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974B1 - 벽체용 안전손잡이 - Google Patents

벽체용 안전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974B1
KR100426974B1 KR10-2001-0022459A KR20010022459A KR100426974B1 KR 100426974 B1 KR100426974 B1 KR 100426974B1 KR 20010022459 A KR20010022459 A KR 20010022459A KR 100426974 B1 KR100426974 B1 KR 100426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ides
fixing means
handle memb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723A (ko
Inventor
안호철
Original Assignee
안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철 filed Critical 안호철
Priority to KR10-2001-002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9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양측의 고정수단들로서 취부구조를 개선시켜서 벽체에 비교적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며, 손잡이부재와 양측의 고정부재들 상호간의 조립구조를 개선시켜서 벽체의 설치조건에 맞추어 손잡이부재의 설치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하게 설치할 있게 하여 주는 벽체용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벽체용 안전손잡이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직경크기로서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재(10)와, 상기 손잡이부재(10)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서 벽체(2)에 고정시켜 주는 양측의 고정수단(2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은 원판형으로서 중앙부에 뚫어지는 장공(212)을 가지며 그 장공을 중심으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결합부(211)를 가지는 취부캡(21)과, 상기 취부캡(21)의 나사결합부(211)와 맞대어지도록 일측단에 나사결합부(221)를 형성하여 두고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는 타측단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부(222)를 가지는 연결관(22)과, 상기 취부캡(21)과 연결관(22)의 나사결합부(211)(221)를 접속시켜 주도록 내주면에 체결나사(231)를 형성하여서 된 접속링(23)으로 각각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벽체용 안전손잡이{Safety Hand-Rail for Concrete Well}
본발명은 주택이나 병원 또는 숙박업소 등의 현관, 복도, 화장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구획하여 주는 벽체에 설치 사용되는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의 설치조건에 맞추어 보다 편리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벽체용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병원 또는 숙박업소 등의 현관, 복도, 화장실, 다용도실(이하 실내공간이라 한다)을 출입 또는 보행하는 노약한 연령층의 출입자는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관계로 넘어져서 부상을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고, 건장한 연령층의 출입자라 하더라도 실족하여서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바, 이와 같이 주택이나 병원 또는 숙박업소 등의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에는 출입자가 안전하게 붙잡고 출입 또는 보행할 수 있도록 안전손잡이를 설치하여 왔다.
상기한 벽체용 안전손잡이는 이미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서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에 하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직경크기로서 길게 연장되며 양측에 절곡연장부가 형성된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양측 절곡연장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원판형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를 가지며 그 끼움부의 좌우측에 통공이 뚫어지는 양측의 고정수단들로서 구성되었다.
이러한 벽체용 안전손잡이는 해당위치의 벽체에 양측의 고정수단들을 맞대고 그 고정수단들의 좌우측 통공을 관통하는 고정앵커로서 벽체에 고정 설치한 후에, 양측의 고정수단들 각각의 끼움부에 손잡이부재의 양측 절곡연장부를 각각 끼워맞추고 용접 또는 나사못으로 고정되도록 조립 설치하여서, 출입자가 벽체에 설치된 안전손잡이의 손잡이부재를 붙잡고 실내공간을 안전하게 출입하거나 보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전의 벽체용 안전손잡이는 첫째 손잡이부재의 양측에형성된 양측 절곡연장부로 인하여 한정된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벽체의 설치 조건에 맞추어서 현장에서 설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융통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양측의 고정수단들의 좌우측 통공을 관통하는 고정앵커로서 벽체에 고정 설치하는 취부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천공드릴로서 양측의 고정수단들의 좌우측 통공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벽체에 구멍을 천공하는 결코 쉽지 않은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비숙련자는 사실상 안전손잡이를 설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숙련자인 경우에도 세심한 주의와 노력이 요구되어서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손잡이부재의 양측 절곡연장부를 양측의 고정수단들의 끼움부에 각각 끼워맞추고 용접 또는 나사못으로서 고정시켜서 연결하는 조립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안전손잡이를 벽체에 설치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재와 양측의 고정수단이 연결된 부위에 용접자국 또는 나사못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상기 양측의 고정수단들의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앵커와 함께 안전손잡이의 외관미를 크게 저해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발명의 목적은 양측의 고정수단들로서 취부구조를 개선시켜서 벽체에 비교적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시공성이 우수한 벽체용 안전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재와 양측의 고정부재들 상호간의 조립구조를 개선시켜서 벽체의 설치조건에 맞추어 손잡이부재의 설치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융통성을 부여하여 주며, 외관상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는 고품질의 벽체용 안전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발명 안전손잡이의 분리 사시도
도2 및 도3는 본발명 안전손잡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손잡이부재 11: 금속재 파이프 20: 고정수단
21a: 접지판 22: 연결관 23: 접속링
211: 나사결합부 212: 장공 213: 접지테두리
221: 나사결합부 222: 끼움부 231: 체결나사
232: 렌지홈
