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444B1 - 외장형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외장형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444B1
KR100420444B1 KR1020030035689A KR20030035689A KR100420444B1 KR 100420444 B1 KR100420444 B1 KR 100420444B1 KR 1020030035689 A KR1020030035689 A KR 1020030035689A KR 20030035689 A KR20030035689 A KR 20030035689A KR 100420444 B1 KR100420444 B1 KR 100420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emory card
value
expansion slot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범재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Priority to KR102003003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444B1/ko
Priority to US10/640,270 priority patent/US2004026804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 G06F21/79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in semiconductor storage media, e.g. directly-addressable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USB 등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외장형 저장장치로서, 별도의 메모리 카드슬롯을 더 구비함으로써 저장용량을 용이하게 확장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 파일의 기록 및 판독 과정에 있어서 소정의 보안처리를 수행하는 확장가능한 외장형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따르면 메모리 카드슬롯을 통해 저장매체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저장용량을 용이하게 확장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파일의 기록 및 판독 과정에 있어서 소정의 보안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저작권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외장형 저장장치{External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USB 등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외장형 저장장치로서, 별도의 메모리 카드슬롯을 더 구비함으로써 저장용량을 용이하게 확장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 파일의 기록 및 판독 과정에 있어서 소정의 보안처리를 수행하는 외장형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외장형 하드디스크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외장형 저장장치가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플래시 디스크나 셀 디스크 등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 외장형 저장장치가 소형이면서 비교적 저가로 구성가능하다는 장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장형 저장장치는 대부분 일단 구성되고 나면 그 이후에는 용량확장이 불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디지탈 카메라나 디지탈 캠코더 등과 같은 디지탈 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미니) MMC 카드, SD 카드, (미니)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메모리 카드 제품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일부 노트북 컴퓨터에서는 이러한 메모리 카드를 지원하기 위해 카드슬롯을 장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저장매체는 컴퓨터 분야에서는 아직 생소한 것이어서, 이들 저장매체를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용의 카드리더를 별도로 구매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을 이용한 외장형 저장장치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기록한 후, PC 혹은 외부 플레이어 장치에서 재생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불법복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CD에서 추출한 WMA 파일 및 MP3 파일이나 인터넷을 통해 구매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경우에는 저작권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무제한 복제될 수 있다면 저작권 보호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에서 외장 저장장치로의 1회 복제는 허용하되 외장 저장장치에서 컴퓨터 시스템으로의 복제는 불가능하게 하거나 혹은 특별히 허용된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USB 등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외장형 저장장치로서, 별도의 메모리 카드슬롯을 더 구비함으로써 저장용량을 용이하게 확장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파일의 기록 및 판독 과정에 있어서 소정의 보안처리를 수행하는 외장형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의 외부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와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 사이의 파일 교환에 있어서 보안조작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의 내부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있어서 보안조작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16비트 FAT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있어서 서로 상이항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카드슬롯으로 삽입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장형 저장장치
110 : 캡
120 : USB 콘넥터
130 : 본체
140 : 고리
150 : 카드슬롯
160 : 메모리 카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100)의 외부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100)는 본체(130)의 일면에 USB 콘넥터(120)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컴퓨터 시스템 등과 같은 외부 호스트 시스템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디지탈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으로서, 콘넥터의 타입은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일(male) 타입 콘넥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메일(female) 타입 콘넥터를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100)는 USB 콘넥터(120)를 보호하기 위한 캡(110)과 이동의 편이를 위한 고리(140)를 구비하는데, 이는 공지의 내용과 사실상 동일하다.