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746B1 - 디스크몸체를푸싱하는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몸체를푸싱하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1746B1 KR100421746B1 KR1019970013143A KR19970013143A KR100421746B1 KR 100421746 B1 KR100421746 B1 KR 100421746B1 KR 1019970013143 A KR1019970013143 A KR 1019970013143A KR 19970013143 A KR19970013143 A KR 19970013143A KR 100421746 B1 KR100421746 B1 KR 1004217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opening
- passage
- disc body
- dis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밴드 플레이트 형상덕트의 상부로부터 덕트의 뒤로 동전을 배출시킬수 있고 이동전을 뒤쪽의 좌,우쪽 양방향으로 동전을 자유롭게 분리시킬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본발명에 따른 디스크몸체 푸싱장치는 밴드플레이트와 같이 일렬로 복수의 디스크몸체를 배열시켜 이들 디스크몸체를 밀어올리는 통로수단; 그리고 이 통로수단의 상부위치상에서 개구로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몸체에 의해 개구를 개방하고 디스크몸체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면 디스크몸체의 주표면을 푸싱시켜 이 개구를 폐쇄하는 전환수단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발명은 복수의 원형디스크몸체를 위로 올려 밖으로 내보내도록 디스크몸체를 푸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에 사용되는 디스크형태의 메달이나 디스크형태의 동전과 같은 복수의 디스크몸체를 위로 올려 밖으로 내보내도록 디스크몸체를푸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메달대여기, 동전교환기, 메달이용게임기 등을 포함하는 벤딩머신에 사용되는 디스크몸체를 푸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몸체를 푸싱하는 종래의 장치는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518,001호의 공보에 언급된 동전취급장치를 포함한다.
도 9는 이 미국특허공보에 첨부된 도면이고, 선행기술의 예가 이 도면을 기초로하여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도 9에 도시된 동전취급장치는 호퍼(101) 지불조립체 그리고 전,후 패널(114,151), 제 1 및 제2 에지패널(341, 321) 및 입구끝(113)과 출구끝(111) 사이에서 단일 에지 대 에지열로 주어진 금액의 동전(181) 더미를 수용하는 채널(125)을 가진 길다란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의 상기 입구끝(113)은 상기 호퍼의 지불슈트(139)와 연통하고, 단일 출구슬롯(301)은 출구끝(111)에서 제1에지패널(341)에 제공된다.
상기된 동전취급장치는 상기 출구슬롯(301)을 통하여 동전을 강압적으로 ??출시키기 위해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동전배출조립체로 구성된다. 이 배출부재는 출구끝(111)에 인접한 상기 채널(125)내로 뻗은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전,후 패널(114, 151)에 수직인 축선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1에지패널(341)보다 상기 제2에지패널(321)에 더 근접하여 상기 출구슬롯(301)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상기 채널(125)의 폭에 대하여 중심이 벗어난 제1 위치와 상기 제1위치보다 상기 출구슬롯(301)으로부터 더 떨어진 제2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동전배출조립체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배출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수단(201)을 포함하고 있어 이에의해 상기 배출부재가 상기 동전을 상기 출구슬롯(301)쪽으로 가압하여 이 동전을 상기 출구슬롯을 통하여 강압적으로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배출된 동전을 수용하는 장비가 밴드플레이트형태와 같은 덕트의 측면을 향하여 준비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상기된 종래의 동전취급장치는 밴드플레이트형태와 같은 길다란 덕트의 상부로부터 플레이트의 방향인 측면방향으로 동전을 배출한다. 따라서 배출된 동전을 받는 장비는 밴드플레이트형태와 같은 덕트의 측면을 향하여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밴드플레이트형상의 덕트의 측면에서 배출된 동전을 수용하는 장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환언하면, 밴드플레이트형상 덕트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성을 위한 공간이 있어도, 이 공간을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본발명은 작은 디스크몸체를 푸싱하는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밴드플레이트형태의 덕트의 측면에 편성공간을 충분하게 갖을수 없을때도 사용될수 있는 상기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밴드플레이트형태를 가진 덕트의 후방측면에서 만들어진 본발명은 밴드플레이트형상 덕트의 상부분으로부터 동전을 배출시킨다. 밴드플레이트형상 덕트의 후방공간이 사용가능하게 되도록 만드는 것이 본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상기된 종래 동전취급장치는 동전을 단지 일방향으로, 예를들면 밴드플레이트 형태의 길다란 덕트의 상부로부터 플레이트의 방향에 대하여 우측방향으로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배출된 동전의 수용장치를 단지 하나밖에 설치할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환언하면, 상기된 종래장치를 사용하면, 하나의 푸싱장치가 동전의 수용장치하나에 필요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동전수용장치가 밴드플레이트 형상 덕트의 각각의 측면에 설치될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목적으로부터 개발되었다. 본발명은 밴드플레이트형상 덕트의 상부로부터 덕트의 뒤로 동전을 배출시킬수 있고 이 동전을 뒤쪽의 좌,우쪽 양방향으로 동전을 자유롭게 분리시킬 목적으로부터 개발되었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주부분의 측면에서 본 개략단면도,
도 2는 동 주부분의 좌측에서 본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우측에서 본 개략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주요부분을 측면에서 본 개략단면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분을 우측에서 본 개략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부부분이 제거된 개략확대사시도,
도 7는 도 6의 정면도,
도 8는 도 4의 주요부분을 좌측에서 본 개략사시도, 그리고
도 9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사시도.
