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614B1 -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614B1
KR100428614B1 KR1019970035803A KR19970035803A KR100428614B1 KR 100428614 B1 KR100428614 B1 KR 100428614B1 KR 1019970035803 A KR1019970035803 A KR 1019970035803A KR 19970035803 A KR19970035803 A KR 19970035803A KR 100428614 B1 KR100428614 B1 KR 100428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phosphor slurry
slurry composition
fatty acid
acid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413A (ko
Inventor
김창욱
임익철
유승준
강기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3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61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형광체, 폴리(아크릴아마이드-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디아조 레진 및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순수에 혼합, 교반하여 제조한 CDT(color display tube)용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은 크롬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덜 일으키며, 분산능이 아주 우수하여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형광면 제조시 색잔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Description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CDT(color display tube)의 형광면 제조에 사용되는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산성이 향상된 크롬-프리(chrome-free)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CDT 제조 공정의 하나인 형광면 형성 공정은 일반적으로 형광체 슬러리를 CDT 패널 내면에 도포, 건조, 노광하여 형광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형광체 슬러리는 형광체, 고분자와 감광제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계면활성제, 소포제, 분산제, 유화제 등을 순수에 현탁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체 슬러리는 고분자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하고 감광제로 중크롬산 나트륨(sodiumdichromate) 또는 중크롬산 암모늄(ammoniumdichromate)을 사용하고 분산제로서 음이온성 분산제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 형광체 슬러리는 크롬이라는 중금속을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의 원인을 제공하며, 특히 음이온성 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제가 슬러리 중의 다른 성분 또는 첨가물과 반응할 염려가 있으므로 첨가물의 선정시에 제약이 따르며, 분산능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오염을 덜 일으키며 특히, 형광체 슬러리 중의 다른 성분 또는 첨가물과 반응성이 없으면서도 분산능이 우수한 분산제를 포함하는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과 종래기술의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의 분산능을 비교한 그래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형광체와 수용성 고분자와 디아조 레진(resin)과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체 화합물과 용매를 포함하는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용매에 수용성 고분자, 디아조 레진,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체 화합물 및 형광체를 혼합, 교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수용성 고분자 고형분의 0.01 내지 50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체 화합물을 상기 수용성 고분자 고형분의 0.5 내지 10중량%로 첨가한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닐 실란 모노머로 변형시킨 폴리(아크릴아마이드-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이다.
상기 디아조 레진은 하기한 화학식 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kpo00000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용매는 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CDT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CDT는 상기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미 공지된 CDT 제조방법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은 크롬-프리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로서 감광 시스템으로 수용성 고분자 특히, 폴리(아크릴아마이드-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를 사용하고, 감광제로서 디아조 레진을 사용하며, 분산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체 화합물을 사용한다. 분산제로 사용하는 이들 유도체 화합물들은 비이온성 분산제로서 형광체 슬러리 중의 다른 성분 또는 첨가물과의 반응성이 없고 분산능이 아주 우수하며 유화제의 역할도 하므로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만일 디아조 레진을 포함하는 형광체 슬러러에 음이온성 분산제를 사용하면 디아조 레진과 음이온성 분산제가 반응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형광체 슬러리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닐 실란으로 변형시킨 폴리(아크릴아미드-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28g, 디아조 레진 2.8g, 소포제로서 프로필렌 옥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 계면활성제 0.56g, 분산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인 상품명 NP1018(동남합성社, HLB 12.3, pH 5∼7, 밀도 1.05)의 무색의 투명한 액상의 비이온성 분산제 0.56g 및 녹색 형광체 40g을 68.08g의 순수에 혼합, 교반하여 녹색 형광체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형광체 슬러리를 CDT 패널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초고압 수은등으로 조도 100㎽/㎠에서 15초간 노광하고 40℃의 순수로 현상하여 녹색 형광면을 제조하였다. 청색 형광면, 적색 형광면 역시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녹색, 청색, 적색의 형광면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분산제로서 NP1018 대신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인 상품명 TWO1030(동남합성社, HLB 15)의 담황색의 액상의 비이온성 분산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폴리비닐알콜 85.4g, 중크롬산나트륨 15.8g, 프로필렌 옥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 계면활성제 2g, 솔비탄 모노 라우레이트 계면활성제 2g, 상품명 NSS(Orotan社)인 음이온성 분산제 2g, 및 녹색 형광체 100g을 139.8g의 순수에 혼합, 교반하여 녹색 형광체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형광체 슬러리를 CDT 패널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초고압 수은등으로 조도 100㎽/㎠에서 15초간 노광하고 40℃의 순수로 현상하여 녹색 형광면을 제조하였다. 청색 형광면, 적색 형광면 역시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녹색, 청색, 적색의 형광면을 형성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형광체 슬러리의 분산능을 침강법으로 비교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형광체 슬러리가 비교예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분산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형광면의 색잔을 현미경 검사하여 하기한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색잔 거의 없음 거의 없음 있음
상기한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색잔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형광면의 막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분자로서 폴리비닐알콜, 감광제로서 중크롬산 나트륨 또는 중크롬산 암모늄, 분산제로서 음이온성 분산제를 포함하는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에 비해 폴리(아크릴아마이드-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디아조 레진 및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은 크롬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덜 발생시키면서도 월등한 분산능이 가지므로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며 형광면 제조시 색잔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Claims (6)