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100)는 특히 메모리 카드(160)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슬롯(150)을 더 구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외장형 저장장치(100)의 저장용량의 확장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메모리 카드(160)의 형태는 (미니) MMC 카드, SD 카드, (미니)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하여 특정의 메모리 카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메모리 카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본 특허출원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이미 공지인 메모리 카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후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100)를 구현하는 시점에서 사용가능한 메모리 카드라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 및 "카드슬롯"은 일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으로서, 보다 일반적으로는 "메모리 모듈/저장모듈" 및 "확장슬롯"로서 저장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모듈 및 어댑터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160)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슬롯(150)은 저장장치 본체(130)에 있어서 USB 콘넥터(120)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상의 편의를 높이면서, 외장형 저장장치(100)의 크기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210)와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220) 사이의 파일 교환에 있어서 보안조작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소정의 매체액세스 프로토콜에 따라서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2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디지탈 인터페이스가 USB로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매체액세스 프로토콜은 공지의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mass storage class : MSC) 규격에 자세히 정의되어 있는데, 각각의 디지탈 인터페이스 별로 이러한 프로토콜이 규정되어 있거나 고유 프로토콜을 마련하였다고 가정하며, 만일 이러한 매체액세스 프로토콜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이러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외장형 저장장치(210)와 컴퓨터 시스템(220)은 이러한 매체액세스 프로토콜을 통해서 데이터 혹은 파일을 교환하는데, 종래에는 컴퓨터 시스템(220)이 파일을 기록한다거나 판독함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었다. 물론, 종래에 저장장치에 락(LOCK) 키를 두어 기록매체 내의 내용변경을 전체적으로 금지시키는 것은 제시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보안처리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락 기능에 비하면 대단히 높은 수준의 것이다.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에서 다루는 보안처리에서는 기본적으로 컴퓨터 시스템(220)이 저장장치(210)에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으며, 대신 저장장치(210)의 파일 내용을 판독하고자 할 때, 예컨대 복사하고자 할 때 제한을 두고자 한다. 이는 저작권이 있는 파일에 대해서 불법복제를 방지한다는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데, 이로써 외장형 저장장치(210)를 매개로 한 파일의 무한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컴퓨터 시스템(220)으로부터 상기 매체액세스 프로토콜에 따른 파일기록 명령어가 전달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보안처리를 취하여 파일을 기록한다. 이러한 보안처리는 기록매체 상에 실제로 파일 데이터가 기록되는 물리적 위치를 숨김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파일 a를 실제로는 기록매체 상에 0xFF0000A0 번지부터 기록했다면 파일할당표(File Allocation Table : FAT)의 해당 필드(즉, 클러스터 필드)에는 다른 번지, 예컨대 0xFFEA00A0 번지부터 기록했다고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정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220)은 저장장치(210) 상의 해당 파일을 판독하거나 복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고, 특별히 인증받은 기기만이 해당 파일을 판독하거나 복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2A는 컴퓨터 시스템(220)이 파일을 외장형 저장장치(210)에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데,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파일을 기록매체 상에 기록함에 있어서 소정의 보안처리 또는 보안조작을 수행한다. 또한, 도 2B는 컴퓨터 시스템(220)이 파일을 외장형 저장장치(210)로부터 판독하는 과정을 도시하는데, 상기와 같이 보안조작되어 기록된 파일을 정상적으로 판독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템(220)은 상기 보안조작을 고려하여 판독동작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일 a의 경우에 대응하는 파일할당표의 내용은 파일 데이터의 시작번지가 0xFFEA00A0 번지라고 설정되어 있으나, 컴퓨터 시스템(220)은 이 값으로부터 상기 파일 a의 정확한 시작번지는 0xFFEA00A0 번지가 아닌 0xFF0000A0 번지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보안조작에 있어서, 파일판독 시에 컴퓨터 시스템(220)이 파일할당표와 같은 파일관리 정보에 대해서 위장된 값(즉, 0xFFEA00A0)으로부터 원래의 값(즉, 0xFF0000A0)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러한 변환 규칙은 "일대일 함수" 혹은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이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보안처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는 다소 상이하게 "파일판독 과정"에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컴퓨터 시스템(220)이 파일 a를 저장장치(210)에 기록하는 과정에서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특별한 보안조작을 하지 않는 반면, 컴퓨터 시스템(220)이 파일 a를 저장장치(210)로부터 판독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가 전술한 바와 유사한 보안조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파일 a를 기록매체 상에 0xFF0000A0 번지부터 기록하고 또한 파일할당표와 같은 파일관리 정보에도 시작번지가 0xFF0000A0 번지라고 기재한 후, 컴퓨터 시스템(220)으로부터 파일 a를 판독하고자 하는 명령어가 전달되었을 때 상기 판독 명령어의 시작번지가 0xFF0000A0 (즉, 파일관리 정보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었다면 이와는 상이한 번지, 예컨대 0xFF8800A0 번지부터 데이터를 읽어 반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컴퓨터 시스템(220)은 파일관리 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값(즉, 0xFF0000A0)과는 상이한 값, 예컨대 0xFFFF00A0 번지를 시작번지로 설정하여 파일판독 명령어를 외장형 저장장치(210)에 