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574B1 -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 Google Patents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574B1
KR100418574B1 KR10-2002-0016958A KR20020016958A KR100418574B1 KR 100418574 B1 KR100418574 B1 KR 100418574B1 KR 20020016958 A KR20020016958 A KR 20020016958A KR 100418574 B1 KR100418574 B1 KR 10041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output
signal
data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126A (ko
Inventor
유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1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5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02Input circuits
    • H03K21/026Input circuits comprising logic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58Gating or clocking signals not applied to all stages, i.e. asynchronous counters
    • H03K23/62Gating or clocking signals not applied to all stages, i.e. asynchronous counters reversible

Landscapes

  • Logic Circui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는, 멀티플렉서 로직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데이터 증감을 위한 조합회로를 최적화함으로써,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를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수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1 인버터; 계수 신호 및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하는 제1 AND 게이트;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데이터 버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지하고, 상기 제1 AND 게이트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는 래치; 계수 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는 플립플롭; 상기 래치가 출력한 데이터 및 상기 플립플롭이 출력한 데이터를 가지고 OR 연산을 수행하는 제1 OR 게이트; 및 증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1 OR 게이트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1을 더하여 상기 플립플롭으로 출력하고, 감소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1 OR 게이트에서 입력된 데이터에서 1을 뺀 후 상기 플립플롭으로 출력하는 증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LOADABLE UP/DOWN COUNTER CIRCUIT}
본 발명은 업/다운 카운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WDT(Watch-dog Timer)와 같은 주변 블록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는 VLSI 기술에 있어서, 임베디드 MCU를 이용한 응용 시스템에서 타이머/카운터 로직을 구성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업/다운 카운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U 응용 시스템을 구현할 때 자주 사용되는 블록이 바로 타이머/카운터이다. 타이머/카운터 블록은 주어진 입력 클럭에 따라 레지스터 값이 증가 또는 감소되며. 그 값에 따라 다른 블록을 제어하거나 새로운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머/카운터를 구현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레지스터 값의 증감에 따라 증가 타이머/카운터(Up Timer/Counter), 감소 타이머/카운터(Down Timer/Counter)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레지스터에 임의의 새로운 값을 로딩(Loading)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이머/카운터를 로드가능 타이머/카운터라 한다. 대부분의 응용 시스템에 사용되는 임베디드 MCU는 로드가능 타이머/카운터를내장하고 있으며, 내부 데이터 버스에 로딩되는 값을 입력으로 하여 새로운 값이 타이머/카운터에 로딩되면, 다음 클럭부터는 새로운 값을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의 증감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는,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데이터 버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지하는 래치(101); 래치(101)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2 멀티플렉서(106)로부터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102); 계수 신호에 따라 제1 멀티플렉서(102)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출력하는 플립플롭(103); 플립플롭(103)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1을 더한 후 제2 멀티플렉서(106)로 출력하는 증분기(104); 플립플롭(103)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1을 뺀 후 제2 멀티플렉서(106)로 출력하는 감량기(105); 및 증분기(104)로부터의 데이터 및 감량기(105)로부터의 데이터 중 어느 한데이터를 업/다운 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제1 멀티플렉서(102)로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106)를 포함한다.
도 1에 따르면, 전체 데이터의 흐름의 구조는 크게 두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내부 데이터 버스에서 새로운 카운터 값을 로딩하는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입력된 데이터를 클럭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실질적 카운터 부분이다.
먼저, 내부 데이터 버스에서 새로운 카운터 값을 로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내부 데이터 버스가 N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할 때, 입력 부분에는 N 비트에 대응하는 래치(101)가 있으며, 래치(101)의 입력은 데이터 버스(D), 인에이블 신호(EN) 및 클리어 신호(CLR)로 나눌 수 있다. 입력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에서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래치되며, 클리어 신호에 따라 초기값으로 세팅된다. 래치(101)의 출력은 실질적인 카운터 부분으로 입력된다.
실질적인 카운터 부분의 입력에는 2-입력 멀티플렉서(102)가 있다. 하나의 입력은 입력 래치(101)의 출력 데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제2 멀티플렉서(106)의 출력으로서, 선택 신호에 따라 로딩 동작 및 증감 동작 중 어느 한 동작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제2 멀티플렉서(106)의 업/다운 신호에 따라서 +1 연산 및 -1 연산 중 하나가 선택되어 전달된다.
