한 해사 10∼20g과 유리막대를 넣어 105℃에서 칭량접시의 항량을 구한다. 여기에 시료 10∼20g을 취하여 유리막대로 수욕상에서 유리막대로 교반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다음 105℃ 건조기에서 3∼4시간 건조한 다음 데시게이터 내에서 실온이 될 때까지 30분간 방냉하여 칭량접시의 중량을 구한다. 재차 건조기 내에서 약 1 시간 건조한 다음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건조항량(전후 중량차가 0.2mg이하)이 되면 조작을 중지하고 다음식에 의해 수분함량을 구한다.
수분함량(%) = 칭량병(칭량병+해사)과 시료의 중량 - 칭량병과 시료의 건조항량 ×100
칭량병(칭량병+해사)과 시료의 중량- 칭량병의 중량
고형분의 함량 = 100% - 수분함량(%)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이화학적 성분을 검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이화학적 검사결과
구 분 산 도(%) 당 도 고형분 함량(해사법)
검사결과 0.20∼0.30 11∼13° 11.55 %
실험예 2 :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일반성분 및 미량성분 분석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한방음료는 동결건조하여 실험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한방음료의 일반성분은 AOAC법(Official Methods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Washington D.C. (1984))에 준하여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질, 조회분 함량을 구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동결건조된 한방음료를 회화하여 원자흡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 Hitachi Z-6000)를 이용하여 미량 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미량성분의 분석결과는 표 4와 같다. 수분함량이 88.45%로 고형분 함량이 11.45% 정도였다. 고형분 중 조단백이 0.6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미네랄 분석시 칼륨이 128.56mg으로 가장 많이 분석되었으며 다음 마그네슘이 23.76mg 분석되었다.
일반성분분석 결과
조성 함량 (%)
수분 88.45%
조단백 0.64%
조지방 0.022%
조회분 0.26%
회분중의 미네랄분석
조성 함량 (mg/g ash)
칼 슘 3.23
마그네슘 23.76
칼 륨 128.56
0.80
실험예 3 :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관능검사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한방음료와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 비교제품 1 : 명세당(주) 녹용사슴골드, 비교제품 2 : 남양유업(주) 위풍당당 동충하초)을 이용하여 20대, 30대, 40대의 일반인들 중 각 연령 대별로 10명씩 무작위로 선출하여 관능검사 요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실험목적 및 평가항목에 대하여 설명하고 훈련시킨 다음 향기(flavor), 색(color), 단맛(sweetness), 종합적 기호도(overroll eating-quality)에 대해 5점 채점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의 통계처리는 SPSS 7.5 for window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분산분석(ANOVA : analysis of variance)과 Duncan의 다중검증법(DMRT : 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표 5에서 표 7에 나타낸바와 같다.
20대별 관능검사결과
비교제품 1 시험시료 비교제품 2 F value
향기색단맛쓴맛종합적 기호도 3.80±1.03a2.80±0.63b3.40±0.70a3.10±0.74a3.20±0.79b 3.80±0.63a4.00±0.47a3.80±0.79a3.60±0.70a4.00±0.67a 1.90±0.74b2.80±0.63b2.00±0.82b1.40±0.52b2.00±0.67c 17.95**14.09**15.08**30.69**20.12**
[주]Each values are Mean±SD.*p<0.05,**p<0.01.
30대별 관능검사결과
비교제품 1 시험시료 비교제품 2 F value
향기색단맛쓴맛종합적 기호도 3.30±0.95a2.50±0.85b3.30±1.06a2.70±0.68b3.20±1.22a 3.80±0.79a4.10±0.74a3.80±0.79a3.60±0.84a3.80±0.79a 1.60±0.70b2.70±1.25b1.50±0.71b1.80±0.63c1.70±0.68b 19.84**8.05**19.56**15.51**13.56**
[주]Each values are Mean±SD.*p<0.05,**p<0.01.