본발명에 따른 디스크몸체 푸싱장치는 밴드플레이트와 같이 일렬로 복수의 디스크몸체를 배열시켜 이들 디스크몸체를 밀어올리는 통로수단; 그리고 이 통로수단의 상부위치상에서 개구로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몸체에 의해 개구를 개방하고 디스크몸체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면 디스크몸체의 주표면을 푸싱시켜 이 개구를 폐쇄하는 전환수단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발명의 장치는 상기 개폐수단이 탄성부재인 것에 특징되어진다.
또한, 본발명의 장치는 상기 통로수단의 개구를 통한 상기 디스크몸체의 통과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구비됨에 의하여 특징되어진다.
또한, 본발명의 장치는 상기 검출수단이 스프링을 갖는 것에 특징되어진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디스크몸체 푸싱장치에 따라, 통로수단내로 밀어올려지도록 맨위쪽에 위치된 하나의 디스크몸체는 개폐수단을 이동시켜 이 통로수단의 개구를 개방한다. 그 다음, 이 디스크몸체가 이 개구를 통과하면 상기 디스크몸체 하나는 디스크몸체의 주표면을 통하여 통로수단의 내측으로부터 단지 가압되고 상기 개구는 폐쇄된다.
본발명에 관하여, 환언하면 밴드플레이트형상의 통로수단의 상부로부터 밴드플레이트형상 통로수단의 전 또는 후 측면으로만 디스크몸체를 빼낼수 있다. 그러므로 통로수단의 측면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전,후 방향의 공간이 사용될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밴드플레이트와 같이 일렬로 복수의 디스크몸체를 배열시켜 이들 디스크몸체를 밀어올리는 통로수단; 이 통로수단상에 개구로 구비되어, 상기 푸시된 디스크몸체로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이 디스크몸체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면 상기 디스크몸체의 주표면을 푸싱시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개폐수단; 상기 통로수단의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디스크몸체를 안내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분리수단으로 적어도 구성된 디스크몸체 푸싱장치이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개폐수단이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분리수단이 솔레노이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디스크몸체가 상기 통로수단의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검출수단이 스프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실시예)
본발명은 제 1실시예에 대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주부분의 측면에서본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주부분의 좌측에서 본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우측에서 도 1를 본 개략사시도이다.
각각의 도 2 및 도 3에 의해 도시된 큰장방형 플레이트는 뒤 플레이트(11)이다. 이 뒤 플레이트(11)는 도면들에서 동일한 자세로 일렬로 밀어올려지는 동일 형상의 디스크몸체(1,2 및 3)를 통과시키도록 통로(12)를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뒤 플레이트(11)에 평행하게 형성된 장방형 플레이트는 앞플레이트(13)이고 디스크몸체(1-3)의 통로(12)의 일부분이다.
