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345B1 - 통신 단말 장치 및 과간섭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장치 및 과간섭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345B1
KR100421345B1 KR10-2001-7001408A KR20017001408A KR100421345B1 KR 100421345 B1 KR100421345 B1 KR 100421345B1 KR 20017001408 A KR20017001408 A KR 20017001408A KR 100421345 B1 KR100421345 B1 KR 10042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control
transmission r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188A (ko
Inventor
스마스아츠시
가토오사무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수신 전력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는, 핸드오버의 필요의 유무를 조사하고, 핸드오버의 필요가 있으면,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와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급격히 낮춘다. 핸드오버의 필요가 없으면, 전송 속도를 변화시키지 않고서 송신 전력을 낮춘다.

Description

통신 단말 장치 및 과간섭 방지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PREVENTION OF EXCESSIVE INTERFERE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은 자동차 전화, 휴대 전화 등의 이동 통신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국(局)이 동시에 통신을 행할 때의 다원 액세스 방식 기술의 하나이다. 다른 기술로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방식, TDMA(Ti1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 다원 접속) 방식 등이 알려져 있지만, CDMA 방식은 이들의 기술과 비교하면 높은 주파수 이용 효율을 도모해서, 보다 많은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CDMA 방식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기 위해서, 임의의 사용자의 신호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간섭 신호로 되고, 다른 사용자의 신호도 또한 그 사용자에 대한 간섭 신호로 된다. 따라서, 서비스 영역내에서 균일한 통신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이동국의 소재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희망 신호 전력대 잡음 전력비(SIR)가 일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리버스 링크에 관해서는,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접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등을 위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기지국에서 수신할 때의 전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각 이동국이 송신 전력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CDMA 방식에서 쌍방향 통신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리버스 링크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포워드 링크에 의해 송신 반송파 주파수가 상이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이용된다. CDMA/FDD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제어(TPC)로서는, 기지국에 있어서 수신 전력을 측정해서, 그 수신 전력에 근거하여 이동국에 송신 전력의 오르내림을 지시하는 클로우즈 루프(closed loop)에 의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클로우즈 루프에서는 추종할 수 없는 급격한 수신 전력의 증가가 이동국에서 일어난 경우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8-32514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이동국으로의 간섭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송신 전력과 수신 전력과의 합이 일정하게 되도록 이동국이 스스로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오픈 루프(open loop)에 의한 TPC을 이용한다. 이 경우, 송신 전력을 내렸을 때에, 다른 이동국으로의 간섭을 증대시키는 것은 없어지지만, 자신의 회선이 절단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선이 절단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이동국 MS1은 기지국 BS2의 서비스 영역에 있는 경우, 거리적으로는 기지국 BS2와 가깝지만, 빌딩1 때문에 기지국 BS2와는 방향성이 좋지 않아, 기지국 BS1과 통신(패스 c)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이동국 MS1은 기지국 BS1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높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 BS2는 서비스 영역(셀)내의 이동국 MS2와 패스 b로, 이동국 MS3과 패스 a로 각각 통신을 행하고 있다.
이동국 MS1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국 MS1로부터 기지국 BS2로의 방향성이 좋게 된다. 이 때, 기지국 BS2는 다른 이동국 MS2, MS3에 간섭을 부가하지 않도록, 이동국 MS1은 스스로 송신 전력을 낮춘다. 이동국 MS1이 송신 전력을 낮추면, 이동국 MS1이 기지국 BS1과 통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 레벨을 만족시키지 않게 되어, 회선이 단절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회선이 단절되어 버리면, 사용자 자신이 재접속 수속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이 대단히 번잡하게 되어, 사용자의 통신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을 손상시키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성이 좋지 않은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없이, 또한 타국으로의 간섭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단말측에서 수신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와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만을 이전과 동일한 전송 속도에 의해서 송신하고, 그 이외의 정보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급격히 낮춘다. 전송 속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송신에 필요하게 되는 전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른 단말에 부가하는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다. 그 후, 핸드오버의 필요가 있으면 제어 신호에 의해서 핸드오버의 수속을 행하고, 핸드오버의 필요가 없으면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고서 송신 신호 전력을 낮춘다.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통신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하여 다원 접속을 행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및 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는, CDMA 방식의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 상대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101)를 거쳐 공용기(102)를 통해서 무선 수신부(103)에서 수신된다. 무선 수신부(103)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대해서, 증폭(이득 제어), 다운 컨버트 및 A/D 변환의 각 처리가 행해진다. 이 A/D 변환후의 신호는 수신 전력 측정부(104)에 전송되어, 수신 전력이 측정된다. 측정된 수신 전력값은 전력값 비교부(105)에 전송됨과 동시에, 메모리(109)에 저장된다.