  1. 형광체와;
    수용성 고분자와;
    디아조 레진과;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체 화합물과;
    용매를 포함하는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수용성 고분자 고형분의 0.01 내지 50중량%로 첨가하는 것인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수용성 고분자 고형분의 0.5 내지 10중량%로 첨가하는 것인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또는 비닐 실란 모노머로 변형시킨 폴리(아크릴아마이드-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인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조 레진은 하기한 화학식 1을 가지는 것인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kpo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컬러 디스플레이 튜브.
KR1019970035803A 1997-07-29 1997-07-29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KR10042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803A KR100428614B1 (ko) 1997-07-29 1997-07-29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803A KR100428614B1 (ko) 1997-07-29 1997-07-29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413A KR19990012413A (ko) 1999-02-25
KR100428614B1 true KR100428614B1 (ko) 2004-07-16

Family

ID=3733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803A KR100428614B1 (ko) 1997-07-29 1997-07-29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6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2905A (ja) * 1988-09-30 1990-04-03 Hitachi Ltd 感光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US5024920A (en) * 1988-05-31 1991-06-18 Hitachi, Ltd. Process for forming a pattern using a photosensitive azide and a high-molecular weight copolymer or polymer
KR19990012416A (ko) * 1997-07-29 1999-02-25 손욱 접착력 보강 형광막용 슬러리 및 형광막 패턴 형성 방법
KR0182246B1 (ko) * 1993-10-08 1999-05-15 사또우 후미오 안료 분산액 조성물,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4920A (en) * 1988-05-31 1991-06-18 Hitachi, Ltd. Process for forming a pattern using a photosensitive azide and a high-molecular weight copolymer or polymer
JPH0292905A (ja) * 1988-09-30 1990-04-03 Hitachi Ltd 感光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0182246B1 (ko) * 1993-10-08 1999-05-15 사또우 후미오 안료 분산액 조성물,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12416A (ko) * 1997-07-29 1999-02-25 손욱 접착력 보강 형광막용 슬러리 및 형광막 패턴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413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949B2 (en) Salt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KR102323627B1 (ko) 금속 아조 안료
US20040231567A1 (en) Liquid coloring suspension and colored cementitious composition
KR102323631B1 (ko) 금속 아조 안료
JPH06212093A (ja) 充填剤及び顔料の白色度、明るさおよび色度を高める方法
JP2016515505A (ja) 急速懸濁性粉末状組成物
KR100428614B1 (ko)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KR840000398B1 (ko) 고농도 중합체 슬러리
US7293941B2 (en) Methods for cementing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lts
US7258738B2 (en) Cementing compositions including salts
EP1204794B1 (en) Formulations of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JP3202398B2 (ja) 高流動コンクリート用混和剤
KR100450213B1 (ko) 포토레지스트조성물
US513404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cathode ray tube
US4009142A (en) Sulfonsuccinic acid semi-ester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pigment preparations for aqueous flexo printing pastes
KR20000022422A (ko) 감광성 조성물 및 패턴형성방법
JPH02173007A (ja) 感光性高分子化合物、これを含む感光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法
KR100450215B1 (ko) 접착력보강형광막용슬러리및형광막패턴형성방법
KR100477983B1 (ko) 고감도를가진포토레지스트조성물
CA2617307C (en) 2,4-pentanedione disulfonate salt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cement compositions
KR19990015237A (ko)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50214B1 (ko) 접착력보강포토레지스트조성물
KR0144052B1 (ko) 컬러브라운관 제조용 현탄액 조성물
JP2007332027A (ja) 乾燥収縮低減型セメント分散剤
JPH08165156A (ja) セメント分散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