40대별 관능검사별
비교제품 1 시험시료 비교제품 2 F value
향기색단맛쓴맛종합적 기호도 3.60±0.84a2.60±0.70b4.00±0.47a3.50±0.53a3.80±0.63a 3.60±0.70a4.10±0.57a3.60±0.97a3.40±0.84a3.80±0.63a 2.40±0.70b2.90±2.00b1.70±0.82b1.80±0.63b2.20±0.79b 8.53**8.42**24.70**19.66**18.00**
[주]Each values are Mean±SD.*p<0.05,**p<0.01.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과 관능 비교 검사한 결과 20대, 30대, 40대별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향기, 단맛, 쓴맛 정도에 대해서는 비교제품 1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제품의 색상면에서는 비교제품 1, 2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시제품이 좋은 기호성을 보였다.
종합적 기호도면에서는 20대에서 시제품이 비교제품과 비교하여 기호성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30대, 40대에서는 비교제품 1과 비교하여 유의성은 없이 비슷한 기호성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제품 2와 비교하여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효소학적 생리 기능성 실험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시제 생산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동결건조 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한방음료의 효소학적 생리 기능성 실험을 하기 위하여, 전자공여능, SOD - 유사활성, 잔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효과, ACE(Angion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에 관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4 : 전자공여능 측정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의 전자공여 작용(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은 Blois( Antioxidant determian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radical.Nature, 26, 1198 (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1.0mL에 2×10-4M의 α,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1.0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 효과는 시료첨가구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흡광도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전자 공여능(%)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 ) ×100
무첨가구의 흡광도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한방음료의 농도에 따른 수소 공여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 수소 공여능 측정에 사용된 DPPH는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그것의 비공유전자로 인해 517nm 부근에서 최대 흡수치를 나타내며 전자 또는 수소를 받으면 517nm부근에서 흡광도가 감소하며 각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에서 이러한 라디칼을 환원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능력이 크면 높은 항산화 활성 및 활성 산소를 비롯한 다른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인체내에서 활성 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하는 척도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농도가 0.05%인 경우 50%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으며 제품 원액에서는 80%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노화억제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 SOD - 유사활성측정
슈퍼옥시다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능은 Marklund(Marklund, S. and Marklund, G. :Eur. J. Biochem,47, 469-474 (1974))의 방법에 따라 각 시료액 0.2mL에 트리스-염산(tris-HCl)의 완충용액(50mM tris+ 10mM EDTA, pH 8.5) 3.0mL와 7.2mM 파이로개롤(pyrogallol) 0.2mL를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0N 염산(HCl) 0.1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 킨후 반응액 중 산화된 파이로개롤(pyrogallol)의 양을 420nm에서 측정하였다. SOD-유사활성능은 시료 첨가구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SOD-유사활성능(%)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 ) ×100
무첨가구의 흡광도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농도에 따른 SOD-유사활성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 (SOD)는 생체내에서 superoxide radical(활성산소)을 산소로 산화시켜주는 천연 항산화제로 단백질 또는 효소의 일종으로 활성 산소종을 안정한 물질로 전환시켜 산소상해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기능으로 알려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도별로는 10% 내외의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으며, 제품 원액에서 25%정도의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천연항산화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저해효과(통풍예방)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 활성저해 측정은 Stirpe와 Corte의 방법(Strip, F. and Corte, E.D.:J. Biol. Chem.,244, 3855(1969))에 준하여 측정한다. 즉. 반응구는 0.1M 인산칼륨 버퍼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에 잔틴(xanthine) 2mM을 녹인 기질액 1ml에 효소액 0.1ml(40mU/ml)와 시료용액 0.1ml를 가하고 대조구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0.1m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1N 염산(HCl) 1 ml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요산(uric acid)를 흡광도 292nm에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저해율을 구하였다.