전력값 비교부(105)에서는 수신 전력 측정부(104)로부터 전송된 수신 전력값과, 메모리(109)에 저장된 1 송신 전력 제어 주기 전(前)의 수신 전력값을 비교한다. 이 수신 전력값의 비교 결과는 판정부(106)에 전송되고, 그래서 임계값이 판정된다. 또한, 전력을 측정한 수신 신호는 역확산부(107)에 전송된다.
역확산부(107)에서는, 송신측에서 확산 변조 처리된 수신 신호에 대해서, 송신측에서 이용한 확산 부호와 동일한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역확산 처리를 행한다. 역확산 처리후의 신호는 복조부(108)에 전송되어, 복조 처리된 후, 수신 데이터로서 얻어진다.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110)에서는 판정부(106)에서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전송레이트 전환의 제어를 행한다.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111)에서는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서 정보 전송레이트를 조정한다.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111)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는 프레임 구성부(112)에 전송된다. 프레임 구성부(112)에서는 정보 데이터, 제어 데이터를 이용해서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행한다.
프레임 구성된 신호는 확산부(113)에 전송되고, 그래서 소정의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 변조 처리되어 무선 송신부(114)에 전송된다. 무선 송신부(114)에서는, 확산 변조된 신호에 대해서, D/A 변환, 업 컨버트 및 증폭(이득 제어)의 각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된 신호는 송신 신호로서 공용기(102)를 통해 안테나(101)를 거쳐서 송신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 상대(접속 대상 기지국)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수신 전력 측정부(104)에 있어서 그 모든 수신 전력이 측정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모든 수신 전력이란 희망 신호의 전력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 단말에 송신된 신호나 통신 상대와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도 포함시킨 전력을 말한다.
측정된 수신 전력은 적절히 메모리(109)에 저장해 둔다. 전력 측정된 수신 신호를 역확산부(107)에 전송하여, 역확산부(107)에 있어서 역확산 처리하며, 그 후, 복조 회로(108)에 의해 복조 처리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한편, 전력값 비교부(105)에 있어서, 수신되었을 때의 수신 전력값(금기(今期) 수신 전력값)과 1 송신 전력 제어 주기 전의 수신 전력값(전기(前期) 수신 전력값)을 비교한다. 이 1 송신 전력 제어 주기 전의 수신 전력값은 메모리(109)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전력 측정된 수신 신호는 역확산부(107)로 전송된다.
이어서, 비교된 수신 전력값의 차에 대해서, 판정부(106)에서 임계값 판정을 행한다. 이 임계값 판정은 전기(前期) 수신 전력값과 금기(今期) 수신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행한다. 따라서, 수신 전력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면, 전기 수신 전력값과 금기 수신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전력 급상승)가 있다고 판정하고, 수신 전력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으면, 전기 수신 전력값과 금기 수신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가 없다고 판정한다. 또, 이 임계값은 간섭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시스템에 있어서 적절히 설정한다.
또한, 판정부(106)에 있어서의 상기 판정의 결과는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110)에 전송된다.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110)에서는, 전기 수신 전력값과 금기 수신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가 없다는 판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에는, 전송레이트를 전환하는 제어는 행하지 않는다.