전달하여야 정상적으로 파일판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보안처리 방식을 취하는 경우에도, 파일판독 시에 컴퓨터 시스템(220)이 파일할당표와 같은 파일관리 정보에 대해서 설정 값(즉, 0xFF0000A0)으로부터 유효 값(즉, 0xFFFF00A0)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러한 변환 규칙이 "일대일 함수" 혹은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이어야 하는 것은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2가지 보안처리 방식을 비교하면, 파일기록 과정에서 파일관리 정보를 위장설정하는 방식에서는 기록매체 자체에 설정된 내용이 이미 변형되어 있으므로 외장형 저장장치(210) 내의 플래시 메모리에 적용하거나 카드슬롯(150)을 통해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160)에 적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반면, 파일판독 과정에서 매체액세스 번지를 변형하는 방식에서는 기록매체 자체의 내용은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기록매체를 이동시켜 다른 장치에서 직접 판독하는 경우에는 문제없이 판독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와 사실상 일체로서 구성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카드슬롯(150)을 통해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160)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보안처리는 저작권 보호 등과 같은 특수목적을 만족하기 위한 것이므로 컴퓨터 시스템(220)과 외장형 저장장치(210) 간에 교환되는 모든 파일에 대해서 상기 보안처리를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통상의 파일에 대해서는 전술한 보안처리를 적용하지 않고 공지기술에 따른 파일기록 및 파일판독 동작을 수행하고, 특히 보안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파일에 대해서만전술한 보안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선별적 보안처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210)와 이러한 보안처리 방식을 이해하는 컴퓨터 시스템(220) 등의 외부기기가 특정의 파일에 대해서 보안처리가 필요한 것인지 또한 보안처리가 적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는데,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외장형 저장장치(210)가 컴퓨터 시스템(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특정의 파일에 대해서 보안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일 실시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220)에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파일의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하다고 하면,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서 특정의 파일을 외장형 저장장치(210)에 기록할 때 관리 프로그램과 외장형 저장장치(210) 간의 통신을 통해서 혹은 파일기록 명령어의 파라미터로서 보안처리 필요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전술한 보안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들면,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특정의 파일 확장자를 갖는 파일, 예컨대 mp3, wma, wmv, avi, wav 등에 대해서만 전술한 보안처리를 적용하려고 하며, 따라서 보안처리를 적용할 파일 확장자의 리스트를 보유하여 전달되는 파일 명에서 파일 확장자를 비교함으로써 전술한 보안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들면, 각종의 파일 포맷은 파일 내에 소정의 영역에 파일의 포맷 또는 속성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를 사용하거나 이러한 정보를판단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파일이 전달되면 이러한 파일 구조에 기초하여 전술한 보안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특정의 파일에 대한 파일기록 명령이 전달될 때 상기 기록할 파일의 확장자에 기초하여 전술한 보안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 기록된 특정의 파일에 대한 판독 과정에 있어서 외장형 저장장치(210) 혹은 컴퓨터 시스템(220)이 상기 특정의 파일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처리가 적용되어야 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의 파일이 외장형 저장장치(210)에 기록될 때 상기 특정의 파일에 대해서 전술한 보안처리가 필요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 때 외장형 저장장치(210)는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소정의 파일관리 정보를 이러한 취지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판독 과정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파일관리 정보의 값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전술한 보안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파일판독 과정에 있어서도 판독 대상의 파일 확장자에 기초하여 상기 보안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나, 파일관리 정보의 값에 기초한 방식이 보다 안전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300)의 내부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300)는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모듈(340);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과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디지탈 인터페이스로서 USB 인터페이스 모듈(310); 그리고 공지의 메모리 카드(380)를 외부로부터 삽입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슬롯(350)을 구비하며,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싱 모듈(320)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싱 모듈(320)의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보안처리의 수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안필터(330)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대용량 저장모듈(340)은 그 목적상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있어서 보안조작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16비트 FAT 구조(4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보안처리 과정에서는 외장형 저장장치(210)에 기록된 파일에 대응하는 "파일관리 정보"를 이용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파일관리 정보로서 사용가능한 일 실시예로서 파일할당표(400)를 기술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파일할당표(400)는 16비트 FAT 구조인데, 그 이상의 비트를 갖는 파일할당표, 예컨대 32비트 FAT 구조에 따른 파일할당표의 경우에도 본 명세서에서 16비트 FAT에 대해서 기술하는 바와 동일한 사상에 기초하여 적절히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에게는 용이한 것이므로 상세히 기술하지는 않는다.