저해율(%) = (1 - 반응구의 요산 )× 100
대조구의 요산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농도에 따른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저해율을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여 도 5에 도시하였다. 잔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는 퓨린(purine)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로서잔틴(xanthine) 또는 하이포잔틴(hypoxanthine)으로부터 요산을 생성하는데 관여한다. 요산이 혈액에 증가하면 낮은 용해성으로 인하여 혈액이나 골절에 축척되어 통풍을 유발하거나 신장에 침착하여 신장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농도가 0.05% 일때 80%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통풍예방효과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효과 (미백효과)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저해 측정 방법은 tyrosinase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L-3,4-dihydroxyphenylalanin, DOPA) 크롬(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Yagi 등(Yagi, K.:Chem. Phys. Lipids.,45, 337(1987))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머쉬롬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110 unit/mL) 0.1mL, 기질로서 5mM L-DOPA 0.2 mL, 0.175 M 인산염 버퍼(phosphate buffer, pH 6.8) 0.2 mL의 혼합액에 추출용액 0.5 mL를 첨가하여 35℃,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크롬(chrome)을 475 ㎚에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저해율을 구하였다.
저해율(%) = ( 1 - SAbs- BAbs )× 100
CAbs
SAbs: 실험시료를 첨가하여 475nm에서 흡광도 측정
BAbs: 효소 대신에 버퍼용액을 첨가하여 475nm에서 흡광도 측정
CAbs: 실험시료 대신에 버퍼용액을 첨가하여 475nm에서 흡광도
측정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측정하여 도 6에 도시하였다. 티로시나제(monophenol, dihydroxy-L-phenylalanin : oxygen oxidoreductase, EC 1.14.18.1)는 구리를 함유한 효소로 멜라닌(melanin) 합성에 관여하며 동물에서 멜라닌(melanin)은 피부병과 악성 흑색종(melanomas)와 관계있으며, 체내에서 멜라닌(melanin) 합성은 L-티로신(L-tyrosine)에서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L-3,4-dihydroxyphenylalanin, DOPA)을 생성시키고 다시 L-도파퀴논(L-dopaquinone)으로 전이시키는 연속된 효소적 산화가 진행된 후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농도별 티로시나제(tyrosinsae) 저해 효과는 실험시료의 농도가 0.5%와 1%에서 30%정도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제품의 원액에서는 70%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에 미백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 ACE(Angion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 (고혈압 예방 효과)
ACE 저해효과 측정은 Cushman 등(Cushman, D.W. and Ondetti, M.A.:Biochem. Pharmacology,29, 1871-1877(1980))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3 M 염화나트륨(NaCl)을 함유하는 0.1 M 인산 칼륨 버퍼 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8.3)에 기질 (Hippuryl-L-histidyl-L-leucine : HHL) 2.5 mL, ACE 0.1 mL와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 0.1 mL를 혼합했으며, 대조구는 탄닌 대신 증류수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1N 염산(HCl) 0.35 mL 첨가로 반응을 중지시킨 뒤 3mL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를 첨가했다.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층으로부터 용매를 증류시킨 잔사에 2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된 하이퓨릭산(hippuric acid)을 흡광도 228 ㎚에서 측정하였다.
