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017B1 - 직기에서경사의횡방향진동움직임을선택적으로제어하기위한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에서경사의횡방향진동움직임을선택적으로제어하기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017B1
KR100427017B1 KR10-1998-0702093A KR19980702093A KR100427017B1 KR 100427017 B1 KR100427017 B1 KR 100427017B1 KR 19980702093 A KR19980702093 A KR 19980702093A KR 100427017 B1 KR100427017 B1 KR 100427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s
sinker
loom
control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643A (ko
Inventor
쿠오니 크리스챤
더 앙겔리스 마르코
Original Assignee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1999006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0Electrically-operated jacqu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3/00Shedd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방사(4)의 횡방향 진동움직임의 선택적인 제어를 위해 제안된 본 장치는 진동하는 형식으로 운전되는 그리고 방사 캐리어들(22a,22b)과 맞게 만들어지는 싱커들(6)을 포함한다. 횡방향으로 움직일 경사(4)를 개개로 제어할 수 있기 위하여, 개개의 캐리어들은 방사를 픽업할 수 없는 초기위치로부터 방사 픽업 위치로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작동기(60)에 맞추어 진다. 이것은 방사를 픽업하고 횡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단순하게 한다.

Description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상기 언급된 형태의 장치들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장치들은 샤프트 직기 또는 자카아드 직기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패턴이 이루어진 재료들의 제조에 사용된다. 각 경사는 헤들(heddle)의 패쇄 눈을 통하여 안내되고, 샤프트 직기의 샤프트 또는 자카아드 직기의 수직이송기구(harness)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올려지거나 낮추어진다. 그러한 장치들은 다르게는 USP No. 4,936,352, EP-B 0 421 370, EP-A 0 302 798, EP-A 0 534 523 및 DE-C 4 023 512로부터 또한 알려져 있다.
개개의 경사의 선택과 움직임의 이런 유형에서의 하나의 단점은 직기의 비용에 가깝거나 그 이상이 되는 샤프트 또는 자카아드 직기에 있어서의 상당히 큰 공간을 요구하게하는 많은 전기 및 기계적인 비용이 들고 코스트가 높다는 것이다. 제어해야만 하는 개개의 실이 많을수록, 해결을 위한 비용은 그 만큼 많이 든다는 것이다. 현재의 기술적인 장치의 더 추가적인 그리고 큰 단점은 자카아드 또는 샤프트 직기의 기술을 제외하고라도, 모든 경사는 직기 헤들의 패쇄 눈을 통하여 각각 안내되어야만 한다. 경사를 당기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인적 또는 기계적 비용이 들어간다. 헤들의 패쇄눈내에서의 안내에 의하여, 경사의 자유도는 감소되며, 따라서, 경사는 정경 방향으로만 움직임이 자유롭다. 이것은 축, 수직이송기구, 자카아드 플레이트, 자석 등과 같은 간접요소는 물론 헤들과 같은 직접요소에 의한 비싼 제어 및 조작에 대해 보상되어야 하고, 여기서 요소들은 자카아드 직기에서 각각 또는 샤프트 직기에서 그룹 형태로 경사의 다른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수행한다.
USP NO. 5,261,464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싱커(sinker)에서 열린 눈을 가지는 헤들들로 구성되는 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는 그러나 다른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개구의 설계는 천을 짜는 동안 실들의 아무런 연결이나 분리하지 않도록 하고, 직기가 가만히 있을 때 경사를 당기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또한, 그 설계에 의거하여 오직 몇몇의 경사 두께만이 안내 요소에 의해 받아들여질 수 있다. 헤들의 조작은 상당히 많은 기계적인 비용이 동반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서문에 따른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한 것이다.
본발명을 위한 실시예가 다음의 도식적인 그림과 함께 기재된다.
