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783B1 -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 Google Patents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783B1
KR100416783B1 KR10-2001-0051328A KR20010051328A KR100416783B1 KR 100416783 B1 KR100416783 B1 KR 100416783B1 KR 20010051328 A KR20010051328 A KR 20010051328A KR 100416783 B1 KR100416783 B1 KR 10041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an
shock absorbing
blower
absorb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170A (ko
Inventor
박영민
박종한
이준세
김승천
최성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7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4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sound 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팬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생성토록 하는 모터에서 모터 브래킷과 모터 마운트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완충부위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과, 상기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팬하우징의 내벽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력을 생성토록 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팬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재가 포함되는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볼트가 관통하는 홀과; 상기 홀에 의해 형성된 내벽에 오목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재와 상기 볼트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와; 상기 완충재의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완충재 양 끝단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모터의 진동을 상쇄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A motor's shock-absorber for the fan}
본 발명은 송풍팬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생성토록 하는 모터에서 모터 브래킷과 모터 마운트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완충부위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팬은 공기 조화기나 청소기 등의 기기에 설치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설치되는 기기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로 구분될 수 있고, 그 구성을 크게 분류하면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 송풍팬을 감싸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가 설치된 팬하우징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상기한 송풍팬을 터보팬에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터보팬(10)은 외부 공기를 유입받는 쉬라우드(12)와, 상기 쉬라우드(12)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허브(14)와, 상기 쉬라우드(12)와 허브(14)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쉬라우드(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팬의 둘레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토출되도록 하는 날개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터보팬(10)을 장착하고 있는 팬하우징(2)은 상기 쉬라우드(12)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구(4)와, 상기 터보팬(1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구(1)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14)는 상기 쉬라우드(12) 측으로 그 중앙부가 볼록하게형성되어 상기 쉬라우드(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곡면을 따라 팬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고, 중앙부에 형성된 볼록한 부위의 내부에는 모터(20)가 설치되며, 이 모터(20)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고정부(14a)가 볼록한 부위의 정상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20)는 상기 송풍팬(1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일 측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2)의 내벽에 설치되는 바, 상기 팬하우징(2)의 내벽 일 측에는 상기 모터(20)가 체결되는 모터 마운트(2a)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 마운트(2a)는 팬하우징 흡입구의 반대쪽 내벽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팬하우징의 내벽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절곡되며, 이 절곡 부위에 상기 모터(2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모터(20)는 그 하단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모터 브래킷(22)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 마운트(2a)를 관통하여 삽입된 볼트(30)에 끼워지고, 너트(32)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팬하우징(2)의 내벽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모터 마운트(2a)와 모터 브래킷(22)의 사이에는 완충재(40)가 개재되는 바, 상기 완충재(40)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모터(20)가 구동될 때에 생성되는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는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재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형성되어 볼트(30)가 관통하는 홀(41)과, 상기 홀(41)의 내벽에 오목하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홀(41)과 볼트(30)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48)와, 상기 볼트(30)와 체결되는 너트(32)가 안착하는 안착부(42)와, 상기 볼트(30) 축과 직교하며 완충재(4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모터 브래킷(22)이 끼워지는 고정부(44)와, 상기 모터마운트(도 2의 2a)와 접하는 완충배(4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어 모터(20)의 진동이 상쇄되도록 하는 완충부(46)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41)은 상기 볼트(30)의 지름과 비교하여 일정량 크게 형성되므로 볼트(30)가 홀(41)의 내부에서 일정량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볼트(30) 및 완충재(40)가 설치된 후에 모터(20)가 구동되어도 상기 모터 브래킷(22)을 통해 완충재(40)에 전달되는 진동이 볼트(3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진동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공간부(48)는 상기 완충재(40) 내벽에서 볼트(30)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모터(20)가 구동되어 볼트(30)의 결합방향으로 진동이 생성될 때에 상기 완충재(40)가 탄성에 의해 일정량 수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모터(20)의 진동이 모터 마운트(22)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42)는 상기 볼트(30)와 너트(32)가 결합할 때 접촉하는 면이고, 안착부(42)와 너트(32) 사이에 보강재(31)가 개재됨으로써, 너트(32)가 조여질 때에 완충재(40)에 생성되는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완충재(40)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44)는 완충재(4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완충재(4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고정부(44)에는 상기 모터 브래킷(22)이 끼워진다.
