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522B1 -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522B1
KR100428522B1 KR1019970012163A KR19970012163A KR100428522B1 KR 100428522 B1 KR100428522 B1 KR 100428522B1 KR 1019970012163 A KR1019970012163 A KR 1019970012163A KR 19970012163 A KR19970012163 A KR 19970012163A KR 100428522 B1 KR100428522 B1 KR 10042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white balance
atw
value
contro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974A (ko
Inventor
이사오 마쯔후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72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과제]
ATW 제어영역의 설정 및 보정을 자동화하고, 공정의 능률화와 동시에 ATW 동작성능의 향상을 실현한다.
[해결수단]
AWB 동작의 결과로부터, ATW 동작으로서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제어영역으로서의 오프셋량을 산출하고, 화이트 밸런스 제어영역을 시프트시킨다. 또한, 조작수단으로부터의 가변조작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영역의 보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회의 AWB 동작에 의한 이득 조정값을 기억하고, 각 이득 조정값의 분포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영역의 보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기억한 이득 조정값의 분포상황 중의 소정 범위 내의 값을 추출하고,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어영역 보정을 행한다.

Description

촬영 장치{White balance circuit for a video camera}
본 발명은 컬러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이트 밸런스 동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화상 촬영 장치에서는,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라는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것은, 화면 전체가 백색이 되는 기준 피사체를 촬영하고 있는 상태로, 촬영 신호로서의 R 신호, G 신호, B 신호의 출력 레벨을 같게 하는 조정 동작이다.
즉 화이트 밸런스 증폭로서 R 신호, G 신호, B 신호의 각각에 대한 이득 가변 증폭을 설치하고, 각 이득 가변 증폭의 이득 조정을 하는 것으로, 화이트 밸런스 증폭의 출력 단계에서의 R 신호, G 신호, B 신호의 출력 레벨이 동등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자동화한 오토 화이트 밸런스 동작(이하 AWB 동작이라 한다)이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기준 피사체를 촬영하고 있는 상태로 화이트 밸런스 증폭의 출력으로서의 R 신호, G 신호, B 신호를 감시하고, 예를 들면, G 신호 레벨에 대하여 R 신호 및 B 신호가 동일 레벨이 되도록 R 신호, B 신호에 대한 이득 가변 증폭의 이득을 피드백 조정하는 것이다.
이 AWB 동작은, 그 촬영 장치에서 AWB 기능을 기동시킨 시간만큼 실행되고, 그 다음은 AWB 동작에 의한 이득 가변 증폭기 제어값이 유지되는 것이지만, 피사체에 추종하여 상시 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행하는 기능으로서, 오토 트레이싱 화이트 밸런스(이하, ATW 동작)라는 동작이 개발되어 있다.
이 ATW 동작으로서의 기본 동작은 AWB 동작과 같지만, 통상의 촬영 동작 시에는 당연히 전체 백색의 기준 피사체가 아니기 때문에, 항상 모든 피사체에 추종하여 동작시키면, 오류 동작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면 색이 붙은 피사체가 백(白)이 되도록 조정을 하여 버리는 일도 있다.
이것 때문에, 미리 자연계에서 현실적으로 화이트 밸런스가 얻어질 때의 R 신호 이득(즉 R 채널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값)과 B 신호 이득(즉 B 채널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 값)의 조합을 생각하고, 그 조합 중에 해당하는 경우만 ATW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조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예를 들면, 도 12의 B 신호 이득과 R 신호 이득의 좌표 상에서 사선부가 되는 영역이 되고, 이것을 ATW 제어 영역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흑체 방사 커브를 촬영 장치의 화이트 밸런스 증폭의 특성에 맞춰서, 도 12의 B 신호 이득과 R 신호 이득의 좌표 상에 나타내면, 도면 중 파선으로 도시하는 것같이 되고, ATW 제어 영역은 일반적으로는, 흑체 방사 커브의 부근 영역이 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B 신호 이득과 R 신호 이득의 각각을 8 비트로 나타내고, 좌표 중심에서의 이득값은 (128, 128)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ATW 제어 영역은, B 신호 이득과 R 신호 이득에 각각의 중간값(도 12에서 말하는 이득값(128)을 설정한 상태로 XY 색도도에서 규정된 기준 광원을 촬영할 때, 화이트 밸런스 증폭 출력으로 R, G, B 각 채널의 레벨이 같게되는 경우에 정확한 효과가 얻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로는 그와 같은 상태는 드물고, 이것 때문에 종래는 기준 광원을 촬영한 상태로 화이트 밸런스 증폭 전 단계의 가변 저항(예를 들면, 반고정 볼륨)을 조작하고, R 채널 신호 레벨과 B 채널 신호 레벨이 G 채널 신호 레벨과 같게 되도록 조정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조정은 조정 공정에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게되기 때문에, 오차가 생기기 쉽고, 엄밀한 조정이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본래의 ATW 동작 성능이 발휘되지 않는다는 일도 있었다. 또한 수동 조정을 위해 조정에 수고와 시간이 걸리고, 공정의 능률화를 방해하고 있었다.