도1은 도식적으로 나타내어진 직기의 위이빙(weaving)부의 측 입면도;
도2는 경사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경사에 대해 횡방향의 단면도;
도3은 도2에서의 장치에 대한 끝단편;
도4는 경사의 제어를 위한 제1 싱커이고 캐리어들을 보여주며;
도5는 점선 v-v를 따라 확대로 보여지는 도4의 싱커;
도6은 수직 단면으로 확대된 도4의 싱커 부분;
도7은 경사의 방향에 횡으로 보여지는 축받이상의 하나의 그룹으로 함께 배열된 복수의 싱커들 및 분리 싱커들;
도8은 캐리어들을 보여주는 또다른 싱커;
도9는 도8에서 점선 IX-IX를 따라 보여지는 단면도에서의 도8의 싱커;
도10은 캐리어들을 보여주는 또다른 싱커; 및
도11은 점선 XI-XI를 따라 보여지는 단면에서의 도10의 싱커들이 나타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정경빔 4 경사
6,6a,6b,6c,6d,6e 싱커 8,8a,8b 지지대
10 중간위치 12 직조 영역
14 리드 15 직물의 경사
16 생성물의 단부 18 짜진 재료
20 생성물 빔 22(a,b,c,d)캐리어
24 제어장치 26 도선
28 상부영역 30 하부 영역
32,32a 분리싱커 34 스페이서
36 끝단편 38 스페이서
39 안내표면 42,82,86 하우징
42b 외피 44 단부
46 하단부 48 다리
50 헤드부 52 제어 촉(제어수단)
54 고정부 58 핀
60,60a,60b 작동기 62 중간층
64 전도성 통로 66 개구
68,68a 회로 70,70a 도선
72,72a,74 접점 76 받침대
77 전송장치 78 막
84a,84b 편향 촉(제어수단)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의 직접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상기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헤들에서 이전에 폐쇄된 경사 개구를 대신하며, 샤프트나 자카아드 직기에서와 같은 직접요소들을 피하고, 사실상 최소의 공간을 요구하는 개개의 경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 1항의 특색있는 형태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경사가 대응 캐리어에 의해 끌어들여 지도록 작동기가 제어수단을 조작할때만 캐리어가 경사를 붙잡는다. 그렇지 않으면 경사는 자유롭다. 일면에 있어서 장치를 통하여 경사를 꿰는 것이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되면, 이면에, 경사는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 개개로 붙잡히고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의 제어와, 그에 상응하여 직기의 경우에 있어서, 제조된 재료에서 패턴을 만들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본 장치는 가장 폭넓은 가능한 응용들에 있어서 적합하다. 그래서 예를들면, 그것은 다양한 색채와 질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잡기 위해 경사 운반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장치는 특히 직기와 결합하여 사용될 때 추가적인 실질적인 장점들을 지닌다. 싱커로의 선택 메카니즘의 통합을 통하여, 경사들을 제어하고 편향(deflecting) 하기 위한 수많은 유용한 기계적 요소들이 샤프트 직기, 자카아드 직기 및 헤들 직기에서와 같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만약 싱커들이 직기의 축들에 연결되면, 그것들은 재료 패턴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보내어질 더 이상의 필요가 없다. 대신에 그것들 모두는 예를 들어 사인곡선 동작으로 동시에 보내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그것들은 비용을 피하고 조작의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실제적으로 더 간단하며 더욱 튼튼한 설계가 될 수 있다. 선택 장치와 제어된 경사들 사이에서의 간접 제어와 조작요소들을 피함으로서 필요한 힘들은 줄어들게 되고 그것은 장치와 에너지에 대한 요구를 상당히 최소화시킨다. 경사는 더 이상 헤들을 통하여 꿰어지질 않고,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싱커들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쉬는 동안은 물론 직조기의 조작중에도 그것들은 연결 및 단락될 수 있으며, 이것은 경사와의 연결 및 경사를 꿰는데 있어서 장점들을 만들어낸다.
본 장치의 이로운 실시예들이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 16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장치는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캐리어들은 싱커들과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작동기에 의해 조작되는 제어수단은 싱커들로 붙잡기 위해 요구에 따라 경사들을 캐리어에 안내하는데 이용된다. 이 형태의 추천되는 제3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기초적인 실시예는 아무런 경사 붙잡음이 일어나지 않는다.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기 수단을 이용하여 캐리어들 자체를 경사가 싱커의 수단에 의해 빗겨나가는 운반위치로 이동하도록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어의 제2타입의 실시예들의 이로운 변형들이 제3항 및 제4항에 기재되어 있다.
