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086U -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086U
KR20070000086U KR2020060032117U KR20060032117U KR20070000086U KR 20070000086 U KR20070000086 U KR 20070000086U KR 2020060032117 U KR2020060032117 U KR 2020060032117U KR 20060032117 U KR20060032117 U KR 20060032117U KR 20070000086 U KR20070000086 U KR 200700000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insertion tube
bar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조
Original Assignee
유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조 filed Critical 유인조
Priority to KR2020060032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086U/ko
Publication of KR20070000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0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외에 장착사용되는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 지주 등의 파이프 끝에 손쉽게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벽면이나 바닥에 전술한 각종 파이프를 간편하게 조립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플렌지의 중앙부에는 파이프에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관을 일체로 돌출형성하되,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에 1~2개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삽입관 내부에는 일단 또는 양단에 고정돌기를 가진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관의 구멍을 통하여 돌출되게 하며, 상기 삽입관의 구멍위치와 일치되게끔 파이프 끝에도 1~2개의 구멍을 천공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 끝에 플렌지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분해 조립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짐에 따라 조립간편화와 더불어 설치의 간편화를 이룰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장식바, 안전바, 플렌지, 파이프, 플렌지조립구조.

Description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assembling system of flange for a safety pip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난간을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것임
본 고안은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의 욕실이나 거실을 비롯하여 공공건물 등의 화장실이나 계단벽면 등에 장착사용되는 각종 안내바, 장식바, 난간 등의 파이프 끝단부에 장착고정되는 플렌지를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조립성 및 시공성이 극대화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주택을 비롯하여 각종 건물의 내외부에는 화장실이나 욕실, 계단 등의 벽면에 안전을 위한 안전바 또는 장식을 위한 장식바를 비롯하여 난간 등이 설치되며, 상기 안전바나 장식바 또는 난간 등의 파이프를 벽면에 고정시 킬 때는 파이프의 양 끝 부분에 벽면에 볼트나 나사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벽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체결구멍을 가진 플렌지를 용접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렌지가 파이프의 끝단에 용접되어 있게 되면, 제작에 있어서 용접에 따른 번거로움이 따름과 함께 용접전문가에 의한 용접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상승이 야기되고, 또, 용접부위로 인하여 외관이 단정하지 못한 폐단이 따르게 된다.
또한, 벽면에 설치시공하고자 할 때 파이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큰 힘이 들지 않게 되나 긴 경우에는 힘이 많이 들고 번거로운 폐단이 따르게 되며, 더불어 작업자 일인 시공이 어렵게 됨에 따라 인건비 등도 많이 들게 된다.
또한,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의 용도로 사용되는 파이프의 경우 외부면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더라도 부분적인 교환이나 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따라서 벽면에 부착된 플렌지까지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교환할 수 밖에 없게 됨에 따라 이로 인한 공사규모가 커지게 되고, 또 인력과 시간, 재료비 등이 과다하게 들게 되는 폐단도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각종 건물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안전바, 장식바, 난간 등의 파이프끝에 장착고정되는 플렌지를 착탈이 용이하게끔 구성함으로서 상기한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 등의 시공 설치가 매우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더불어 상기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 등의 파이프 교환이나 수리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 등의 파이프 끝에 플렌지를 고정 설치하여 각종 건물의 내 외부 벽면 또는 바닥면에 원활하게 부착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에 있어서,
파이프(1)와 플렌지(2)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플렌지(2)의 중앙부에는 파이프(1)에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관(21)을 일체로 되게 돌출형성하고, 상기 삽입관(21)의 외주면에 1~2개의 구멍(22)을 천공하며, 상기 삽입관(21) 내부에는 일단 또는 양단에 고정돌기(31)를 가진 스프링(3)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돌기(31)가 삽입관(21)의 구멍(22)을 통하여 돌출되게 하며, 상기 삽입관(21)의 구멍(22)위치와 일치되게끔 파이프(1) 끝에도 1~2개의 구멍(11)을 천공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4는 플렌지에 씌우도록 된 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파이프(1)의 끝에 플렌지(2)를 분해 조립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기에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파이프(1)가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경우 파이프(1) 만을 분해하여 손쉽게 교환 장착하거나 또는 수리할 수 있어 교환 및 수리에 따른 시간 및 인력절감과 이로 인한 원가절감효과가 매우 뛰어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건물의 내외부 소정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 사용되는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 등을 파이프(1)와 플렌지(2)로 분리 형성하되, 분해와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며, 이에 따른 구성은 플렌지(2)의 표면 중앙부에 삽입관(21)을 용접고정시키고, 상기 삽입관(21)에는 외주면에 구멍(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멍(22)을 통하여 출몰가능한 고정돌기(31)를 가진 스프링(3)을 설치하여 스프링(3)의 작용에 의해 고정돌기(31)가 매우 원활하게 출몰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삽입관(21)이 삽입 설치되는 파이프(1)에는 삽입관(21)에 설치된 고정돌기(31)와 일치하는 구멍(11)을 천공한 것이기에 이를 벽면에 고정설치할 때는 먼저 플렌지(2)를 파이프(1)에 조립한 상태에서 이를 부착시공하고자 하는 벽면에 대고 플렌지(2)의 부착위치를 설정한 다음 파이프(1)를 분해하고, 이어서 플렌지(2)을 벽면에 볼트, 나사, 또는 용접 등의 체결방법으로 고정설치한 다음 분해하였던 파이프를 조립하면 되며, 이때 상기 파이프를 조립할 때는 파이프(1) 끝을 삽입관(21)에 끼우면서 고정돌기(31)가 파이프(1)에 형성된 구멍(11)으로 돌출되게 조립하면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기에 조립성이 매우 뛰어나고 이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면서 교환 및 수리에 따른 시간 및 인력이 크게 절감되게 된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내외부 벽면 또는 바닥면 소정위치에 설치 고정되는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 등을 구성하는 파이프(1) 끝에 고정 설치되는 플렌지(2)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시공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파이프(1)의 파손이나 변형시 교환이나 보수 또한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안전바나 장식바, 난간 등의 파이프 끝에 플렌지를 고정 설치하여 각종 건물의 내외부 벽면 또는 바닥면에 원활하게 부착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에 있어서,
    파이프(1)와 플렌지(2)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플렌지(2)의 중앙부에는 파이프(1)에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관(21)을 일체로 되게 돌출형성하고, 상기 삽입관(21)의 외주면에 1~2개의 구멍(22)을 천공하며, 상기 삽입관(21) 내부에는 일단 또는 양단에 고정돌기(31)를 가진 스프링(3)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돌기(31)가 삽입관(21)의 구멍(22)을 통하여 돌출되게 하고, 파이프(1)에는 상기 삽입관(21)의 구멍(22)위치와 일치되는 1~2개의 구멍(11)을 천공하여 파이프(1)와 플렌지(2)를 분해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KR2020060032117U 2006-12-18 2006-12-18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KR200700000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17U KR20070000086U (ko) 2006-12-18 2006-12-18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17U KR20070000086U (ko) 2006-12-18 2006-12-18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086U true KR20070000086U (ko) 2007-01-16