저해율(%) = (1 - 반응구의 하이퓨릭산(hippuric acid) 생성량 )×100
대조구의 하이퓨릭산(hippuric acid) 생성량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농도에 따른 ACE 저해율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7에 도시하였다. ACE는 혈압강하작용을 가지는 브래디키닌(bradykinin)을 분해하여 불활성화시키고, 또한 앤지오텐신(angiotensin) Ⅰ을 생리적 혈압상승 물질인 앤지오텐신(angiotensin) Ⅱ로 전환시켜 고혈압의 원인인 효소로 알려져있다. ACE 저해제는 앤지오텐신(angiotensin) Ⅰ을 앤지오텐신(angiotensin) Ⅱ(ANG Ⅱ)로 활성형 호르몬으로 바꾸는 효소에 작용하여 ANG Ⅱ 및 알도스테론(aldosterone)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혈관확장제인 브래디키닌(bradykinin)을 증가시키고 신장혈관을 확장시켜 나트륨(sodium)의 배설을 촉진함으로써 혈압을 강하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의 농도 0.01%에서 50%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1% 및 원액에서는 90%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혈압강하 작용과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식품에서 ACE 저해 물질의 탐색은 혈압상승억제기능을 가진 식품소재의 개발이라는 측면에 더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ACE저해물질은 가열조리에 안정하며 체내에서의 흡수가 용이하며, 저해능은 혈압강하제에 비해 낮으나 항시 섭취하는 식품중에 존재한다는 보편성과 안정성면에서 그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3 : 골다공증 예방효과
본 연구에 사용된 경구 투여용 추출 시료는 냉장 보관된 시제 생산품을 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6주령된 Sprague-Dawley 계 웅성 흰쥐로서 효창사이언스에서 구입하였으며, 10일간 사육실 환경에 적응 시킨 후 평균 체중이 382.41±24.85g 인 것을 완전 임의배치법으로 체중이 균일하게 6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스테인리스 우리에서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정상군(정상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대조구(카드늄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그리고 실험군(카드늄식이에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공급한 경우)으로 조성되며, 실험식이는 AIN-76(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J. Nutr.,107, 1340-1348 (1977)) 배합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카드뮴은 CdCl2를 이용하여 Cd농도가 각각 250ppm이 되도록 식이에 첨가하였다.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는 렛드의 몸무게 1ml/100g이 되게 15시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동량의 증류수를 투여하면서 42일간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식이와 물은 제한 없이 공급하였으며, 물은 1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에 실험식이를 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골다공증 예방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뼈의 Ca 함량과 뼈세포의 조밀도를 조사하였다.
실험예 9 : 뼈의 Ca함량 측정
희생시킨 랫트로부터 대퇴골을 적출하여 뼈 조직에 부착된 근육, 지방, 인대 등을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105±10℃ 건조기에서 12시간 예비 건조시켜 건조무게를 측정 하여 550∼600℃의 회화로에서 24시간 동안 완전히 회화시킨 다음 30분간 방냉후 회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회분에 6N HCl을 가하여 용해한 후 1% LaCl3·7H2O 용액으로 희석하여 원자흡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 Hitachi Z-6000)를 이용하여 422.7nm에서 Ca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는 표 8에 나타낸바와 같다.
대퇴골의 회분과 칼슘함량
건조무게(g) 회분(mg) 칼슘(mg/g)
1.32±0.094) 650±12.44 142.01±3.29
대퇴골 10일 정상군l1)
대조구l2) 1.23±0.04 661.62±21.55 135.25±4.76
실험군3) 1.20±0.03 684±37.28 134.20±1.96
42일 정상군 1.74±0.19 924±29.29 140.74±9.02
대조구 1.63±0.16 886±20.23 96.75±8.13
실험군 1.65±0.14 891±23.95 115.35±5.56
[주]1) 정상식이 + 물2) 카드늄(250ppm)식이 + 물3) 카드늄(250ppm) 식이 + 한방음료4) Mean ± SD. (n=3)
환경 오염성 중금속 중의 하나인 카드늄은 이타이-이타이(Itai-Itai)병의 원인물질로서 오염된 식품이나 대기를 통하여 체내에 침입되는 카드늄은 약 50∼80%가 간과 신장에 분포하고 그 독성이 강하여 체내에 축척될 경우 체중감소, 빈혈, 간과 신장의 조직학적 형태변화, 고혈압, 단백뇨, 골연화증 등을 야기시킨다. 정상적인 식이에 물만 공급한 쥐의 대퇴부와 카드늄 식이에 물을 공급한 대조구와 카드늄 식이에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를 투여한 실험군의 대퇴부의 칼슘량을 분석한 결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육한지 10일 부근에서는 3군 모두 대퇴부 회분당 134mg/g으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육 42일째 정상군의 경우 140.74mg/g으로 변화가 없었으나 대조구의 경우 96.75mg/g으로 10일째와 비교하여약 28.3%정도 감소하였다.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를 투여한 군에서도 14%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를 투여한 군에서 카드늄이 일부 대퇴부에 축척되기도 하지만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에 의해 상당량이 화합물 형태로 배설되기 때문인 여겨진다.