또한, 조정 후에 있어 어떠한 원인으로 가변 저항의 설정이 어긋나버리는 경우 재조정은 곤란하고, 상기의 경우도 본래의 ATW 동작 성능이 발휘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ATW 동작을 위한 ATW 제어 영역의 설정 및 보정을 자동화하고, 공정의 능률화와 동시에 ATW 동작 성능의 향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기준 피사체의 촬영을 행한 때에 얻어지는 R, G, B 각 촬영 신호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 증폭의 이득을 조정하고, R, G, B 각 신호의 출력 레벨이 같게 되도록 하는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 즉, AWB 동작과, 촬영 시간에 설정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ATW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R, G, B 촬영 신호에 추종하여 화이트 밸런스 증폭의 이득을 조정하는 제 2 화이트 밸런스 동작, 즉, ATW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을 지님과 동시에, 이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은,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 시의 이득 조정값에 따라서 제 2 화이트 밸런스 동작의 실행 기준이 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영역의 보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의 결과로부터, ATW 동작으로서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으로서의 오프셋량을 산출하고,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을 시프트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반고정 저항 등에 의한 조정 작업을 불필요하게 한 뒤에 ATW 동작이 적합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가변 조작을 하는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은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가변 조작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순서대로 필요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은, 복수회의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에 의한 이득 조정값을 기억하고, 각 이득 조정값의 분포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기억한 이득 조정값 중에서 적합한 샘플을 추출하여 평균을 취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값을 얻는다.
즉,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에 학습 기능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촬영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실시의 형태의 ATW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실시의 형태의 ATW 동작 시의 메뉴 표시의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실시의 형태의 ATW 동작으로 보정되는 ATW 제어 영역의 설명도.
도 5a 및 도 5b는 실시의 형태의 ATW 제어 영역의 수동 조정 시의 메뉴 표시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의 형태의 수동 조정으로 보정되는 ATW 제어 영역의 설명도.
도 7은 실시의 형태의 학습 기능을 구비한 ATW 동작의 흐름도.
도 8은 실시의 형태의 학습 기능을 구비한 ATW 제어영역 보정 동작의 흐름도.
도 9a 및 도 9b는 실시의 형태의 학습 기능을 구비한 ATW 동작으로 보정되는 ATW 제어 영역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의 형태의 학습 기능을 구비한 ATW 동작에서의 보정 동작의 설명도.
도 11a 및 도 11b는 실시의 형태의 학습 기능을 구비한 ATW 동작에서의 다른보정 동작의 설명도.
도 12는 ATW 동작에 있어서의 ATW 제어 영역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R, 1G, 1B CCD, 3R, 3G, 3B: 샘플 홀드/이득 조정 회로
5: 화이트 밸런스 증폭 5R, 5G, 5B: 이득 가변 증폭
7: 인코더 9: 합성 회로
10: 드라이브 회로 11: 뷰파인더
12: 제어기 13: 캐릭터 발생기
14: 메모리 15: D/A 변환기
16: 조작부 17: A/D 변환기
이하, 도 1 내지 도 8에 의해 본 발명의 촬영 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촬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촬상 소자로서는, R, G, B의 3 원색에 대응해서 CCD 소자부 1R, 1G, 1B가 설치되어 있다. 각 CCD 소자부(1R, 1G, 1B)는, 도시하지 않은 렌즈계에서 도입된 촬영광이 결상되는 CCD 기판 평면 상에 소정의 규칙으로 배열되고, 2 차원의 이미지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각 CCD 소자부(1R, 1G, 1B)에서의 적신호(R), 녹색신호(G), 청신호(B)는 각각 프리 증폭(2R, 2G, 2B)에서 증폭된 뒤, 샘플 홀드/이득 조정 회로(3R, 3G, 3B)에서 샘플/홀드 처리되고, 또한, 이득 조정, 플레어, 프리니 보정 등이 행하여진다.
샘플 홀드/이득 조정 회로(3R, 3G, 3B)의 출력은 각각 화이트 밸런스 증폭(5)를 구성하는 이득 가변 증폭(5R, 5G, 5B)로 공급되지만, R 신호에 관하여는 반고정 저항(4R), B 신호에 관하여는 반고정 저항(4B)을 통해 공급된다.
반고정 저항(4R, 4B)은, 이른바 ATW 동작을 위해, 이득 가변 증폭(5R, 5B)에서의 R 신호 이득과 G 신호 이득이 중간값으로 된 상태로, XY 색도도로 규정된 기준 광원을 촬영할 때, 이득 가변 증폭(5R, 5G, 5B)의 출력시점에서 R, G, B 각 채널의 레벨이 같게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이 반고정 저항 (4R,4B)의 조정의 필요에 의해 각종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도 1의 구성에서는 반고정 저항(4R,4B)이 설치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ATW 제어영역의 보정 동작에 의해 본 예에 있어서는 ATW 동작을 위해 반고정 저항(4R, 4B)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반고정 저항(4R, 4B)은 어느 정도 대략적으로 조정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는, 반고정 저항(4R, 4B)은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좋은 것이다.
화이트 밸런스 증폭(5)에서는,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이 조정되는 것으로, 이득 가변 증폭(5R, 5B, 5G)의 출력 시점에서의 R, G, B 신호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가 조정된다.
이득 가변 증폭(5R, 5B, 5G)의 출력은 증폭(6R, 6B, 6G)를 통해 인코더(7)로 공급된다. 또한, 이득 가변 증폭(5R, 5B, 5G)의 출력은 A/D 변환기(17)를 통해 제어기(12)에도 공급된다. 이것 때문에 제어기(12)는 이득 가변 증폭(5R, 5B, 5G)의 출력 단계에서의 R, G, B 각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인코더(7)는, 입력된 적신호(R), 녹색 신호(G), 청신호(B)에 대하여 감마 보정, 니 보정 등의 처리를 행하고, 이것들의 처리가 행해진 적신호(R), 녹색 신호(G), 청신호(B)에 대한 매트릭스 처리에 의해 적신호(R), 녹색 신호(G), 청신호(B)에서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R-Y, B-Y)를 생성하고, 또한, 예를 들면, NTSC 인 코드 처리를 하여 NTSC 방식의 컬러 합성 영상 신호로 하고, 이것을 단자(8)로부터 촬영된 영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촬영 화상은 뷰파인더(11)에서 카메라맨이 확인할 수 있도록 되지만, 이것 때문에 인코더(7)로부터는, 예를 들면,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R-Y, B-Y)의 형태의 영상 신호가 합성 회로(9)를 통해 드라이브 회로(10)로 공급되고, 뷰파인더(11)에 있어서의 촬영 화상의 모니터 표시 출력을 실행시킨다.