한편,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110)는, 전기 수신 전력값과 금기 수신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가 있다는 판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에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 전송 속도를 대폭 낮추는 것과 같은 제어 지시 신호를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111)에 전송한다.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111)에서는 상기 지시 신호에 따라서 정보 데이터의 버퍼링 처리 또는 폐기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 데이터란 통신 단말 사용자가 전송하려고 하는 데이터이다. 또한, 제어 데이터란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이고, 파일럿 신호나 송신 전력 제어 신호라고 하는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와는 상이한 것이다. 이들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는 프레임 구성부(112)에 있어서 부가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111)에서는, 패킷 통신(packet communication)과 같은 지연이 허용되는 전송인 경우에 정보 데이터의 버퍼링 처리를 행하고, 음성 통신과 같이 지연이 허용되지 않는 즉시성이 요구되는 통신인 경우에 정보 데이터의 폐기 처리를 행한다. 또, 즉시성이 요구되는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하프 레이트화 등의 정보 전송 저속화 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든지 정보 데이터를 폐기하면 좋다. 이와 같이, 정보 데이터에 관해서 대폭 전송 속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는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과(過)간섭(干涉) 방지 제어 동작에 대해서 도 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이하, ST라고 간략화함) 201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측정을 행하여, 측정한 모든 수신 전력값과 하나 이상 전(前)의 송신 전력 제어 주기의 모든 수신 전력값을 비교한다. 이어서, ST202에서는, 모든 수신 전력값의 비교 결과에 대해서 판정을 행한다. 즉, 모든 수신 전력 증가량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금기(今期)의 모든 수신 전력값이 한 주기 이상 전(前)의 모든 수신 전력값보다 대폭 변하지 않는 경우는, 접속 기지국처(통신 상대)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 지시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를 속행한다(ST204). 한편, 금기(今期)의 전력값이 한 주기 이상 전의 모든 수신 전력값보다 대폭 큰 경우,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를 행한다(ST203).
금기의 전력값이 한 주기 이상 전의 전력값보다 대폭 큰 경우에는, 타국으로의 간섭이 큰 것으로 된다. 그래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송신 전력을 낮추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과간섭 방지 제어의 다른 동작에 대해서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ST301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측정을 행하여, 측정한 모든 수신 전력값과 하나 이상 전의 송신 전력 제어 주기의 모든 수신 전력값을 비교한다. 다음에, ST302에서는, 모든 수신 전력값의 비교 결과에 대해서 판정을 행한다. 즉, 모든 수신 전력 증가량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금기의 모든 수신 전력값이 한 주기 이상 전의 모든 수신 전력값보다 대폭 변하지 않는 경우는, 접속 기지국처(통신 상대)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 지시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를 속행한다(ST305). 한편, 금기의 모든 수신 전력값이 한 주기 이상 전의 모든 수신 전력값보다 대폭 큰 경우, 정보 데이터의 전송 속도만을 낮추고(ST303),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와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는다(ST304).
이에 의해, 타국으로의 간섭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데이터만 전송 속도를 낮추고,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나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서도 회선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는, CDMA 방식의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 상대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401)를 거쳐 공용기(402)를 통해 무선 수신부(403)에서 수신된다. 무선 수신부(403)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대해서, 증폭(이득 제어), 다운 컨버트 및 A/D 변환의 각 처리가 행해진다. 이 A/D 변환후의 신호는 수신 전력 측정부(404)에 전송되어, 수신 전력이 측정된다. 측정된 수신 전력값은 전력값 비교부(405)에 전송됨과 동시에, 메모리(411)에 저장된다.
전력값 비교부(405)에서는 수신 전력 측정부(404)로부터 전송된 수신 전력값과, 메모리(411)에 저장된 1 송신 전력 제어 주기 전의 수신 전력값을 비교한다. 이 수신 전력값의 비교 결과는 판정부(409)에 전송되고, 그래서 임계값이 판정된다. 또한, 전력이 측정된 수신 신호는 역확산부(406)에 전송된다.
역확산부(406)에서는, 송신측에서 확산 변조 처리된 수신 신호에 대해서, 송신측에서 이용한 확산 부호와 동일한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역확산 처리를 행한다. 역확산 처리후의 신호는 역확산후 전력 측정부(407)에 전송되어, 역확산후의 전력이 측정된다. 측정된 역확산후 전력값은 전력값 비교부(408)에 전송됨과 동시에, 메모리(412)에 저장된다. 또한, 확산후 전력 측정후의 신호는 복조부(410)에 전송되고, 복조 처리된 후 수신 데이터로서 얻어진다.