싱커의 캐리어는 만약 필요하다면 싱커 움직임의 양쪽 방향으로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캐리어는 포크(fork)와 같은 형태를 취하게되며 여기서 포크 개구부는 싱커의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위치된다. 반면에 싱커가 움직임의 다른 방향에서 조작가능한 제2캐리어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움직임의 다른 방향동안에 이용된 캐리어는 추가의 싱커에 연결된다. 캐리어들의 배치와 위치에 있어서는, 여러 변형들이 있다. 그래서, 캐리어들은 갈고리-모양일 수 있거나 또는 최소한 경사를 안전하게 잡기위하여 V자형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굽어진 제어 촉(tongue)의 단부에 캐리어를 배치하는 것은 또한 장점이 된다.그 캐리어는 예를들어 제어 촉의 변형을 통하여 또는 제어 촉상에 설치된 분리편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촉의 기능은 상기에서 이미 언급된 싱커의 특별한 형태로부터 또한 추측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어된 요소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되어 있다. 경사를 잡는 확실성이 청구범위 제7항의 실시예와 일치하여 개선되며, 이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 8항에서 전개된다.
특히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실시예가 이로우며, 여기서는 싱커에 의해 선택된 경사가 분리 싱커의 수단에 의해 다른 경사들로부터 분리된다. 후자는 제어 촉 및 또다른 움직임 가능한 제어수단의 편향을 또한 제한할 수 있다. 특별히 이로운 싱커 및 분리 싱커의 배치와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10항에 기재된다.
작동기는 청구범위 제11항에 따라 유리하게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작동기는 여러 성분들 예를들어, 압전 소자, 자성코일, 영구자석, 기억합금, 바이-메탈 스트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것은 필수적이다. 특히 예를들어 압전 소자들과 같은 최소 에너지 소비성의 작동기가 유리하다. 또한 최소한 청구범위 제 12항 내지 15항중 하나에 따른 배치를 갖는 것이 이로우며, 여기서, 싱커들 및 제어 작동기 자체를 제어, 조절 및 감시하기 위한 요소들은 싱커들 내에서 자동적으로 통합된다. 싱커의 베이스 영역 내에서 접점들 또는 무선 연결들, 예를들어 광학적인 연결들과, 싱커 내에서 또는 상부에서 통합된 중간층들은 편향의 상태와 또 그와 함께 기능성을 감시하는 것은 물론 작동기가 전기적으로 제어 및 그에 따라 조절되도록 한다.
싱커들은 캐리어들로부터 각각 제거될 수 있고, 예를들어 수리의 목적을 위해 또다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싱커들을 함께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것은 싱커들을 설치, 예를들어 교환하는 것은 물론 제어하는데 실제적으로 이로울 수 있다.
베이스 영역 내에서 싱커들 및 분리 싱커들은 여러 두께를 갖는 분리편(spacing piece)을 사용하여 함께 연결되고, 그리하여 그것들의 분리가 경사의 요구되는 두께에 상응한다. 그룹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은 싱커들중 최소한 하나 자체상에 또는 그룹의 베이스 영역 내에, 또는 그곳의 외부에 즉 싱커 및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분배될 수 있다.
이로운 형태는 청구범위 제 16항에 기재되며, 여기서 싱커의 상단부는 정확한 정도로, 즉 베이스 영역 내에서의 분리에 상응하는 정도 만큼 한쪽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돌출하고, 다른쪽에서는 그것들은 수동으로 및/또는 자동 경사 감지 장치들을 통하여 인식되고 선택되기 위해 동시에 서로 분리된다.