도 2는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내에 장착된 증분기(104)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현된 논리 회로이다.
여기서, 상기 식에 사용된 연산자들은 논리 연산자이다.
즉, AND 게이트(210) 입력을 가진 XOR 게이트(220)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내에 장착된 감량기(105)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구현된 논리 회로이다.
여기서, 상기 식에 사용된 연산자들은 논리 연산자이다.
즉, OR 게이트(310) 입력을 가진 XNOR 게이트(320)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에 있어서는, 멀티플렉서가 복수개 장착되어야 하므로, 칩에 장착될 경우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운터 회로의 특성상 데이터의 비트 수가 증가할 수록 로직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멀티플렉서 로직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데이터 증감을 위한 조합회로를 최적화함으로써,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를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내에 장착된 증분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내에 장착된 감량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내에 장착된 증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1 : 제1 인버터
402 : 제1 AND 게이트
403 : 래치
404 : 플립플롭
405 : 제1 OR 게이트
406 : 증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는, 계수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1 인버터; 계수 신호 및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하는 제1 AND 게이트;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데이터 버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지하고, 상기 제1 AND 게이트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는 래치; 계수 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는 플립플롭; 상기 래치가 출력한 데이터 및 상기 플립플롭이 출력한 데이터를 가지고 OR 연산을 수행하는 제1 OR 게이트; 및 증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1 OR 게이트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1을 더하여 상기 플립플롭으로 출력하고, 감소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1 OR 게이트에서 입력된 데이터에서 1을 뺀 후 상기 플립플롭으로 출력하는 증감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는, 제1 인버터(401), 제1 AND 게이트(402), 래치(403), 플립플롭(404), 제1 OR 게이트(405) 및 증감기(406)를 포함한다.
제1 인버터(401)는, 계수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후술하는 제1 AND 게이트(40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인버터(401)에 의해 계수 신호는 지연된 후 출력된다.
또한, 제1 AND 게이트(402)는, 계수 신호 및 상기 제1 인버터(40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후술하는 래치(403)의 클리어 신호 입력 단자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래치(403)는,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데이터 버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지하고, 상기 제1 AND 게이트(402)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며, 유지된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1 OR 게이트(405)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립플롭(404)은, 계수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증감기(406)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며, 저장된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1 OR 게이트(405)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OR 게이트(405)는 상기 래치(403)가 출력한 데이터 및 상기 플립플롭(404)이 출력한 데이터를 가지고 OR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외부(도시되지 않음) 및 후술하는 증감기(406)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증감기(406)는, 증가 신호(UP)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1 OR 게이트(405)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1을 더하여 상기 플립플롭(404)으로 출력하고, 감소 신호(DOWN)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1 OR 게이트(405)에서 입력된 데이터에서 1을 뺀 후 상기 플립플롭(404)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종래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에 멀티플렉서가 필요한 이유는 로딩 데이터 및 출력단의 피드백 데이터 중 어느 한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나, 상술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멀티플렉서를 없애는 대신, 제1 OR 게이트(405)를 플립플롭(404)의 출력단에 연결하여 멀티플렉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도록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내부 데이터 버스에 실린 데이터는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래치(403)에 로딩된다. 래치(403)의 출력은 바로 플립플롭(404)으로 연결되지 않고, 출력단의 제1 OR 게이트(405)로 연결된다. 상기 플립플롭(404)의 입력은 증감기(406)의 출력이 되는데, 래치(403)의 출력과 플립플롭(404)의 출력 간에 충돌이 생겨 증감기(406)의 입력값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치(403) 및 플립플롭(404)의 클리어 신호 입력 단자(CL)를 변경한다. 또한, 플립플롭(404)의 클리어 신호는 래치(403)의 인에이블 신호가 되므로, 래치(403)의 입력 데이터 값이 갱신될 때마다 플립플롭(404)의 출력은 '0'으로 초기화된다. 한편, 래치(403)의 클리어 신호는 플립플롭(404)의 계수 신호를 제1 인버터(401) 지연을 이용하여 지연시킨 후, 원래의 지연 신호와 AND 연산을 수행하여 만든 원-샷(One-shot) 펄스가 된다. 즉, 플립플롭(404) 값이 증가 또는 감소될 때마다 래치(403)의 데이터 값이 '0'으로 초기화 됨으로써 데이터의 충돌 문제를 해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래치(403)에는 각각 'D' 및 'H'의 값이 실리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계수 신호(COUNT)의 상승 에지에서 플립플롭(404)의 값이 증가 또는 감소된다. 각각의 경우에 래치(403)의 출력과 플립플롭(404)의 출력이 '0'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출력단에서는 두 데이터의 OR 연산을 수행한 결과값이 출력되므로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내에 장착된 증감기(406)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관하여 상술하면 아래와 같다.