전력값 비교부(408)에서는 역확산후 전력 측정부(407)로부터 전송된 역확산후 전력값과, 메모리(412)에 저장된 1송신 전력 제어 주기 전의 역확산후 전력값을 비교한다. 이 역확산후 전력의 비교 결과는 판정부(409)에 전송되어, 전력값 비교부(405)로부터 전송된 수신 전력 비교 결과와 비교된다. 판정부(409)에서는 수신 전력 비교 결과와 역확산후 전력 비교 결과로부터 수신 전력의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413)에서는 판정부(409)에서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전송레이트 전환의 제어를 행한다.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414)에서는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413)의 제어에 따라서 정보 전송레이트를 조정한다.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414)에서 조정된 데이터는 프레임 구성부(415)에 전송된다. 프레임 구성부(415)에서는 정보 데이터,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행한다.
프레임이 구성된 신호는 확산부(416)에 전송되고, 그래서 소정의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 변조 처리되어, 무선 송신부(417)에 전송된다. 무선 송신부(417)에서는, 확산 변조된 신호에 대해서, D/A 변환, 업 컨버트 및 증폭(이득 제어)의 각처리가 행해진다. 이렇게 처리된 신호는 송신 신호로서 공용기(402)를 통해 안테나(4O1)를 거쳐서 송신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 상대(접속 대상 기지국)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수신 전력 측정부(404)에 있어서 그 수신 전력이 측정된다. 측정된 수신 전력은 적절히 메모리(411)에 저장해 둔다. 전력값 비교부(405)에 있어서, 수신되었을 때의 수신 전력값(금기(今期) 수신 전력값)과 1 송신 전력 제어 주기 전의 수신 전력값(전기(前期) 수신 전력값)을 비교한다. 이 1 송신 전력 제어 주기 전의 수신 전력값은 메모리(411)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전력 측정된 수신 신호는 역확산부(406)로 전송된다.
이어서, 비교된 수신 전력값의 차이에 대해서, 판정부(409)에서 임계값 판정을 행한다. 이 임계값 판정은 전기(前期) 수신 전력값과 금기(今期) 수신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행한다. 따라서, 수신 전력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면, 전기 수신 전력값과 금기 수신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전력 급상승)가 있다고 판정하고, 수신 전력값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으면, 전기 수신 전력값과 금기 수신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가 없다고 판정한다. 또, 이 임계값은 간섭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시스템에 있어서 적절히 설정한다.
이어서, 전기 전력값과 금기 전력값과의 사이에 큰 변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이동국 MS1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 즉 이동국 MS1이 기지국 BS2에 대해서 방향성이 좋은 상태인 것도 고려되기 때문에, 수신 전력의 큰 변화가 통신 상대의 기지국(도 1에 나타내는 기지국 BS1)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수신 전력의 큰 변화가 통신 상대의 기지국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역확산후의 전력을 측정하여 역확산후 전력의 증가가 수신 전력의 증가에 적당한 것인지 여부를 조사하면 좋다. 만약, 역확산후의 전력 증가가 수신 전력 증가에 적당한 것이면, 통신 상대의 기지국(도 1에 나타내는 기지국 BS1)에 의한 수신 전력의 증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역확산후의 전력이 수신 전력 증가에 적당할 정도로 증가하지 않고 있거나 또는 내려가고 있다고 한 경우는, 통신 상대가 아닌 별도의 기지국(도 1에 나타내는 기지국 BS2)에 의한 전력의 증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측정후의 수신 신호는 역확산부(406)에 있어서 역확산 처리된 후에 역확산후 전력 측정부(407)에 전송되고, 그래서 확산후의 전력 측정이 행해진다. 측정된 확산후 전력값은 적절히 메모리(412)에 저장해 둔다. 전력값 비교부(408)에 있어서, 역확산되었을 때의 수신 전력값(금기 역확산후 전력값)과 1송신 전력 제어 주기 전의 역확산 전력값(전기 역확산후 전력값)을 비교한다. 한편, 전력 측정된 역확산후 신호는 복조부(41O)에 전송되고, 복조부(41O)에 의해 복조 처리되어 수신 데이터로 된다.
또한, 비교된 확산후 전력값의 차는 판정부(409)에 전송된다. 판정부(409)에서는 전력값 비교부(405)로부터 전송된 수신 전력값 차와 전력값 비교부(408)로부터 전송된 역확산후 전력값 차를 비교하여, 역확산후 전력값 차가 수신 전력값차에 적당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는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413)에 전송된다.