이것에 의해 촬영 장치를 사용하는 카메라맨은, 뷰파인더(11)에서 촬영되어 있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12)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형성되어, 조작부(16)로부터의 각종 조작이라든지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서 장치 전체에 대한 각종 동작 제어를 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어기(12)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로서 AWB 동작 및 ATW 동작에 관한 제어를 한다.
또한, 제어기(12)는 캐릭터 발생기(13)에 대하여 뷰파인더(11) 내에 촬영 모니터 화상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각종 캐릭터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캐릭터 발생기(13)에서 발생된 캐릭터 영상은 합성 회로(9)에 의해 인코더(7)로부터의 모니터 화상 신호에 중첩되어 드라이브 회로(10)로 공급되는 것으로, 뷰파인더(11)에 있어서의 촬영 화상의 모니터 표시와 동시에 캐릭터 표시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동작 상태 표시라든지 모드 표시 이외의 카메라맨에 대하여, 전해야되는 정보를 캐릭터 표시에 의해 실행시키게 된다.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관하여서는, 제어기(12)가 이득 가변 증폭(5R, 5B, 5G)의 출력 레벨로서의 R, G, B 각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그것에 따라서 이득 가변 증폭(5R, 5G)의 이득을 조정하는 피드백 제어계가 구성되어 있다. 결국 제어기(12)는 이득 가변 증폭(5R, 5G)의 이득 제어값을 D/A 변환기(15)를 통해 이득 가변 증폭(5R, 5G)로 공급하고, 이득 가변 증폭(5R, 5G)의 이득을 가변제어 한다. 이 제어계에 의해 AWB 동작 및 ATW 동작이 실현된다.
즉, AWB 동작에서는, 화면 전체가 하얗게 되는 기준 피사체를 촬영하고 있는 상태로 제어기(12)가 이득 가변 증폭(5R, 5B, 5G)의 출력으로서의 R 신호, G 신호, B 신호의 레벨을 감시한다. 그리고, G 신호 레벨에 대하여 R 신호 및 B 신호가 동일 레벨이 되는 R 신호, B 신호에 대한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을 산출하고, 그것을 이득 제어값을 D/A 변환기(15)를 통해 이득 가변 증폭(5R,5G)로 공급하는 것으로, 화이트 밸런스 증폭(5)의 출력에서의 R 신호, G 신호, B 신호의 레벨을 동일 레벨로 한다.
메모리(14)는 제어기(12)의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의 격납이 행하여지는 외에, 본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AWB 동작에 의한 이득 제어값을 기억해 둔다.
또한, 피사체에 추종하여 상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하는 기능으로서의 ATW 동작으로서는, 기본적으로 AWB 동작과 같은 피드백 제어를 행하지만, 색이 붙은 피사체 등에 대하여도 항상 동작시키는 것은 적당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기(12)는 자연계에서 현실적으로 화이트 밸런스가 얻어질 때의 R 신호 이득(즉 이득 가변 증폭(5R)에 대한 이득 제어값)과 B 신호 이득(즉 이득 가변 증폭(5)B에 대한 이득 제어 값)의 조합에 근거하여, ATW 제어 영역을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a와 같이 흑체 방사 커브를 촬영 장치의 화이트 밸런스 증폭의 특성에 맞춰서, B 신호 이득과 R 신호 이득의 좌표 상에 나타내면, 도면 중 파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ATW 제어 영역은 사선부에서 나타내는 흑체 방사 커브의 부근 영역으로 하고 있다.
ATW 제어 영역은, 기본적으로는 B 신호 이득과 R 신호 이득에 각각의 중간값(도 4a의 8 비트 표현에 있어서의 이득값(128))을 설정한 상태로 기준 광원을 촬영할 때, 화이트 밸런스 증폭 출력으로 R, G, B 각 채널의 레벨이 같게되는 경우에 정확한 효과가 얻어지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ATW 제어 영역은 좌표 중심(128, 128)을 중심으로 흑체 방사 커브를 따른 영역이 된다.
이것으로부터 기본적으로는 ATW 동작의 본래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값이 128일 필요가 있지만, 실제로는 최초에 AWB 동작을 한 후의 시점에서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값이 중간값(128)으로 되어있는 것은 드물고, 이것 때문에 종래는 반고정 저항(4R, 4B)의 조정이 필요한 것인 바,본 예에서는 AWB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ATW 제어 영역을 보정하는 것으로, 반고정 저항(4R, 4B)의 조정을 불필요(또는 반고정 저항(4R, 4B) 그 자체를 불필요)하게 한 뒤에, ATW 동작이 적절히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여 간다.
촬영 장치의 제조 공정의 최종 단계인 조정 공정에서, 우선 AWB 동작을 실행시킨다. 즉, 기준 광원을 촬영한 상태로 상기의 AWB 동작을 기동하여,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을 조정한다.
이 AWB 동작이 끝난 상태로, 화이트 밸런스 증폭(5)의 출력 단계에서의 R, G. B 각 신호의 레벨은 같게 된다.
