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042B1 -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042B1
KR100420042B1 KR10-2001-0055365A KR20010055365A KR100420042B1 KR 100420042 B1 KR100420042 B1 KR 100420042B1 KR 20010055365 A KR20010055365 A KR 20010055365A KR 100420042 B1 KR100420042 B1 KR 10042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veyor
sealer
transferred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162A (ko
Inventor
황충신
Original Assignee
황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충신 filed Critical 황충신
Priority to KR10-2001-005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0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9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가 끼워진 기판을 컨베이어 장치에 의한 자동화 설비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가면서, 튜브에 연호를 자동 주입한 후 실러를 튜브에 삽입하여 고주파로써 융착밀봉시키고, 물과 공기의 분사로 세척을 행하며, 충진량의 계량으로 양부를 판별하여 선별하는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및 이에 사용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공정에서 주조된 튜브식 양극판의 소재를 석션컨베이어 상에 적층시켜 이송시키고 이송된 소재를 하나씩 흡착하여 연호충진장치로 이송시키는 소재투입의 제1공정과, 충진파이프를 이송된 소재의 튜브 안쪽에 삽입한 후 인출하면서 페이스트 상태의 연호를 주입하는 연호충진의 제2공정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의 개구 단부를 세척하는 제3공정과, 일정방향으로 정렬된 실러를 적재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하고 풋레지피더가 실러를 압지하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소재의 튜브에 실러를 삽입시키는 실러삽입의 제4공정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소재를 고주파로 튜브와 실러를 융착시키는 고주파 융착의 제5공정과, 컨베이어에 의해 누워서 이송된 소재를 입설시켜 물과 공기로써 세척하는 제6공정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소재를 로드셀로 질량을 측정하는 계량의 제7공정과, 계량에 의한 양부를 판별하고 양품과 불량품을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선별의 제8공정을 포함하는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Tube style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device for a non electrolyte battery}
본 발명은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가 끼워진 기판을 컨베이어 장치에 의한 자동화 설비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가면서, 튜브에 연호를 자동 주입한 후 실러를 튜브에 삽입시켜 고주파로써 융착밀봉시키고, 물과 공기의 분사로 세척을 행하며, 충진량의 계량으로 양부를 판별하여 선별하는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분말 상태의 연호를 수작업으로 튜브에 주입하여 양극판을 생산하는 등의 완성품이 나올 때까지 전 공정에 걸쳐 사람의 수작업이 많이 가미되는 반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양극판 생산 공정은 튜브를 수직으로 세워서 수작업으로 분말상의 연호를 충진하였으므로 연호의 밀도 및 중량이 불균일하여 불량품이 양산되고, 산업용 밧데리의 다양한 형식에 대응하지 못하여 생산성의 저하와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호를 페이스트 상태로 교반하여 수평상태의 튜브에 자동으로 주입하고, 컨베이어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고주파 융착과 세척 등을 행하고, 계량장치에 의해 양부가 판별되어 선별되는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튜브식 양극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재투입장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재투입장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렬장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호충진장치도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1차 세척장치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러삽입장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풋레지피더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주파융착장치 좌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워싱90° 턴디바이스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2차 세척장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계량장치 우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불량취출장치 우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완제품 적재상태 좌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완제품이송장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재 2 : 튜브 3 : 벨트