역확산후 전력값 차가 수신 전력값 차에 적당한 것이 아니라고 판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 수신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의 기지국(도 1에 나타내는 기지국 BS1)에서는 없는 별도의 기지국(도 1에 나타내는 기지국 BS2)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경우, 전송레이트 전환 제어부(413)에서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 전송 속도를 대폭 낮추는 것과 같은 제어의 지시 신호를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414)에 전송한다. 정보 전송레이트 조정부(414)에서는 상기 지시 신호에 따라서 정보 데이터의 버퍼링 처리 또는 폐기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핸드오버 처리를 행해서 수신 전력의 증대의 원인이 된 기지국(도 1에 나타내는 기지국 BS2)에 통신을 전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에 대해서는 전송레이트를 변경하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 데이터란, 통신 단말 사용자가 전송하려고 하고 있는 데이터인 것을 말한다. 또한, 제어 데이터란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인 것으로, 파일럿 신호나 송신 전력 제어 신호라고 한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와는 상이하다. 이들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는 프레임 구성부(415)에 있어서 부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레이트 조정부(414)에서는, 패킷 통신과 같은 지연이 허용되는 전송인 경우는, 정보 데이터의 버퍼링 처리가 행해지고, 음성 통신과 같이 지연이 허용되지 않는 즉시성이 요구되는 통신인 경우는, 정보 데이터의 폐기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정보 데이터에 관해서 대폭 전송 속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는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에서의 과간섭 방지 제어의 동작에 대해서 도 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ST501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측정을 행하여, 측정한 모든 수신 전력값과 하나 이상 전의 송신 전력 제어 주기의 모든 수신 전력값을 비교한다. 이어서, ST502에서는 모든 수신 전력값의 비교 결과에 대해서 판정을 행한다. 즉, 모든 수신 전력 증가량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금기의 모든 수신 전력값이 한 주기 이상 전의 모든 수신 전력값보다 대폭 변하지 않는 경우는, 접속 기지국처(통신 상대)와의 사이에서 송신 전력 제어를 속행한다(ST503). 한편, 금기의 모든 수신 전력값이 한 주기 이상 전의 모든 수신 전력값보다 대폭 큰 경우, 모든 수신 전력의 증가가 통신 상대의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T504). 이 판정은 모든 수신 전력의 증가분과 역확산후 전력의 증가분을 비교함으로써 행해진다.
역확산후 전력의 증가분이 모든 수신 전력의 증가분에 적당한 것이면, 통신 상대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전력이 증가했다고 판정할 수 있고, 역확산후 전력의 증가분이 모든 수신 전력의 증가분에 적당한 것이 아니면, 통신 상대 이외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전력이 증가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모든 수신 전력의 증가가 통신 상대의 기지국인 경우, 정보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고서 접속 기지국처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ST507). 모든 수신 전력의 증가가 통신 상대의 기지국이 아닌 경우, 정보 데이터의 전송 속도만을 낮추고(ST505),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와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는다(ST506).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방향성이 좋게 됨으로써 나타난 기지국이 존재하면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 있어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없이, 또한 타국으로의 간섭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 전력의 급상승 판정으로서 임계값 판정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수신 전력의 급상승을 인식할 수 있으면, 판정 방법에 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 데이터만 송신 전송 속도를 낮추고,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나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 있어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없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고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절한 통신 상대와의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을 높게 하여 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일없이 접속 대상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있는 경우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없는 경우는 정보 전송을 중지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 및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은 중지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 데이터만 전송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혹은 전송을 중지하여,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나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을 유지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 있어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없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이 아닐 때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거나 혹은 전송을 중지하지 않고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경우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없는 경우는 정보 전송을 중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절한 통신 상대와의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을 높게 하여 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거나 혹은 정보 전송을 중지시키는 일없이 접속 대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키면서,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간섭 방지 방법은,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증대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 공정을 구비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제어 공정에 있어서,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는 제어를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정보 데이터만 전송 속도를 낮추고,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나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 있어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과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공정에 있어서, 상기 모든 수신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 및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고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를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정보 데이터만 전송 속도를 낮추고,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나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 있어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적절한 통신 상대와의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을 높게 하여 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일없이 접속 대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으면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없으면 정보 전송을 중지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제어 공정에 있어서,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는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거나 혹은 중지하지 않는 제어를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정보 데이터만 전송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혹은 전송을 중지하여,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나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을 유지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 있어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과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모든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공정에 있어서,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거나 혹은 중지하지 않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경우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없는 경우는 정보 전송을 중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정보 데이터만 전송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혹은 전송을 중지시켜,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나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의 전송을 유지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 있어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적절한 통신 상대와의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을 높게 하여 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모든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거나 혹은 정보 전송을 중지시키는 일없이 접속 대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타국으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단말측에서 수신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와 회선 유지에 필요한 신호를 그때까지 동일한 전송 속도에 의해서 송신하며, 정보 데이터의 송신 전송 속도를 급격히 낮춘다.