뒤 플레이트(11)와 앞플레이트(13) 사이의 공간은 디스크몸체(1-3, 4, 5 및 6)의 하나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앞플레이트(13)의 상부에지는 뒤플레이트(11)의 상부에지보다 낮고 긴구멍(14)은 앞플레이트(13)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뒤플레이트(11)와 앞플레이트(13) 사이에는 한쌍의 가느다란 에지플레이트(15,16)가 디스크몸체(1-3)의 통로(12)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장착된다. 한쌍의 에지플레이트(15,16)의 거리는 디스크몸체(1-6)의 하나의 직경과 대략 같다. 또한, 에지플레이트(15,16)는 뒤플레이트(11)보다 약간 높다. 상기된 바와같이 뒤플레이트(11), 앞플레이트(13), 및 한쌍의 에지플레이트(15,16)는 디스크몸체(1-6)를 위로 보내기위한 통로수단을 구성한다. 이 통로수단의 상부개구(10)는 후기되는 바와같이(도 1 참조), 뒤플레이트(11)의 상부에지레벨로 된다. 도 2에 도시된 약간 크고 만곡된 얇은 장방형 플레이트는 조절플레이트(17)이다. 이 조절플레이트(17)의 하부에지는 굽혀져 앞플레이트(13)의 상부에지상에 고정된다. 조절플레이트(17)의 중앙에는 원형구멍(18)이 형성되고, 조절플레이트(17)의 상부부분상에는 길다란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조절플레이트(17)밑에 도시된 대략 M자형 플레이트는 유지플레이트(21)이고 이 유지플레이트(21)밑에는 이 플레이트(21)가 조절플레이트(17)의 하부에지상에 고정된다. 유지플레이트(21)상에 도시된 바와같이, 약간 작은 L자형으로 굽혀진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스프링(22)이고, 이 플레이트 스프링(22)의 에지는 유지플레이트(21)의 하부에지상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의 중앙에 도시된 구형몸체(23)는 유지플레이트(21)내로 자유롭게 삽입되어 플레이트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저항하고 그리고 통상적으로 이 구형몸체(23)는 조절플레이트(17)의 원형구멍(18)과 플레이트 스프링(22)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유지플레이트(21)는 구형몸체(23)가 도 2에서 양측면상으로 떨어지지않도록 유지하는 수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뒤플레이트(11)의 뒤상부에지상에는 약간 굽혀진 플레이트스틱 형태의 한쌍의 에지플레이트(24, 25)의 하부부분이 각각 고정되고 디스크몸체(1-6)의 낙하통로(26)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또한, 한쌍의 에지플레이트(24,25)의 공간은 디스크몸체(1-6)의 하나의 직경과 대략 같다. 도 3에 도시된 굽혀진 큰 플레이트는 장착플레이트(27)이다. 이 장착플레이트(27)는 한쌍의 에지플레이트(24,25)에 걸쳐지도록 고정되고 디스크몸체(1-6)의 낙하통로(26)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뒤플레이트(11)와 장착플레이트(27) 사이의 공간은 디스크몸체(1-6)의 2개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그러므로 통로(12)가 디스크몸체(1-6)의 두께에 따라 조절되어야만 할 때 낙하통로(26)의 조절에 관하여조절될 필요가 없다. 또한 장착플레이트(27)에 관하여, 상부부분에 길다란 구멍(28)이 형성되고 하부부분에 작은 돌출단편(29)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상의 31은 가느다란 축이고, 이 축(31)은 길다란 구멍(28)을 관통하고, 그리고 축(31)의 통로(12) 측단부상에는 롤러(32)가 느슨함 없이 고정되고, 축(31)의 낙하통로 측단부상에는 지그재그 이동가능부분(33)이 느슨함 없이 고정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34는 관형스프링(34)이고, 이 스프링(34)은 이동가능부분(33)과 돌출편(29) 사이에 걸쳐져있고 이동가능부분(33)을 돌출편(29)의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참조번호(35)는 이동가능부분(33)의 경로이동을 검출하는 측면적으로 U자 형상인 센서이다. 센서(35)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 스위치이지만 광센서, 자기센서등도 물론 될 수 있다. 또한, L자형 플레이트(36)는 장착플레이트(27)상에 센서(35)를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또한, 롤러(32), 이동가능부분(33), 스프링(34), 센서(35)등이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된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몸체(1, 2, 3)가 통로(12)내로 밀어올려졌을 때 가장 상부의 위치에 있는 디스크몸체(3)의 상부에지는 구형몸체(23)와 부딪친다. 디스크몸체(3)가 도 1의 일점쇄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같이 더 밀어올려지면, 구형몸체(23)는 도 1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플레이트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서 통로(12)에 있는 개구(10)가 개방된다. 따라서, 통로(12) 내측에서 밀어올려진 디스크몸체(3)는 더 이동가능하게 되고 디스크몸체(4)의 위치까지 오게된다. 디스크몸체(4)의 하부에지가 이 경로에 있는 뒤플레이트(11)의 상부에지로부터 지지를 받지못하면 플레이트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구형몸체(22)가원위치로 복귀한다. 그 결과 디스크몸체(4)는 디스크몸체(5)의 위치로 내밀어져서 통로(12)에 있는 개구(10)가 덮혀진다. 내밀어진 디스크몸체(5)는 자유상태가 되어 낙하통로(26)에서 낙하한다.