Family

ID=4365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117U KR20070000086U (ko) 2006-12-18 2006-12-18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08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9574B2 (en) * 2020-03-05 2022-05-24 Youshi (Xiamen) Sanitary Ware Industrial Co., Ltd. Handrail
US20220243475A1 (en) * 2021-02-03 2022-08-04 Artistic Southern, Inc., d/b/a Southern Staircase Handrail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9574B2 (en) * 2020-03-05 2022-05-24 Youshi (Xiamen) Sanitary Ware Industrial Co., Ltd. Handrail
US20220243475A1 (en) * 2021-02-03 2022-08-04 Artistic Southern, Inc., d/b/a Southern Staircase Handrail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1625847B1 (ko)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KR101298698B1 (ko) 합성목재 조립패널 연결구조체
KR20070000086U (ko)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렌지 착탈구조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20100040420A (ko)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20070000333U (ko) 벽면설치용 파이프의 플랜지 조립구조
KR20070009521A (ko) 베란다 난간 설치용 파이프 연결구
JP5516843B2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KR100426974B1 (ko) 벽체용 안전손잡이
KR101721912B1 (ko) 내화 충전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0497858B1 (ko) 건축물 붙박이 창호 개량 구조
KR20100040419A (ko) 건축물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20070000085U (ko) 가이드바 고정엘보우용 강도보강판
KR100235262B1 (ko) 실내방화문의 설치방법
KR200347418Y1 (ko)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창틀
KR100595811B1 (ko) 건축물 옥상 벽체 보강구조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0262514Y1 (ko) 경량벽체 고정틀
KR200306790Y1 (ko) 계단실용 일체형 거푸집
KR20070000080U (ko) 건축용 파이프 플렌지의 커버고정구조
KR100695962B1 (ko) 건물내벽용 거푸집판 구조
KR100513355B1 (ko) 건축용 비계의 연결장치
KR200479423Y1 (ko) 조립식 벽 판넬의 연결 브라켓
JPS593117Y2 (ja) 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