이 때, 핸드오버의 필요가 있으면 제어 데이터에 의해서 핸드오버를 행하고, 핸드오버의 필요가 없으면 송신 신호 전력을 낮추기 때문에, 방향성이 나쁜 상황의 서비스 영역내에 있어서도, 회선을 단절시키는 일없이, 또한 타국으로의 간섭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1999년 6월 3일 출원된 특허 출원 평성 제 11-156630 호 및 1999년 7월 6일 출원된 특허 출원 평성 제 11-191602 호에 근거한다. 이들의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나 기지국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복조 전의 수신 신호로부터 희망파 이외의 신호를 포함하는 전체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전체 수신 전력의 변화로부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는 제어를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
  2. 삭제
  3. 복조 전의 수신 신호로부터 희망파 이외의 신호를 포함하는 전체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전체 수신 전력의 변화로부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고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를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일없이 접속 대상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경우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없는 경우는 정보 전송을 중지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 및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거나 혹은 전송을 중지하지 않는 통신 단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이 아닐 때,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거나, 혹은 전송을 중지하지 않고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없는 경우에는 정보 전송을 중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거나 혹은 정보 전송을 중지하는 일없이 접속 대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기재된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10. 복조 전의 수신 신호로부터 희망파 이외의 신호를 포함하는 전체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전체 수신 전력의 변화로부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증대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 공정
    을 포함하는 과(過)간섭 방지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공정에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는 제어를 행하는 과간섭 방지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공정에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 및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고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제어를 행하는 과간섭 방지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는 일없이 접속 대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과간섭 방지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경우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없는 경우는 정보 전송을 중지하는 과간섭 방지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공정에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는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는 낮추지 않거나 혹은 전송을 중지하지 않는 제어를 행하는 과간섭 방지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의 전력이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공정에서, 즉시적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이 아닐 때에 핸드오버 처리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회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송 속도를 낮추지 않거나, 혹은 전송을 중지하지 않고서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고,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없는 경우에는 정보 전송을 중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과간섭 방지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신 신호 전력의 급격한 증대가 통신 상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정보 전송 속도를 낮추거나 혹은 정보 전송을 중지하지 않고서 접속 대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과간섭 방지 방법.
