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782A -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782A
KR20230027782A KR1020210109960A KR20210109960A KR20230027782A KR 20230027782 A KR20230027782 A KR 20230027782A KR 1020210109960 A KR1020210109960 A KR 1020210109960A KR 20210109960 A KR20210109960 A KR 20210109960A KR 20230027782 A KR20230027782 A KR 20230027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file
storage device
usb storage
executabl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형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형 filed Critical 이택형
Priority to KR102021010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782A/ko
Publication of KR2023002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Securing storag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한 후 실행시키는 실행파일이 저장된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유에스비 저장장치가 컴퓨터 장치에 접속된 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상기 실행파일이 실행되면, 상기 컴퓨터 장치는 상기 실행파일 위치의 드라이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해당 드라이브를 특정하는 드라이브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를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파일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또는 상기 실행파일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지정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한 후 실행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간단한 암호화기술을 적용하면서도 예를 들어 디지털 졸업앨범에 적용되는, 특정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에스비 저장장치 등과 같은 다른 저장장치에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USB Storage Device For Preventing To Copy Data Files}
본 발명은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다른 저장장치에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디지털 저작물이 양산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음반, 영화, 출판물 등이 활발하게 생산되고 있다. 한편으로 이러한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행위가 인터넷을 통하여 광범위하게 자행되기도 한다. 이에, 디지털 저작물 공급업자는 디지털 저작물 파일을 암호화하여 배포함으로써 무단 복제에 대한 피해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학생들의 졸업앨범도 디지털화가 진행되는 추세에 있다. 디지털 졸업앨범은 학생들이 스스로 촬영한 또는 전문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및 동영상을 디지털 파일로 포함하는 한편 그러한 디지털 파일을 일정한 형식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졸업앨범의 내용은 모든 졸업생들에 대하여 동일한 것이 보통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7435호(2004. 11. 18.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0564646호(2006. 03. 21.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1867호(2013. 03. 29.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558914호(2015. 10. 02.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2104470호(2020. 04. 20.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266411호(2013. 05. 15. 등록)
졸업앨범 제작자는 어떤 학교로부터 졸업앨범에 대한 주문을 받고 디지털 졸업앨범을 제작한 후 그러한 디지털 졸업앨범을 예를 들어 USB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해당 학교에 납품할 수 있다. 이때, 졸업생들이 USB 저장장치에 저장된 디지털 졸업앨범을 단순히 복제하는 것만으로 동일한 졸업앨범을 얻을 수 있다면, 졸업생들은 디지털 졸업앨범을 구매하지 않고 해당 디지털 졸업앨범을 구매한 친구로부터 해당 디지털 졸업앨범을 불법적으로 복제할 수도 있다. 디지털 졸업앨범에 대한 그러한 불법적 복제의 가능성은 디지털 졸업앨범의 제작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한편, 음반, 영화, 출판물 등과 같은 디지털 저작물과 비교할 때 한 종류의 디지털 졸업앨범에 대한 구매자들의 숫자는 매우 제한적이다. 그래서 디지털 졸업앨범에 대하여 정교하고 복잡한 암호화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즉, 한 종류의 디지털 졸업앨범의 판매에 대한 수익은 정교하고 복잡한 암호화기술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비용을 정당화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암호화기술을 적용하면서도 예를 들어 디지털 졸업앨범에 적용되는, 특정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에스비 저장장치 등과 같은 다른 저장장치에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하나 이상의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한 후 실행시키는 실행파일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상기 유에스비 저장장치가 컴퓨터 장치에 접속된 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상기 실행파일이 실행되면,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실행파일 위치의 드라이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해당 드라이브를 특정하는 드라이브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를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파일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또는 상기 실행파일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지정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한 후 실행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한다.
상기 드라이브 고유정보는 유에스비 저장장치의 시리얼 넘버이거나 또는 VID 및 PID의 조합이거나 또는 VID, PID 및 시리얼 넘버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파일은 멀티미디어 파일일 수 있고, 특히 이미지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일 수 있다.
