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699B1 - 원단라벨의 교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라벨의 교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699B1
KR100419699B1 KR10-2002-0030546A KR20020030546A KR100419699B1 KR 100419699 B1 KR100419699 B1 KR 100419699B1 KR 20020030546 A KR20020030546 A KR 20020030546A KR 100419699 B1 KR100419699 B1 KR 10041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bel
rollers
label
fabric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753A (ko
Inventor
김방호
Original Assignee
김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방호 filed Critical 김방호
Priority to KR10-2002-003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6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나 가죽제품 등의 제품에 부착되는 라벨중의 경사지게 비틀어진 원단라벨을 풀을 먹이면서 공급하여 바르게 교정시킨 후, 히팅건조과정을 통해 교정작업을 마무리함으로서 비틀어진 직조상태의 원단라벨도 바르게 교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라벨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두께의 원단라벨에 맞추어 원단라벨이 받는 장력을 조절하여 교정작업을 할 수 있고, 여러 줄의 원단라벨을 동시에 공급하여 교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라벨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한줄씩 절단되어 롤에 권취된 원단라벨이나 한줄씩 절단되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자에 담긴 원단라벨을 공급하면서 원단라벨에 장력을 가하여 정리하는 단계와, 정리되면서 이송되는 원단라벨에 풀을 먹이는 단계와, 풀을 먹인 원단라벨을 롤러로 압착하여 탈수하는 단계와, 탈수된 원단라벨을 교정롤러를 통과시키면서 바르게 교정하는 단계와, 바르게 교정된 원단라벨을 히팅롤러로 통과시켜 바르게 펴면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시킨 원단라벨을 계속 이송시키면서 롤러에 권취하거나 상자에 담는 단계로 비틀어진 원단라벨을 교정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원단라벨의 교정방법 및 장치{Correcting process and the device of the textile label}
본 발명은 직조된 원단라벨의 구김과 비틀림을 교정하여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원단라벨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섬유나 가죽제품 등에 부착되는 라벨의 직조된 원단을 한줄씩 절단하고, 그 절단된 원단라벨의 직조과정에서 비틀어진 형상을 바르게 교정하거나 느슨하게 직조된 상태 및 직조 후에 발생된 구김 등을 바르게 교정하여 버려지는 원단라벨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라벨 교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벨은 섬유나 가죽으로 된 의류 등에 그 상품을 표시하기 위해 부착하는 것으로, 그러한 라벨은 섬유의 표면에 상표 또는 제품표시와 취급방법 등을 표기하여 제조된 원단라벨을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제품에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라벨제조 및 부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필요한 라벨의 디자인으로 직물을 직조하고, 그 직조된 복수열의 직물라벨을 한줄씩 분리되도록 열 절단한다.
이어서 일렬로 절단된 원단라벨을 이송시키면서 원단라벨을 하나씩 절단시키고, 절단된 라벨양단의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단을 절곡시킨 상태에서 그 절곡된 단부를 다림질한 후 재봉작업으로 고정하거나, 열접착시켜 왔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직물라벨을 복수열로 직조하면 원사의 장력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복수열의 직물라벨이 곡면을 이룬 상태로 직조되어진다.