먼저, "Cluster" 필드는 해당 파일의 물리적 번지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전술한 바, 파일의 물리적 번지를 참조함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ttribute" 필드의 일부 비트는 전술한 바,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 내에 기록된 파일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처리 과정이 적용된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2비트 FAT의 경우에는 이러한 용도로 전용할 수 있는 필드가 보다 풍부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구성이 가능하며, 이러한 필드 이외에도 다른 필드를 사용하거나 혹은 기록매체 내의 기술자(descriptor)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규격의 메모리 카드(520, 530)를 카드슬롯(510)으로 삽입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는 예컨대 미니 SD 카드, MMC 카드,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복수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저장장치가 구현되었을 때, 구체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낸 메모리 카드가 카드슬롯(510)에 삽입되었을 때 카드슬롯(510) 내부의 공간문제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일은 없는 것으로 가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는 이렇게 복수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지원하되,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규격이 어떠한 것인지, 즉 미니 SD 카드인지, 아니면 MMC 카드인지, 아니면 메모리 스틱인지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기능은 여러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데, 도 5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카드슬롯(510)에 하나이상의 인식단자(540, 550)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5에 도시된 외장형 저장장치는 미니 SD 규격의 카드(520)와 미니 메모리 스틱 규격의 카드(530)를 수용할 수 있고, 하나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미니 SD 카드(520)인지 아니면 미니 메모리 스틱(530)인지를 검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카드슬롯(510)의 단부에 제1 인식단자(540)와 제2 인식단자(550)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의 규격에 따르면, 미니 SD 카드(520)는 미니 메모리 스틱(530)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사이즈가 작고 전면부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제1 인식단자(540)와 제2 인식단자(550)를 설치하면, 미니 SD 카드(520)가 삽입될 때에는 제1 인식단자(540)만 눌리는 반면 미니 메모리 스틱(530)이 삽입될 때에는 제1 인식단자(540)와 제2 인식단자(550)가 모두 눌리게 되므로, 제1 인식단자(540)와 제2 인식단자(55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규격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메모리 카드(520, 530)의 사이즈에 기초한 것으로서, 이러한 사이즈의 개념은 "폭"을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깊이"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도 전술한 내용과 유사한 방법을 통하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 하나이상의 인식단자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520, 530)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방법, 예컨대 스토퍼(stopper)를 카드슬롯(510)의 내부에 설치하여 메모리 카드(520, 530)를 삽입할 때 상기 스토퍼가 끝까지 밀리는지 아니면 메모리 카드가 스토퍼에 걸리는지 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메모리 카드(520, 530)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서 삽입된 메모리 카드(520, 530)의 규격을 검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520, 530)의 사이즈에 기초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슬롯(510)과 메모리 카드(520, 530) 간의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특정의 핀(pin)이 메모리 카드의 규격을 구분할 수 있다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슬롯(510)에 미니 SD 카드(520)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30번 핀(PIN 30)의 상태가 하이(HIGH)인 반면 미니 메모리 스틱(530)이 삽입되었을 때에는 30번 핀의 상태가 로우(LOW)라고 가정하면,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30번 핀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520, 530)의 규격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서는 메모리 카드(520, 530)가 삽입되었을 때 특정의 메모리 번지에 대한 판독(READ) 또는 기록(WRITE)와 같은 데이터 트랜잭션(data transaction)을 시도하고 상기 데이터 트랜잭션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520, 530)의 규격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드슬롯(510)에 메모리 카드(520, 530)가 삽입되었을 때, 먼저 미니 SD 규격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특정 주소에 대한 데이터 판독/기록 등의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하면, 만일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520, 530)가 미니 SD 규격의 카드(520)라면 상기 데이터 트랜잭션 시도는 성공할 것이고, 만일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520, 530)가 미니 SD 규격 이외의 규격에 따른 카드라면 상기 데이터 트랜잭션 시도는 실패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일련의 데이터 트랜잭션을 시도하면 결국은 메모리 카드의 규격이 합치하게 되어 트랜잭션이 성공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520, 530)의 규격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따르면 메모리 카드슬롯을 통해 저장매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장용량을 용이하게 확장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따르면 파일의 기록 및 판독 과정에 있어서 소정의 보안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저작권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추가로 삽입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카드를 가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따라서 "메모리 카드슬롯"이라는 용어도 카드형의 슬롯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문구에 의해 정의 및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제시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 및 한정된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디지탈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340);
