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231B1 -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231B1
KR100429231B1 KR10-2002-0010570A KR20020010570A KR100429231B1 KR 100429231 B1 KR100429231 B1 KR 100429231B1 KR 20020010570 A KR20020010570 A KR 20020010570A KR 100429231 B1 KR100429231 B1 KR 10042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scattering
condensate
air condition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048A (ko
Inventor
정인화
진심원
이창선
정문기
윤인철
안철오
이주연
문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31B1/ko
Priority to JP2002202524A priority patent/JP2003254557A/ja
Priority to CNB021315256A priority patent/CN1229598C/zh
Publication of KR2003007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기기내에서 자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조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열부와 방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하부구조를 이루며 상기 흡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열을 발산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열교환기와 사이트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열교환기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측에 그 반경방향이 열교환기의 수평방향과 5~10도 경사짐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모인 응축수를 열교환기의 일측면에 비산시키는 비산팬과,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측에 상기 비산팬에 축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산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비산수단; 그리고, 상기 비산수단측에 구비되어 응축수 비산시 외부로 응축수가 새는 것을 차단시키는 실링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Drain treatment device i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기기내에서 자체 처리하는 한편, 공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응축기(2)-팽창밸브(3)-증발기(4)로 이루어져,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2)에서 등압응축되고, 팽창밸브(3)에서 단열팽창되며, 증발기(4)에서 등압증발되는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와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로 나뉘는데, 상기 방열부에는 상기 압축기(1)와 응축기(2)가 포함되고, 상기 흡열부에는 상기 팽창밸브(3)와 증발기(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증발기(4)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되는데,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별도의 응축수 처리장치가 더 부가되게 된다.
여기서, 응축수 처리장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기기내에 별도의 응축수저장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증발기(4)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아 일정시간마다 응축수저장챔버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응축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증발기(4)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기기내에서 자체 처리하지 못하고 기기 밖으로 흘려 보냄에 따라, 설치 및 사용상의 번잡함이 초래되었다.
즉, 증발기(4)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실외로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배수호스를 요하고, 상기 배수호스가 실외로 노출되도록 벽을 뚫어야 하는 설치상의 번잡함과, 기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 재 설치를 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번잡함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기기내에서 자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조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평면도.
도 5는 도 2의 "A"에서 바라본 요부 배면도.
도 6은 도 2의 Ⅰ-Ⅰ 단면도.
도 7은 도 2의 Ⅱ-Ⅱ 단면도.
도 8은 도 2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Ⅲ-Ⅲ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에서 바라본 요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열교환기
30: 사이드 플레이트 31: 통공
40: 비산수단 41: 지지부재
42: 비산팬 42a: 블레이드의 외주
43: 모터 50: 실링수단
51: 수직격벽 51a: 홀
52: 실러 53: 수평격벽
54: 경사격벽 55: 삽입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흡열부와 방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하부구조를 이루며 상기 흡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열을 발산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열교환기와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열교환기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측에 그 반경방향이 열교환기의 수평방향과 5∼10도 경사짐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모인 응축수를 열교환기의 일측면에 비산시키는 비산팬과,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측에 상기 비산팬에 축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산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비산수단; 그리고, 상기 비산수단측에 구비되어 응축수 비산시 외부로 응축수가 새는 것을 차단시키는 실링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산팬에 의해 비산된 응축수가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면으로만 비산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되며 이외의 방향으로는 그 비산을 막는 수직격벽이 포함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도 기기내 열교환기에서 자체 처리시킬 수 있는 한편, 열교환기의 냉각으로 공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도 2의 요부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요부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에서 바라본 요부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Ⅰ-Ⅰ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Ⅲ-Ⅲ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B"에서 바라본 요부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공기조화기는 종래기술에 개략적으로 언급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품명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열부와 방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하부구조를 이루며 상기 흡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열을 발산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공(31)이 형성되는 사이드 플레이트(30)와; 상기 열교환기와 