따라서 복수열의 직물라벨을 한줄씩 열 절단한 후에는 중앙부분의 반듯하게 직조된 원단라벨만을 사용하고, 양측면의 경사진 원단라벨은 한줄씩 열 절단된 원단라벨을 이송시키면서 하나씩 절단하면 경사진 라벨의 직조 형상으로 인하여 라벨이 잘려지거나 라벨 디자인이 중앙에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양측면의 경사진 원단라벨은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폐기되는 원단라벨은 직조시에 양측면의 처짐현상으로 인하여 소량의 직물라벨을 직조할 때도 복수 열로 직조하여 양측의 원단라벨을 폐기하고 있으며, 그 폐기되는 원단라벨의 양은 폭이 1m 60cm인 직물라벨을 직조할 경우에 양측으로 각각 최고 20cm까지 처짐이나 비틀림 등으로 인하여 폐기해야 하는 것므로 최고 25%를 폐기해야 하는 엄청난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상기와 같이 직물라벨을 직조한 후에 양측면의 원단라벨을 절단하여 폐기하면 그 폐기되어야 하는 물량만큼을 계산하여 추가로 직조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공정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고, 폐기되는 원단라벨로 인하여 원가상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나 가죽제품 등의 제품에 부착되는 라벨의 직조된 원단을 한줄씩 절단하고, 직조과정에서 비틀어진 상태로 절단된 원단라벨을 풀을 먹이면서 이송시켜 라벨의 상태를 바르게 교정시킨 후, 히팅건조과정을 통해 교정작업을 마무리함으로서 비틀어진 직조상태의 원단라벨도 바르게 교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라벨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두께의 원단라벨에 맞추어 원단라벨이 받는 장력을 조절하여 교정작업을 할 수 있고, 여러 줄의 원단라벨을 동시에 공급하여 교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원단라벨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섬유나 가죽제품 등의 제품에 부착되는 라벨의 직조된 원단을 한줄씩 절단하고, 직조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직조된 중앙부분의 원단라벨들에 풀을 먹이면서 이송시킨 후, 히팅건조작업을 함으로서 원단라벨의 직조상태를 탄력있게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조과정에서의 구짐이나 직조후의 보관과 이동과정에서의 원단라벨 구김을 바르게 펴서 라벨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원단라벨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줄씩 절단되어 롤에 권취된 원단라벨이나 한줄씩 절단되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자에 담긴 원단라벨을 공급하면서 원단라벨에 장력을 가하여 정리하는 단계와, 정리되면서 이송되는 원단라벨에 풀을 먹이는 단계와, 풀을 먹인 원단라벨을 롤러로 압착하여 탈수하는 단계와, 탈수된 원단라벨을 교정롤러를 통과시키면서 바르게 교정하는 단계와, 바르게 교정된 원단라벨을 히팅롤러로 통과시켜 바르게 펴면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시킨 원단라벨을 계속 이송시키면서 롤러에 권취하거나 상자에 담는 단계로 비틀어진 원단라벨을 교정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계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단라벨공급부와 1차장력조절부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풀공급부로부터 교정부까지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원단라벨공급부로부터 교정부까지의 동작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부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80 : 원단라벨 91 : 절개홈
100 : 원단라벨공급부 200 : 1차장력조절부
210 : 착탈롤러 220 : 고정롤러
300 : 풀공급부 310 : 너얼링롤러
320 : 풀통 400 : 2차장력조절부
450, 810, 820 : 조절롤러 500 : 탈수부
510, 520, 530, 540 : 탈수롤러 600 : 교정부
610, 630, 650 : 회전롤러 620, 640 : 교정롤러
622, 624 : 구형부시 700 : 히팅건조부
710, 720, 730, 740, 750 : 히팅롤러 760 : 배기덕트
800 : 3차장력조절부 900 : 이송권취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상태로 권취된 원단라벨(80)은 공급축(110)에 걸어서 공급하고, 권취되지 않은 상태의 원단라벨(80)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터릿(121)을 통해 공급하는 원단라벨공급부(100)와,
상기 원단라벨공급부(100)의 터릿(121) 하측에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착탈롤러(210)와 고정롤러(220)로 구비되어 원단라벨(80)을 지그재그로 걸어서 이송시키는 1차장력조절부(200)와,
상기 1차장력조절부(200)에 연속하여 하부에 풀통(320)이 구비된 너얼링롤러(310)로 원단라벨(80)을 통과시켜 원단라벨(80)에 풀을 먹이는풀공급부(300)와,
상기 풀공급부(300)의 일측으로 구비된 조절롤러(450)를 상하로 높이 조절하여 원단라벨(80)의 이송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2차장력조절부(400)와,
상기 2차장력조절부(4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을 2쌍의 탈수롤러(510)(520)(530)(540)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원단라벨(80)에 공급된 풀을 고르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탈수시키는 탈수부(500)와,
상기 탈수부(50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원단라벨(80)의 비틀림을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정롤러(620)(640)로 바르게 펴주는 교정부(600)와,