한편, 디스크몸체(4)가 디스크몸체(3)의 위치로부터 디스크몸체(4)의 위치로 이동할 때, 디스크몸체(4)가 롤러(32)를 밀어올리기 때문에 이동가능부분(33)은 스프링(34)에 대향하여 위로 이동하고 센서(35)에 의해 검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형몸체(23)에 의해 내밀어진 디스크몸체(5)는 자유상태가 되어 낙하통로(26)에서 낙하한다. 이 경우에, 스프링(34)에 있는 복원력은 작용하고 그 속도는 디스크몸체(5)의 자연낙하보다 크게 증가한다. 또한, 조절플레이트(17), 원형구멍(18), 유지플레이트(21), 플레이트 스프링(22), 구형몸체(23)는 통로(12)에 있는 개구(10)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고 말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들면 구형몸체(23)를 가진 플레이트 스프링(22)이 형성되거나 또는 예시를 생략하였지만, 구형부분을 가진 플레이트 스프링이 형성되고, 그리고 이들은 앞플레이트(13)의 상부에지상에 고정될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제2 실시예에 대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주요부분의 측면에서 본 개략단면도이다.도 5는 도 4의 주요부분을 우측에서 본 개략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부부분을 제거한 개략확대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주요부분을 좌측에서 본 개략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길고 큰 장방형 플레이트는 뒤플레이트(411)이다. 이 뒤플레이트(4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로(412)에서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통로(412)는 동일자세로 일렬 배열로 하부로부터 밀어올려지는 동일형상의 디스크몸체(401, 402, 403, 404)를 통과시킨다.
도 5의 뒤플레이트(411)에 평행하게 형성된 밴드플레이트는 앞플레이트(413)이고 디스크몸체(401-404)의 통로(412)에서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뒤플레이트(411)와 앞플레이트(413)사이의 거리는 대략 디스크몸체(401-404)의 하나의 두께와 동일하다. 또한 앞플레이트(413)의 상부에지는 뒤플레이트(411)의 상부에지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고 앞플레이트(413)의 중앙에서 슬롯(414)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뒤플레이트(411)와 앞플레이트(413) 사이에는 가느다란 한쌍의 에지 플레이트(415,416)가 구비되어 통로(412)에서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한쌍의 에지플레이트(415,416)사이의 거리는 대략 디스크몸체(401-404)의 하나의 직경과 대략 같다. 또한, 에지플레이트(415, 416)는 뒤플레이트(411)보다 높게 위로 형성된다. 상기된 바와같이 뒤플레이트(411), 앞플레이트(413), 한쌍의 에지플레이트(415,416)는 디스크몸체(401-404)를 상향으로 관통시키는 통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통로수단의 상부에 있는 개구(410)(도 4 참조)는 후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뒤플레이트(411)의 상부에지 레벨이 된다. 도 5에서 상향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X자 형상의 굽혀진 박판은 조절플레이트(417)이다. 이 조절플레이트(417)의 하부에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굽혀지고 앞플레이트(413)의 상부 에지상에 고정된다. 조절플레이트(417)의 중앙에서 원형구멍(418)(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조절플레이트(417)의 상부에서 긴구멍(419)(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조절플레이트(417)상에 나타낸 거의 M자형 작은 플레이트는 유지플레이트(421)이고, 이 유지플레이트(421)의 하부는 조절플레이트(417)의 하부에지부분상에 고정된다.