싱커들은 특별한 패턴이 짜질 수 있도록 복수의 싱커들을 제어하는 기존의 제어 장치와 연결된다. 하나의 그런 제어장치는 컴퓨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어 스캐너 또는 CA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의의 패턴(예를 들어 그림)의 입력과, 직기의 조작 변수들(정경 및 직물에서의 경사 두께)에 따른 그것의 변환을 허락한다. 따라서 직조 영역(weaving shed)의 최고점 및 최저점은 요구되는 짜기 패턴이 만들어지도록 싱커들상에 위치해 있는 캐리어들을 위한 해당 제어 신호들로 변환된다.
도1은 경사들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예를들어 직기에서 경사(warp yarn)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1은 정경봉(2)을 보여주며, 정경봉(2)으로부터 경사(4)가 공급되고, 직조 영역(12)의 형성을 위해 그 경사(4)는 휴식위치, 즉 중간 위치로부터 그것들의 움직임 방향에 횡으로 상하로 진동한다. 위이빙 블레이드(blade) 또는 리드(reed)(14)는 생성물의 일단(16)에서의 직조 영역(12)내로 삽입된 직물의 경사(15)를 놓고 프레스하는 역할을 한다. 생성된 짜진 재료(18)는 생성물 빔(20)상으로 안내된다. 개개의 싱커들(6, 6a, 6b)은 캐리어들(22)을 포함하며, 이 각각은 경사를 붙잡을 수 없는 초기위치로부터 작동기 및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경사 붙잡음 위치로 운전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재된 작동기의 조작을 위해, 제어장치(24)가 설치되고 도선(26)를 이용하여 싱커들(6)과 각각 연결된다.
각각의 싱커는 두 개의 캐리어(22a,22b)를 포함하며, 이들 캐리어들 각각은 직조 영역(12)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 위치(10)로부터 상부 영역(28) 또는 하부 영역(30)으로 경사(4)를 편향하기 위해 한방향으로 싱커의 움직임 동안에만 조작가능하다. 반면, 중간위치(10)로부터 하나의 경사(4)를 편향 하기 위해 두 개의 지지대(8a, 8b)상에 위치되는 두 개의 싱커들(6a, 6b)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제2싱커(6b)가 경사를 다음 위이빙 사이클을 위해 하부 영역으로 편향 하는 동안 하나의 싱커(6a)는 하나의 경사(4)를 상부 영역(28)으로만 편향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2 배속의 (double rhythm)으로의 싱커들의 조작은 1/2 위이빙 횟수로 작동하는 캐리어들로 가능하다. 축으로 나타나는 지지대들을 위한 구동은 물론 직기의 구조는 잘알려져 있으며, 이것을 고려하여 상기에서 인용된 특허들 특히 EPA 0 534 523이 언급된다.
싱커들의 개개의 실시예들과 배치들은 도2 내지 6과 연관하여 기재된다. 도2는 복수의 싱커들(6)이 지지대(8)상에서 열을 이뤄 특별한 그룹들로 어떻게 배열되는 지를 보여준다. 각 싱커(6)는 싱커들 사이에서 지지대(8)상에 열로 설치된 스페이서(34)형태의 분리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간격을 가지는 측면 양쪽상에 위치되는 분리 싱커(32)를 구비한다. 지지대의 양쪽에서, 끝단편들(36)은 싱커들(6,32) 및 스페이서들(34)을 지지대(8)상의 각각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고 고정된다. 끝단편들은 추가적으로 나타내어지지 않은 방법으로 에너지 공급 및 또는 데이터 교환 의 부분으로서 역할을 한다. 지지대(8)로부터 대향하는 싱커들(6)과 분리 싱커들(32)의 끝에서 싱커들은 예를 들어, 싱커들의 하우싱에서 만곡부(bow)들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추가적인 스페이서들(38)이 제공된다. 이들 스페이서들은 싱커들의 대향하여 위치된 스페이서에 부딪히고, 추가적으로, 경사의 통로를 위해 안내 표면(39)를 형성한다. 분리싱커들(32)은 한편으론 운전된 캐리어들(22a, 22b)을 위한 또 다른면으로는 개개의 싱커들(6)로 처리되지 말아야 할 경사들(4a)의 분리를 위한 접합부들로서 역할을 한다. 복수의 경사들의 처리는 도1에서 싱커세트 I 및 II에 의해 가리켜지는 여러 싱커 세트들 사이에서 또한 나누어질 수 있다. 다른 쪽 후방에 설치된 지지 평면 상에서 싱커들의 하나의 그러한 비틀림은 경사 밀도가 증가하도록 한다.