4 : 실러 5 : 넷체인 6 : 석션컨베이어
7 :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 8 : 석션스위블아암
9, 14, 15, 27, 31 : 에어실린더 10, 10' : 힌지
11 : 석션패드 12 : 석션파이프 13 : 블로워
16 : 정렬아암 17 : 지그실린더 18 : 지그
19 : 호퍼 20,20' : 모터 21 : 교반기
22 : 이송스크류 23 : 피니언 24 : 랙
25 : 소재클램프 26 : 충진파이프 28 : 세척노즐
29 : 실러자동정렬기 30 : 적재컨베이어벨트 32 : 투스
33 : 풋레지피더 34 : 90°턴아암 35 : 워싱90°턴디바이스
36 : 물분사 노즐 37 : 공기분사 노즐 38 : 로드셀
39 : 행거 40 : 가이드 41 : 클램프
42 : 불량적재대 43 : 걸림쇠 44 : 조그아암
45 : 파레트 46 : 걸쇠 47 : 걸이
48 : 적재클램프 49 : 롤러켄베이어 50 : 체인컨베이어
51 : 기판
100 : 소재투입장치
200 : 연호충진장치 210 : 정렬장치 220 : 충진유니트
300 : 컨베이어400 : 1차세척장치500 : 실러삽입장치600 : 고주파융착장치700 : 2차세척장치800 : 계량장치900 : 선별장치 910 : 불량취출장치 920 : 완제품이송장치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장치는 수동적재된 소재(1)에 연호를 충진시키기 위하여 진공으로 흡착시켜 이송시키는 소재투입장치(100)와, 소재투입장치(100)에 의해 이송된 소재를 정확한 위치로 정렬시키고 정렬된 소재(1)의 튜브(2) 속으로 연호충진용 파이프를 삽입하여 연호를 충진시키는 연호충진장치(200)와, 연호가 충진된 소재(1)를 최종 적재까지 벨트(3)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300)와, 상기 컨베이어(300)에 의해 연호충진장치(200)에서 이송되어 오는 소재(1)의 튜브(2) 단부를 세척하는 1차세척장치(400)와, 1차세척을 마치고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의 튜브(2) 단부에 실러(4)를 삽입하는 실러삽입장치(500)와, 실러(4)가 삽입되어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의 튜브(2)와 실러(4)를 고주파로 융착밀폐시키는 고주파융착장치(600)와, 고주파 융착되어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를 다시 세척하는 2차세척장치(700)와, 2차세척을 마치고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의 중량에 의해 양부를 판별하는 계량장치(800)와, 상기 계량장치(800)에 의한 양부에 따라 분류하는 선별장치(9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소재투입장치(100)는 소재(1)를 수동적재시켜 이송시키는 다수의 넷체인(5)으로 구동되는 무한궤도의 석션컨베이어(6)와, 상기 석션컨베이어(6)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1)를 흡착시켜 석션컨베이어(6)에서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로 이동시키는 '∩'형상으로 굴곡된 관체의 석션스위블아암(8)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 석션스위블아암(8)은 에어실린더(9)의 로드 단부에 힌지(10)로 체결되어 에어실린더(9)에 의해 회전운동하게 설치되고, 소재(1)를 흡착하는 석션스위블아암(8)의 일측단부에는 수직으로 설치된 에어실린더(14)에 의해 상하 운동하고 주름관이 형성되며 끝단부에 석션패드(11)가 부착된 석션파이프(12)가 설치되며, 석션스위블아암(8)의 타측단부에는 블로워(1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는 다수의 파이프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수평면상에서 반복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석션컨베이어(6)에서 석션스위블아암(8)에 의해 이동된 소재(1)를 정렬장치(21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따라서, 석션컨베이어(6)상에 다수개의 소재를 적층시켜 넷체인(5)으로 무한 궤도의 석션컨베이어(6)를 이송시키면 소재(1)는 석션패드(11)의 하단으로 이송되고, 석션컨베이어(6)는 자동제어에 이하여 적재된 소재(1)를 특정 위치까지 자동이송시킨 후 정지되며, 에어실린더(14)의 신장으로 석션패드(11)가 소재(1)에 접촉되고, 블로워(13)의 작동으로 석션패드(11)가 소재(1)를 흡착시키며, 다시 에어실린더(14)의 수축으로 소재(1)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어서 에어실린더(9)의 작동으로 석션스위블아암(8)이 회전되어 인접된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의 상부로 소재(1)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석션파이프(12)의 상하운동은 주름관에 의해 유연하게 이루어지고, 소재(1)의 이동은 석션스위블아암(8)의 회전에 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소재투입장치(100)는 도2 내지 도5와 도7에 도시되어 있고, 특히 소재 투입장치(100)를 연호충진장치(200)에 연계시키는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가 도7에 도시되어 있다. 