유지플레이트(421)상에 나타낸 L자 형상으로 굽혀진 약간 작은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스프링(422)이고 이 플레이트 스프링(422)의 하부는 유지플레이트(421)의 하부상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5의 상부에서 나타내어진 구형 몸체는 플레이트 스프링(42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유지플레이트(421)내로 자유상태로 삽입되고 그리고 보통 조절플레이트(417)의 원형구멍(418)과 플레이트 스프링(422)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유지플레이트(421)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구형몸체(423)가 양측면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뒤 플레이트(411)의 뒤쪽 상부에지부분에서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작은 두꺼운 판자(424,425)가 각각 고정되고 디스크몸체(405, 406, 407, 408, 409)를 분배하기 위한 통로(424A, 425A)의 일부분인 가이드면(426R, 426L)을 구성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약간 굽혀진 큰 장방형 플레이트는 장착플레이트(427)이고, 이 플레이트(427)는 한쌍의 두꺼운 판자(424,425)에 걸쳐 고정되어 디스크몸체(405-409) 의 분리통로(426R, 426L)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부수적으로 뒤플레이트(411)와 장착플레이트(427)의 거리는 디스크몸체(401-409)의 2개의 두께와 거의 같다. 그러므로, 통로(412)가 디스크몸체(401-409)의두께에 따라 조절되어야만 할 때, 통로(426R, 426L)의 조절이 필요되지 않는다. 또한, 장착플레이트(427)의 상부부분의 중앙에서 긴구멍(428)이 형성되고 가느다란 돌출단편(429)이 그 중앙에 형성된다. 또한, 긴구멍(428)의 양측면부분 부근의 장착플레이트(427)에서, 한쌍의 워셔(427L, 427R)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있다. 이 워셔(427L, 427R)는 통로(426R, 426L)의 스페이서이고 가이드 몸체이다. 도 6 및 도 7의 부호(431)는 단부면이 아치형인 검출부분이고 이 검출부분(431)은 긴구멍(428)을 관통하여 느슨함 없이 미끄럼 가능하게 되어있다. 검출부분(431)의 뒤쪽상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지그재그 이동가능부분(433)이 고정된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부호(434)는 관형 스프링이고, 이 관형스프링(434)은 이동가능부분(433)과 돌출단편(429)에 걸쳐있고, 이 이동가능부분(433)을 돌출단편(429)의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부호(435)는 측면적으로 U자 형상인 센서이고 이동가능부분(433)의 이동통로를 검출한다. 이 센서(435)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스위치이지만 광센서, 자기센서등도 물론 될 수 있다. 또한 검출부분(431), 이동가능부분(433), 스프링(434), 센서(435) 등은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의 중앙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J자 형상의 분리몸체(451)는 도면들의 상부에 있는 부호(452)에서 돌출단편(429)에 피벗되고, 그리고 상부표면상에서 양측면 분리통로(426L, 426R)를 구성하고 있는 가이드표면(453)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몸체(451)의 하부상에는 핀(454)이 장착된다.
도 8의 중앙에 도시된 작은 박스형상의 아암(455)은 끝부분에서 핀(454)을 자유롭게 삽입하고, 이 아암(455)의 대략 중앙에 삼각형의 장착 플레이트(456)가축(457)에 의해 피벗되고, 그리고 이 장착플레이트(456)는 뒤플레이트(411)상에 고정된다. 도면의 하부에 도시된 박스형상은 솔레노이드(458)이고 플런저(459)의 끝부분에 핀(460)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핀(460)은 아암(455)의 기단부에 자유롭게 삽입된다. 또한 솔레노이드(458)는 장착플레이트(456)에 배치된다.
상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하여, 생략되었지만, 이 디스크몸체(401, 402, 403, 404)는 공지된 메달호퍼장치와 같은 디스크몸체 배출장치에 의해 통로(412)내로 밀어올려진다. 이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맨위의 위치에 있는 디스크몸체(404)의 상부에지는 구형몸체(423)와 부딪힌다. 디스크몸체(404)가 더 위로 푸시되면, 구형몸체(423)는 플레이트 스프링(422)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도 4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통로(412)에 있는 개구(410)가 개방된다.
따라서, 통로(412)의 내측에서 밀어올려진 디스크몸체(404)가 더 상향으로 이동된다. 디스크몸체(404)의 하부에지가 뒤플레이트(411)의 상부 에지에 있는 개구(410)로부터 떨어지면, 도 4의 실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같이 플레이트 스프링(4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구형몸체(423)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결과로서, 디스크몸체(404)는 디스크몸체(405)의 위치로 푸쉬되고 통로(412)에 있는 개구(410)는 구형몸체(423)에 덮여진다. 밀어내보내면 디스크몸체(405)는 자유상태가 되고 그리고 이 경우에 가이드표면(453)의 위치에 따라, 이 디스크몸체(405)는 좌,우 통로(426L, 426R)로 안내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솔레노이드(458)가 작동되어 분리몸체(451)가 실선의 위치에 있으면, 가이드표면(453)은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그 다음, 디스크몸체(405)는 도 7의우측 방향으로 인도되어 디스크몸체(406,408)의 위치의 우측방향으로 낙하한다.