본발명도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직경크기로서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재(10)와, 상기 손잡이부재(10)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서 벽체(2)에 고정시켜 주는 양측의 고정수단(20)들로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벽체용 안전손잡이에 있어 상기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은 원판형으로서 중앙부에 뚫어지는 장공(212)을 가지며 그 장공을 중심으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결합부(211)를 가지는 취부캡(21)과, 상기 취부캡(21)의 나사결합부(211)와 맞대어지도록 일측단에 나사결합부(221)를 형성하여 두고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는 타측단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부(222)를 가지는 연결관(22)과, 상기 취부캡(21)과 연결관(22)의 나사결합부(211)(221)를 접속시켜 주도록 내주면에 체결나사(231)를 형성하여서 된 접속링(23)으로 각각 이루어짐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의 벽체용 안전손잡이(1)는 중앙부에 뚫어지는 장공(212)을 중심으로 돌출 형성된 나사결합부(211)를 가지는 취부캡(21)과,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측 및 타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결합부(221)와 끼움부(222)를 가지는 연결관(22) 상호간이, 그 취부캡(21)과 연결관(22)의 나사결합부(211)(221)에 결착되도록 내부에 체결나사(231)가 형성한 접속링(23)으로 접속시켜서 조립 설치하도록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을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첫째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의 연결관(22)으로 손잡이부재 (10)를 수평하게 연결시켜 주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벽체(2)의 설치조건에 맞추어 손잡이부재(10)의 길이를 현장에서 자유로이 조절하여서 길거나 짧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의 취부캡(21) 중앙부에 형성된 장공 (212)으로서 벽체(2)에 천공된 구멍(2a)에 맞추어 고정앵커(3)를 박아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벽체(2)에 천공된 구멍(2a)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취부캡 (21)을 고정시키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취부캡(21)의 고정작업을 숙련도 여부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며, 셋째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의 취부캡(21)에 형성된 나사결합부(211) 내에 고정앵커(3)가 위치 고정되어서 내장되도록 하고, 취부캡(21)과 연결관(22) 상호간을 접속링(23)으로 접속시켜서 조립되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게 안전손잡이(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부재(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크기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금속재 파이프(11)로 만들어서, 벽체(2)에 안전손잡이(1)를 설치한 상태에서 출입자가 손잡이부재(10)를 부담없이 붙잡을 수 있도록 한다.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은 각각 취부캡(21), 연결관(22), 접속링(23)으로서 상기 손잡이부재(10)를 수평하게 연결하여서 벽체(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취부캡(21)은 원판형으로서 형성된 접지판(21a)의 중앙부에 장공(212)을 형성하고, 그 장공(212)을 중심으로 접지판(21a)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결합부 (211)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취부캡(21)은 접지판(21a)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공(212)을 통하여 벽체(2)에 천공된 구멍(2a)에 맞추어 고정앵커(3)를 박아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주며, 접지판(21a)에 돌출 형성된 나사결합부(211)는 고정앵커(3)를 가려주면서 상기 취부캡(21)을 연결관(22)과 접속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취부캡(21)은 그 접지판(21a) 주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접지테두리(213)를 형성하여서, 상기 취부캡(21)이 불규칙하게 시공된 벽체(2)의 외표면에 확실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22)은 직각으로 절곡된 엘보형으로 만들어지며, 그 연결관(22)의 일측단에는 나사결합부(221)를 타측단에는 끼움부(222)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연결관(22)은 타측단의 끼움부(222) 내에 상기 손잡이부재(10)의 끝단부를 끼워서 수평하게 연결시키게 되며, 그 연결관(22) 일측단의 나사결합부(221)는 상기 취부캡(21)과 접속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상기 접속링(23)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체로서 그 내주면 둘레에 체결나사 (231)를 형성하여서, 상기 취부캡(21)과 연결관(22)의 나사결합부(211)(221)를 접속시켜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접속링(23)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요입 형성되는 1쌍의 렌지홈(232)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 렌지홈(232)은 상기 취부캡(21)과 연결관(22)의 나사결합부(211)(221)를 접속시켜 주는 접속링(23)을 렌지와 같은 작업공구로서 확실하게 조여 줄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발명의 벽체용 안전손잡이(1)는 도2 및 도3의 도시와 같이, 장공(212)을 관통하여서 미리 뚫어진 벽체(2)의 구멍(2a)에 박히는 고정앵커(3)로서 양측의 고정수단(20)들 각각의 취부캡(21)을 고정시키고, 양측의 고정수단(20)들 각각의 연결관(22) 타측단의 끼움부(222) 내에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 손잡이부재(10)를 끼워서 수평하게 연결한 후에, 그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의 연결관(22)에 체결나사(231)가 형성된 접속링(23)을 미리 결착시키고, 상기 취부캡(21)의 나사결합부(211)에 상기 연결관(22) 일측단의 나사결합부(221)를 맞대고 접속링(23)으로 접속시켜서 조립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의 벽체용 안전손잡이는 첫째 양측의 고정수단들로서 취부구조를 개선시켜서, 벽체의 설치조건에 맞추어 손잡이부재의 길이를 현장에서 자유로이 조절하여서 길거나 짧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손잡이부재와 양측의 고정부재들 상호간의 조립구조를 개선시켜서, 취부캡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면서도, 외관상 미려하게 안전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직경크기로서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재(10)와, 상기 손잡이부재(10)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서 벽체(2)에 고정시켜 주는 양측의 고정수단(2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고정수단(20)들은 원판형으로서 중앙부에 뚫어지는 장공(212)을 가지며 그 장공을 중심으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결합부(211)를 가지는 취부캡(21)과, 상기 취부캡(21)의 나사결합부(211)와 맞대어지도록 일측단에 나사결합부(221)를 형성하여 두고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는 타측단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부(222)를 가지는 연결관(22)과, 상기 취부캡(21)과 연결관(22)의 나사결합부(211)(221)를 접속시켜 주도록 내주면에 체결나사(231)를 형성하여서 된 접속링(23)으로 각각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안전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캡(21)은 그 접지판(21a) 주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접지테두리(213)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안전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링(23)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요입 형성되는 1쌍의 렌지홈(232)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안전손잡이.