본 예에 있어서의 ATW 동작에 관하여서는, AWB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ATW 제어 영역이 보정되는 것이지만, 이 때문에, 조정 공정에서 AWB 동작을 행한 경우는, 후의 ATW 동작에 있어서, ATW 제어 영역의 보정이 실행되도록 하는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어기(12)는, AWB 동작이 끝난 단계에서, 캐릭터 발생기(1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3과 같은 메뉴 표시를 뷰파인더(11)에서 실행시킨다. 이 『ATW ADJ』라는 표시가, ATW 동작을 기동시키는 전단계 층에서 필요하게 되는 AWB 동작의 결과 데이터의 유지를 위한 조작 메뉴이다.
이 『ATW ADJ』라는 조작 메뉴가 선택되면, 그 전의 AWB 동작으로 설정된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값이, 메뉴 내에 표시됨과 동시에, 이득 Radj, Badj로서 메모리(14)에 기억된다.
도 3에서는 R 이득은 131, B 이득은 128로 되어있지만, 이것은 AWB 동작에 의해 R 이득이 중간값인 128보다 3 레벨 올려진 상태로 조정되어 있고, 한편, B 이득에 관하여는 중간값(128)으로 OK인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AWB 조정 결과로서의 R 이득, B 이득의 값을 메모리(14)에 유지하는 것으로, 그 후의 ATW 동작에 있어서 ATW 제어 영역의 보정 기능이 양호하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조정 공정에서의 AWB 동작의 후에, 『ATW ADJ』라는 조작 메뉴가 선택되는 것에 의해 AWB 결과에 의한 이득 Radj, Badj가 메모리(14)에 기억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사용자 사용 단계에서 AWB 동작이 행하여진 경우도, 『ATW ADJ』의 선택에 의해, 그 때의 AWB 결과에 의한 이득 Radj, Badj가 메모리(14)에 기억된다(메모리(14)에서의 이득 Radj, Badj의 값이 갱신된다).
즉, ATW 동작에 있어서의 ATW 제어 영역 보정은, 그것보다 전의 시점에서 『ATW ADJ』라는 조작 메뉴로 AWB 결과가 메모리(14)에 들어간 AWB 동작에 따라서, 실행되게 된다.
출하 전의 조정 공정이라든지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적어도 1 회 이상 AWB 동작이 행하여지고, 그 AWB 결과에 의한 이득 Radj, Badj가 메모리(14)에 기억된 상태에 있어서, 본 예에 있어서의 ATW 동작은 정확히 기능되게 된다. 물론, ATW 동작은 조정 공정의 때라든지 사용자 사용 시간 등에 있어서 임의의 시점에서 기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예에 있어서의 ATW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하여 간다.
조작부(16)에 설치되어 있는 ATW 기동 스위치가 눌러지면, 제어기(12)는 ATW 동작을 기동시킨다. 결국, 제어기(12)는 도 2의 처리를 개시하고, 우선 단계 F101로서, A/D 변환기(17)를 통해 각 이득 가변 증폭(5R, 5G, 5B)의 출력 단계에서의 R, G, B 각 신호를 넣어, 그 레벨을 검출한다.
그리고 AWB 동작의 경우와 같이, 단계 F102로 R, G, B 각 신호의 레벨로부터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 조정을 위한 제어값(RGAIN, BGAIN)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단계 F103에서는 메모리(14)에 기억되어 있는 이득 Radj, Badj의 각각에 관하여, 중간값으로부터의 오프셋분을 산출하고, 그것에 따라서 도 4a와 같이 설정되어 있던 ATW 제어영역을 보정한다.
상기의 경우, 이득 Radj=131이고, R 이득에 대한 중간값(128)으로부터의 오프셋량은 3이다. 한편, 이득 Badj=128이고, B 이득에 대한 중간값(128)으로부터의 오프셋량은 0이다.
이것 때문에, ATW 제어 영역은 R 축방향으로 3 레벨만큼 시프트시키는 것이 되고, ATW 제어 영역은 도 4b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이 ATW 제어 영역을 보정하면, 단계 F104에서는 단계 F102로 산출한 제어값 RGAIN, BGAIN의 조합이 보정 후의 ATW 제어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그리고 포함하지 않으면, 그 때의 제어값 RGAIN, BGAIN을 산출하였을 때의 피사체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알맞은 피사체가 아니게 취급되고, 따라서 이득 가변증폭(5R, 5B)의 이득조정은 하지 않는다.
한편, ATW 제어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F105로 진행하고, 제어값 RGAIN, BGAIN에 의한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 조정을 실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본 예에서는, 그 때의 AWB 동작에 의한 조정값에 따라서 ATW 제어 영역이 보정되기 때문에, 특히 반고정 저항(4R, 4B)에 의한 조정을 행하고 이득 가변 증폭(5R, 5B)의 이득을 중간값으로 잘 맞추어지도록 하지 않더라도, ATW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ATW 제어 영역을 R 이득축 방향으로 시프트시킨 예를 진술하였지만, AWB 동작에 있어서 B 이득에 중간값으로부터의 오프셋이 가해진 경우는, ATW 제어 영역을 그 오프셋분만큼 B 이득 축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물론 R 이득 축 방향과 B 이득 축 방향의 양쪽으로 시프트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2의 처리 예에서는, 단계 F103의 처리는 ATW 동작 중에 있어서 R, G, B 각 채널의 비디오 레벨이 도입될 때(단계 F101)마다 실행되도록 하고 있지만, 연속한 1 회의 ATW 동작 중에 있어서 이득 Radj, Badj의 값이 변경되는 일이 없다고 한다면 단계 F103의 처리를 단계 F101보다도 전의 ATW 기동 시간에 실행하고, 그 때에 시프트시킨 제어 영역의 범위를 기억해두도록 하여, 비디오 레벨 도입마다 실행되는 루프 처리(F101 내지 F105)로부터 떼어지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본 예에서는 수동에 의해서 ATW 제어 영역의 변경을 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가령 기준 광원 그 자체가 어긋나고 있는 경우에, 그 특성을 색채 색도계로 측정하고, 얻어진 X, Y의 값을 R 이득, B 이득의 오프셋량으로 변환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그것 이외에도 어떠한 원인으로 ATW 제어 영역의 설정이 적당하지 않게 된 경우에, 간단히 최적 상태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한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메뉴 표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부(16)로부터의 조작으로 R 이득값, B 이득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5a는 사용자가 R 이득값의 변경 조작을 행하고, R 이득값을 135로 하고, 또한 계속해서 도 5b와 같이 사용자가 B 이득값의 변경 조작을 행하고, B 이득값을 130으로 하였다고 한다.