실험예 10 : 뼈세포의 조밀도 조사
렛트를 희생시켜 각 조직을 절개한 후 대퇴부를 절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동결건조하여 세로면으로 절단하여 그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ing electon microscope, Hitach-S-4200, Japan)을 이용하여 2000배 확대비율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8a, 8b, 8c에 나타냈다.
카드늄을 식이에 첨가하여 사육한 쥐의 대퇴부를 절단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일반적인 식이와 물을 공급한 정상군 쥐의 대퇴골(도 8a)과 비교하여 카드늄 식이에 물만 공급한 대조군(도 8b) 쥐의 대퇴골 부분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부분적으로 구멍이 관찰되었으며, 카드늄 식이에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를 경구 투여한 쥐의 대퇴골(도 8c)은 정상적인 쥐에 비하여 견고하지는 않았으나 대조구에 비하여 견고한 구조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골다공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 보혈효과 및 중금속 제거효과
본 연구에 사용된 경구 투여용 추출 시료는 냉장 보관된 시제 생산품을 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6주령된 Sprague-Dawley 계 웅성 흰쥐로서 효창사이언스에서 구입하여, 10일간 사육실 환경에 적응 시킨 후 평균 체중이 364.29±21.46g 인 것을 완전 임의배치법으로 체중이 균일하게 6마리씩 2군으로 나누어 스테인리스 우리에서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대조구(카드늄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와 실험군(카드늄식이에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공급한 경우)으로 조성되며, 실험식이는 AIN-76(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J. Nutr.,107, 1340-1348 (1977)) 배합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카드뮴은 CdCl2를 이용하여 Cd농도가 각각 250ppm이 되도록 식이에 첨가하였다.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는 렛드의 몸무게 1ml/100g이 되게 15시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동량의 증류수를 투여하면서 48일간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식이와 물은 제한 없이 공급하였으며, 물은 1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에 실험식이를 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보혈효과 및 중금속 제거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헤모글로빈과 헤마크릿치를 측정하였으며, 각 장기조직 및 변에서 카드늄의 축적 및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1 : 헤모글로빈 및 헤마토크릿 측정
실험동물은 혈액 채취 전 하룻밤 절식 시켜 경추 탈골로 희생시킨 후 경동맥혈을 통하여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헤파린이 처리된 채혈통에 보관하여 헤모글로빈과 헤마크릿치 측정에 사용하였다.
헤모글로빈(Hemoglobin) 함량은 백 등(백태홍, 김천호, 전세열. 영양학실험, 수학사, 35-36 (1984))의 방법에 준하여 시안메테모글로빈법(Cyanmethemoglobin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시안나이드 용액(Cyanide solution) 5ml에 0.02ml의 혈액을 가하여 잘 교반한 후 540nm의 흡광에서 비색 정량 하였으며, 헤마토크릿(Hematocrit)는 헤파린이 처리된 모세관에서 모세관의 원리를 이용하여 2/3정도 채운 후 11,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혈구의 부피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는 표9에 나타낸 바와 같다.