상기 교정부(600)에서 비틀림이 교정되어 통과한 원단라벨(80)을 여러 개의 히팅롤러(710)(720)(730)(740)(750)를 지그재그로 통과시키면서 교정된 원단라벨(80)을 히팅롤러(710)(720)(730)(740)(750)에서 발생되는 열로 건조시키는 히팅건조부(700)와,
상기 교정부(600)와 히팅건조부(700)를 통과하는 원단라벨(80)이 일정한 장력을 받으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한쌍의 조절롤러(810)(820)사이로 원단라벨(80)을 통과시키는 3차장력조절부(800)와,
상기 3차장력조절부(8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을 지그재그로 이송시키면서 원단라벨(80)의 길이에 따라 롤상태로 권취하거나 바닥의 상자로 수납시키는 이송권취부(900)와로 교정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1차장력조절부(200)는 2열로 다수의 착탈롤러(210)와 고정롤러(220)를 구비하고, 그 착탈롤러(210)와 고정롤러(220)들중 일측열의 착탈롤러(210)들을 프레임(90)의 절개홈(91)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착탈가능한 착탈롤러(210)의 사용 개수에 의해 원단라벨(8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2차장력조절부(400)는 지지대(410)에 구비된 핸들(420)의 스크류(430)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블록(440)에 조절롤러(45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너얼링롤러(31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을 눌러주는 깊이에 따라 장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탈수부(500)는 한쌍의 1차 탈수롤러(510)(520)와 또 한쌍의 2차 탈수롤러(530)(540)의 사이로 원단라벨(80)을 이송시키고, 그 각각의 1차 탈수롤러(510)(520)와 2차 탈수롤러(530)(540)의 상측 탈수롤러(520)(540)는 상하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탈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1차 탈수롤러(510)(520)는 모두 경질의 고무롤러를 사용하여 2차 탈수롤러(530)(540)에서 원단라벨(80)을 당기는 힘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2차 탈수롤러(530)(540)는 상측의 탈수롤러(530)는 연질의 고무롤러를, 하측의 탈수롤러(540)는 금속롤러를 사용하여 상측의 탈수롤러(530)가 누르는 힘에 의한 원단라벨(80)의 늘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교정부(600)는 여러개의 회전롤러(610)(630)(650)를 나란히 설치하고, 그 설치된 여러개의 회전롤러(610)(630)(650)들 사이에 교정롤러(620)(640)를 설치하며, 그 교정롤러(620)(640)들은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비틀어진 원단라벨(80)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교정부(600)의 회전롤러(610)(630)(650)와 교정롤러(620)(640)의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교정롤러(620)(640)를 경사지게 조절하여 원단라벨(80)의 비틀림을 교정할 때 원단라벨(80)이 교정롤러(620)(640)의 경사를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히팅건조부(700)는 상기 교정부(6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을 열선이 내장된 여러 개의 히팅롤러(710)(720)(730)(740)(750)를 지그재그로 통과시키면서 히팅롤러(710)(720)(730)(740)(75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풀에 젖은 원단라벨(80)을 펴고 건조시키는 다림질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여러 개의 히팅롤러(710)(720)(730)(740)(750)들 상부에는 배기덕트(760)를 설치하여 풀에 젖은 원단라벨(80)을 펴고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등을 흡입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3차장력조절부(800)는 한쌍의 조절롤러(810)(820)로 구성하면서 그 사이로 원단라벨(80)이 통과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한쌍의 조절롤러(810)(820)중에서 상측의 조절롤러(810)는 경질의 고무롤러로 구성하면서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그 3차장력조절부(800)의 조절롤러(810)(820)는 탈수부(500)의 2차 탈수롤러(530)(540)보다 직경을 크게 구성하여 탈수부(500)에서 3차장력조절부(800)까지의 원단라벨(80)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여러 줄로 직조된 직물라벨을 한줄씩 분리되도록 열 절단을 하고, 그 열 절단된 원단라벨(80) 중에서 반듯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앙부의 원단라벨은 교정부(600)를 거치지 않도록 본 발명의 라벨교정장치를통과시키면 원단라벨(80)에 풀을 먹이고 다림질을 한 효과를 얻어 라벨을 고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조 특성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로 직조된 양측부분의 원단라벨은 본 발명의 라벨교정장치를 통과시킬 때 교정부(600)를 거치도록 공급하여 원단라벨(80)을 반듯하게 교정한 후 라벨제조기에서 하나씩 절단된 라벨로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여러줄로 직조된 직물라벨에서 절단된 양측부분의 비틀게 경사진 원단라벨(80)은 그 길이에 따라 롤상태로 권취되거나 권취하지 않은 상태로 상자 등에 담겨지므로 그 비틀게 경사진 원단라벨(80)을 교정장치로 공급하면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면서 비틀게 경사진 원단라벨의 형상이 바르게 펴지는 것이다.