사이트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열교환기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41)와, 상기 지지부재(41)의 일면측에 그 반경방향이 열교환기(20)의 수평방향과 5~10도 경사짐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모인 응축수를 열교환기의 일측면에 비산시키는 비산팬(42)과, 상기 지지부재(41)의 타면측에 상기 비산팬에 축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산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비산수단과; 상기 비산수단측에 구비되어 응축수 비산시 외부로 응축수가 새는 것을 차단시키는 실링수단(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비산팬(42)은, 상기 모터(41) 축의 직각방향으로 응축수를 비산시킬 수 있는 횡류팬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열교환기(20)의 높이가 300mm이하인 경우, 상기 횡류팬(42)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횡류팬(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블레이드 외주(42a)가 원주방향으로 5∼30도(θ1) 경사져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의 반경방향이 상기 열교환기(20)의 수평방향과 5∼10도(θ2) 경사져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의 반경방향이 상기 열교환기(20)의 수직방향과 1∼3도(θ3) 경사져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열교환기(20)의 높이가 300mm이상인 경우, 상기 횡류팬(42)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횡류팬(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블레이드 외주(42a)가 원주방향으로 30∼60도(θ1) 경사져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의 반경방향이 상기 열교환기(20)의 수평방향과 5∼10도(θ2) 경사져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의 반경방향이 상기열교환기(20)의 수직방향과 1∼3도(θ3) 경사져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링수단(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산팬(42)에 의해 비산된 응축수가 상기 열교환기(20)의 외측면(사이드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면)으로만 비산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홀(51a)이 형성되며 이외의 방향으로는 그 비산을 막는 수직격벽(51)이 포함된 것임 바람직하고, 이와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격벽(51)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의 내측면 사이에 긴밀하게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통공(31)으로 응축수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실러(52)가 더 포함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링수단(50)은, 상술한 수직격벽(51) 및 실러(52)와 함께 또는 상술한 수직결벽 및 실러와 별도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산팬(42)에 의해 비산된 응축수가 상기 방열부 상측 밖으로 비산되지 못하도록 상기 방열부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격벽(53)이 포함된 것임이 바람직하고, 이와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격벽(53)에서 튀긴 응축수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의 내측면으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상기 수평격벽(53)에서 하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됨과 함께 기기의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격벽(54)이 더 포함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수단(50)은, 상술한 수직격벽(51)/실러(52)/수평격벽(53)/경사격벽(54)과 함께 또는 별도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산팬(42)에 의해 비산된 응축수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를 타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트(10) 사이 틈으로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단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한 삽입부(55)가 포함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부(55)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드(3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하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바닥면은, 상기 비산수단(40)측으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경사져(도 9의 'θ4'참조)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이와 더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바닥면 중 상기 비산수단(40)측에는 응축수가 소정량 고일 수 있도록 포오밍(forming)가동된 포오밍부(11)가 더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부가 실외에 설치될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소정 높이부에 빗물 통과공(12)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산수단의 동작을 기술하면서 각 실링수단의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방열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0)로 유입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포오밍부(11)에 소정량 채워지면, 모터(43)를 온(ON)시켜 비산팬(4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후, 비산팬(42)의 회전으로 응축수는 열교환기(20)의 외측면으로 비산되면서 열교환기를 냉각시킴과 함께 증발 제거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직격벽(51)과 이에 형성된 홀(51a)은 비산되는 응축수를 열교환기(20)의 외측면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실러(52)는 사이드 플레이트(30)의 통공(31)으로 응축수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수직격벽(51)과 사이드 플레이트(30)의 내측면 사이를 실링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수평격벽(53)은 응축수가 방열부 상측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경사격벽(54)은, 수평격벽(53)에서 튀긴 응축수가 통공(31)이 있는 사이드 플레이트(30)의 내측면으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55)는 응축수가 사이드 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드(10)사이 틈으로 새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공됨에 따라,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도 기기내 열교환기에서 자체 처리시킬 수 있고, 열교환기(20)의 냉각으로 공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기외로 응축수가 누수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이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도 기기내 열교환기에서 자체 처리시킬 수 있음에 따라, 실외로 배수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요하지 않으므로 기기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를 열교환기로 비산시켜 열교환기를 냉각시킴에 따라, 기기의 공조효율(일명 "냉동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를 기기내에서 자체 처리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누수현상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모든 효과를 다 포함한다.