도4 내지 6은 도1 내지 3에서의 이용을 위해 요구될 수 있는 싱커의 개개의 구조들을 보여준다. 싱커는 단부(44)에서 함께 용접되는 두 개의 외피(42a, 42b)로 형성되는 하우징(42)으로 구성된다. 싱커가 지지대 상부에서 또는 지지대로 미끌어질 수 있도록 그 하우징은 지지대(8)를 주위로 클램핑된 두 개의 다리(48)를 구비한 하단부(foot)(46)로 이루어진다. 싱커는 반면에, 많은 다른 방법으로 예를 들어나사,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지지대와 또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싱커는 상부로 개개의 경사가 안내되는 헤드부(50)를 포함한다. 하단부(foot)(46) 및 헤드부(50) 사이의 각 양쪽에 각각 싱커의 움직임의 두 개의 방향으로 조작가능한 한쌍의 캐리어들(22a, 22b)이 배열된다. 캐리어들은 제어 촉(tongue)(52)의 형태를 하는 제어 요소로서 구성되는 제어수단의 끝에 고정된다. 촉은 다른 것들과 함께 하우징(42)내의 강화패드(56)에서의 고정부(54)에 접착제 및/또는 핀(58)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작동기(60)는 여러 재료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철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제어 촉에 고정된다. 작동기는 예를들어 압전소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작동기(60)는 중간층(62)상에 배열되는 전도성 통로(64)를 이용하여 활성화 된다. 작동기(60)가 전도성 통로(64)를 통하여 전류를 받자마자, 제어 촉(52)의 굽힘이 제공되고 여기서 싱커의 하우징 내의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갈고리 모양의 캐리어(22b)가 하우징(42)내에서 개구(66)를 통해 밖으로 도2내지 도6에 나타나는 붙잡음 위치로 이동하며, 이 위치내에서 싱커의 상 또는 하 움직임에 의해 경사(4)를 붙잡는다.
싱커의 양쪽에의 캐리어들(22a, 22b)을 위한 작동기(60)는 전도성 통로(64)를 통하여 예를들어 IC로서 일컬어지는 통합된 회로인 회로(68)와 연결되고, 그와 같이 싱커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회로는 예를 들어 작동기(60)의 제어와 통제를 위해 이용된다. 회로는, 예를들면, 에너지 공급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복수의 도선(70)을 통하여 하단부(46)내의 접점들(72)과 연결된다. 접점들(72)은 도선(26)을 통하여 외부 제어 장치(24)와 연결되는 지지대(8) 내의추가적인 접점(74)들과 연결된다. 제어장치는 경사(4)가 제공될 직조 패턴에 따라 싱커들에 의해 붙잡히도록 싱커 및/또는 그에 따라 임의의 패턴으로 된 싱커들의 캐리어(22a,22b)를 제어한다.
도 2에 따른 지지대(8) 상의 싱커들(6) 및 분리 싱커들(32)의 개개의 배열에 대응하여, 도7은 복수의 그러한 싱커들(6c) 및 분리싱커들(32a)이 하나의 그룹으로 모아지며 예를들어 접착제에 의해 공통 받침대(76) 내에 놓이거나 고정된다. 다음 그 받침대(76)는 상기에서 이미 기재된 방법으로 지지대(8)에 자체가 고정될 수 있다. 싱커들(6c)은 이 경우에 그룹의 모든 싱커들을 위해 도선(64a)을 이용하여 공통 회로(68a)와 연결된다.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또는 회로(68a)로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도선(70a)은 여기서 지지대(8)에 병렬로 지나간다. 데이터 이동을 위해 이용되는 도선은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이웃하는 받침대의 도선과 묶여지는 광신호의 전달을 위해 채널(70b)로 형성될 수 있다. 싱커들을 제어하기 위해 도선(70a) 및/또는 채널(70b)은 에너지/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지지대의 일단부에 위치된 전송장치(77)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외부로부터 도선에 공급되는 에너지 대신에 에너지 공급을 위한 전지가 받침대 내에 놓일 수 있다.