이것에 따라서 제어기(12)는 이득 Radj=135, 이득 Badj=130으로서 메모리(14)에 기억한다.
그 다음, 조작부(16)의 ATW 기동스위치가 눌러지고, ATW 동작이 기동되는 경우는, 제어기(12)는 상술한 도 2의 처리를 개시하게 되지만, 이 때는 단계 F103의 ATW 제어영역의 보정 동작으로서, 이득 Radj=135, 이득 Badj=130에 대한 중간값(128)으로부터의 오프셋분을 산출하고, 그것에 따라서 ATW 제어 영역을 시프트시키게 된다. 결국 ATW 제어영역은 도 6과 같이 보정되고, 이것에 근거하여 단계 F104로 ATW 동작의 실행이 판단되게 된다.
그런데 이상 각 동작은 촬영장치의 제조시간이라든지 조정시간, 또는 사용자사용시간에 있어서, AWB 동작 시의 결과로서의 (또는 수동조정결과로서의) 이득 Radj, 이득 Badj를 메모리(14)에 넣는 것으로, ATW 동작시간에 그 이득 Radj, 이득 Badj를 이용한 ATW 제어영역의 보정 동작이 행하여지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보정 동작에 관한 처리를 응용하는 것으로 통상 사용 시의 ATW 동작(ATW 제어영역의 보정동작)에 학습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는, AWB 동작과 ATW 동작을 병용하는 것이 생각되기 때문에, 제어기(12)는 AWB 동작이 기동될 때마다, 그 조정에 의한 R 이득 Radj, B 이득 Badj를 메모리(14)에 기억하여 가도록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과거 10 회의 AWB 동작에 있어서의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값을, (Rawb [1], Bawb [1]), (Rawb [2], Bawb [2]), (Rawb [3], Bawb [3]) …… (Rawb [10]. Bawb [10])으로서 축적하도록 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에 이용하는(Rawb [1], Bawb [1]) …… (Rawb [10], Bawb[10])은 이득 Radj, 이득 Badj의 값을 유지하는 레지스터(메모리(14)내의 기억 영역 또는 어드레스)로서의 이미지로 한다. 즉 최신의 AWB 동작으로 얻어진 이득 Radj, 이득 Badj의 값은, 레지스터(Rawb [1], Bawb [1])에 기억됨과 동시에, 그것까지 레지스터(Rawb [1], Bawb [1])에 유지되어 있던 값은, 레지스터(Rawb [2], Bawb [2])로 시프트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시프트 기억형태가 취해지는 것으로, 메모리(14)에는, 레지스터(Rawb [1], Bawb [1]) ……… (Rawb [10], Bawb[10])로서, 항상 최신의 AWB 동작으로부터 세어 과거 10 회의 AWB 동작에 있어서의 이득 Radj, 이득 Badj의 값이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ATW 동작이 기동되었을 때는, 제어기(12)는 도 7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 도 7의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F201, F202, F204, F205의 처리는 도 2의 단계 F101, F102, F104, F105의 처리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경우도, 단계 F203으로 ATW 제어영역의 보정을 하는 것이지만, 그 보정동작으로서는, 우선 메모리(14)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 10 회의 AWB 동작에 이러한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값, 즉 (Rawb [1], Bawb [1]) …… (Rawb [10], Bawb [10])을 확인한다. 그리고, 각 조합의 분포상태를 확인하여, 샘플값으로서 적절한 조합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샘플값을 이용하여 ATW 제어영역의 보정을 위한 값을 얻는다. 이 보정값에 근거하여 ATW 제어영역을 R 이득 축 방향 및/또는 B 이득 축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이다.
단계 F203의 처리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 도 8의 흐름도이다. 이 도 8의 흐름도와, 도 9, 도 10을 참조하면서, 단계 F203에서의 ATW 제어영역의 보정동작의 구체 예를 설명하여 간다.
도 4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ATW 제어 영역은, 기본적으로는 B 신호 이득과 R 신호 이득에 각각의 중간값(8 비트 표현에 있어서의 이득값(128))을 설정한 상태로, XY 색도도로 규정된 기준 광원을 촬영할 때, 화이트 밸런스 증폭 출력으로 R, G, B 각 채널의 레벨이 같게되는 경우에 정확한 효과가 얻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도 4a와 같은 ATW 제어 영역, 즉 도 7의 동작에 관하여 보정 전의 ATW 제어 영역을 도 9a에 나타내지만, 사선부로서 나타내는 ATW 제어 영역은 좌표중심(128,128)을 중심으로 흑체 방사 커브를 따른 영역이 된다.