상기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디지털 졸업앨범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경보를 출력하게 하거나 또는 블랙 화면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포맷불가 및 지워지지 않는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실행파일은 상기 포맷불가 및 지워지지 않는 저장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컴퓨터 장치가 자신에 의하여 읽혀진 상기 실행파일이 위치하는 저장영역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저장영역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실행파일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간단한 암호화기술을 적용하면서도 예를 들어 디지털 졸업앨범에 적용되는, 특정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에스비 저장장치 등과 같은 다른 저장장치에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의 저장영역을 도식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실행파일의 내용을 도시한 절차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그것의 저장영역, 즉 메모리영역에 하나 이상의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및 실행파일을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파일은 문서 파일일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파일일 수도 있다. 도 1에는 졸업앨범용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암호화된 이미지 파일들 및 암호화된 동영상 파일들이 저장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미지 파일의 예는 jpg, bmp 등의 파일을 포함하고, 동영상 파일의 예는 mp4, avi 등의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실행파일은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한 후 실행시키는 것이다. 데이터 파일의 실행은 문서 파일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거나, 이미지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화면에 재생하여 출력하는 것이거나, 음악 파일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고, 메모리 영역은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컴퓨터 장치의 USB 포트에 접속하는 일반적인 유에스비 저장장치뿐만 아니라 SD 메모리카드 및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와 같은 저장장치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불가 및 지워지지 않는 특정 USB 저장영역(100)을 포함한다. 상기한 데이터 파일 및 실행파일은 이러한 특정 USB 저장영역(10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정 USB 저장영역(10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및 실행파일은 지울 수 없고, 또한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가 출고된 이후에는 특정 USB 저장영역에 다른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도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일반 USB 저장영역(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USB 저장영역(200)은 비휘발성으로서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가 어떤 컴퓨터 장치의 USB 포트에 접속되면 실행파일이 해당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가 컴퓨터 장치에 처음으로 접속되는 것을 컴퓨터 장치가 인식하면 실행파일이 자동적으로 실행되게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예를 들어 윈도우즈 운영체제의 파일탐색기 화면에서 실행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실행파일이 실행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실행파일의 내용의 한 예가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실행파일이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면 컴퓨터 장치는 도 2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컴퓨터 장치는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의 유에스비 장치에 저장된 실행파일이 실행되면(단계 S100), 컴퓨터 장치는 먼저 해당 실행파일 위치의 드라이브 정보를 확인한다(단계 S110). 통상적으로 PC와 같은 컴퓨터 장치는 예를 들어 윈도우즈 운영체제가 저장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C 드라이브로 인식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파티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윈도우즈 운영체제가 저장되지 않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다른 파티션 부분은 D 또는 F 드라이브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장치의 USB 포트에 USB 저장장치가 접속되면 컴퓨터 장치는 그러한 USB 저장장치를 E 또는 G 드라이브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컴퓨터 장치의 한 USB 포트에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를 접속시키면, 해당 컴퓨터 장치는 해당 USB 포트에 접속된 유에스비 저장장치를 예를 들어 E 드라이브로 인식할 수 있다. 즉, 해당 컴퓨터 장치는 본 발명에서 해당 실행파일이 저장된 위치의 드라이브가 E 드라이브임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컴퓨터 장치는 해당 드라이브, 즉 E 드라이브를 특정하는 드라이브 고유정보를 확인한다(단계 120). 이때, 드라이브 고유정보는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대한 VID(Vendor ID), PID(Product ID) 및 시리얼 넘버(Sriel Number: S/N)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드라이브 고유정보로 유에스비 저장장치의 시리얼 넘버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VID 및 PID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VID, PID 및 S/N의 조합이 드라이브 고유정보로 사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컴퓨터 장치는 해당 드라이브의 VID, PID 및 S/N를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30). 만약 드라이브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컴퓨터 장치는 실행파일의 실행을 종료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경우는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실행파일이 특정 유에스비 저장장치로부터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에스비 저장장치로 불법적으로 복제된 것을 의미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를 제작할 때, 실행파일에는 해당 유에스비 저장장치의 VID, PID 및 S/N이 기재되어야 한다.
한편, 드라이브 고유정보가 일치한다면 실행파일이 정당한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것이므로 컴퓨터 장치는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즉, 컴퓨터는 실행파일이 저장된 해당 드라이브의 디렉토리, 즉 실행 디렉토리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40). 이때, 실행 디렉토리라 함은 실행파일이 저장된 해당 유에스비 저장장치의 특정 USB 저장영역(100)을 의미한다.