도2에서는 소재(1)를 석션컨베이어(6)에 12매~15매 정도를 가로방향으로 4곳 정도로 수동적재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연호충진장치(200)는 이송된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의 위치의 하단에 설치되어 소재(1)의 튜브(2)에 연호를 충진할 수 있도록 정렬시키는 장치로서 에어실린더(15)에 의해 회동되는 정렬아암(16)에 지그실린더(17)가 설치되고, 상기 지그실린더(17)에 의해 회동되어 소재(1)의 양측에서 협지하는 지그(18)가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를 구성하는 파이프 사이의 아래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정렬장치(210)와, 분말상의 연호를 투입하는 호퍼(19)의 하부에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기(21)와 이송스크류(22)가 설치되어 구성된 충진유니트(220)와, 정역회전하는 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23)에 치합되어 왕복운동하는 랙(24)에 부착된 소재클램프(25)와, 이송스크류(22)에 의해 이송되는 페이스트 상태의 연호를 소재(1)의 튜브(2)에 주입시키는 고정된 충진파이프(26)와, 정렬장치(210)에 의해 정렬된 소재(1)를 고정된 충진파이프(26) 쪽으로 밀어서 튜브(2)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에어실린더(2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호충진장치(200)는 도6과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컨베이어(300)는 다수개의 벨트(3)가 무한궤도운동 하게 구성되어 연호가 충진된 소재(1)를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에서부터 이송받아 최종 완제품이 되어 선별되는 곳까지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300)의 전체적인 구조는 도2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1차세척장치(400)는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되어 온 소재(1)를 세척하는 것으로 소재(1) 튜브(2)의 연호 주입구 쪽의 상하부에 세척노즐(28)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실러삽입장치(500)는 실러(4)를 동일방향으로 정렬시켜 공급하는 실러자동정렬기(29)와, 상기 정렬된 다수개의 실러(4)를 열을 지워 배열시키는 평판상의 적재컨베이어벨트(30)와, 에어실린더(31)에 의해 소재(1)쪽으로 이송되어 상하 한쌍의 투스(32)에 의해 실러(4)를 압지하여 압지된 실러(4)를 소재(1)의 튜브(2)에 삽입시키는 풋레지피터(3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실러삽입장치(500)는 도2와 도9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고주파융착장치(600)는 실러(4)가 삽입된 튜브(2)의 주연부를 고주파로 융착하는 것으로 컨베이어(300)의 경로상의 실러삽입장치(500)의 다음에 설치되고,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2차세척장치(700)는 컨베이어(300)의 이송방향에 따라 고주파융착장치(600)를 지난 위치에 90°턴아암(34)이 힌지(10')로 축지되어 누워서 이송되는 소재(1)를 입설시키는 워싱90°턴디바이스(35)와, 입설된 소재(1)의 양측에 설치된 물분사 노즐(36) 및 공기분사 노즐(37)로 구성된다. 상기의 2차세척장치(700)는 도12와 도13에 도시되어 있다.
계량장치(800)는 컨베이어(300)의 이송방향에 따라 2차세척장치(700)를 지난 위치에 설치되고, 로드셀(38)에 연결되어 소재(1)의 하부에서 소재(1)를 들어올리는 행거(39)로 구성되며, 도14에 도시되어 있다.
선별장치(900)는 가이드(40)를 따라 왕복 슬라이딩 운동하여 계량장치(800)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소재(1)를 클램핑하여 이송시는 클램프(41)와, 상기 클램프(41)에 의해 이송된 불량 소재(1)를 적층되는 불량적재대(42)로 구성된 불량취출장치(910)와, 계량장치(800)에서 양품으로 판정되어 벨트(3)에 의해 컨베이어(300)의 끝단까지 이송되어 온 소재(1)를 컨베이어(300)의 옆에 설치된 걸림쇠(43)로 운반하는 조그아암(44)과, 상기 걸림쇠(43)와 파레트(45)로 슬라이딩 왕복운동하여 걸림쇠(43)에 걸려있는 소재(1)를 클램핑하여 파레트(45)의 내부에 설치된 걸쇠(46)의 홈에 소재(1)의 걸이(47)를 걸어 적재시키는 적재클램프(48)와, 상기 소재(1)가 적재된 파레트(45)를 롤러켄베이어(49)로 이송시키는 체인컨베이어(50)로 구성된 완제품이송장치(9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별장치(900)는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1은 양극판의 기판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공정은 소재투입공정으로, 양측에 걸이(47)가 있는 기판(51)을 주조공정에서 주조하여 튜브(2)에 끼워서 형성된 소재(1)를 석션컨베이어(6)에 12매 ~ 15매 정도를 가로방향으로 4곳 정도로 수동적재한다.