상기 완충부(46)는 상기 홀(41)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8)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모터(20)의 구동으로 생성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모터 마운트용 완충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20)가 구동되고,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0)이 회전되어 외부 공기를 팬하우징(2)의 흡입구(4)를 통해 내부로 강제 유입시킨다. 이후,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10)의 쉬라우드(12)를 통해 팬 내부로 유입되고, 그 진행 방향이 팬의 둘레 방향으로 전환되어 팬하우징(2)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구(1)를 따라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40)는 완충부(46)가 모터마운트(2a) 쪽에만 형성되어 있는 바, 모터(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팬하우징(2)에 장착될 경우, 모터(20)의 자중은 하부의 완충재(40)에 힘이 집중되게 된다. 또한 자중에 의해 하부의 완충재(40)에 집중되는 힘은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완충재(40)의 안착부(42)에 모멘트가 집중된다. 그러나 상기 안착부(42)는 완충부(46) 달리 힘에 의해 탄성변형 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작아서 안착부(42)가 상기 너트(32)와 모터 브래킷(22) 사이에서 압착되어 그 부피가 가변될 수 있는 여유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20)에서 생성되는 진동이 모터 브래킷(22)을 통해 너트(32) 및 볼트(30)로 직접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은 모터 마운트(2a)와 팬하우징(2)을 통해 기기 전체로 확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모터 마운트 완충재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되는 모양의 완충부가 형성됨으로써, 완충재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쪽에 모터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효과적으로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가 설치된 팬하우징의 주요부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로서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가 설치된 부위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가 설치된 팬하우징의 주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팬하우징 52a : 모터 마운트
70 : 모터 72 : 모터 브래킷
80 : 볼트 82 : 너트
90 : 완충재 91 : 홀
92 : 완충부 94 : 고정부
96 : 공간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과, 상기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팬하우징의 내벽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력을 생성토록 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팬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재가 포함되는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볼트가 관통하는 홀과; 상기 홀에 의해 형성된 내벽에 오목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재와 상기 볼트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와; 상기 완충재의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완충재 양 끝단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모터의 진동을 상쇄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가 설치된 팬하우징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90)가 설치되는 송풍장치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팬하우징(52)과, 상기 팬하우징(52)의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미도시)과, 상기 송풍팬의 회전 중심에 회전축이 연결되며, 그 본체는 상기 팬하우징(52)의 내벽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력을 생성토록 하는 모터(7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을 터보팬에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풍팬은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도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쉬라우드와 대향되며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쉬라우드와 허브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쉬라우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팬의 둘레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날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허브는 상기 쉬라우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허브의 곡면을 따라 진행 방향이 팬의 둘레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상기 쉬라우드 측으로 돌출되는 곡면부가 형성되어 그 내측에는 팬을 구동케하는 모터(7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허브의 정상에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상기 모터(70)는 하단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모터 브래킷(72)이 형성되어 상기 팬하우징(52)의 내벽 일 측에 설치되는 모터 마운트(52a)에 볼트 체결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모터 마운트(52a)는 상기 팬하우징(52)의 흡입구 반대 측 내벽에 설치되는 패널 모양의 부재로서, 중앙부가 팬하우징(52)의 내벽에 접합되고, 그 단부는 팬하우징(52)의 내벽과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이 단부에 모터(70)가 설치되는 바, 모터 마운트(52a)를 관통한 볼트(80)에 상기 모터 브래킷(72)이 끼워지고 그 상측에 너트(82)가 체결되어 모터(7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모터 브래킷(72)이 끼워지는 부위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완충재(90)가 개재되는데 상기 완충재(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80)가 관통하는 홀(91)과, 홀(91)에 의해 형성된 내벽에서 상기 볼트(80) 축의 외주방향으로 오목하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재(90)와 볼트(80)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96)와, 상기 완충재(9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모터 브래킷(72)이 끼워지는 고정부(94)와, 상기 모터마운트(52a)와 상기 너트(82)가 접하는 양 끝단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모터(70)의 진동이 상쇄되도록 하는 완충부(9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91)은 상기 볼트(80)의 지름과 비교하여 일정량 크게 형성되므로 볼트(80)가 홀(91)의 내부에서 일정량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볼트(80) 및 완충재(90)가 설치된 후에 모터(70)가 구동되어도 상기 모터 브래킷(72)을 통해 완충재(90)에 전달되는 진동이 볼트(8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진동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공간부(96)는 상기 홀(91)의 내벽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부위로 이루어지며, 모터(70)가 구동되어 모터마운트(52a)와 볼트(80)가 결합한 결합방향으로 진동이 생성될 때에 완충재(90)가 일정량 수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모터(70)의 진동이 모터 마운트(52a)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94)는 완충재(90)의 외주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고정부(94)는 상기 완충재(90)가 대칭이 되도록 상기 결합방향의 중심 부근에 형성되며, 이 고정부(94)에 모터 브래킷(72)이 끼워진다.