이러한 최초에 설정되는 ATW 제어 영역에서는, 촬영 시의 조명의 색온도가 3200K로 하고, 그 상태로 R 신호 이득, B 신호 이득의 제어값의 중심이 (128,128)로 되게 된다.
실제로 학습기능에 의해 도 7의 단계 F203의 동작이 행하여질 때에, 예를 들면, 그 시점에서 과거 10 회의 AWB 동작에서의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값(Rawb [1], Bawb [1]) …… (Rawb [10], Bawb [10])이 다음과 같은 값이었다고 한다.
S1: (Rawb [1], Bawb [1]) = (127, 127)
S2: (Rawb [2], Bawb [2]) = (129, 126)
S3: (Rawb [3], Bawb [3]) = (144, 103)
S4: (Rawb [4], Bawb [4]) = (241, 200)
S5: (Rawb [5], Bawb [5]) = (120, 130)
S6: (Rawb [6], Bawb [6]) = (123, 134)
S7: (Rawb [7], Bawb [7]) = (142, 119)
S8: (Rawb [8], Bawb [8]) = (108, 118)
S9: (Rawb [9], Bawb [9]) = (121, 146)
S10: (Rawb [10], Bawb [10]) = (127, 129)
도 10은, 도 9a의 좌표중심 부근을 확대한 것이지만, 이들의 과거 10 회의 AWB 동작시의 값 S1 내지 S10은, 좌표 상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분포하게 된다.
이 분포 상태로부터, 분명히 색 온도 3200K와는 멀리 떨어진 조명 조건에 있어서 AWB 동작이 실행된 케이스가 관측되지만, 본 예에서는 이와 같은 것을 제외하고, 색 온도 3200K 전후의 조명 조건에 있어서 AWB 동작이 실행된 것을 추출한다. 색 온도 3200K 전후의 조명 조건하에서의 AWB 동작에 해당하는 것을, 좌표 중심(128,128)으로부터, R 이득 축 및 B 이득 축 방향으로 각각 ± 8 단계 이내의 영역으로 설정한다고 하면, 그것은 도 10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샘플 영역(SA)이 된다.
그리고 AWB 조정값으로서 상기 구체예의 것 같은 경우, 샘플 영역(SA)에 포함되는 샘플은, S1, S2, S5, S6, S10이 된다. 이것 이외의 AWB 조정 시간에서의 샘플인 S3, S4, S7, S8, S9는 조명 조건이 대폭 다르다고 하여 샘플로부터 제외한다.
그리고 추출된 샘플 S1, S2, S5, S6, S10에 대한 R 이득, B 이득의 평균값을 구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ATW 제어 영역의 보정값을 얻고, ATW 제어 영역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이상 동작은, 도 7의 단계 F203, 즉 도 8의 단계 F231 내지 F239의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우선 단계 F231, F232에서 변수 n, 변수 m을 각각 「1」로 한다.
변수 n은, 샘플 S(n)로서, 메모리(14)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 10회의 AWB 동작에 있어서의 이득값(R 이득 Radj, B 이득 Badj)으로서의 샘플 S1 내지 S10 (즉 (Rawb [1], Bawb [1]) 내지 (Rawb [10], Bawb [10]))을 차례로 픽업하기 위한 처리변수이다. 또한, 변수 m은, 유효 샘플이라고 판단된 샘플을 개별로 유지하기 위한 변수이다.
변수 n, m을 설정하면, 단계 F233에서 1 개의 샘플 S(n)를 픽업하여, 그 샘플 S(n)가 샘플 영역(SA)에 포함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계 F233에서 샘플 S(n)가 샘플 영역(SA)에 포함된다고 된 경우는, 단계 F234, F235의 처리가 행하여져 단계 F234에서는 샘플 S(n)로서 유지되어 있는 R 이득값, B 이득값(Rawb [n], Bawb [n])이, 추출 샘플값 Rsp(m), Bsp(m)로서 설정된다. 그리고 단계 F235에서는 변수 m이 증가된다.
한편, 단계 F233에서 샘플 S(n)가 샘플 영역(SA)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는, 단계 F234, F235의 처리가 바이패스된다. 그리고 단계 F236에서 변수n=10으로 판단될 때까지, 단계 F237에서 변수n이 증가되면서 단계 F233 내지 F237의 처리가 되풀이된다.
즉, 이 단계 F233 내지 F237의 처리는, 과거 10 회의 샘플 S1 내지 S10의 각각에 대하여, 샘플영역(SA) 내에 포함되는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포함되는 샘플에서의 R 이득값, B 이득값(Rawb [n], Bawb [n])을 유효샘플값(Rsp(m), Bsp(m))으로서 추출하여 가는 처리이다. 따라서, 단계 F236에서 변수 n이 10이라고 판단되어, 과거 10 회의 샘플 S1 내지 S10의 각각에 관한 판단이 종료한 시점에서, R 이득 및 B 이득의 유효 샘플값으로서 각각 m개의 유효 샘플값(Rsp1 내지 Rsp(m), Bsp1 내지 Bsp(m))이 얻어지고 있는 것이 된다.
샘플 S1 내지 S10의 값이 상기 예의 경우에 있어서, 샘플 영역(SA)이 도 10과 같이 설정되어있는 경우, 유효 샘플값(Rsp1 내지 Rsp(m), Bsp1 내지 Bsp(m)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pat00019
유효 샘플값이 얻어진 후의 단계 F238의 처리에서는, 유효 샘플값(Rsp1 내지 Rsp(m)의 평균값(Rav)과, 유효 샘플값(Bsp1 내지 Bsp(m))의 평균값(Bav)을 구한다. 결국, 유효 샘플값(Rsp1 내지 Rsp(m))의 합을 샘플수 m으로 나누어 평균값(Rav)으로 하고, 또한 유효 샘플값(Bsp1 내지 Bsp(m))의 합을 샘플수 m에서 나누어 평균값(Bav)으로 한다.