도8 및 9는 제어수단이 예를 들면 하우징(82)의 부분이 될 수 있는 막(78)으로서 설계될 추가적인 싱커(6d)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막(78)은 작동기(60a)를 구비한다. 막(78)은 작동기(60a)를 이용하여 하우징(82)의 내부 내의 초기 위치로부터 그 막들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붙잡은 위치로 요구에 따라 안 밖으로 이동된다.
도10 및 11은 단면으로 된 싱커들(6e)의 추가적인 변형을 보여준다. 제어수단은 편향 수단으로서 형성되고, 하우징(86)의 각 측면에 쌍으로 작동기들(60b)과 배열되는 편향 촉(84a, 84b)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영역들 내의 편향 촉들은 싱커(6e)의 하우징(86) 내에 고정하여 배열되는 캐리어들(22d)을 은폐한다. 붙잡음 위치에서 편향촉(84a)의 자유단(free end)(88a)은 경사(4)의 미끄럼통로 내로 튀어 나오고, 다른 관련 편향 촉(84b)의 자유단(88b)은 내부로 뾰족하고 경사(4)를 캐리어(22d)로 안내하기 위한 미끄럼을 형성한다. 초기 위치에서 양쪽의 편향 촉들(84a 및 84b)은 내부로 뾰족하고 경사를 붙잡지 않는다.

Claims (16)

  1. 경사(4, 4a)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22,22a,22b,22c,22d)를 갖고 진동의 방식으로 구동되는 싱커(6,6a,6b,6c,6d,6e)를 구비한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를 상기 캐리어에 붙잡히게 하기 위해 작동기(60,60a,60b)에 의해 운전되는 제어수단(52,78,84a,84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경사(4)가 붙잡히지 않는 초기위치와 붙잡음 위치 사이에서 작동기(60b)를 이용하여 진동하는 방식으로 이동되는 편향 촉(84a,84b)으로서 형성되며, 여기서 캐리어(22d)에 의해 싱커(6e)에 연결되는 경사의 편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캐리어(22a,22b)를 지지하고 경사 붙잡힘이 없는 초기위치와 경사를 붙잡기 위한 붙잡음 위치 사이에서 작동기(60)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제어 촉(52)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어요소는 하우징(82)의 부분일 수 있고. 캐리어(22c)를 지지하는 막(78)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22,22a,22c,22d)는 싱커(6,6a,6b,6c,6d,6e)의 움직임의 일방향으로만 조작가능하며, 싱커는 움직임의 다른 방향에서 조작가능한 하나의 추가적인 캐리어(2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6. 제3항에있어서, 제어요소는 여러 강성도의 영역들을 가지며, 여기서 제어요소의 베이스에 위치되는 제1영역은 캐리어와 관련된 제2영역보다 더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있어서, 분리 싱커(32,32a)가 캐리어들(22,22a,22b,22c,22d)을 지니는 싱커들(6,6a,6b,6c,6d,6e)의 측면에 위치되고, 제어수단(52,78,84a,84b)은 붙잡음 위치내에서 분리 싱커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들(34,38)이 싱커(6,6a,6b,6c,6d,6e)와 분리 싱커(32,32a) 사이에서 배열되며, 여기서 상부 스페이서(38)가 경사(4)의 통과를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 표면(3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사(4,4a)를 위한 복수의 분리 싱커들(6,6a,6b,6c,6d,6e)이 하나의 지지대(8,8a,8b)상에 배열되거나 또는 복수의 지지대 상에 배열되며, 여기서 분리 싱커들(32,32a)은 인접 싱커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있어서, 싱커들(6,6a,6b,6c,6d,6e) 및 분리 싱커들(32,32a)은 지지대(8)위에서 받침대(76)상에 개개로 또는 그룹지어 집합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60,60a,60b)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하고 분리 제어 장치(24)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싱커들(6,6a,6b,6c,6d,6e)은, 작동기(60,60a,60b)의 제어또는 싱커의 상태를 통제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도성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중간층(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각각 개개의 싱커(6,6a,6b,6c,6d,6e) 또는 싱커들의 그룹의 제어, 조절 또는 통제를 위한 회로(68,68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14. 