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766A - 창문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39766A KR20040039766A KR1020020067940A KR20020067940A KR20040039766A KR 20040039766 A KR20040039766 A KR 20040039766A KR 1020020067940 A KR1020020067940 A KR 1020020067940A KR 20020067940 A KR20020067940 A KR 20020067940A KR 20040039766 A KR20040039766 A KR 200400397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enser
- air conditioner
- refrigerant
- fan
- evapo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4—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in a window-type room air condition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에어컨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에 의해 가압된 냉매를 응축하여 그 온도를 낮추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 작용을 이루는 증발기, 그리고 증발기를 거쳐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팬과, 실외공기를 이용해 상기 응축기의 냉각작용을 이루는 실외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저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응축기가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에 일정깊이 잠기도록 잠김홈을 구비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제거함과 아울러 응축기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형에어컨의실내기측 열교환기(이하 '증발기'라 함)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실외기측 열교환기(이하 '응축기'라 함)에 비산시켜 냉각시킴과 아울러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창문형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conditioner)은 실내기측과 실외기측이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룸 에어컨 및 용량이 대형인 패지키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창문형 에어컨으로 구분되어진다.
도 1은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부분 측단면이며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은 본체 케이스(100) 내부를 격판(101)에 의하여 실내기측(110)과 실외기측(120)으로 단열 분할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측(120)은 기상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21)와, 그 압축기(12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122)와, 상기 격판(101)에 가설된 모터에 의하여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실외기팬(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측(110)은 상기 응축기(122)에서 응축된 액상의 냉매를 팽창밸브(혹은 모세관)를 거처 팽창된 냉매를 기화시켜 주위의 열을 흡수하도록 하는 증발기(111)와, 그 증발기(111)에 실내의 공기를 불어주는 실내기팬(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팬(112)은 상기 격판(101)을 관통하는 고정된 하나의 실외기팬 모터(123)의 타 단에 연장 결합되어 실외기팬(124)과 서로 연동 회전하는 터보팬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외기팬(124)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가 프로펠러(124a)의 뒤에서 앞으로 축선을 따라 이동하는 축류팬이 사용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어 유입된 바닥면의 응축수와 접한 후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시키기 위한 프로펠러들의 외주면을 잇는 슬링거링(124b)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창문형 에어컨의 압축기(121)가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122)에서 실외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 냉매액이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액이 증발기(111)에서 실내기와 열교환하도록 가동된다.
또한, 상기 모터(123)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는 실내기팬(112)에 의하여 증발기(111) 외표면에 접하여 열교환되는 실내기가 노점온도까지 냉각되어 공기중의 수중기가 응축된 응축수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가 본체 케이스(100) 바닥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실외기측(120) 바닥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실외기측(120) 바닥면으로 흘러든 응축수가 상기 모터(123)에 의하여 연동하는 실외기팬(124)의 프로펠러(124a) 외주면을 잇도록 형성된 슬링거링(124b)에 접하여 튀겨진 후 토출 공기에 의해 응축기(122) 외표면에 비산된 응축수(130)가 증발열 흡수하여 증발하면서 응축기(122)를 냉각시킨다.
그러나, 실외기팬(124)의 외주면에 형성되 슬링거링(124b)이 바닥면의 응축수(130)와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실외기팬(124)을 회전시키는 모터(123)의 추가적인 동력 손실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외기팬의 프로펠러(124a)들의 외측을 잇도록 형성된 슬링거링(124b)이 바닥면의 응축수(130)와 접하도록 위치시켜야 함으로써 실외기팬(124)의 가설 높이에 따른 설치위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응축수 제거함과 아울러 응축기의 냉각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창문형 에어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평단면도,
도 2는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잠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본체 케이스2: 케이스 덮개
3: 케이스 바닥면5: 격판
10: 실내기측12: 실내기팬
20: 실외기측22: 응축기
23: 모터24: 실외기팬
30: 응축수50: 잠김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에 의해 가압된 냉매를 응축하여 그 온도를 낮추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 작용을 이루는 증발기, 그리고 증발기를 거쳐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팬과, 실외공기를 이용해 상기 응축기의 냉각작용을 이루는 실외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닥면에 상기 응축기의 저부가 일정깊이 잠기어 응축기 잠김면에 접하는 응축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잠김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김홈은 상기 응축기 하부 냉매배관의 2내지 3열이 잠기는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최 하단 냉매배관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을 도시한 도면을 따라 그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잠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에어컨은 본체 케이스(1) 내부를 격판(5)에 의하여 압축기(미도시)와 응축기(22) 그리고 실외기팬(24)이 구비된 실외기측(20)과, 증발기(11)와, 실내기팬(12)이 구비된 실외기측(20) 단열 분할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는 압축기(21), 응축기(22), 증발기(11), 그리고 실외기팬(24)과 실내기팬(12)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3)가 고정됨과 아울러 케이스 내부를 실내기측(10)과 실외기측(20)으로 구획하는 격판(5)이 고정되는 케이스 바닥면(3)과, 상기 바닥면을 덮는 케이스 덮개(2)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바닥면(3)은 상기 실내기측(10) 증발기(11)에서 발생한 응축수(30)가 실외기측(20) 응축기(22) 저부에 집수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응축기(22)의 저부가 일정 깊이 잠기도록 하기 위한 잠김홈(50)이 구비된다.