헤모글로빈 함량과 헤마토크릿 값
그룹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g/dL) (%)
10일 대조구1) 15.2±1.323) 39.8±3.91
실험군2) 16.1±0.92 41.3±3.04
42일 대조구 13.67±1.19 24.47±2.85
실험군 14.36±0.96 26.6±2.26
[주]1) 카드늄(250ppm) 식이 + 물2) 카드늄(250ppm) 식이 + 한방음료3) Mean ± SD. (n=3)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중의 헤모글로빈(Hb)함량과 헤마토크릿(Ht)를 측정한 결과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여 10일째 Hb함량이 대조군은 15.2 (g/dL)였으나 42일 경과후 13.67(g/dL)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Ht치도 39.8%에서 24.47%로 감소하였다. 실험군에서는 Hb함량이 16.1에서 14.36 (g/dl)정도로 감소하였으며, Ht치도 41.3%에서 26.6%로 감소하였다. 카드늄 투여로 인한 Hb와 Ht의 감소는 카드늄과 철분이 서로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장에서 철분흡수를 방해하여 체내 철분 보유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12 : 각 장기조직 및 변에서 Cd(카드늄) 축척 및 배설량 측정
희생시킨 랫트로부터 간, 신장을 적출하여 지방과 근육을 제거한 후 생리 식염수(0.85% NaCl 용액)으로 세척하여 혈액을 제거한 후 여과지로 물기를 닦고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105±10℃ 건조기에서 12시간 예비 건조시켜 건조무게를 측정하여 550∼600℃의 회화로에서 24시간 동안 완전히 회화시킨 다음 30분간 방냉후 회분무게를 측하였다. 회분에 6N HCl을 가하여 용해한 후 1% LaCl3·7H2O 용액으로 희석하여 원자흡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 Hitachi Z-6000)를 이용하여 228.8nm에서 카드늄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변은 1주일 간격으로 일정량을 수거하여 간, 신장과 동일한 방법으로 카드늄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1) 각 장기조직 및 변의 Cd(카드늄)측정량
간과 신장 조직의 카드늄 함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카드늄의 축적 정도가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다. 카드늄의 대사에서 대부분의 카드늄은 간과 신장조직에 축적된다고 한다. 본 실험에서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히 신장에서의 카드늄의 축척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간에서는 42일 경과 후 대조구 및 실험군에서 10일 보다 2배정도 축적되었으나, 신장에서는 약 45배 이상 증가하였다. 42일 이후 카드늄의 축척은 간 조직에서 대조구가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를 투여한 실험군보다 14.2%정도 많이 축척되었으며, 신장에서는 23.5%정도 더 축척 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결과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중금속 제거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쥐의 간과 신장에서의 카드늄 함량
건조중량(mg) 회분(mg) 카드늄(mg/g)
10일 대조구1) 2622.27±231.543) 143.6±9.31 1.99±0.45
실험군2) 2654.73±125.76 153.64±6.05 1.82±0.37
42일 대조구 2804.2±257.32 156.1±2.46 4.04±0.18
실험군 2779.87±288.54 153.3±1.68 3.54±0.20
신장 10일 대조구 629.80±66.47 33.7±3.57 0.75±0.07
실험군 589.83±77.15 30.8±5.16 0.50±0.06
42일 대조구 647.60±33.22 44.83±0.87 35.56±5.48
실험군 654.53±87.02 43.66±10.23 28.79±3.76
[주]1) 카드늄(250ppm) 식이 + 물2) 카드늄(250ppm) 식이 + 한방음료3) Mean ± SD (n=3)
2) 변의 카드늄 함량 분석
변을 통한 카드늄 배설량은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대조군의 경우 2주부터 6주까지 13.78∼14.73 (mg/g) 정도로 변을 통한 카드늄의 배설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한방음료를 투여한 실험군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카드늄 배설량이 증가하였다. 실험군은 1주에 비해 6주에서 변에서 측정된 카드늄의 양이 17.58 (mg/g)으로서 57.95%정도 증가하였다. 대조구와 실험군을 비교하여 보면, 마지막 6주에서 실험군의 변에서 카드늄이 대조구에 비해 19.34% 더 배설되었다. 이는 변에서 카드늄이 본 벌명에 위한 한방음료와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장내 흡수가 되지 않고 배설되는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결과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중금속과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변으로 배설함으로 인해 체내에 있는 중금속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용 쥐의 변을 통한 카드늄 배설량
변에 들어 있는 카드늄의 양 (mg/g)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대조구l 11.97±2.02 14.18±2.50 13.78±0.99 13.81±1.38 14.56±1.24 14.73±0.73
실험군 11.13±1.52 16.34±0.12 15.32±1.04 16.29±1.60 17.76±2.12 17.58±0.94
[주]1) 정상식이 + 물2) 카드늄(250ppm) 식이 + 물3) 카드늄(250ppm) 식이 + 한방음료4) Mean ± SD (n=3)
실시예 5 : 강장작용에 관한 조사