제2 AND 게이트(601)는, 제1 신호(SN-2) 및 제2 신호(aN-1)를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한 후 후술하는 제3 AND 게이트(60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인버터(602)는 상기 업/다운 신호(UP/DOWN)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후술하는 제3 AND 게이트(60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3 AND 게이트(603)는, 상기 제2 AND 게이트(601)의 출력 및 상기 제2 인버터(602)의 출력을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한 후 후술하는 제2 OR 게이트(606)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NOR 게이트(604)는, 제1 신호(SN-2) 및 제2 신호(aN-1)를 입력받아 NOR 연산을 수행한 후 후술하는 제4 AND 게이트(605)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4 AND 게이트(605)는, 상기 업/다운 신호(UP/DOWN) 및 상기 제1 NOR 게이트(604)의 출력을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한 후 후술하는 제2 OR 게이트(606)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OR 게이트(606)는, 상기 제3 AND 게이트(603)의 출력 및 상기 제4 AND 게이트(605)의 출력을 가지고 OR 연산을 수행한 후, 후술하는 제5 AND게이트(608)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3 인버터(607)는, 제3 신호(aN)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후술하는 제5 AND 게이트(608)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5 AND 게이트(608)는, 상기 제2 OR 게이트(606)의 출력 및 상기 제3 인버터(607)의 출력을 가지고 AND 연산을 수행한 후, 후술하는 제3 OR 게이트(61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4 인버터(609)는, 상기 제2 OR 게이트(606)의 출력을 입력받아 반전하여 후술하는 제6 AND 게이트(61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6 AND 게이트(610)는, 상기 제3 신호(aN) 및 상기 제4 인버터(609)의 출력을 가지고 AND 연산을 수행한 후, 후술하는 제3 OR 게이트(61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3 OR 게이트(611)는 상기 제5 AND 게이트(608)의 출력 및 상기 제6 AND 게이트(610)의 출력을 가지고 OR 연산을 수행한 후, 상기 플립플롭(404)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증감기(406)의 동작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일반적인 증감 회로는 내부적으로 XOR 게이트를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중복되는 회로를 가진다. 따라서, 중복되는 회로를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인 회로를 구현하고, 증감 회로의 출력단에 사용되는 멀티플렉서를 없앨 수 있다. 증가 회로 및 감소 회로의 진리표는 아래 표 1과 같다.
SN-2 aN-1 aN suN
증가 회로 감소 회로
0 0 0 0 1
0 0 1 1 0
0 1 0 0 0
0 1 1 1 1
1 0 0 0 0
1 0 1 1 1
1 1 0 1 0
1 1 1 0 1
위의 표 1에서 굵게 표시된 부분이 증가 회로와 감소 회로의 출력값이 다른 부분이다. 이를 이용하여 업/다운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회로로 구현한 것이다. 증감기(406)는 업/다운 신호가 '1'일 때 감소회로가 되며, 반대로 '0'일 때 증가 회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멀티플렉서 로직을 제거함과 동시에 데이터 증감을 위한 증가 회로 및 감소 회로를 하나로 구현함으로써, 실장 면적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계수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1 인버터;
    계수 신호 및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하는 제1 AND 게이트;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데이터 버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지하고, 상기 제1 AND 게이트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는 래치;
    계수 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는 플립플롭;
    상기 래치가 출력한 데이터 및 상기 플립플롭이 출력한 데이터를 가지고 OR 연산을 수행하는 제1 OR 게이트; 및
    증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1 OR 게이트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1을 더하여 상기 플립플롭으로 출력하고, 감소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1 OR 게이트에서 입력된 데이터에서 1을 뺀 후 상기 플립플롭으로 출력하는 증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감기는,
    상기 제1 OR 게이트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하는 제2 AND 게이트;
    상기 업/다운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2 인버터;
    상기 제2 AND 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하는 제3 AND 게이트;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입력받아 NOR 연산을 수행하는 제1 NOR 게이트;
    상기 업/다운 신호 및 상기 제1 NOR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아 AND 연산을 수행하는 제4 AND 게이트;
    상기 제3 AND 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제4 AND 게이트의 출력을 가지고 OR 연산을 수행하는 제2 OR 게이트;
    상기 제1 OR 게이트에서 제3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3 인버터;
    상기 제2 OR 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제3 인버터의 출력을 가지고 AND 연산을 수행하는 제5 AND 게이트;