즉, 롤상태의 원단라벨은 원단라벨공급부(100)의 공급축(110)에 걸어서 1차장력조절부(200)를 통해 공급하고, 상자 등에 불규칙하게 담긴 원단라벨(80)은 원단라벨(80)의 공급방향과 반대로 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는 터릿(121)을 통해 1차장력조절부(200)로 공급된다.
이때 불규칙하게 상자 등에 담긴 상태에서 원단라벨공급부(100)로 공급되는 원단라벨(80)은 꼬이거나 접혀있는 상태이지만, 원단라벨(80)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는 터릿(121)이 공급되는 원단라벨(80)을 후진시키듯 치게 되므로 원단라벨(80)의 구김이나 꼬임이 풀리면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자에서나 롤상태에서 원단라벨공급부(100)로 공급되는 원단라벨(80)은 1차장력조절부(200)를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풀공급부(30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1차장력조절부(200)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원단라벨(80)은 1차장력조절부(200)에 지그재그로 설치된 착탈롤러(210)와 고정롤러(220)들의 수를 조절하면 이송되는 원단라벨(80)이 받는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1차장력조절부(200)의 착탈롤러(210)과 회전가능한 고정롤러(220)들은 2열로 설치되면서 그중 1열의 착탈롤러(210)들을 프레임(90)의 절개홈(91)을 통해 프레임(90)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1차장력조절부(200)에서 원단라벨(80)이 걸쳐지는 착탈롤러(210)와 고정롤러(220)의 숫자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1차장력조절부(200)에서 조절되는 장력은 원단라벨(80)의 직조된 두께나 원사의 종류에 따라 두껍고 질긴 원단라벨(80)은 착탈롤러(210)를 모두 사용하여 지그재그로 이송되는 횟수를 최대로 늘리고, 원단라벨(80)이 얇고 약한 경우에는 착탈롤러(210)의 수를 줄여서 지그재그로 이송되는 횟수를 줄임으로서 장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1차장력조절부(200)를 지난 원단라벨(80)은 풀공급부(300)의 너얼링롤러(310)를 통과할 때 너얼링롤러(310)가 하측에 구비된 풀통(320) 내의 풀을 묻히면서 회전하므로 너얼링롤러(310)에 묻은 풀에 원단롤러(80)가 젖으면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풀공급부(300)의 너얼링롤러(310)은 그 외주면이 너얼링가공되어 외주면 전체가 엠보싱 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하부 일부분이 풀통(320) 내의 풀 속에 잠긴 상태로 회전하는 너얼링롤러(310)가 풀통(320) 속의 풀을 묻히면서 회전하여 원단라벨(80)에 풀을 먹이는 것이다.
또한 상기 풀공급부(300)에서 풀에 젖은 상태로 이송되는 원단라벨(80)은 2차장력조절부(400)에 의해 눌려 장력이 조절된 상태로 탈수부(500)로 이송된다.
즉, 상기 2차장력조절부(400)는 지지대(410)에 설치된 핸들(420)을 돌리면 그 핸들(420)에 구비된 스크류(430)가 회전하면서 롤러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440)을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조절롤러(450)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조절롤러(450)의 높이로 그 하측을 지나는 원단라벨(8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2차장력조절부(4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은 2쌍의 탈수롤러(510)(520)(530)(540)로 구성된 탈수부(500)를 통과하면서 풀공급부(300)에서 원단라벨(80)에 묻은 풀을 원단라벨(80) 전체에 고르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원단라벨(80)에 스며든 풀을 짜내게 되는 것이다.