본 발명에 사용된 경구 투여용 추출 시료는 냉장 보관된 시제 생산품을 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6주령된 Sprague-Dawley 계 웅성 흰쥐로서 효창사이언스에서 구입하여, 10일간 사육실 환경에 적응 시킨 후 평균 체중이 361.21±23.17g 인 것을 완전 임의배치법으로 체중이 균일하게 6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스테인리스 우리에서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정상군(정상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대조구(카드늄식이에 물을 공급한 경우) 와 실험군(카드늄식이에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공급한 경우)으로 조성되며, 실험식이는 AIN-76(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J. Nutr.,107, 1340-1348 (1977)) 배합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카드뮴은 염화카드늄(CdCl2)를 이용하여 카드늄농도가 각각 250ppm이 되도록 식이에 첨가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는 렛트의 몸무게 1ml/100g이 되게 15시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동량의 증류수를 투여하면서 42일간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식이와 물은 제한 없이 공급하였으며, 물은 1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에 실험식이를 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강장작용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정액을 채취하여 정자수를 측정하였으며, 지구력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3 : 정액 채취 및 정자수 검사
렛트로부터 고환을 적출한 후 지방을 제거한 후 생체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정소상체미부를 적출하여 20ml의 인산완충용액 (Phosphate buffer solution) 내에서 세절하여 37℃ 항온기에 30분간 정치하여 정자가 유출 되도록 유도하였다. 30분 경과후 원정액을 인산완충용액 (Phosphate buffer solution)을 이용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헤마사이토메터(Ha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 하였다.
42일간 카드늄을 식이에 첨가하여 사육한 쥐의 정소를 채취하여 정자수를 측정한 결과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정상적인 식이를 공급한 정상군의 정자수는 144백만 마리가 계수 되었으며, 이에 비해 카드늄만을 공급한 대조구의 정자수는 114백만 마리로 정상군의 79.1%정도 였으며, 한방음료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131백만 마리로 정상군의 90.97%로 정상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한방음료를 공급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성선 기관에 손상을 적게 받은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이는 중금속에 중독되거나 기타 환경에 의해 저하된 성기능 개선에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가 효능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14 : 지구력 테스트
42일 동한 사육한 쥐를 실험 종료일에, 쥐의 뒷다리를 묶은 다음 37℃의 따뜻한 물을 채운 물통에 거꾸로 매달아 익사 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지구력 정도를 측정하였다.
카드늄을 식이로 공급한 쥐의 지구력 검사는 도 10a∼ 도 10c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표12와 같다. 지구력 측정 시간은 쥐가 물속에 가라앉아 더 이상 수면위로 올라오지 못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상군은 약 1시간 정도 물속에서 견디었으며, 실험군도 약 40분 가량 물속에서 견디었다. 그러나 대조구는 20분 정도로 아주 낮은 지구력을 보였다. 이는 카드늄만 투여한 대조구에서 근력 및 여러 장기에 카드늄 축적에 의한 손상이 많은 반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음료를 함께 투여한 실험군에서 카드늄의 배설과 함께 손상된 근력조직 및 장기들의 회복능력이 항진 된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쥐의 지구력 측정결과
그룹(Group) 시간 (min)
정상군1) 59.6±7.144)
대조구2) 20.74±11.16
실험군3) 41.25±3.62
[주]1) 정상식이 + 물2) 카드늄(250ppm) 식이 + 물3) 카드늄(250ppm) 식이 + 한방음료4) Mean ± SD (n=3)
이상,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용 및 기타 한약재와 감미보조제를 추출 혼합하여, 효소생리학적 실험을 통하여 전자공여능이 높아 노화억제효능이 있으며, SOD-유사활성능이 있으며,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의 저해효과가 있어 통풍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효과가있어 미백효과가 있으며,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가 있어 고혈압 예방효과가 있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한방음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골다공증 예방효과, 보혈효과 및 중금속 제거효과 그리고 강장작용이 있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한방음료를 제공하는 뛰어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녹용 1.5∼2.5 중량%, 녹육 1.0∼2.0 중량%, 단삼 1.0∼1.3 중량%, 백출 0.1∼0.5 중량%, 당귀 1.0∼1.5 중량%, 천궁 0.5∼1.2 중량%, 대추 1.0∼2.0 중량%, 계피 1.0∼1.3 중량%, 황기 0.5∼1.2 중량%, 생강 1.0∼2.0 중량%와 박하 0.2∼0.7 중량%를 혼합하여 정제수 75∼80 중량%를 넣고, 100 ∼ 110 ℃에서 5시간 추출하여 한약재 찌꺼기와 추출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추출물은 4,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감미보조제로서 사과과즙 2.5∼3.5 중량%, 액상과당 6.0∼8.0 중량%, 구연산 0.005∼0.03 중량%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음료는 높은 전자공여능을 가지고 있어 노화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음료는 SOD(Superoxide dismutase)-유사활성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음료는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저해효과가 있어 통풍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5. 