만약 실행 디렉토리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면, 컴퓨터 장치는 실행파일의 실행을 종료한다. 왜냐하면,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서 실행파일이 저장된 저장영역은 포맷불가 및 지워지지 않는 저장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읽기는 가능하지만 쓰기는 불가능한 저장영역이기 때문이다. 즉, 실행 디렉토리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면 그것은 실행파일이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로부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에스비 저장장치로 불법적으로 복제되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행 디렉토리에 파일을 저장할 수 없다면, 그것은 실행파일이 정당한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것을 의미하므로, 컴퓨터 장치는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즉, 컴퓨터 장치는 암호화된 이미지 및 동영상 파일들 중에서 실행되어야 할 파일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0). 이때,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파일의 지정 대신에 경우에 따라서는 실행파일이 자동적으로 임의의 파일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데이터 파일을 지정할 수도 있다.
실행되어야 할 데이터 파일의 지정이 없다면 데이터 파일의 지정이 있을 때까지 컴퓨터 장치는 대기한다. 반면에 실행되어야 할 데이터 파일의 지정이 있으면 컴퓨터 장치는 지정된 암호화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의 복호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60).
지정된 암호화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의 복호화가 가능하지 않다면 컴퓨터 장치는 화면에 블랙을 출력할 수 있다(단계 S170). 컴퓨터 장치는 블랙 화면을 출력하는 대신에 해당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의 복호화가 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경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암호화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의 복호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컴퓨터 장치는 지정된 암호화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을 복호화한 후 화면에 출력한다(단계 S180).
다음으로, 컴퓨터 장치는 실행파일의 종료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190), 그러한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0으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한다. 이때, 단계 S110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하는 대신에 단계 S150으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하는 것으로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는 실행파일이 실행된 후 사용자는 언제든지 프로그램의 종료 명령을 내릴 수 있고, 그러한 종료 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컴퓨터 장치는 곧바로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는 실행파일의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단계 110에서 단계 180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는 실행파일의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실행할 데이터 파일을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블랙 화면 또는 지정된 데이터 파일이 화면에 출력된 상태에서 다른 데이터 파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은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를 컴퓨터 장치에 접속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실행파일을 실행함으로써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및 실행파일은 다른 저장장치,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복제될 수는 있으나, 그렇게 불법적으로 복제된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및 실행파일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없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실행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복제한 후 복제된 실행파일을 실행시키더라도 그러한 실행파일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해당 컴퓨터 장치는 해당 드라이브의 VID, PID 및 S/N이 실행파일에 기재된 VID, PID 및 S/N과 다른 것을 확인하고 데이터 파일을 화면에 출력하지 않고 실행파일의 실행을 종료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복제하더라도 그러한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은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은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실행파일을 실행시키지 않고서는 복호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다른 저장장치에 불법적으로 복제하여 정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먼저 복호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저장된 실행파일을 해킹하여 암호화키를 얻은 후 복호화키를 얻어야 한다.
이러한 해킹을 위해서는 고도의 실력과 오랜 시간 동안의 노력이 요구된다. 유능한 해커가 마음을 먹고 상당한 시간동안 노력을 한다면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대한 해킹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수요가 많은 디지털 영화와 같은 디지털 저작물은 유능한 해커에 의하여 해킹된 후 불법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불법적으로 유통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디지털 졸업앨범과 같이 구매자의 숫자가 매우 제한적인 디지털 저작물에 적용할 때 특히 유용하다. 왜냐하면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아무리 유능한 해커라도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를 해킹하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데 반하여 불법적인 해킹에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얻을 수 있는 편익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본 발명의 유에스비 저장장치에 대한 해킹 시도 자체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데이터 파일에 대한 암호화 기술을 정교하고 복잡하게 구현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추가적 이점을 가지게 된다.