즉, 풀이 먹여진 상태로 2차장력조절부(4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이 탈수부(500)의 1차 탈수롤러(510)(520) 사이로 통과하면서 눌려져 원단라벨(80)에 풀을 고르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원단라벨(80)에 과다하게 공급된 풀을 탈수시킨다.
이어서 원단라벨(80)이 탈수부(500)의 2차 탈수롤러(530)(540) 사이로 공급되면 한쌍의 2차탈수롤러(530)(540)는 원단라벨(80)을 더욱 압착하여 원단라벨(80)에 고르게 확산된 풀을 탈수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1차와 2차 탈수과정은 1차탈수롤러(510)(520)와 2차탈수롤러(530)(540) 중의 상측의 탈수롤러(510)(530)를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압착간격을 조절함으로서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탈수부(500)에서 풀의 확산과 탈수과정을 마친 원단라벨(80)은풀에 의해 젖은 상태로 교정부(600)로 공급된다.
원단라벨(80)이 젖은 상태로 교정부(600)로 공급되면 교정부(600)에 구비된 여러개의 회전롤러(610)(630)(650)과 교정롤러(620)(640)들 중에서 교정롤러(620)(640)를 원단라벨(80)의 비틀어진 경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각도를 조정해 놓은 상태로 원단라벨(80)을 통과시키면 풀에 의해 젖은 원단라벨(80)은 경사지게 조절된 교정롤러(620)(640)에 의해 직조시의 경사진 방향 반대로 인장력을 받게 되므로 경사진 상태로 비틀어진 원단라벨(80)의 교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정롤러(620)(640)는 일측의 축(621)을 핸들(680)에 연결 구비된 스크류(670)로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록(6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슬라이드블록(660)에 설치되는 축(621)과 그 대향측의 축(623)은 구형부시(622)(62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교정롤러(620)(640)의 일측 높이를 조절하여 경사지게 할 때 교정롤러(620)(640)가 조절되는 경사각도로 원활하게 조정될 뿐만 아니라, 경사진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정롤러(620)(640)는 교정해야할 각도를 100%로 산정했을 때 1차교정롤러(620)에서 60%의 교정을 실시하고, 2차교정롤러(640)에서 40%의 교정을 실시하여 원단라벨(80)에 무리한 힘이 한꺼번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무리한 힘으로 인한 원단라벨(80)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교정부(600)를 통과하면서 경사지게 비틀어진 원단라벨(80)이 바르게 교정된 후 원단라벨(80)은 히팅건조부(700)로 이송되어 여러 개의히팅롤러(710)(720)(730)(740)(750)를 통과하면서 풀에 의해 젖은 원단라벨(80)의 건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히팅롤러(710)(720)(730)(740)(750)는 축의 외측으로 히터선이 권취되고, 그 히터선의 외측으로 드럼이 씌워진 상태의 것을 사용하여 히터선에서 발열된 열이 드럼을 통해 발산되면서 원단라벨(80)을 가열 건조시키는 다림질의 효과를 내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히팅건조부(700)의 상측에는 배기덕트(760)를 설치하여 젖은 원단라벨(80)을 가열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접착제 연기 등을 흡입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수증기와 접착제 연기 등으로 인한 작업환경 저하 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히팅건조부(7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은 3차장력조절부(800)를 통과하면서 장력이 조절되어 탈수부(500)로부터 3차장력조절부까지의 원단라벨(80)이 팽팽하게 장력 조절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3차장력조절부(800)에 의한 탈수부(500)로부터 3차장력조절부(800)까지의 장력 조절은 하나의 모터(70)와 감속기(71)에 의해 등속도로 회전하는 탈수부(500)의 2차 탈수롤러(530)(540) 직경보다 3차 장력조절부(800)의 조절롤러(810)(820) 직경을 크게 함으로서 3차장력조절부(800)에서의 원단라벨(80) 이송속도가 탈수부(500)보다 빨라지면서 원단라벨(80)의 장력을 조절 및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3차장력조절부(800)까지 통과하면서 비틀어졌던 원단라벨(80)이바르게 교정되어 이송권취부(900)의 상부에 구비된 안내롤러(910)(911)(912)들을 지그재그로 통과할 때, 원단라벨(80)에 남아있던 잔여 수분들이 완전하게 건조되므로 다수의 권취축(921)(922)(923)(924)(925)에 원단라벨(80)을 권취시키거나 낙하롤러(931)(932)(933)를 통해 바닥에 놓아둔 상자 등에 담아 라벨제조기에서 낱개의 라벨을 제작하는 것이다.