상기의 석션컨베이어(6)는 넷체인(5) 3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제어에 의하여 적재된 소재(1)를 다음 공정의 준비 위치까지 자동 이송 및 정지된다.
적재된 소재(1)가 석션컨베이어(6)에 의하여 90°회전하는 석션스위블아암(8)의 작업 위치에 이송이 되어 오고, 에어실린더(9)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석션파이프(12)가 이송되어 온 적재된 소재(1)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석션스위블아암(8)에 수직으로 설치된 에어실린더(14)의 신장작용으로 석션파이프(12)는 소재(1)로 접근하게 된다.
석션파이프(12)의 일측에는 주름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석션파이프(12)의 단부에 부착된 석션패드(11)가 소재(1)의 튜브(2)에 접근하여 소재(1)를 파지하게 된다.
에어실린더(14)의 신축작용으로 파지된 소재(1)는 위로 올라가고, 에어실린더(9)와 석션스위블아암(8)은 힌지(10)로써 체결되어 있으므로 에어실린더(9)의 신장 작용으로 석션스위블아암(8)은 90°회전을 하게되어, 석션패드(11)에 파지된 소재(1)는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 위로 이동되고, 파지작용을 멈추면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에 안착되게 된다.
석션패드(11)는 실리콘 고무로 제작되어 신축성과 접착성이 좋아서 소재(1)의 표면이 다수개의 튜브(2)에 의해 굴곡이 져 있더라도 충분히 파지할 수 있다.
소재(1)의 파지는 블로워(13)에 의한 진공 발생으로 인하여 석션패드(11)에서의 부압으로써 소재를 파지하게 된다.
제 2공정은 연호 충진공정으로,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에 안착된 소재(1)는 정렬장치(210)에 의해 좌우 및 중앙부의 간격이 정확하게 정렬되고, 연호충진장치(200)의 중심까지 이송된다. 정렬장치(210)는 정렬아암(16)에 의해 회동되는데,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가 정렬장치(210) 쪽으로 이동되어 올 때는 에어실린더(15)의 수축작용으로 아래쪽에 내려가 있다가 소재(1)를 안착한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가 이송되어 온 후에는 에어실린더(15)의 신장 작용으로 정렬아암(16)이 회동되고, 정렬아암(16)에 부착된 지그(18)는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의 파이프 사이로 아래에서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며, 지그실린더(17)에 의해 지그(18)가 소재(1)를 잡아주면서 정확한 위치로 정렬하여 연호충진장치(200)의 중앙부까지 소재를 이송시키게 된다.
긴 파이프 1세트와 짧은 파이프 1세트로 구성된 충진파이프(26)는 고정되어 있고, 에어실린더(27)가 소재(1)를 이송시켜 소재(1)를 앞끝단 25mm정도까지 충진 파이프(26)를 삽입되게 하며, 모터(20')에 의해 피니언(23)이 회전하여 랙(24)이 왕복 운동되게 구성되고, 랙(24)에 고정된 소재클램프(25)가 소재(1)를 클램핑하여 충진파이프(26)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는 소재(1)의 튜브(2) 내부 끝까지 충진파이프(26)가 삽입되고, 천천히 뒤로 빠지면서 연호를 주입한다. 연호의 주입은 소재(1)의 튜브(2) 앞끝단 5mm전까지 실러(4) 삽입 공간을 제외하고 투입된다. 연호를 충진시킬 수 있게 하는 충진유니트(220)는 호퍼(19)와 각각 모터(20)로 구동되는 이송스크류(22)와 교반기(21)로 구성되어 있다. 교반기(21)에 의해 연호는 적정 밀도의 페이스트 상태로 된다. 이송스크류(22)는 교반된 페이스트 상태의 연호를 충진파이프(26)로 이송시키고, 튜브(2)의 내측으로 충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연호의 충진은 소재(1)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주입 하게되는데, 이는 연호의 밀도 및 충진량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이고, 수평 충진을 위해 본 발명은 분말상의 연호를 충진유니트(220) 내에서 교반기(21)에 의해 적정한 점성을 갖도록 교반되어 수평 주입시에도 흘러 내리지 않게 된다.
