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892B1 -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892B1
KR100427892B1 KR10-2001-0080102A KR20010080102A KR100427892B1 KR 100427892 B1 KR100427892 B1 KR 100427892B1 KR 20010080102 A KR20010080102 A KR 20010080102A KR 100427892 B1 KR100427892 B1 KR 100427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device
die
punch
fram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788A (ko
Inventor
변태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8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03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in punching machines or punch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스 작업시 소재가 펀치를 따라 올라오는 것을 막기 위한 이젝터 장치의 구성방식을 종전 펀치측에 일체식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배제하고, 대신에 세팅위치의 조절도 가능하게 하면서 다이상에 조립형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이젝터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소재의 크기에 따라 설치규격, 즉 세팅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재의 크기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새롭게 이젝터 장치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비효율적이고 낭비적인 요소를 완전히 해소하면서 비용적인 측면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Ejector device for pushing works for press machine}
본 발명은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 작업을 위한 소재가 놓여지는 다이상에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작업성이 우수하고, 소재의 크기에 따라 설치규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소재의 크기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프레스 작업의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종전과 같이 소재의 크기가 바뀔 때마다 이젝터 장치를 새롭게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설비를 이용한 블랭크 작업에는 소재를 절단하기 위한 펀치 및 다이와, 다이의 고정을 위한 클램프, 소재와 펀치의 분리를 위한 스프링 및 가이더 핀 등이 사용된다.
위와 같은 설비를 이용한 블랭크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100)는 슬라이더측에 생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다이(110)는 볼스터측에 고정용 클램프(12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다이측 위에 절단하려는 소재(130)를 놓고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펀치(100)가 하강하여 소재(130)를 먼저 전달한 후,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면 1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펀치(100)가 작업을 마치고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할 때, 절단된 소재(130)는 펀치와의 마찰에 의해 다이(110)의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고 다시 펀치(100)측을 따라 올라가려는 성질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펀치(100)의 주위에 스프링(140)과 가이더 핀(150)을 장착하여 펀치(100)와 절단된 소재(130)의 분리를 돕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프링 및 가이더 핀을 사용하는 소재의 분리방식은 제품의 크기가 각각 다른 모든 금형을 제작할 때마다 펀치의 주위를 감싸는 스프링 및가이더 핀을 모두 다시 제작해야 하므로, 금형 제작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프레스 작업시 소재가 펀치를 따라 올라오는 것을 막기 위한 이젝터 장치의 구성방식을 종전 펀치측에 일체식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배제하고, 대신에 세팅위치의 조절도 가능하게 하면서 다이상에 조립형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이젝터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소재의 크기에 따라 설치규격, 즉 세팅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재의 크기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새롭게 이젝터 장치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비효율적이고 낭비적인 요소를 완전히 해소하면서 비용적인 측면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스 작업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결용 홀 11 : 가로방향 프레임
12 : 체결용 슬롯 13 : 세로방향 프레임
14 : 눈금 15 : 단차면
16 : 고정용 볼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블랭크 작업영역을 사이에 두고 다이상에 양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고 윗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용 홀(10)을 갖는 2개의 가로방향 프레임(11)과, 블랭크 작업영역을 사이에 두고 가로방향 프레임(11)상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가로방향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폭중앙을 따라 길게 절개되는 체결용 슬롯(12)을 갖는 2개의 세로방향 프레임(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가로방향 프레임(11)은 다이상에서 서로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방향 프레임(11) 및 세로방향 프레임(13)은 다이상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14)을 기준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5는 단차면이고, 16은 고정용 볼트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110)상의 블랭크 작업영역(160)을 사이에 두고 양옆으로는 2개의 가로방향 프레임(11)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다이(100)의 고정을 위한 클램프(120)에 의해 그 단차면(15)을 이용하여 함께 고정된다.
이러한 가로방향 프레임(11)의 윗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체결용 홀(10), 즉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은 후술하는 세로방향 프레임(11)을 고정시킬 때 이용된다.