100: 특정 USB 저장영역 200: 일반 USB 저장영역

Claims (7)

  1. 하나 이상의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한 후 실행시키는 실행파일이 저장된 유에스비 저장장치이고,
    상기 유에스비 저장장치가 컴퓨터 장치에 접속된 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상기 실행파일이 실행되면,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실행파일 위치의 드라이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해당 드라이브를 특정하는 드라이브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를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파일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해당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고유정보와 상기 실행파일에 기재된 드라이브 고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또는 상기 실행파일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지정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한 후 실행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고유정보는 유에스비 저장장치의 시리얼 넘버이거나 또는 VID 및 PID의 조합이거나 또는 VID, PID 및 시리얼 넘버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은 멀티미디어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은 이미지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디지털 졸업앨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상기 데이터 파일을 복호화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경보를 출력하게 하는 것이거나 또는 블랙 화면을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 저장장치는 포맷불가 및 지워지지 않는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실행파일은 상기 포맷불가 및 지워지지 않는 저장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컴퓨터 장치가 자신에 의하여 읽혀진 상기 실행파일이 위치하는 저장영역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저장영역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실행파일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KR1020210109960A 2021-08-20 2021-08-20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KR20230027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60A KR20230027782A (ko) 2021-08-20 2021-08-20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60A KR20230027782A (ko) 2021-08-20 2021-08-20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82A true KR20230027782A (ko) 2023-02-28

Family

ID=8532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60A KR20230027782A (ko) 2021-08-20 2021-08-20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782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435A (ko) 2003-05-12 2004-11-18 에크로텍(주) Usb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불법복제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100564646B1 (ko) 2004-09-14 2006-03-29 하나 마이크론(주)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 및 그파일의 재생 방법
KR20130031867A (ko) 2013-02-15 2013-03-29 (주)누리텍 Usb 메모리용 보안 방법
KR101266411B1 (ko) 2011-06-16 2013-05-2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장치의 소프트웨어 복제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558914B1 (ko) 2014-09-30 2015-10-13 (주) 이모텔리 복제 방지시스템이 적용된 유에스비 오티지 메모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본 파일 생성방법 및 그 재생방법
KR102104470B1 (ko) 2018-06-14 2020-04-2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Usb메모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관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435A (ko) 2003-05-12 2004-11-18 에크로텍(주) Usb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불법복제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100564646B1 (ko) 2004-09-14 2006-03-29 하나 마이크론(주)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 및 그파일의 재생 방법
KR101266411B1 (ko) 2011-06-16 2013-05-2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장치의 소프트웨어 복제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30031867A (ko) 2013-02-15 2013-03-29 (주)누리텍 Usb 메모리용 보안 방법
KR101558914B1 (ko) 2014-09-30 2015-10-13 (주) 이모텔리 복제 방지시스템이 적용된 유에스비 오티지 메모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본 파일 생성방법 및 그 재생방법
KR102104470B1 (ko) 2018-06-14 2020-04-2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Usb메모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관리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9207B2 (en) Methods of operating storage systems including encrypting a key salt
US7181008B1 (en) Contents management method,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0592641B2 (en) Encryption method for digital data memory card and assembly for performing the same
US20020165825A1 (en) Recording medium, license management apparatus, and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US20090222500A1 (en)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hiding confidential files
US20050078822A1 (en) Secure access and copy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US20090022320A1 (en) Content copying device and content copying method
US20120042173A1 (en) Digital Content and Right Objec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00166189A1 (en) Key Management Apparatus and Key Management Method
KR100586063B1 (ko) 가변 크기이고 데이터의 갱신이 가능한 시스템 영역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데이터 구조, 그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usb 저장 장치 및 상기 시스템 영역의 제어 방법
TWI553473B (zh) 可攜式資料儲存裝置之安全資料儲存與轉移
KR20230027782A (ko) 데이터 파일 복제방지 유에스비 저장장치
US20120002817A1 (en) Key management method and key management device
TWI221568B (en) Method for verifying authorized access to electronic-book
AU2006343229B2 (en) A method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by encrypting and decrypting a memory card
US9152636B2 (en) Content protection system in storage media and method of the same
US20180276349A1 (en) Digital content editing apparatus, digital content playback apparatus, digital content decrypting apparatus, web content playback apparatus, web content decrypting apparatus, digital content encrypting/decrypting system, and digital content encrypting/decrypting method
JP6365902B2 (ja) メモリカードに格納される映像データの管理システム
JP2019097006A (ja) コンテンツデータの管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コンテンツ再生装置ならびに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
US20150186656A1 (en) Method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by using memory card encryption and decryption
JP2006120015A (ja) 情報記憶装置、データ隠蔽方法、及び暗号データの復号方法
KR19990038934A (ko) 집적회로 카드와 프로그램의 공조에 의한 불법 설치 방지 시스템
EP1883070A2 (en) Secure access and copy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EP1785879A1 (en) Contents management method, and contents distribution method
JP2006073154A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記録媒体、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