그리고 단계 F239에서는, 평균값(Rav, Bav)을 이용하여 R 이득 축 및 B 이득 축 상에서의 ATW 제어 영역의 시프트량을 산출하고, ATW 제어 영역의 시프트를 행한다. R축 시프트량은 평균값(Rav-128)으로 구하고, 또한 B축 시프트량은 평균값(Bav-128)으로 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샘플 S1, S2, S5, S6, S10이 추출된 경우로 말하면, 평균 값(Rav, Bav)은,
Rav=(127+129+120+123+127)/5=125
Bav=(127+126+130+134+129)/5=129가 된다.
따라서, R 축 시프트량=125-128=3, B 축 시프트량=129-128=1이 되고, 결국 도 9a와 같이 설정되어있던 ATW 제어 영역은, R 이득 방향으로 -3, B 이득 방향으로 +1만큼 시프트되어, 도 9b와 같이 중심값이 (125, 129)로 되는 영역에 보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ATW 제어 영역의 보정을 한 후, 도 7의 단계 F204에서는, 단계 F202에서 산출한 제어값(RGAIN, BGAIN)의 조합이, ATW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것인가를 판별하여, ATW 동작의 실행판단을 행하게 된다.
통상, AWB 동작의 대부분은 흑체 궤적에 가까운 조명의 근원에서 흰 피사체를 옮긴 상태로 기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조합의 분포는 이상적인 ATW 제어 범위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그 분포 중에서, 색 온도 3200K 전후라는 기준이 되는 도 9a의 최초의 ATW 제어 범위 설정 시의 조명 조건에 가까운 조명 조건에 의한 것만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유효 샘플의 평균값에 근거하여 순서대로 ATW 제어 영역을 보정하여 가면, 그 촬영 장치의 사용상황에 따라서 학습적으로 알맞은 ATW 제어 영역이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ATW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되어, ATW 동작 정밀도의 향상, 오류 동작의 방지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샘플 추출을 위한 샘플 영역(SA)을 사각형의 영역으로 설정하였지만, 이 샘플 영역의 크기라든지 형상에 의해 동작 정밀도라든지 오류 동작 방지라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샘플 영역(SA)의 형상에서는, 예를 들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 등이 고려된다.
또한, 도 8의 처리에서는 특히 유효 샘플수로서의 수의 제한은 하고있지 않지만, 최저 필요한 샘플 수를 규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최저 샘플수를 5로 하고, 유효 샘플 수 m이 5로 채워지지 않은 경우는 ATW 제어 영역의 보정을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최저 샘플 수를 설정하는 경우는, 그 값을 크게 할수록, 보정 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과거 10 회의 AWB 동작에 관한 샘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과거 20회 분 등, 보다 다수회의 AWB 동작시간에서의 샘플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많은 유효 샘플을 추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학습 기능을 주는 경우의 처리 예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과거 10회의 샘플로부터 유효 샘플을 추출하고, 그 평균값에 근거하여 ATW 제어 영역을 보정한다고 하는 방법 이외에도 각종의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도 7의 단계 F203에서 ATW 제어 영역의 보정을 할 때의 처리로서, 상기 예와 같은 형태로 메모리(14)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 10 회의 AWB 동작에 이러한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값, 즉, (Rawb [1], Bawb [1]) …… (Rawb [10], Bawb [10])을 확인하면, 그 각 조합 중 제일 많은 조합이 ATW 제어 영역에 포함되게 되는 오프셋값을 산출하고, 그 오프셋값에 근거하여 ATW 제어 영역을 R이득 축 방향 및/또는 B 이득 축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도록 하도록 해도 된다.
이 동작 이미지를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다. 도 11a와 같이 어느 상태의 ATW 제어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시점에서, 과거 10 회분의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조합으로서의 (Rawb [1], Bawb [1]) …… (Rawb [10], Bawb [10])의 값이 도면 중 『·』으로 도시한 것 같이 분포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때, 10 개의 조합중의 제일 많은 것이 ATW 제어 영역에 포함되게 되도록, 예를 들면, 도 8b와 같이 시프트시킨다.