제11항에있어서, 싱커(6,6c)가 하단부(46) 또는 제어 도선(26)으로의 연결을 위해 접점 부(72,72a)를 포함하는 받침대(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싱커(6,6c)와 그곳과 연결된 받침대(76) 그리고 싱커(6) 또는 받침대(76)를 위한 지지대(8)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광학적인 장치(70,70a,72,72a,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 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싱커(6,6a,6b,6c,6d,6e)의 상부 끝이 예를 들어, 기하학적 형태 또는 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학적 요소들을 기준으로 하여 인접한 각각의 싱커들로부터 구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 경사의 횡방향진동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1998-0702093A 1995-09-21 1996-09-06 직기에서경사의횡방향진동움직임을선택적으로제어하기위한장치 KR100427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681/95-3 1995-09-21
CH268195 1995-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643A KR19990063643A (ko) 1999-07-26
KR100427017B1 true KR100427017B1 (ko) 2004-07-19

Family

ID=423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093A KR100427017B1 (ko) 1995-09-21 1996-09-06 직기에서경사의횡방향진동움직임을선택적으로제어하기위한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41831A (ko)
EP (1) EP0851946B1 (ko)
JP (1) JP3969740B2 (ko)
KR (1) KR100427017B1 (ko)
CN (1) CN1062615C (ko)
DE (1) DE59608928D1 (ko)
ES (1) ES2172674T3 (ko)
HK (1) HK1013201A1 (ko)
TW (1) TW357205B (ko)
WO (1) WO1997011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16100U1 (de) * 1997-09-08 1997-10-30 Textilma Ag Fadensteuervorrichtung
GB9820314D0 (en) * 1998-09-18 1998-11-11 Bonas Machine Co Motive drive for warp selection
US6216748B1 (en) * 1999-12-10 2001-04-17 Wis Seaming Equipment, Inc. Pivoting magnet latches for improved weaving device
US6216749B1 (en) * 1999-12-10 2001-04-17 Wis Seaming Equipment, Inc. Weaving device
US6318415B1 (en) * 1999-12-10 2001-11-20 Wis Seaming Equipment Inc. Quick release coupling/pulley assembly for improved weaving device
US6336477B1 (en) * 1999-12-10 2002-01-08 Wis Seaming Frame modules for improved weaving device
ES2279941T3 (es) * 2002-05-10 2007-09-01 Textilma Ag Dispositivo inalambrico de control del hilo.
ITMI20021175A1 (it) * 2002-05-30 2003-12-01 Gianpaolo Sarzilla Liccio o maglia per telai di tessitura e relativo quadro porta licci ad elevata semplicita' strutturale e a ridotta rumorosita' di funzionam
TWI303679B (en) * 2003-06-12 2008-12-01 Textilma Ag Loom
MXPA06003674A (es) * 2003-10-02 2007-02-14 Albany Int Corp Carton compacto de seleccion de jacquard que utiliza elementos piezoelectricos.
