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136B1 -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136B1
KR100428136B1 KR10-2001-0050377A KR20010050377A KR100428136B1 KR 100428136 B1 KR100428136 B1 KR 100428136B1 KR 20010050377 A KR20010050377 A KR 20010050377A KR 100428136 B1 KR100428136 B1 KR 10042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ehicle
engine
amount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680A (ko
Inventor
고성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13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차량 급제동에 따른 연료탱크 내 연료 쏠림에 의한 연료 라인내의 연료압 부족시, 인젝션 펄스 폭을 의도적으로 크게 증가시켜 엔진 꺼짐을 방지할 목적으로;
주행중인 차량에서 차속 변화량을 산출한 후, 급 제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 제동 여부가 판단되면, 소정의 시간동안의 연료 분사량의 차를 연산하여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연료 분사량의 차가 발생됨이 판단되며, 엔진 점화시기 및 연료량 보정, 연료량 피드 백 금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A METHOD FOR AN ENGINE STOP PREVENTION OF ENGIN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급제동시 연료의 쏠림 현상에 의한 엔진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연료탱크 내에 주유된 연료는 주행상태 변화에 따라 감소하게 되고, 상기 연료 감소량은 운전자가 점검 할 수 있도록 운전석 앞 클러스터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이 일반적인 주행상태 및 정지시 연료(40)의 잔잔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연료펌프(20)에 의해 정상적인 연료공급이 이루어져 엔진을 동작시킨다.
하지만,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이 고속 주행하던 중 급제동이 이루어지면, 연료 탱크(10) 내의 연료(40)는 관성에 의해 한 쪽으로 쏠리면서, 연료 펌프(20)는 연료 탱크(10) 내의 연료를 빨아들이지 못해 연료 라인 내의 압력은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연료 분사량이 작아져 혼합기의 공연비가 희박해져 연소실내에 폭발이 발생하지 않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이 꺼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급제동에 따른 연료탱크 내 연료 쏠림에 의한 연료 라인내의 연료압 부족시, 인젝션 펄스 폭을 의도적으로 크게 증가시켜 엔진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에서 차속 변화량을 산출한 후, 급 제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 제동 여부가 판단되면, 소정의 시간동안의 연료 분사량의 차를 연산하여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연료 분사량의 차가 발생됨이 판단되며, 엔진 점화시기 및 연료량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동작 순서도 이고,
도 3a는 일반적인 주행 및 정지시 연료상태도 이고,
도 3b는 차량 급제동시 연료 쏠림상태도 이고,
도 4는 종래의 연료 쏠림상태에 따른 엔진 시동 꺼짐 측정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료탱크 20 : 연료펌프
30 : 프리필터 40 : 연료
100 :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 110 : 차속 검출부
120 : 엔진 회전수 검출부 200 : 엔진 제어 장치
300 : 구동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장치 구성 블록도로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 장치(100)는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가변 출력되는 차량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 장치(100)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고자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동작 상태 검출 장치(100)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기되어 출력되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및 차속 등을 입력받아 주행중인 차량에서 차속 변화량을 산출한 후, 급 제동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급 제동 여부가 판단되면, 소정의 시간동안의 연료 분사량의 차를 연산하여 산출한 후, 엔진 점화시기 및 연료량 보정을 수행하며,구동장치(3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점화시기 및 연료량 보정 제어신호에 따라 동기되어 급제동시 엔진 시동꺼짐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차량 동작 상태 검출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110)와 주행중인 차량의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변속단 결정시 적용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120)로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엔진의 엔진 시동 꺼짐 방지 방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주행중인 차량에서 차량 주행상태 검출 장치(100)는 차량 주행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및 차속 등을 검출한다.
이에 엔진 제어 장치(200)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 장치(100)로 출력하고, 차량 동작상태 검출 장치(1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기되어 검출된 엔진 회전수 및 차속 등을 출력한다.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엔진 회전수 및 차속 등을 입력받아, 차속 변화량을 산출한다(S100,S110).
상기에서 차속 변화량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검출되는 현재의 차속(n) - 전 회 차속(n-1)으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차속 변화량이 산출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검출되는 차속 변화량에 따른 차량 급제동 조건 만족여부를 판단한다(S120).
즉, 전회의 차속(n-1)보다 금회의 차속 변화량(n)이 급격히 저하됨이 판단되면 즉, 금회의 차속 - 전회의 차속이 설정기준값의 음의 값보다 작으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소정의 설정 시간(t < 설정시간 b sec) 동안 엔진 회전수가 급격히 저하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30 ~ S150).
상기에서, 엔진 회전수가 급격히 저하됨을 판단하는 방법은, 실 엔진 회전수 - 아이들 목표 엔진 회전수 < (-C)(설정 기준값)인 조건을 만족하면 즉, 현 엔진 회전수 - 아이들 목표 엔진 회전수가 설정기준값(C)의 음의 값보다 작으면, 엔진 회전수가 급격히 저하됨을 판단한다.