제 3공정은 연호가 충진된 소재(1)를 1차 세척하는 공정으로, 연호 주입이 완료된 소재(1)는 주입전의 위치로 랙(24)에 의해 취출되어지고,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의 이동에 의해 컨베이어(300)의 벨트(3) 상부로 이송되며, 컨베이어(300)의 벨트(3)가 진행하면서 소재(1)의 연호 주입구 쪽을 1차세척장치(400)에 의해 세척한다.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는 왕복 운동을 하면서 소재(1)를 연호 충진장치(200)로 이송시키는 작용과, 충진된 소재(1)를 컨베이어(300)의 벨트(3)로 이송시키는 작용을 동시에 행한다. 1차세척장치(400)는 세척노즐(28)이 소재(1)의 튜브(2)의 연호 투입구 부위를 상하에서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게 되어 있다. 1차세척은 다음 공정에서 실러(4)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 4공정은 실러 삽입공정으로, 실러삽입장치(500)에 구성된 실러자동정렬기(29)가 실러(4)의 방향을 일정하게 정렬하고, 정렬된 실러(4)는 적재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 실러(4) 투입 위치까지 공급되며, 풋레지피더(33)가 실러(4)를 압지하여 튜브(2)에 실러(4)를 삽입시킨다. 적재컨베이어벨트(30)는 약 100개 이상의 실러(4)가 항시 대기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전 공정이 정지시에는 자동으로 정지된다. 풋레지피더(33)는 실러(4)를 상부에서 압지하는 투스(32)가 힌지(10'')로 체결되어 있어 실러(4)의 압지 및 해제가 가능하고, 또한 풋레지피더(33)에는 에어실린더(31)가 부착되어 에어실린더(31)의 신장수축작동으로 풋레지피더(33)가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실러(4)를 튜브(2)에 삽입할 수 있다.제 5공정은 고주파 융착공정으로, 실러(4)의 투입이 완료된 소재(1)는 좌, 우 및 중앙부 정렬을 행하게 되고, 고주파융착장치(600)로 이송되어 실러(4)가 튜브(2)에 융착된다.제 6공정은 2차 세척공정으로, 융착이 완료된 소재(1)는 워싱90°턴디바이스(35)로 이송되어 90°턴아암(34)에 의해 소재(1)가 수평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2차세척장치(700)로 이동되어 2차 세척된다. 2차세척장치(700)에는 물분사 노즐(36) 2세트와 공기분사 노즐(37) 1세트로 구성되어, 상승 및 하강시 모두 세척이 되고, 상하 작동 행정거리는 800mm정도이다. 2차 세척 공정으로 소재(1)의 앞뒤 및 상하에 연호 등이 묻은 것을 깨끗이 세척하게 된다.제 7공정은 계량공정으로, 2차 세척이 완료된 후 90°턴아암(34)에 의해 소재(1)가 다시 수평으로 되어 계량장치(800)로 이송되고, 행거(39)의 상승으로 무게를 측정한다. 행거(39)는 소재(1)를 걸어서 30mm 수직상승하게 되므로, 로드셀(38)에 생기는 소재(1)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하중을 측정하게 된다.제 8공정은 선별공정으로, 계량장치(800)에 의한 계량으로 양불이 결정되는데, 정량의 표준치는 ±10g까지 가능하고, 소재(1)가 불량으로 확인되면 계량장치(800)에서 이송되어 불량취출장치(910)에 도달하고, 클램프(41)로 틸팅되어 가이드(40)를 따라서 불량적재대(42)로 이송되어 취출된다. 불량 적재는 15매까지 가능하며, 취출작업은 수작업으로 행한다. 양품의 경우 벨트(3)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조그아암(44)에 의해 90°회전되어 기판(51)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47)가 걸림쇠(43)의 홈에 안착되고, 걸림쇠(43)의 홈을 중심으로 소재(1)는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수직으로 서게 된다. 그리고, 적재클램프(41)가 하강하여 소재(1)를 클램핑하여 파레트(45)에 설치된 걸쇠(46)에 적재한다. 파레트(45)에는 1열 53매씩 총 3열의 걸쇠(46)가 있어 총 159매가 적재가능하다. 파레트(45)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는 구동하는 체인컨베이어(50)와 무구동의 롤러컨베이어(49)로 구성되고, 1번 열의 걸쇠(46)에 53매가 적재 완료되면 파레트(45) 이송용 체인컨베이어(50)가 2번 열 및 3번 열로 파레트(45)를 1 피치 이동시켜 3번 열의 적재가 완료되면, 파레트(45)는 롤러컨베이어(49)까지 이동되어진다. 롤러컨베이어(49)까지 이동된 파레트(45)는 지게차에 의해 건조실로 옮겨진다.