즉, 히팅건조부(700)와 3차장력조절부(8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은 건조가 완료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히팅롤러(710)(720)(730)(740)(750)에서 가열된 원단라벨(80)은 완전히 식은 상태가 아니므로 여러 개의 안내롤러(910)(911)(912)를 통과시키면서 원단라벨(80)의 자유이송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하면 원단라벨(80)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잔류수증기를 완전히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전히 건조된 원단라벨(80)은 원단라벨(80)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낙하롤러(931)(932)(933)들을 통하여 바닥면에 놓여진 상자 등에 담아서 다음 작업으로 이동시키고, 안내롤러(910)(911)(912)까지 통과한 원단라벨(8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다수의 권취축(921)(922)(923)(924)(925)에 권취하여 다음 작업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송권취부(900)도 하나의 모터(940)를 사용하여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이 비틀어져 경사진 상태로 직조된 원단라벨(80)을 바르게 교정하는 본 발명은 교정할 원단라벨(80)을 상자에 담긴 상태나 롤에 권취된 상태에 관계없이 동시에 여러 줄씩 공급하면서 교정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정작업된 원단라벨(80)들은 각각 롤에 권취하거나 바닥의 상자 등으로 낙하시켜 다음 작업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원단라벨(80)이 비틀어진 경우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비틀어지지 않은 정상상태의 원단라벨(80)은 상기 설명들 중에서 교정부(600)를 통과시키지 않고 2차 탈수롤러(530)(540)에서 바로 히팅건조부(700)로 공급하여 히팅롤러(710)(720)(730)(740)(75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서 정상 직조된 직물라벨도 풀을 먹이고 다림질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라벨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섬유나 가죽제품 등의 제품에 부착되는 라벨의 직조된 원단을 한줄씩 절단하고, 직조과정에서 비틀어진 상태로 절단된 원단라벨을 풀을 먹이면서 이송시켜 라벨의 상태를 바르게 교정시킨 후, 히팅건조과정을 통해 교정작업을 마무리함으로서 비틀어진 직조상태의 원단라벨도 바르게 교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라벨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두께의 원단라벨에 맞추어 원단라벨이 받는 장력을 조절하여 교정작업을 할 수 있고, 여러 줄의 원단라벨을 동시에 공급하여 교정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1)

  1. 한줄씩 절단되어 롤에 권취된 원단라벨이나 한줄씩 절단되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자에 담긴 원단라벨을 공급하면서 그 원단라벨에 장력을 가하는 단계와,
    정리되면서 이송되는 원단라벨에 풀을 먹이는 단계와,
    풀을 먹인 원단라벨을 롤러로 압착하여 탈수하는 단계와,
    탈수된 원단라벨을 교정롤러를 통과시키면서 바르게 교정하는 단계와,
    바르게 교정된 원단라벨을 히팅롤러로 통과시켜 바르게 펴면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시킨 원단라벨을 계속 이송시키면서 롤러에 권취하거나 상자에 담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방법.
  2. 한줄씩 절단되어 롤에 권취된 원단라벨이나 한줄씩 절단되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자에 담긴 원단라벨을 공급하면서 그 원단라벨에 장력을 가하는 단계와,
    정리되면서 이송되는 원단라벨에 풀을 먹이는 단계와,
    풀을 먹인 원단라벨을 롤러로 압착하여 탈수하는 단계와,
    바르게 교정된 원단라벨을 히팅롤러로 통과시켜 바르게 펴면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시킨 원단라벨을 계속 이송시키면서 롤러에 권취하거나 상자에 담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방법.