    외부기기와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대한 액세스 채널을 상기 외부기기에 제공하는 디지탈 포트(310); 및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대한 파일관리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디지탈 포트를 통한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싱 모듈(320)로서, 상기 디지탈 포트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대한 파일기록 명령어 및 파일판독 명령어를 처리하되, 상기 파일기록 명령어에 대해서는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부터 필요공간을 할당받고 상기 디지탈 포트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파일데이터를 상기 할당된 공간에 기록하고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설정함에 있어 상기 파일데이터가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 내에 존재하는 물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값에 특정 가역함수 F를 적용하여 획득한 제2 값을 사용하며, 상기 파일판독 명령어에 대해서는 상기 파일관리정보로부터 상기 판독할 파일의 물리적 위치에 대한 제3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3 값에 상기 가역함수 F의 역함수 F-1을 적용하여 제4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4 값에 기초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부터 파일데이터를 판독하는 프로세싱 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는 특정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확장슬롯(3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지탈 포트(310)는 상기 확장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대한 액세스 채널을 상기 외부기기에 더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싱 모듈(320)은 상기 메모리 카드에 대한 파일관리정보를 더 관리하고 상기 확장슬롯을 통한 카드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디지탈 포트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대한 파일기록 명령어 및 파일판독 명령어를 처리하되, 상기 메모리 카드에 대한 파일기록 명령어에 대해서는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필요공간을 할당받고 상기 디지탈 포트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파일데이터를 상기 할당된 공간에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의 파일관리정보를 설정함에 있어 상기 파일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카드 내에 존재하는 물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제5 값에 상기 가역함수 F를 적용하여 획득한 제6 값을 사용하며, 상기 메모리 카드에 대한 파일판독 명령어에 대해서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파일관리정보로부터 상기 판독할 파일의 물리적 위치에 대한 제7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7 값에 상기 역함수 F-1을 적용하여 제8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8 값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파일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슬롯(350)은 복수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슬롯의 단부 또는 측면부에 하나이상의 인식단자(540, 550)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싱 모듈(320)은 상기 확장슬롯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인식단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사이즈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의 규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11. 삭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슬롯(350)은 복수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모듈(320)은 상기 확장슬롯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상기 확장슬롯과 상기 메모리 카드 간의 전기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규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슬롯(350)은 복수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모듈(320)은 상기 확장슬롯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대해서 소정의 데이터 트랜젝션을 시도하고 상기 데이터 트랜잭션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규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14. 삭제
  15. 디지탈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340);
    복수 규격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단부 또는 측면부에 하나이상의 인식단자(540, 550)가 구비된 확장슬롯(350);
    외부기기와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와 상기 확장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대한 액세스 채널을 상기 외부기기에 제공하는 디지탈 포트(310); 및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대한 제1 파일관리정보와 상기 확장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대한 제2 파일관리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디지탈 포트를 통한 디지탈 인터페이스와 상기 확장슬롯을 통한 카드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특정 메모리 카드의 삽입시 상기 인식단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의 규격을 검출하는 프로세싱 모듈(320)로서, 상기 디지탈 포트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 또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대한 파일기록 명령어 및 파일판독 명령어를 처리하되, 상기 파일기록 명령어에 대해서는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 또는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필요공간을 할당받고 상기 디지탈 포트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파일데이터를 상기 할당된 공간에 기록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파일관리정보를 설정함에 있어 상기 파일데이터가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 내에 존재하는 물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값에 특정 가역함수 F를 적용하여 획득한 제2 값을 사용하며, 상기 파일판독 명령어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 파일관리정보로부터 상기 판독할 파일의 물리적 위치에 대한 제3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3 값에 상기 가역함수 F의 역함수 F-1을 적용하여 제4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4 값에 기초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 또는 메모리 카드로부터 파일데이터를 판독하는 프로세싱 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KR1020030035689A 2003-06-03 2003-06-03 외장형 저장장치 KR100420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689A KR100420444B1 (ko) 2003-06-03 2003-06-03 외장형 저장장치