상기의 공정으로 소재(1)에서부터 완성품인 양극판이 생산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용도에 따른 15공 또는 19공 등의 다양한 양극판을 자동화된 설비에서 생산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생산성의 향상과 산업용 밧데리의 여러 규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연호의 밀도와 중량의 계량을 자동화함으로써 양불의 판정이 신속 정확하여 양극판의 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주조공정에서 주조된 튜브(2)식 양극판의 소재(1)를 석션컨베이어(6) 상에 적층시켜 이송시키고 이송된 소재(1)를 하나씩 흡착하여 연호충진장치(200)로 이송시키는 소재투입의 제1공정과, 충진파이프(26)를 이송된 소재(1)의 튜브(2) 안쪽에 삽입한 후 인출하면서 페이스트 상태의 연호를 주입하는 연호충진의 제2공정과,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2)의 개구 단부를 세척하는 제3공정과, 일정방향으로 정렬된 실러(4)를 적재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 이송하고 풋레지피더(33)가 실러(4)를 압지하여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의 튜브(2)에 실러(4)를 삽입시키는 실러삽입의 제4공정과,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를 고주파로 튜브(2)와 실러(4)를 융착시키는 고주파 융착의 제5공정과, 컨베이어(300)에 의해 누워서 이송된 소재(1)를 입설시켜 물과 공기로써 세척하는 제6공정과,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를 로드셀(38)로 질량을 측정하는 계량의 제7공정과, 계량에 의한 양부를 판별하고 양품과 불량품을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선별의 제8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2.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동적재된 소재(1)에 연호를 충진시키기 위하여 진공으로 흡착시켜 이송시키는 소재투입장치(100)와, 소재투입장치(100)에 의해 이송된 소재를 정확한 위치로 정렬시키고 정렬된 소재(1)의 튜브(2) 속으로 연호충진용 파이프를 삽입하여 연호를 충진시키는 연호충진장치(200)와, 연호가 충진된 소재(1)를 최종 적재까지 벨트(3)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300)와, 상기 컨베이어(300)에 의해 연호충진장치(200)에서 이송되어 오는 소재(1)의 튜브(2) 단부를 세척하는 1차세척장치(400)와, 1차세척을 마치고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의 튜브(2) 단부에 실러(4)를 삽입하는 실러삽입장치(500)와, 실러(4)가 삽입되어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의 튜브(2)와 실러(4)를 고주파로 융착밀폐시키는 고주파융착장치(600)와, 고주파 융착되어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를 다시 세척하는 2차세척장치(700)와, 2차세척을 마치고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 소재(1)의 중량에 의해 양부를 판별하는 계량장치(800)와, 상기 계량장치(800)에 의한 양부에 따라 분류하는 선별장치(9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소재투입장치(100)는 소재(1)를 수동적재시켜 이송시키는 다수의 넷체인(5)으로 구동되는 무한궤도의 석션컨베이어(6)와, 에어실린더(9)에 의해 회전운동하게 설치되는 관체의 일측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에어실린더(14)에 의해 상하 운동하고 주름관이 형성되며 끝단부에 석션패드(11)가 부착되어 상기 석션컨베이어(6)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1)를 흡착시키도록 석션파이프(12)가 설치되고, 타측단부에 석션패드(11)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블로워(13)가 연결된 석션스위블아암(8)과, 상기 석션컨베이어(6)와 석션스위블아암(8)의 사이에서 소재(1)를 이송시키도록 왕복운동하는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연호충진장치(200)는 에어실린더(15)에 의해 회동되는 정렬아암(16)에 지그실린더(17)가 설치되고, 상기 지그실린더(17)에 의해 회동되어 소재(1)의 양측에서 협지하는 지그(18)가 플레이트트렌스포터파이프(7)를 구성하는 파이프 사이의 아래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정렬장치(210)와, 분말상의 연호를 투입하는 호퍼(19)의 하부에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기(21)와 이송스크류(22)가 설치되어 구성된 충진유니트(220)와, 정역회전하는 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23)에 치합되어 왕복운동하는 랙(24)에 부착된 소재클램프(25)와, 이송스크류(22)에 의해 이송되는 페이스트 상태의 연호를 소재(1)의 튜브(2)에 주입시키는 고정된 충진파이프(26)와, 정렬장치(210)에 의해 정렬된 소재(1)를 고정된 충진파이프(26) 쪽으로 밀어서 튜브(2)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에어실린더(2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장치.