  3. 롤상태로 권취된 원단라벨(80)은 공급축(110)에 걸어서 공급하고, 권취되지 않은 상태의 원단라벨(80)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터릿(121)을 통해 공급하는 원단라벨공급부(100)와,
    상기 원단라벨공급부(100)의 터릿(121) 하측에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착탈롤러(210)와 고정롤러(220)로 구비되어 원단라벨(80)을 지그재그로 걸어서 이송시키는 1차장력조절부(200)와,
    상기 1차장력조절부(200)에 연속하여 하부에 풀통(320)이 구비된 너얼링롤러(310)로 원단라벨(80)을 통과시켜 원단라벨(80)에 풀을 먹이는 풀공급부(300)와,
    상기 풀공급부(300)의 일측으로 구비된 조절롤러(450)를 상하로 높이 조절하여 원단라벨(80)의 이송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2차장력조절부(400)와,
    상기 2차장력조절부(4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을 2쌍의 탈수롤러(510)(520)(530)(540)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원단라벨(80)에 공급된 풀을 고르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탈수시키는 탈수부(500)와,
    상기 탈수부(50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원단라벨(80)의 비틀림을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정롤러(620)(640)로 바르게 펴주는 교정부(600)와,
    상기 교정부(600)에서 비틀림이 교정되어 통과한 원단라벨(80)을 여러 개의히팅롤러(710)(720)(730)(740)(750)를 지그재그로 통과시키면서 교정된 원단라벨(80)을 히팅롤러(710)(720)(730)(740)(750)에서 발생되는 열로 건조시키는 히팅건조부(700)와,
    상기 교정부(600)와 히팅건조부(700)를 통과하는 원단라벨(80)이 일정한 장력을 받으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한쌍의 조절롤러(810)(820)사이로 원단라벨(80)을 통과시키는 3차장력조절부(800)와,
    상기 3차장력조절부(8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을 지그재그로 이송시키면서 원단라벨(80)의 길이에 따라 롤상태로 권취하거나 바닥의 상자로 수납시키는 이송권취부(900)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차장력조절부(200)는 2열로 다수의 착탈롤러(210)와 고정롤러(220)를 구비하고, 그 착탈롤러(210)와 고정롤러(220)들중 일측열의 착탈롤러(210)들을 프레임(90)의 절개홈(91)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착탈가능한 착탈롤러(210)의 사용 개수에 의해 원단라벨(8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차장력조절부(400)는 지지대(410)에 구비된 핸들(420)의 스크류(430)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블록(440)에 조절롤러(45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너얼링롤러(31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을 눌러주는 깊이에 따라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500)는 한쌍의 1차 탈수롤러(510)(520)와 또 한쌍의 2차 탈수롤러(530)(540)의 사이로 원단라벨(80)을 이송시키고, 그 각각의 1차 탈수롤러(510)(520)와 2차 탈수롤러(530)(540)의 상측 탈수롤러(520)(540)는 상하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탈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7. 청구항 6 있어서,
    상기 1차 탈수롤러(510)(520)는 모두 경질의 고무롤러를 사용하여 2차 탈수롤러(530)(540)에서 원단라벨(80)을 당기는 힘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2차 탈수롤러(530)(540)는 상측의 탈수롤러(530)는 연질의 고무롤러를, 하측의 탈수롤러(540)는 금속롤러를 사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600)는 여러개의 회전롤러(610)(630)(650)를 나란히 설치하고, 그 설치된 여러개의 회전롤러(610)(630)(650)들 사이에 교정롤러(620)(640)를 설치하며, 그 교정롤러(620)(640)들은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비틀어진 원단라벨(80)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600)의 회전롤러(610)(630)(650)와 교정롤러(620)(64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교정롤러(620)(640)를 경사지게 조절하여 원단라벨(80)의 비틀림을 교정할 때 원단라벨(80)이 교정롤러(620)(640)의 경사를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팅건조부(700)는 상기 교정부(600)를 통과한 원단라벨(80)을 열선이 내장된 여러 개의 히팅롤러(710)(720)(730)(740)(750)를 지그재그로 통과시키면서 히팅롤러(710)(720)(730)(740)(75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풀에 젖은원단라벨(80)을 펴고 건조시키는 다림질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여러 개의 히팅롤러(710)(720)(730)(740)(750)들 상부에는 배기덕트(760)를 설치하여 풀에 젖은 원단라벨(80)을 펴고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등을 흡입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3차장력조절부(800)는 한쌍의 조절롤러(810)(820)로 구성하면서 그 사이로 원단라벨(80)이 통과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한쌍의 조절롤러(810)(820)중에서 상측의 조절롤러(810)는 경질의 고무롤러로 구성하면서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그 3차장력조절부(800)의 조절롤러(810)(820)는 탈수부(500)의 2차 탈수롤러(530)(540)보다 직경을 크게 구성하여 탈수부(500)에서 3차장력조절부(800)까지의 원단라벨(80)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원단라벨 교정장치.