제 1항에서 제조된 한방음료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효과가 있어 미백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6. 제 1항에서 제조된 한방음료는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가 있어 고혈압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7. 제 1항에서 제조된 한방음료는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8. 제 1항에서 제조된 한방음료는 보혈효과 및 중금속 제거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9. 제 1항에서 제조된 한방음료는 강장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음료.
KR10-2001-0023507A 2001-04-30 2001-04-30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 KR10042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507A KR100429244B1 (ko) 2001-04-30 2001-04-30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507A KR100429244B1 (ko) 2001-04-30 2001-04-30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360A KR20020084360A (ko) 2002-11-07
KR100429244B1 true KR100429244B1 (ko) 2004-04-28

Family

ID=2770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507A KR100429244B1 (ko) 2001-04-30 2001-04-30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035A3 (ko) * 2014-12-23 2016-09-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감국 및 계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26B1 (ko) * 2009-02-02 2011-04-08 이준상 녹용추출물이 함유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226463B1 (ko) * 2011-07-14 2013-02-07 김송지 한방 미네랄 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한방 미네랄 차
KR101717755B1 (ko) * 2014-12-31 2017-03-20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홍삼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건강음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035A3 (ko) * 2014-12-23 2016-09-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감국 및 계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US10098921B2 (en) 2014-12-23 2018-10-16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Method for treating gout and gout-induced arthritis using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Chrysanthemum indicum and Cinnamomum cass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360A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239B1 (ko) 옥수수 수염과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CN104017700B (zh) 一种调和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0451665B1 (ko) 홍화씨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건강식품
CN106962906A (zh) 一种用于排毒养颜的组合物、含其的食疗冲料及其制备方法
CN106212860A (zh) 牛饲料中草药添加剂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CN104473286A (zh) 黄秋葵、菌、藻合成的固体(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70013114A (ko) 차 조성물
KR100429244B1 (ko) 녹용 및 기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음료
KR20210063657A (ko)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22279B1 (ko) 천마 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4223A (ko) 숙취해소용 음료수 조성물
KR100863407B1 (ko) 전복한방유황오리환의 제조
KR100837140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건강음료
KR102472794B1 (ko) 다슬기 효소 분해물 및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고령친화 다슬기 녹차 겔 제조 방법
CN104206580B (zh) 一种莞香花叶茶饮料及其制作工艺
CN105832891A (zh) 一种治疗母貂乳房炎的注射液及其制备方法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07006717A (zh) 含有桑叶和蚕的鸡饲料
CN110089754A (zh) 肝胆保健品
CN104432305A (zh) 一种食疗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475628B1 (ko) 해삼을 주재로한 보건 식품의 제조방법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4472816A (zh) 黄秋葵、菌、藻植物组合物制作功能巧克力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