KR10-2001-0055365A 2001-09-06 2001-09-06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42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365A KR100420042B1 (ko) 2001-09-06 2001-09-06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365A KR100420042B1 (ko) 2001-09-06 2001-09-06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720U Division KR200258890Y1 (ko) 2001-09-18 2001-09-18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162A KR20010099162A (ko) 2001-11-09
KR100420042B1 true KR100420042B1 (ko) 2004-02-25

Family

ID=1971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365A KR100420042B1 (ko) 2001-09-06 2001-09-06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14B1 (ko) 2012-04-26 2012-10-09 서훈 산업용 배터리 양극판 멀티튜브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50625B (es) 2011-11-10 2017-09-12 Sasit Ind Gmbh Instalación para procesar placas de batería y para disponerlas en carcasas de batería suministradas.
KR101850657B1 (ko) * 2017-10-26 2018-04-20 주식회사 신한정공 튜브식 양극판 제조장치
CN112605003B (zh) * 2020-12-11 2022-06-17 东阳东磁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工位的锂电池盖帽气密性检测设备及其实现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14B1 (ko) 2012-04-26 2012-10-09 서훈 산업용 배터리 양극판 멀티튜브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162A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39448B (zh) 全自动电池注液入钉系统
CN108723734B (zh) 电子元件胶管胶塞组装机
CN108355989A (zh) 一种用于电子产品电池的极耳裁切检测分拣机构
CN109319715A (zh) 一种制冷剂自动化灌装生产线及其灌装方法
CN111409904B (zh) 一种包装袋供袋取袋撑袋方法
US5704195A (en) Method and machine for packaging cans or tubes
KR100420042B1 (ko)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7328557B2 (en) Apparatus for loading small objects into blisters of a foil web
CN210083689U (zh) 一种粉状危化品无人装袋机
CN108284264A (zh) 一种自动脉冲锡焊机
CN208684383U (zh) 一种灌装杯的灌装与封装设备
CN114348596A (zh) 一种自动焊接组装包装机
CN109273661B (zh) 软包电池注液设备
CN107442937B (zh) 一种电子元件生产整机及生产方法
KR101240585B1 (ko) 링거 약액백의 실링장치
KR200258890Y1 (ko) 무전해액 밧데리의 튜브식 양극판 제조장치
CN116534316B (zh) 一种固态流体全自动包装机的复合称重打包方法
CN218429571U (zh) Molding上下料机
KR101386769B1 (ko) 용기 세척기
CN209113454U (zh) 一种制冷剂自动化灌装生产线
CN115284534A (zh) Molding上下料机
CN110980146A (zh) 一种自动化包装设备
CN214160262U (zh) 一种贴纸过胶抓取设备
CN210116660U (zh) 用于自动计量包装机的自动送袋装置
CN109687654B (zh) 一种电机壳全自动组装系统和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