KR10-2002-0030546A 2002-05-31 2002-05-31 원단라벨의 교정방법 및 장치 KR10041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546A KR100419699B1 (ko) 2002-05-31 2002-05-31 원단라벨의 교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546A KR100419699B1 (ko) 2002-05-31 2002-05-31 원단라벨의 교정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976U Division KR200288243Y1 (ko) 2002-06-03 2002-06-03 원단라벨의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753A KR20030092753A (ko) 2003-12-06
KR100419699B1 true KR100419699B1 (ko) 2004-03-02

Family

ID=3238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546A KR100419699B1 (ko) 2002-05-31 2002-05-31 원단라벨의 교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6186A (zh) * 2013-02-05 2013-05-08 麦斯科林(无锡)科技有限公司 一种成卷布料自动化处理系统
CN108797078A (zh) * 2018-06-14 2018-11-13 常州大学 一种模拟光电整纬测试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78A (ko) * 1990-06-06 1992-01-29 원본미기재 자동화된 라벨 부착 장치 및 방법
KR0140153B1 (ko) * 1994-06-30 1998-07-15 이해규 라벨자동 부착장치
KR20010035019A (ko) * 2000-10-13 2001-05-07 조상현 라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78A (ko) * 1990-06-06 1992-01-29 원본미기재 자동화된 라벨 부착 장치 및 방법
KR0140153B1 (ko) * 1994-06-30 1998-07-15 이해규 라벨자동 부착장치
KR20010035019A (ko) * 2000-10-13 2001-05-07 조상현 라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6186A (zh) * 2013-02-05 2013-05-08 麦斯科林(无锡)科技有限公司 一种成卷布料自动化处理系统
CN108797078A (zh) * 2018-06-14 2018-11-13 常州大学 一种模拟光电整纬测试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753A (ko) 200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9800B2 (ja) ドライヤ装置
JPS6327460B2 (ko)
US2721370A (en) Machine and process for shrinking and finishing woven textile fabrics
US49089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ve shrinkage of tubular fabric
CN114250568B (zh) 一种服装生产用布料快速熨烫装置
KR100419699B1 (ko) 원단라벨의 교정방법 및 장치
KR200288243Y1 (ko) 원단라벨의 교정장치
US3126606A (en) Feeder for tubular knit fabrics
US4541156A (en) Methods of drying tubular knitted fabric
CN217867283U (zh) 一种可调节布料张力的定型机
US3973305A (en) Apparatus for conditioning and calendering circular knit tubular fabrics
US2174215A (en) Decatizing fabrics
US46227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rinkproofing tubular fabric
US2104402A (en) Steaming and drying machine
JPS5853105B2 (ja) オリモノ アミモノトウノ レンゾクジヨウジユウソウチ
US3778908A (en) Paper machine drying apparatus
US2197147A (en) Cloth finishing
CN106480587B (zh) 一种布料自打卷装置
CN213804426U (zh) 一种绒布用张力定型装置
JPS6151057B2 (ko)
CN115032064A (zh) 梭织针织布抗拉强度检测的平铺拉直、拉伸装置及其方法
US2192880A (en) Method of and machine for finishing fabric
CN212051975U (zh) 一种可控制纬向张力的起毛机
CN107892218A (zh) 布料卷边定型装置
US4102643A (en) Decatizing of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