따라서,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에서 엔진 회전수가 급격히 저하됨이 판단됨에 따라, 점화시기(θadv)를 보정하여 진각 시키고, 연료량 피드 백를 금지하여 연료량을 증량시키는 연료량 보정(Injection)을 수행하여 엔진 시동이 꺼짐을 방지한다(S160,S170).
상기에서 점회시기(θadv) 보정은 min[기본 점화시기(θB), 연료차단 지연 점화시기(θFC)] + 수온보정 값(θWT) + 흡기온 보정 값(θAT) + 대기압 보정 값(θBP) + 아이들 안정화 보정 값(θI) - 노크 지연 보정 값(θK) - 고흡기온 보정 값(θATKNK) - 가속 쇼크 지연 보정 값(θSHOCK) - 트랙션 제어 지연 보정 값(TCL) + 엔진회전수 편차에 따른 점화시기 진각 맵 값(f1(△rpm))으로 연산하여 보정 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량 보정(Injection)은 인젝션 구동시간(TB) ×(연료량 학습치(Klrn) + 연료량 피드 백 보정치(Kfb)) ×오픈 루프 연료량(Ka / f) ×기본 연료량 맵(Kmtch) ×워밍업 연료량(Kwup) ×퍼지 에어 초기 도입시 흡기 희박화 보정(Kprglean) ×시동 후 희박 화 보정(Klesn) ×(1 + 재시동 연료량(Kas)) ×엔진 회전수 편차에 따른 연료량에 부가되는 맵(f2(△rpm)) + [가속 연료량(Tacl), 0 ,감속연료량(-Tdcl)] + 인젝터 구동 Dead time( Td) 로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급 제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거나, 정상적인 엔진 회전수가 산출되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수 편차에 따른 점화시기 진각 맵(f1(△rpm) = 0)과 엔진 회전수 편차에 따른 연료량에 부가되는 맵 값(f2(△rpm) = 1)에 따라 엔진 동작상태를 제어한다(S180).
이로써, 고속 주행중 급 제동에 의한 연료 쏠림에 의해 엔진 시동이 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은, 차량 급제동에 따른 연료탱크 내 연료 쏠림에 의한 연료 라인내의 연료압 부족시, 인젝션 펄스 폭을 의도적으로 크게 증가시켜 엔진 꺼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주행중인 차량에서 차속 변화량을 산출한 후, 급 제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급 제동 여부가 판단되면, 소정의 시간동안의 연료 분사량의 차를 연산하여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연료 분사량의 차가 발생됨이 판단되며, 엔진 점화시기 및 연료량 보정, 연료량 피드 백 금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급 제동 판단은 차속 변화량 < (-소정의 설정 기준 값) 인 조건에 따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차속 변화량은 소정의 시간마다 검출되는 금회 차속 - 전 회 차속으로 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 분사량의 차는 실 엔진 회전수 - 아이들 목표 엔진 회전수의 값으로 산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KR10-2001-0050377A 2001-08-21 2001-08-21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KR100428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377A KR100428136B1 (ko) 2001-08-21 2001-08-21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377A KR100428136B1 (ko) 2001-08-21 2001-08-21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680A KR20030016680A (ko) 2003-03-03
KR100428136B1 true KR100428136B1 (ko) 2004-04-30

Family

ID=2772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377A KR100428136B1 (ko) 2001-08-21 2001-08-21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1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680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136B1 (ko) 차량용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 방법
JPH11107825A (ja) エンジンの空気量制御装置
JP2007132225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423294B1 (ko) 차량용 엔진의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427293B1 (ko) 디젤 엔진의 연료 제어방법
KR100666863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방법
JP3848908B2 (ja) エンジンの燃料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1355495A (ja) 車載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380461B1 (ko)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KR100380456B1 (ko) 차량용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0491A (ko) 고온 재시동성 향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0440335B1 (ko) 차량용 엔진의 배출가스 저감 방법
KR100423321B1 (ko) 차량용 엔진의 점화시기 제어 방법
KR100401840B1 (ko)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KR100298746B1 (ko) 엔진회전수제어방법
KR100401843B1 (ko) 차량용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KR20020046747A (ko) 차량용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07140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40326B1 (ko) 차량용 에어컨 제어 방법
KR100423296B1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KR100461398B1 (ko) 차량용 엔진의 가속 연료량 보정 방법
KR20040008980A (ko) 연료량 제어 방법
KR100394688B1 (ko) 자동 변속기의 엔진 토크 제어방법
KR100423343B1 (ko) 차량용 엔진의 연료량 제어 방법
KR20030023255A (ko) 차량용 엔진의 흡입 공기량 센서 고장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