KR10-2001-7001408A 1999-06-03 2000-06-01 통신 단말 장치 및 과간섭 방지 방법 KR100421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663099 1999-06-03
JP99-156630 1999-06-03
JP99-191602 1999-07-06
JP19160299A JP3331331B2 (ja) 1999-06-03 1999-07-06 通信端末装置及び過干渉防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188A KR20010072188A (ko) 2001-07-31
KR100421345B1 true KR100421345B1 (ko) 2004-03-06

Family

ID=2648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408A KR100421345B1 (ko) 1999-06-03 2000-06-01 통신 단말 장치 및 과간섭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18181B1 (ko)
EP (1) EP1104215B1 (ko)
JP (1) JP3331331B2 (ko)
KR (1) KR100421345B1 (ko)
CN (1) CN1147203C (ko)
AU (1) AU4951800A (ko)
DE (1) DE60013538T2 (ko)
WO (1) WO2000076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2868B2 (en) 2001-10-09 2008-04-01 Philip Hawkes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0537945B1 (ko) * 2002-10-15 2005-12-21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Ds-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핸드오버 방법
EP1616392A2 (en) * 2003-02-28 2006-01-18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ltrawide bandwidth signals
CN100426917C (zh) * 2004-06-16 2008-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高速业务切换方法
JP4355631B2 (ja) * 2004-08-11 2009-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
JP5108450B2 (ja) * 2007-10-22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US10780241B2 (en) * 2008-08-21 2020-09-22 Vero Biotech LLC Devices and methods for minimizing and treating high-altitude sickness
GB2479937B (en) * 2010-04-30 201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ement of storage of measurement data
KR101394884B1 (ko) * 2012-06-18 2014-05-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간 통신에서의 혼잡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216523B2 (en) 2015-07-17 2019-02-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control logic
US11129107B2 (en) 2017-04-04 2021-09-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593A (en) * 1994-09-30 1996-06-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KR19980077725A (ko) * 1997-04-22 1998-11-16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방법
WO1999001944A2 (en) * 1997-07-01 1999-0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77526A (ko) * 1998-03-02 1999-10-25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순방향링크채널의통신장치및방법
KR100313914B1 (ko) * 1998-10-09 2001-12-20 서평원 이동통신시스템의패킷데이터전송속도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4131A (ja) 1989-04-17 1990-11-08 Toshiba Corp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の伝送制御方式
JP2974274B2 (ja) 1994-05-12 1999-11-1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装置
JP3037564B2 (ja) 1994-08-18 2000-04-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システム
US5590177A (en) * 1994-09-30 1996-12-31 Motorola, Inc. Method for preventing a dropped call during a handoff in a radiotelephone system
JPH1056420A (ja) 1996-08-08 1998-02-24 Kokusai Electric Co Ltd Cdma適応変調方法とそのシステム
JP3013822B2 (ja) * 1997-11-20 2000-02-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
KR100396287B1 (ko) 1999-08-30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전력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593A (en) * 1994-09-30 1996-06-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KR19980077725A (ko) * 1997-04-22 1998-11-16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방법
KR100238401B1 (ko) * 1997-04-22 2000-01-1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방법
WO1999001944A2 (en) * 1997-07-01 1999-0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77526A (ko) * 1998-03-02 1999-10-25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순방향링크채널의통신장치및방법
KR100313914B1 (ko) * 1998-10-09 2001-12-20 서평원 이동통신시스템의패킷데이터전송속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4215A1 (en) 2001-05-30
EP1104215B1 (en) 2004-09-08
EP1104215A4 (en) 2002-04-24
AU4951800A (en) 2000-12-28
US6718181B1 (en) 2004-04-06
CN1304623A (zh) 2001-07-18
JP3331331B2 (ja) 2002-10-07
DE60013538T2 (de) 2005-01-27
KR20010072188A (ko) 2001-07-31
JP2001053676A (ja) 2001-02-23
DE60013538D1 (de) 2004-10-14
WO2000076246A1 (fr) 2000-12-14
CN1147203C (zh)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047B1 (en) Adaptive power control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JP44261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適応電力制御
KR100355328B1 (ko) 무선 통신 장치, 전송 레이트 제어 방법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US6405021B1 (en)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cellular system and base station apparatus
JP4440784B2 (ja) Cdma−tddシステムの移動局用の電力制御
JP3212019B2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cdma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70178931A1 (e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updating of a reference value for controlling closed-loop transmission power is realized in a base transceiver station
EP07208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the forward link handoff boundary to the reverse link handoff boundary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3013822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
US6804531B2 (en) Closed loop power control with adjustable width based on channel quality
JPH1017359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装置
JP2002510933A (ja) セルラ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電力制御
KR100421345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과간섭 방지 방법
JP2007110751A (ja) 送信電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構成体並びにネットワーク要素
KR20000071302A (ko) 이동국의 개루프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199785B1 (ko) 시디엠에이통신시스템
EP0999657B1 (en) CDMA transmission power control capable of preventing call disconnection and degradation of capacity of subscribers
JP2001320756A (ja) 上り回線過負荷検出回路と基地局装置
US6370387B1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macrodiversity mode
JP200133934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とそれに用いる基地局装置
KR100659195B1 (ko)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폐쇄루프 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71942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tenna of radio base station at moving target area during handover
JP3501039B2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4023774A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の基地局送信制御システム、基地局送信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
AU70124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the forward link handoff boundary to the reverse link handoff boundary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