    상기 제2 OR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아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4 인버터;
    상기 제3 신호 및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을 가지고 AND 연산을 수행하는 제6 AND 게이트; 및
    상기 제5 AND 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제6 AND 게이트의 출력을 가지고 OR 연산을 수행한 후, 상기 플립플롭으로 출력하는 제3 OR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KR10-2002-0016958A 2002-03-28 2002-03-28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KR10041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958A KR100418574B1 (ko) 2002-03-28 2002-03-28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958A KR100418574B1 (ko) 2002-03-28 2002-03-28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126A KR20030078126A (ko) 2003-10-08
KR100418574B1 true KR100418574B1 (ko) 2004-02-14

Family

ID=3237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958A KR100418574B1 (ko) 2002-03-28 2002-03-28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050B1 (ko) * 2006-08-11 2007-05-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카운터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006A (en) * 1984-07-12 1988-04-26 Kabushiki Kaisha Toshiba Up/down counter device with reduced number of discrete circuit elements
JPH07106952A (ja) * 1993-09-29 1995-04-21 Nippon Steel Corp アップ/ダウンカウンタ
KR970019083A (ko) * 1995-09-30 1997-04-30 김광호 업/다운 카운터
KR20000007308A (ko) * 1998-07-02 2000-02-07 윤종용 디-플립플롭을 이용한 동기식 모듈로 앤 카운터 회로
US6026141A (en) * 1998-07-16 2000-02-15 Toshiba America Electronic Components Inc. One load conditional look ahead coun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006A (en) * 1984-07-12 1988-04-26 Kabushiki Kaisha Toshiba Up/down counter device with reduced number of discrete circuit elements
JPH07106952A (ja) * 1993-09-29 1995-04-21 Nippon Steel Corp アップ/ダウンカウンタ
KR970019083A (ko) * 1995-09-30 1997-04-30 김광호 업/다운 카운터
KR20000007308A (ko) * 1998-07-02 2000-02-07 윤종용 디-플립플롭을 이용한 동기식 모듈로 앤 카운터 회로
US6026141A (en) * 1998-07-16 2000-02-15 Toshiba America Electronic Components Inc. One load conditional look ahead cou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126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5819A (en) Cascadable parallel to serial converter using tap shift registers and data shift registers while receiving input data from FIFO buffer
US6201415B1 (en) Latched time borrowing domino circuit
JP4512158B2 (ja) 可変遅延回路網
US5422914A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communications between two devices operating at different clock frequencies
KR100660639B1 (ko) 더블 데이터 레이트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 및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KR101908409B1 (ko) 클럭 지연 도미노 로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CA1176319A (en) Logic circuit
US6744282B1 (en) Latching dynamic logic structure, and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same
US669022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lay signal latching
KR100418574B1 (ko) 로드가능 업/다운 카운터 회로
WO2004104820A2 (en) A sum bit generation circuit
TWI790088B (zh) 處理器和計算系統
US6185720B1 (en) Slaveless synchronous system design
US50602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when the total in a counter reaches a given number
JPS6244727B2 (ko)
US5946369A (en) High-speed binary synchronous counter with precomputation of carry-independent terms
US6396896B1 (en) Implementation of functions of multiple successive bits of a shift register
US7003060B2 (en) High precision data and clock output circuit
US6927615B2 (en) Low skew, power efficient local clock signal generation system
CA2172095C (en) Precision time of day counter
JP5187303B2 (ja) デュアルレイル・ドミノ回路、ドミノ回路及び論理回路
JPH04105412A (ja) フリップフロップ
JPH0815392A (ja) テストモード設定回路
JPH04259114A (ja) 論理回路
JPH0683066B2 (ja) カウン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