분리몸체(451)가 도 7의 점선의 위치에 있으면, 가이드표면(453)은 좌측으로 기울어진다. 그 결과, 디스크몸체(405)는 도 7의 좌측방향으로 인도되어 디스크몸체(407,409)의 위치로 즉 좌측방향으로 낙하한다. 따라서, 분리몸체(451), 아암(455), 솔레노이드(458)등은 분리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몸체(404)의 위치에서 디스크몸체(405)의 위치로 이동되면, 디스크몸체(404)는 검출수단(431)을 밀어올린다. 그 결과, 이동가능부분(433)은 스프링(434)에 대항하여 상향으로 이동되고 센서(435)에 의해 검출된다. 구형몸체(423)에 의해 밀어내어진 디스크몸체(405)는 자유상태가 되어 통로(426R, 426L) 양쪽으로 인도되고 자연 낙하한다. 또한, 스프링(434)의 복원력(434)은 작용되어 디스크몸체(405)의 속도가 증가한다.
또한, 조절플레이트(417), 원형구멍(418), 유지플레이트(421), 플레이트 스프링(422), 및 구형몸체(423)는 통로(412)에 있는 개구(410)를 개폐하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들면 구형몸체(423)를 가진 플레이트 스프링(422) 또는 구형부분을 가진 플레이트 스프링이 앞플레이트(413)의 상부에지상에 고정될수 있다.
상기된 바와같이, 본발명은 단순구조로 구비되어 있는데, 즉 이 장치는 적어도 밴드플레이트와 같이 복수의 디스크몸체를 일렬로 배열시켜 이들의 디스크몸체를 밀어올리는 통로수단, 그리고 이 통로 수단의 상부 위치상에서 개구로구비되어이 개구를 상기 디스크몸체에 의해 개방하고 디스크몸체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면 디스크 몸체의 메인표면을 밀어 이 개구를 폐쇄하는 전환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것을 가지고, 밴드플레이트 형상 통로수단의 상부로부터 밴드플레이트 형상 통로수단의 앞 또는 뒤측으로 확실하게 디스크몸체를 빼낼수 있다. 결과로서, 이것은 통로수단의 측면방향이 아니어서 앞, 뒤의 방향으로의 공간이 사용될수 있는 큰 실용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된 바와같이, 단순구조로 구비되어 있고, 디스크몸체는 밴드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덕트의 상부에서 상기 덕트의 뒤쪽으로 배출되어 뒤쪽의 양방향 양측면으로 자유롭게 분리된다. 환언하면, 각각의 디스크몸체는 밴드 플레이트 형상의 통로수단의 상부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확실하게 배출될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2개의 메달 게임장치가 하나의 메달푸싱장치로 처리될수 있는 큰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
- 디스크 몸체를 푸싱하는 장치에 있어서,밴드 플레이트와 같이 일렬로 복수의 디스크몸체를 배열시켜 이들 디스크몸체를 밀어올리는 통로수단, 그리고이 통로수단의 상부 위치상에서 개구로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몸체에 의해 개구를 개방하고 디스크몸체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면 디스크몸체의 주표면을 푸싱시켜 이 개구를 폐쇄하는 전환수단,으로 적어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통로수단에 있는 개구를 통과하는 디스크몸체의 통과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6040496A JP3216042B2 (ja) | 1996-05-17 | 1996-05-17 | 円板体の揚送装置 |
JP96-160404 | 1996-05-17 | ||
JP96-237105 | 1996-08-06 | ||
JP23710596A JP3216043B2 (ja) | 1996-08-06 | 1996-08-06 | 円板体の揚送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8077A KR19980018077A (ko) | 1998-06-05 |
KR100421746B1 true KR100421746B1 (ko) | 2004-06-16 |
Family
ID=2648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3143A KR100421746B1 (ko) | 1996-05-17 | 1997-04-10 | 디스크몸체를푸싱하는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931732A (ko) |
KR (1) | KR100421746B1 (ko) |
CN (1) | CN1127039C (ko) |
GB (1) | GB2313222B (ko) |
TW (1) | TW335941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35059B1 (en) * | 2000-02-02 | 2009-12-22 | Imonex Servic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rejecting jammed coins |
JP2002032824A (ja) * | 2000-07-17 | 2002-01-31 | Asahi Seiko Kk | ホッパーのエスカレータに装着するコインセンサ |
NL1020759C2 (nl) * | 2001-06-15 | 2003-06-30 | Asahi Seiko Co Ltd | Geleidings-inrichting voor munten of andere schijfvormige voorwerpen. |
GB2385456B (en) * | 2002-01-17 | 2004-08-04 | Asahi Seiko Co Ltd | A diverting device of a disc |
US7934980B2 (en) * | 2002-06-05 | 2011-05-03 | Shuffle Master Gmbh & Co Kg | Chip stack cutter devices for displacing chips in a chip stack and chip-stacking apparatuses including such cutter devices |