상기 잠김홈(50)은 상기 응축기(22)의 저부 냉매배관 중 2내지 3열이 잠길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깊이는 응축기의 냉매배관이 20mm 간격을 가지고 형성됨으로 약 42~52mm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창문형 에어컨의 압축기(121)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응축기(22)에서 실외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고, 상기 응축기(22)에서 응축된 저온고압의 냉매액이 팽창밸브(미도시)를 통해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상태로 증발기(11)에 유입되어 실내기팬(12)에 의하여 유입된 실내기와 열교환하도록 한다.
상기 실내기측(10)의 증발기(11)의 차가운 외표면에 접하여 냉각되는 실내기가 노점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증발기(11) 표면에 응축수(30)가 맺히게 되며, 이 응축수(30)가 흘러 내려 실외기측(20) 응축기(22) 저부 잠김홈(50)에 집수되도록 한다.
상기 압축기(2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상기 응축기(22)의 최하단의 냉매배관으로 유입되어 상기 잠김홈(50)에 집수된 저온의 응축수(30)와 열교화한하여 냉각되도록 하여 최상측 냉매배관으로 토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김홈(50)에 집수된 응축수(30)는 상기 응축기(22) 내부의 냉매가스가 냉매액으로 액화되면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기화되어 실외기측(20)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기측의 송풍팬을 축류팬 내지 횡류팬 모두가 적용가능하고, 팬에 물 튀김 장치가 구비되지 않음으로 송풍팬을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응축수 튀김에 따라 송풍팬의 동력손실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제거함과 아울러 응축기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에 의해 가압된 냉매를 응축하여 그 온도를 낮추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 작용을 이루는 증발기, 그리고 증발기를 거쳐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팬과, 실외공기를 이용해 상기 응축기의 냉각작용을 이루는 실외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상기 응축기 저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응축기가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에 일정 깊이 잠기도록 잠김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잠김홈은 상기 응축기 하부 냉매배관의 2내지 3열이 잠기는 깊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응축기는 최 하단 냉매배관으로 냉매가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67940A KR20040039766A (ko) | 2002-11-04 | 2002-11-04 | 창문형 에어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67940A KR20040039766A (ko) | 2002-11-04 | 2002-11-04 | 창문형 에어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9766A true KR20040039766A (ko) | 2004-05-12 |
Family
ID=3733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67940A Withdrawn KR20040039766A (ko) | 2002-11-04 | 2002-11-04 | 창문형 에어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3976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35901A (zh) * | 2012-05-03 | 2012-08-15 | 海尔集团公司 | 窗式空调器的冷凝系统 |
KR200487369Y1 (ko) | 2018-02-20 | 2018-09-07 | 이태윤 | 다중 간편식 포장체 |
-
2002
- 2002-11-04 KR KR1020020067940A patent/KR20040039766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35901A (zh) * | 2012-05-03 | 2012-08-15 | 海尔集团公司 | 窗式空调器的冷凝系统 |
KR200487369Y1 (ko) | 2018-02-20 | 2018-09-07 | 이태윤 | 다중 간편식 포장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13220Y1 (ko) | 에어컨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 냉각장치 | |
KR200159553Y1 (ko) | 포터블 에어컨 | |
KR20040097582A (ko) | 냉방용 축냉식 공기냉각기 | |
KR20040039766A (ko) | 창문형 에어컨 | |
KR100539812B1 (ko) |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 |
KR20060065031A (ko) | 응축수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 |
KR200285314Y1 (ko) | 에어컨 장치 | |
KR100399323B1 (ko) | 창문형 에어컨 | |
KR100436935B1 (ko) | 과냉각응축기 일체형 증발기 | |
KR20000044074A (ko) |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 |
KR20040039768A (ko) |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 장치 | |
KR20000044075A (ko) |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 |
KR100708621B1 (ko) | 냉장고용 방열장치의 송풍장치 | |
KR0139260Y1 (ko) | 창문형 에어컨디셔너 | |
KR200170292Y1 (ko) | 에어컨용 콘덴서 | |
KR200285315Y1 (ko) | 에어컨 장치 | |
KR200409742Y1 (ko) | 실외기 없는 에어컨 | |
KR0128729Y1 (ko) | 거치형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 |
KR20000044076A (ko) | 에어컨 | |
KR20040021345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냉각장치 | |
KR20010110833A (ko) | 창문형 에어컨 | |
KR200146117Y1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수 스플래쉬장치 | |
KR200291618Y1 (ko) | 에어컨용 콘덴서의 냉매 유입 구조 | |
KR200219555Y1 (ko) |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의 냉각을 위한 블로워구조 | |
KR20000014017U (ko) | 냉각팬 풍량증대 구조의 냉장고 기계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