결국, 과거 10 회분의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조합의 분포의 중심을 ATW 제어 영역의 중심이 되도록 ATW 제어 영역을 시프트시키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ATW 제어 영역의 보정을 한 후, 단계 F204에서, 상기 예의 경우와 같이, 단계 F202에서 산출한 제어값(RGAIN, BGAIN)의 조합이 ATW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것인가를 판별하고 ATW 동작의 실행 판단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WB 동작의 대부분은 흑체 궤적에 가까운 조명의 근원에서 흰 피사체를 옮긴 상태로 기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조합의 분포는 이상적인 ATW 제어 범위를 형성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착안하면, 상기 동작과 같이, 통계적으로 R 이득 Radj, B 이득 Badj의 조합의 제일 많은 것이 ATW 제어 영역의 중앙 가까이 모이도록 순서대로 ATW 제어 영역을 보정하여 가면, 그 촬영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학습적으로 알맞은 ATW 제어 영역이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ATW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촬영 장치는,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시의 이득 조정값에 따라서 제 2 화이트 밸런스 동작의 실행기준이 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 시점의 이득 조정값을 그 중간값에 맞추어 넣는다는 것은 불필요하고, 따라서 반고정 저항 등에 의한 엄밀한 조정이 곤란하고, 또한 시간이 걸리는 조정 작업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 때문에 조정 공정의 능률화가 실현됨과 동시에, 제 2 화이트 밸런스 동작은 알맞은 상태로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제 2 화이트 밸런스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가변 조작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할 수 있도록, 순서대로 필요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행하고, 기준 광원 이외의 영향에 의한 부적절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이 설정되어 있더라도 간단히 적정 상태로 수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은, 복수회의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에 의한 이득 조정값을 기억하고, 각 이득 조정값의 분포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그 촬영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학습적으로 알맞은 ATW 제어 영역이 설정되게 되고, 이것 때문에 상시 ATW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ATW 제어 영역의 보정 시에는, 과거의 각 이득 조정값 중에서,소정 수치 범위 내에 해당하는 이득 조정값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이득 조정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정을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정 정밀도의 향상 및 그것에 따른 ATW 동작 정밀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

  1. 기준 피사체의 촬영을 행했을 때 얻어지는 R, G, B 각 촬영 신호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증폭의 이득을 조정하고, R, G, B 각 신호의 출력 레벨이 같도록 하는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과, 촬영 시에, 설정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R, G, B 촬영 신호에 추종하여 화이트 밸런스 증폭의 이득을 조정하는 제 2 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을 갖는 동시에,
    상기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 시의 이득 조정값에 따라서 상기 제 2 화이트 밸런스 동작의 실행 기준이 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가변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수단을 가지며, 상기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가변 조작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은, 복수회의 상기 제 1 화이트 밸런스 동작에의한 이득 조정값을 기억하고, 각 이득 조정값의 분포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 밸런스 제어 수단은, 기억한 각 이득 조정값 중에서 소정 수치 범위 내에 해당하는 이득 조정값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이득 조정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제어 영역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KR1019970012163A 1996-04-02 1997-04-02 촬영장치 KR100428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04196 1996-04-02
JP96-102041 1996-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74A KR970072974A (ko) 1997-11-07
KR100428522B1 true KR100428522B1 (ko) 2004-07-22

Family

ID=1431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163A KR100428522B1 (ko) 1996-04-02 1997-04-02 촬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00318B1 (ko)
KR (1) KR100428522B1 (ko)
CN (1) CN1113526C (ko)
DE (1) DE69718227T2 (ko)
ID (1) ID16797A (ko)
TW (1) TW3183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4C (zh) * 1998-05-01 2001-01-24 四川长虹电子集团公司 彩色电视机白平衡自动调整系统
EP1046308A1 (en) * 1998-08-14 2000-10-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r signal matrix adjustment
JP2004513580A (ja) 2000-11-01 2004-04-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カラーカメラにおけるカラー信号の処理
JP4320998B2 (ja) * 2002-02-01 2009-08-26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2003304558A (ja) * 2002-04-09 2003-10-24 Sanyo Electric Co Ltd ブルーストレッチ回路及びレベル検出回路
EP1389003B1 (en) 2002-08-08 2014-01-15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conversion tabl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4080099A (ja) * 2002-08-09 2004-03-11 Canon Inc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041995B2 (ja) * 2004-06-22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DE602007006900D1 (de) 2007-01-25 2010-07-15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Kameramoduls zum Ausgleich der Lichtstärke eines weißen LED
US7825958B2 (en) 2007-01-25 2010-11-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to compensate for the light level of a white LED
US7710466B2 (en) 2007-01-25 2010-05-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to compensate for the color spectrum of a white LED
US8531381B2 (en) 2008-09-30 2013-09-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LED backlight white bal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848B2 (ja) * 1987-05-30 1996-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031791A (ja) * 1989-05-30 1991-01-08 Sony Corp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回路
US5267026A (en) * 1990-08-31 1993-11-30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with white balance control having the function of inhibiting auto while balance control under a special light source or of a special object
KR0130876B1 (ko) * 1993-12-22 1998-04-22 구자홍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 화이트 발란스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18316B (ko) 1997-10-21
ID16797A (id) 1997-11-13
DE69718227D1 (de) 2003-02-13
CN1168597A (zh) 1997-12-24
DE69718227T2 (de) 2003-09-25
EP0800318A2 (en) 1997-10-08
CN1113526C (zh) 2003-07-02
EP0800318A3 (en) 1998-03-25
KR970072974A (ko) 1997-11-07
EP0800318B1 (en)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2648B2 (ja) 画像入力装置、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取可能な記録媒体
EP0863677B1 (en) Surrounding light judging method and video compens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28522B1 (ko) 촬영장치
US7479991B2 (en) Digital camera,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same
KR19980019200A (ko) 촬상 장치에서 사용하는 색 보정장치(Color correction apparatus for use in an imaging apparatus)
US7990431B2 (en) Calculation method for the correction of white balance
US5995142A (en) Automatic white balance control system for a color video camera
JPWO2003103298A1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補正データ取得方法
KR100967091B1 (ko) 디지털 영상장치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방법
JPH05199534A (ja) 撮像装置
JP3652902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200326485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3538963B2 (ja) 色温度算出方法、色温度算出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ビデオカメラ
JP2002077927A (ja) 電子カメラ
US6741285B2 (en) Apparatus which adjusts exposure on luminance value of photoelectrically converted image pickup screen
JP2004080402A (ja) ダイナミック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回路及び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2002118857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566845B2 (ja) 撮像システム
JP3849216B2 (ja) 撮像装置
JPH0634509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回路
JPH11262021A (ja) 色バランス調整装置
EP0801508B1 (en) Colour gamut detecting circuit
JP2562733B2 (ja) 白バランス調整装置
JP3348311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JP3121056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