AT6405U1 (de) * | 2002-06-05 | 2003-10-27 | Card Casinos Austria Res & Dev | Chipsortiervorrichtung |
US6976589B2 (en) | 2003-02-03 | 2005-12-20 | Streamline Innovations Gmbh |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
US7244176B2 (en) * | 2004-04-13 | 2007-07-17 |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 Outlet-adjusting device of coin dispenser |
JP5044836B2 (ja) * | 2006-07-31 | 2012-10-10 | 旭精工株式会社 | ディスク案内装置 |
US8336699B2 (en) | 2009-11-02 | 2012-12-25 | Shuffle Master Gmbh & Co Kg | Chip sorting devices, components therefor and methods of ejecting chips |
US9836909B2 (en) | 2016-04-06 | 2017-12-05 | Shuffle Master Gmbh & Co Kg |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
US10096192B1 (en) | 2017-08-30 | 2018-10-09 | Shuffle Master Gmbh & Co Kg |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815A (en) * | 1895-07-16 | Coin-holder | ||
FR836707A (fr) * | 1938-04-15 | 1939-01-25 | Appareil automatique de distribution de jetons de marque pour jeux de société | |
US4518001A (en) * | 1982-04-26 | 1985-05-21 |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 Coin handling apparatus |
AU4066389A (en) * | 1988-08-18 | 1990-03-23 | Jack D. Dass | Coin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
US5484334A (en) * | 1994-04-01 | 1996-01-16 | Evdokimo; Allen J. | Coin handling apparatus with coin filter and improved coin interlock |
-
1997
- 1997-03-10 GB GB9704916A patent/GB2313222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3-27 TW TW086204768U patent/TW335941U/zh unknown
- 1997-04-04 CN CN97103753A patent/CN112703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10 KR KR1019970013143A patent/KR1004217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16 US US08/857,233 patent/US5931732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6010A (zh) | 1997-11-26 |
GB9704916D0 (en) | 1997-04-30 |
US5931732A (en) | 1999-08-03 |
TW335941U (en) | 1998-07-01 |
KR19980018077A (ko) | 1998-06-05 |
CN1127039C (zh) | 2003-11-05 |
GB2313222A (en) | 1997-11-19 |
GB2313222B (en) | 1999-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1746B1 (ko) | 디스크몸체를푸싱하는장치 | |
US4228812A (en) | Coin sorter with striker means to propel non-standard size coins | |
EP028895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 |
US4687090A (en) | Coin guide having track sections arranged in zig zag form | |
US20020072319A1 (en) | Detector unit for coin blockage in a coin dispenser | |
JPH0592073A (ja) | パチンコ機の球排出装置 | |
US5007519A (en) | Coin drop construction | |
US5676234A (en) | Coin/token sorting method | |
JP2742755B2 (ja) | メダル遊技機のメダルセレクター | |
JP3547125B2 (ja) | メダルセレクタ | |
JPH1049725A (ja) | 円板体の揚送装置 | |
JP5044836B2 (ja) | ディスク案内装置 | |
JP3216042B2 (ja) | 円板体の揚送装置 | |
EP0062972A2 (en) | Coin handling mechanism | |
JP2008033723A5 (ko) | ||
JPH0819645A (ja) | 弾球遊技機 | |
JPS6227962Y2 (ko) | ||
JP3689714B2 (ja) | 遊技機 | |
JPS642213Y2 (ko) | ||
JPH0237091Y2 (ko) | ||
JPH0276093A (ja) | 硬貨選別装置 | |
JPH0596051A (ja) | パチンコ機の球排出装置 | |
JPS6234374Y2 (ko) | ||
GB2097165A (en) | Coin handling mechanism | |
JP2989458B2 (ja) | 遊技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