Claims (16)

  1. 흡열부와 방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하부구조를 이루며 상기 흡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열을 발산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열교환기와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열교환기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측에 그 반경방향이 열교환기의 수평방향과 5∼10도 경사짐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모인 응축수를 열교환기의 일측면에 비산시키는 비산팬과,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측에 상기 비산팬에 축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산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비산수단; 그리고,
    상기 비산수단측에 구비되어 응축수 비산시 외부로 응축수가 새는 것을 차단시키는 실링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팬은, 상기 모터 축의 직각방향으로 응축수를 비산시킬 수 있는 횡류팬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의 블레이드 외주는, 상기 열교환기의 높이가 300mm이하인 경우, 축결합부를 기준삼아 원주방향으로 5∼30도 경사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의 블레이드 외주는, 상기 열교환기의 높이가 300mm이상인 경우, 축결합부를 기준삼아 원주방향으로 30∼60도 경사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은, 상기 열교환기의 높이가 300mm이하인 경우, 그 반경방향이 상기 열교환기의 수직방향과 1∼3도 경사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8.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은, 상기 열교환기의 높이가 300mm이상인 경우, 그 반경방향이 상기 열교환기의 수직방향과 0∼1도 경사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산팬에 의해 비산된 응축수가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면으로만 비산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되며 이외의 방향으로는 그 비산을 막는 수직격벽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에는;
    상기 수직격벽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에 긴밀하게 구비되어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통공으로 응축수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실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비산팬에 의해 비산된 응축수가 상기 방열부 상측 밖으로 비산되지 못하도록 상기 방열부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격벽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에는;
    상기 수평격벽에서 튀긴 응축수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상기 수평격벽에서 하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됨과 함께 기기의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격벽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비산팬에 의해 비산된 응축수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타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틈으로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한 삽입부가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드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하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닥면은, 상기 비산수단측으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경사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닥면 중 상기 비산수단측에는 응축수가 소정량 고일 수 있도록 포오밍(forming)가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비산처리장치.
KR10-2002-0010570A 2002-02-27 2002-02-27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42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570A KR100429231B1 (ko) 2002-02-27 2002-02-27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JP2002202524A JP2003254557A (ja) 2002-02-27 2002-07-11 空気調和機
CNB021315256A CN1229598C (zh) 2002-02-27 2002-07-15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570A KR100429231B1 (ko) 2002-02-27 2002-02-27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048A KR20030071048A (ko) 2003-09-03
KR100429231B1 true KR100429231B1 (ko) 2004-04-29

Family

ID=2778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570A KR100429231B1 (ko) 2002-02-27 2002-02-27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254557A (ko)
KR (1) KR100429231B1 (ko)
CN (1) CN12295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6109C (zh) * 2004-11-29 2007-12-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室内机
CN102401453B (zh) * 2010-09-16 2016-01-2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体式空调器
CN112344445A (zh) * 2019-08-08 2021-02-09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室外机
TWI800221B (zh) * 2022-01-18 2023-04-21 台灣日立江森自控股份有限公司 用於固定空調裝置壓縮機的結構以及用於壓縮機固定之空調裝置的底盤結構改良
KR102527000B1 (ko) * 2022-08-25 2023-04-27 오성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2941U (ko) * 1974-09-03 1976-03-11
JPS5340050U (ko) * 1976-09-10 1978-04-07
JPS6238522U (ko) * 1985-08-28 1987-03-07
JPH06249459A (ja) * 1993-02-26 1994-09-06 Sharp Corp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KR20000004748U (ko) * 1998-08-14 2000-03-15 황한규 루프형 에어컨의 수분제거기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2941U (ko) * 1974-09-03 1976-03-11
JPS5340050U (ko) * 1976-09-10 1978-04-07
JPS6238522U (ko) * 1985-08-28 1987-03-07
JPH06249459A (ja) * 1993-02-26 1994-09-06 Sharp Corp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KR20000004748U (ko) * 1998-08-14 2000-03-15 황한규 루프형 에어컨의 수분제거기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1209A (zh) 2003-09-10
KR20030071048A (ko) 2003-09-03
CN1229598C (zh) 2005-11-30
JP2003254557A (ja) 200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6971A1 (en) Ventilation device and the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6793760B2 (ja) 放熱アセンブリ及び冷却装置
KR100429231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JP2009079778A (ja) 冷蔵庫
US7007496B2 (en) Internal temperature difference preve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10514196B2 (en) Condensate drain pan port
KR2017000170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01056174A (ja) 冷蔵庫
KR100829133B1 (ko) 천정형 에어컨의 냉기누설 방지구조
KR100533051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안내 구조
KR100437055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 가이드
KR102527000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411664Y1 (ko)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내 유로구조
KR100829132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공기누설 방지구조
KR2004002134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냉각장치
KR10048482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용 송풍장치
KR20040003676A (ko) 에어컨의 실외기 응축수 배출장치
KR200196970Y1 (ko) 냉장고용기계실커버
KR890005659Y1 (ko) 공기 조화기의 냉매 냉각장치
KR100511969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39766A (ko) 창문형 에어컨
KR20070008235A (ko) 천정형 공기 조화기
KR2003004303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00056266A (ko) 냉장고 기계실의 공기 유로구조
JPH06249465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