US10/640,270 US20040268040A1 (en) 2003-06-03 2003-08-14 External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689A KR100420444B1 (ko) 2003-06-03 2003-06-03 외장형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444B1 true KR100420444B1 (ko) 2004-02-26

Family

ID=3353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689A KR100420444B1 (ko) 2003-06-03 2003-06-03 외장형 저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268040A1 (ko)
KR (1) KR100420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9432B2 (en) * 2003-09-17 2013-01-22 Bindu Rama Rao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removable storage media units
US20050086413A1 (en) * 2003-10-15 2005-04-21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Capacity Expansion of Flash Memory Device with a Daisy-Chainable Structure and an Integrated Hub
US20060082963A1 (en) * 2004-10-15 2006-04-20 I-Ming Chen USB drive mass storage device with means for holding memory cards not in use
JP2007164296A (ja) * 2005-12-09 2007-06-28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20090172279A1 (en) * 2007-12-28 2009-07-02 Po Yuan System For Accessing A Removable Non-Volatile Memory Card
CN101527162A (zh) * 2008-03-07 2009-09-09 深圳市朗科科技股份有限公司 卡槽式闪存硬盘
WO2010087858A1 (en) 2009-01-31 2010-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le-name extension characters for file distribution
IT1398897B1 (it) * 2010-03-02 2013-03-21 Brondani Interfaccia usb multifunzionale semplificata
US8732390B2 (en) * 2011-05-31 2014-05-20 Seagate Technology Llc Distribution with dynamic partitions
CN102799397A (zh) * 2012-07-31 2012-11-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动态访问数据的电子装置及动态访问数据方法
CN106155577B (zh) 2015-04-23 2019-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扩展内存的访问方法、设备以及系统
CN104795092A (zh) * 2015-04-30 2015-07-22 无锡市崇安区科技创业服务中心 一种组合式移动硬盘
CN105549914A (zh) * 2015-12-25 2016-05-0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外置存储设备的挂载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7604B (en) * 1998-10-05 2003-04-11 Toshiba Corp A memory systems
US6438638B1 (en) * 2000-07-06 2002-08-20 Onspec Electronic, Inc.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JP2002197415A (ja) * 2000-12-27 2002-07-12 Fujitsu Ltd データ記憶装置
US6880024B2 (en) * 2003-06-12 2005-04-12 Phison Electronics Corp. Control system for memory storage device having two different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68040A1 (en) 200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444B1 (ko) 외장형 저장장치
JP4209820B2 (ja) メモリカードシステム及び該メモリカード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ライトワンス型メモリカード、ホストシステムと半導体記憶デバイスとからなるシステム
US7007127B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interface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a computer system
CN101385004A (zh) 使用两种类型的存储介质的数据存储装置
US9232006B2 (en) Remote access to a data storage device
JP2006338670A (ja) 自動的に生体認証アプリケーションを実行できる携帯式のストレージ装置及び自動的に生体認証アプリケーションを実行する方法。
KR100586063B1 (ko) 가변 크기이고 데이터의 갱신이 가능한 시스템 영역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데이터 구조, 그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usb 저장 장치 및 상기 시스템 영역의 제어 방법
KR100841982B1 (ko) 호스트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 및 그것의액세스 방법
US8219824B2 (en) Storage apparatus, memory card ac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ading/writing the same
CN112560120B (zh) 安全内存条及安全内存条的启动方法
US7263468B2 (en) Method for storing access record in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22222A1 (en) Memor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20010044887A1 (en) Record mediu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record medium
EP3196769A1 (en) Reader/writ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7509522B2 (en) Removable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data recovery using the same
TWI775098B (zh) 可移除儲存裝置及其資料保護方法
CN112131620B (zh) 一种硬盘防盗的方法和硬盘
US20030154385A1 (en) Data security device of data storage medium
KR101161686B1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메모리 장치 및 그 보안 방법
EP3992830A1 (en) Secure memory c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11157B1 (ko)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11153B1 (ko)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4038286A (ja) 携帯可能電子媒体及び携帯可能電子媒体の発行システム
JP2006344104A (ja)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管理装置
KR20230027782A (ko)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