상기 완충부(92)는 상기 완충재(90)의 양 끝단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96)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모터(70)의 구동으로 생성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92)는 그 입구부위가 내측으로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절곡되어 완충재(90)가 압축될 때에 모든 단부가 일정한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압축되도록 하여 압축 및 이완이 반복되면서 생성되는 완충재(9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완충부(92)는 완충재(90)의 상단과 하단에 대칭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너트(82)와 모터 브래킷(72) 사이의 완충재(90)가 압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모터 브래킷(72)과 모터 마운트(52a) 사이의 완충재(90)가 압착되는 것 또한 억제하여 모터(90)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완충재(90)는 상기 모터(70)의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때는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도 모터(70)의 자중 및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모터(70)가 설치될 찌라도, 편심된 자중과 진동에 의해 발생한 힘이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완충부(94)의 양 끝단에 대칭적으로 위치한 완충부(94)에 의해서 상쇄되게 된다. 이로서 완충재(90)의 양 끝단에 위치한 완충부(94)는 모터 브래킷(72)과 너트(82)가 압착되는 것을 방지 할 뿐만 아니라 모터 브래킷(72)과 모터 마운트(52a)가 압착되는 것 또한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70)가 구동되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 운동시키는 바, 팬하우징(52)의 흡입구로 유입되는 외측 공기가 송풍팬의 쉬라우드로 강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의 쉬라우드를 지나 허브 및 날개에 의해 팬의 둘레 방향으로 유동됨과 아울러, 팬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모터(70)가 체결되는 모터 마운트(52a)에는 상기 완충재(90)가 개재됨으로써, 모터(70)가 구동될 때 생성되는 진동을 상쇄하여 보다 안정된 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는 상부와 하부에 완충부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완충재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부에 끼워지는 모터 브래킷과 너트 사이, 그리고, 모터 브래킷과 모터 마운트 사이에 각각 완충부가 배치되므로 모터가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어 구동되어도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과, 상기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팬하우징의 내벽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력을 생성토록 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팬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재가 포함되는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볼트가 관통하는 홀과;
    상기 홀에 의해 형성된 내벽에 오목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재와 상기 볼트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와;
    상기 완충재의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완충재 양 끝단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모터의 진동을 상쇄시키는 완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완충부가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완충재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입구부가 내측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KR10-2001-0051328A 2001-08-24 2001-08-24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KR10041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328A KR100416783B1 (ko) 2001-08-24 2001-08-24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328A KR100416783B1 (ko) 2001-08-24 2001-08-24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170A KR20030017170A (ko) 2003-03-03
KR100416783B1 true KR100416783B1 (ko) 2004-01-31

Family

ID=2772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328A KR100416783B1 (ko) 2001-08-24 2001-08-24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78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8912U (ko) * 1975-11-17 1977-05-21
JPS5945342U (ja) * 1982-09-17 1984-03-2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防振支持装置
JPS59189938U (ja) * 1983-06-03 198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ツシヨン組立体
JPS6012736U (ja) * 1983-07-05 1985-0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ツシヨン組立体
JPS63189699A (ja) * 1987-01-30 1988-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送風機
JPH0163918U (ko) * 1987-10-16 1989-04-25
JPH01166154U (ko) * 1988-04-27 1989-11-21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8912U (ko) * 1975-11-17 1977-05-21
JPS5945342U (ja) * 1982-09-17 1984-03-2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防振支持装置
JPS59189938U (ja) * 1983-06-03 198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ツシヨン組立体
JPS6012736U (ja) * 1983-07-05 1985-0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ツシヨン組立体
JPS63189699A (ja) * 1987-01-30 1988-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送風機
JPH0163918U (ko) * 1987-10-16 1989-04-25
JPH01166154U (ko) * 1988-04-27 1989-11-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170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6092B2 (en) Motor mounting assembly with tunable vibration and noise reduction capabilities
US6468053B2 (en) Blower
RU2006102337A (ru) Пылесос
MXPA96006021A (es) Aparato para montar un compresor.
EP2870905B1 (en) Vacuum cleane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system
KR100318599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소음/진동 저감장치
KR100416783B1 (ko) 송풍팬용 모터의 완충재
US20220133109A1 (en) Fan aggregate suspension
MXPA02012868A (es) Metodos y aparatos para reducir vibraciones inducidas dentro de unidades de ventilacion.
KR100360235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
CN110735987A (zh) 管道吸振器及空调机组
JP5042158B2 (ja) 圧縮機
CN211174813U (zh) 一种离心泵
CN220185461U (zh) 一种减震型管道风机
RU2814339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и указ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демпф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CN108302736B (zh) 显示组件固定结构及包括其的空气净化器
JPH0886282A (ja) 密閉形電動圧縮機
CN216617886U (zh) 一种罗茨风机
CN220045761U (zh) 抽吸装置及清洁设备
CN211040098U (zh) 管道吸振器及空调机组
KR100249267B1 (ko) 공조기의 팬모터 지지구조
CN214304569U (zh) 一种风机用吸入消音器
JPH04262098A (ja) 羽根車の取付装置
CN219035048U (zh) 一种低噪的轴流风机
CN212272503U (zh) 压缩机罩及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