또한, 소재(130)의 크기에 따라 가로방향 프레임(11)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다이(100)의 측면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14)을 이용하면 2개의 프레임을 대칭위치에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소재(130)를 분리시켜주는 역할의 세로방향 프레임(13)은 가로방향 프레임(11)을 교차하는 구조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프레임의 폭중심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슬롯(12)을 통해 양단이 고정용 볼트(16)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세로방향 프레임(13)은 고정용 볼트(16)를 풀고 조이는 조작만으로 가로방향 프레임(11)의 각 체결용 홀(10)을 선택하여 그 세팅위치를 옮길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세로방향 프레임(13) 간의 간격도 다이(110)상의 눈금(14)을 이용하여 조절하면 편리하고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측으로 소재가 공급된 후,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펀치가 하강하여 소재를 먼저 절단하고,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할 때, 절단된 소재는 펀치와의 마찰에 의해 다이의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고 다시 펀치측을 따라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펀치는 윗쪽으로 올라가도 다이 위의 세로방향 프레임에 의해 소재는 걸려서 다이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이상에 설치되면서 소재의 크기변화에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그 설치규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가로방향 프레임 및 세로방향 프레임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소재의 크기가 바뀔 때마다 이젝터 장치를 새롭게 제작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작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블랭크 작업영역을 사이에 두고 다이상에 양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고 윗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용 홀(10)을 갖는 2개의 가로방향 프레임(11)과, 블랭크 작업영역을 사이에 두고 가로방향 프레임(11)상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가로방향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폭중앙을 따라 길게 절개되는 체결용 슬롯(12)을 갖는 2개의 세로방향 프레임(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로방향 프레임(11)은 다이상에서 서로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프레임(11) 및 세로방향 프레임(13)은 다이상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14)을 기준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KR10-2001-0080102A 2001-12-17 2001-12-17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KR100427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102A KR100427892B1 (ko) 2001-12-17 2001-12-17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102A KR100427892B1 (ko) 2001-12-17 2001-12-17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788A KR20030049788A (ko) 2003-06-25
KR100427892B1 true KR100427892B1 (ko) 2004-04-28

Family

ID=2957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102A KR100427892B1 (ko) 2001-12-17 2001-12-17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8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840U (ko) * 1983-02-07 1984-09-22 주식회사금성사 성형 프레스의 제품 취출장치
KR860008027A (ko) * 1985-04-16 1986-11-10 아레뜨 다난세르 금속 스트립 안내 및 릴리이빙용 시스템을 구비한 프레스 공구
KR960020386U (ko) * 1994-12-20 1996-07-18 프레스금형의 제품성형후 취출을 용이하게 하는 하측홀더 가동장치
KR19980051440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프레스 금형의 가공 대상물 탈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840U (ko) * 1983-02-07 1984-09-22 주식회사금성사 성형 프레스의 제품 취출장치
KR860008027A (ko) * 1985-04-16 1986-11-10 아레뜨 다난세르 금속 스트립 안내 및 릴리이빙용 시스템을 구비한 프레스 공구
KR960020386U (ko) * 1994-12-20 1996-07-18 프레스금형의 제품성형후 취출을 용이하게 하는 하측홀더 가동장치
KR19980051440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프레스 금형의 가공 대상물 탈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788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9816B2 (en) Presser assembly having a presser and an improved mount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pressing member to the presser
JP2000343144A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427892B1 (ko) 프레스 설비의 소재 분리용 이젝터 장치
JP3708314B2 (ja) 加工切換えプレス金型
KR200401905Y1 (ko) 프레스금형 받침장치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KR200391780Y1 (ko) 루프와셔 쿠션링 자동부착장치
KR101297296B1 (ko) 금속 베이스 회로기판의 연쇄품형성방법 및 금속 베이스 회로기판의 연쇄품
JP5316858B2 (ja) 成形シートの抜刃型
KR100511399B1 (ko) 부하분산식 판재 노칭장치
JP2007152417A (ja) 曲げ金型装置及び曲げ加工方法
KR10085872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크랩 절단장치
JP3648701B2 (ja) プレス用パンチリテーナー装置
KR20030047313A (ko) 쉐어링 장치
CN213949040U (zh) 一种用于洗标机的料仓机构
JP2019038085A (ja) トムソン刃ユニット及びそのトムソン刃の高さ調整方法
JPH088378A (ja) 電子部品用リードフレームにおける不要部分の打ち抜き装置
CN209793953U (zh) 一种模切机模架
KR100575356B1 (ko) 아크릴 수지 절단기의 절단 다이 구조 및 펀치 구조
KR20150078469A (ko) 블랭킹 프레스용 컷팅금형
KR20100002977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930007993Y1 (ko) 프레스의 녹아웃 장치
JPS5925546Y2 (ja) プレス機械における金型支持装置
KR20240054450A (ko) 드로잉 금형
KR100498768B1 (ko) 그레이팅용 압접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