KR10-2001-0022459A 2001-04-25 2001-04-25 벽체용 안전손잡이 KR100426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459A KR100426974B1 (ko) 2001-04-25 2001-04-25 벽체용 안전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459A KR100426974B1 (ko) 2001-04-25 2001-04-25 벽체용 안전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23A KR20020082723A (ko) 2002-10-31
KR100426974B1 true KR100426974B1 (ko) 2004-04-13

Family

ID=2770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459A KR100426974B1 (ko) 2001-04-25 2001-04-25 벽체용 안전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48B1 (ko) 2019-11-28 2020-11-16 임창송 실내 조명 겸용 안전봉
KR20210131027A (ko) 2020-04-23 2021-11-02 최지인 인체감지형 led 안전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77B1 (ko) * 2019-11-18 2020-03-09 주식회사 티엠씨 이종 합성수지로 성형된 튜브 및 이 튜브를 이용한 안전 손잡이
CN212104886U (zh) * 2020-03-05 2020-12-08 游氏(厦门)卫浴工业有限公司 一种扶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63U (ja) * 1991-07-04 1993-01-29 文化シヤツター株式会社 後付階段手摺用基礎金具
JPH0549941U (ja) * 1991-12-12 1993-07-0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後付階段手摺用基礎金具
JPH071151U (ja) * 1993-06-04 1995-01-10 有限会社ベスト青梅 取付け部材の固定金具
JPH08154863A (ja) * 1994-12-05 1996-06-18 Rirainsu:Kk タオル掛け等の取付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63U (ja) * 1991-07-04 1993-01-29 文化シヤツター株式会社 後付階段手摺用基礎金具
JPH0549941U (ja) * 1991-12-12 1993-07-0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後付階段手摺用基礎金具
JPH071151U (ja) * 1993-06-04 1995-01-10 有限会社ベスト青梅 取付け部材の固定金具
JPH08154863A (ja) * 1994-12-05 1996-06-18 Rirainsu:Kk タオル掛け等の取付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48B1 (ko) 2019-11-28 2020-11-16 임창송 실내 조명 겸용 안전봉
KR20210131027A (ko) 2020-04-23 2021-11-02 최지인 인체감지형 led 안전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23A (ko)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771B2 (en) Reinforced supporting connectors for tubular grab railings
KR100426974B1 (ko) 벽체용 안전손잡이
KR200410064Y1 (ko) 배관 고정구
KR200348081Y1 (ko)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의 커버구조
JPH11200584A (ja) 手摺構造
JPS6322248Y2 (ko)
JPH0431385Y2 (ko)
JPH0437142Y2 (ko)
KR200144722Y1 (ko) 난간일체형 창틀섀시
KR20070000086U (ko)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KR200276969Y1 (ko) 현가물고정구
JPH0319571Y2 (ko)
KR20040105893A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JP2814347B2 (ja) 浴槽における排水用栓体の取付構造
JPH07300884A (ja) 水栓継手および水栓継手の壁取り付け方法
KR200163157Y1 (ko) 벽부착용 손잡이
KR950006796Y1 (ko) 천정반자 지지용 벽면고정부재
KR200193191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구
KR100508621B1 (ko) 실내 소품 고정용 툴어셈블리
KR200165069Y1 (ko) 도시가스배관용방범가시판
JPH028157Y2 (ko)
JP2009007811A (ja) ユニットルーム
KR200349147Y1 (ko) 표면목재 루버 마감구조
JP2004003194A (ja) 丸窓の取付構造
KR200319689Y1 (ko) 실내 소품 고정용 툴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