CN1886540B (zh) * 2003-11-28 2011-01-12 泰克斯蒂尔玛股份公司 用于织机、特别是用于开口装置的纱线控制装置
DE102004024464B4 (de) * 2004-05-14 2006-07-27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ebmaschine zur individuellen Webmuster- und Bindungsgestaltung bei der Gewebeherstellung und Verfahren zur individuellen Webmuster- und Bindungsgestaltung
GB2432595B (en) * 2005-11-24 2010-09-29 John Rush Direct warp sel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97B (de) * 1953-03-09 1958-02-20 Trikotfabriken J Schiesser A G Vorrichtung zum Bilden des Faches auf Webmaschinen
IT1105933B (it) * 1977-07-26 1985-11-11 Brochier Soieries J Apparecchiatura per il comando dei movimenti dei fili di ordito in un telaio di tessitura
FR2525505A1 (fr) * 1982-04-21 1983-10-28 Bentzmann Bertrand De Dispositif de production et d'evacuation de pieces en fil, faconnees
FR2535742A1 (fr) * 1982-11-04 1984-05-11 Verdol Sa Mecanique d'armure a selection perfectionnee des crochets
DE3721932A1 (de) * 1987-07-02 1989-01-19 Grosse Webereimaschinen Gmbh Doppelhub-offenfach-jacquardmaschine
US4790357A (en) * 1987-08-06 1988-12-13 Steel Heddle Mfg., Inc. Harness frame slat and heddle
GB8817765D0 (en) * 1988-07-26 1988-09-01 Palmer R L Loom control
EP0421370B1 (de) * 1989-10-03 1994-04-13 Grosse Webereimaschinen GmbH Doppelrollenelement für Jacquardmaschine
BE1005399A3 (nl) * 1991-09-23 1993-07-13 Picanol Nv Werkwijze om te weven en inrichting voor het aandrijven van weefkaders hiertoe aangewend.
IT1252804B (it) * 1991-09-24 1995-06-28 Tcnotessile Centro Ricerche S Dispositivo per la movimentazione dei fili di ordito
BE1006347A3 (nl) * 1992-11-16 1994-07-26 Picanol Nv Inrichting voor het presenteren van inslagdraden bij weefmachines.
IT1265071B1 (it) * 1993-05-18 1996-10-30 Nuovo Pignone Spa Dispositivo di regolazione continua della sensibilita' di tastazione, nel controllo di inserzione trama in un telaio tess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1946A1 (de) 1998-07-08
WO1997011215A1 (de) 1997-03-27
JPH11512495A (ja) 1999-10-26
KR19990063643A (ko) 1999-07-26
DE59608928D1 (de) 2002-04-25
US6041831A (en) 2000-03-28
JP3969740B2 (ja) 2007-09-05
HK1013201A1 (en) 1999-08-20
ES2172674T3 (es) 2002-10-01
TW357205B (en) 1999-05-01
CN1196764A (zh) 1998-10-21
EP0851946B1 (de) 2002-03-20
CN1062615C (zh) 200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017B1 (ko) 직기에서경사의횡방향진동움직임을선택적으로제어하기위한장치
CN102844482B (zh) 用于制造带有附加纬面花纹的织物的方法和织机
US4532963A (en) Weaving mechanism with improved selection of the hooks
US5669248A (en) Textile machines, in particular warp knitting machines, with thread lifting elements
KR20180103823A (ko) 전도성 직물, 전도성 직물 직조방법 및 이에 관한 장치
FI101088B (fi) Viriönmuodostuslaitteisto ja menetelmä viriöaukon muodostamiseksi
JPH0362810B2 (ko)
US4416310A (en) Double-lift Jacquard mechanism
EP0536899B1 (en) Shedding system
US6957671B2 (en) Device for creating a gauze fabric
JP3455538B2 (ja) 小幅織機用ひ投げ針及び小幅織機
CN1724732B (zh) 梭口形成机构、三位织造系统及配备该系统的织机
US5911247A (en) Jacquard mechanism for creating a shed in a loom
ATE356236T1 (de) Nadelwebmaschine mit automatischem wechsel des schussfadens
CN1026713C (zh) 用于织机的经纱控制设备
JP2001159046A (ja) からみ織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GB1587554A (en) Jaquasrd machine
KR100543064B1 (ko) 실 제어 어셈블리
US6494237B1 (en) Shed forming device for the textile industry
EP0439440A1 (en) Computer controlled modular electromagnetic device for driving warp yarns for making figured fabrics
US4869297A (en) Device for forming a selvedge or selvedges on woven cloth
EP1217113A3 (en) Pulleyless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KR840001905B1 (ko) 직기의 개구형성 장치
US5386854A (en) Compact jacquard type seam-weaving machine
KR840000332B1 (ko) 직기에 있어서 경사개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