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371B1 -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 Google Patents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371B1
KR100416371B1 KR10-1999-0049541A KR19990049541A KR100416371B1 KR 100416371 B1 KR100416371 B1 KR 100416371B1 KR 19990049541 A KR19990049541 A KR 19990049541A KR 100416371 B1 KR100416371 B1 KR 100416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olding
business card
folded
plast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986A (ko
Inventor
김민경
Original Assignee
(주)세아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인텍 filed Critical (주)세아인텍
Priority to KR10-1999-004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3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연질의 플라스틱 시트를 접어서 조립하여 메모지나 명함등의 케이스로 사용토록 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평판의 플라스틱 시트를 밑면의 변마다 형성되는 절첩편을 서로 중첩되게 접어서 케이스로 만들어 사용토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플라스틱 시트로 제조되는 케이스는 별도의 수납부를 형성한 후 수납부를 뚜껑으로 개폐토록 되는 지갑의 형태로 케이스를 만들어 메모지나 명함케이스또는 다양한 용도의 케이스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수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의 복잡화로 인한 원가의 상승과 수납부가 규격화되어지는 형상으로 인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팬시 업계에서는 적절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플라스틱 시트를 접어지게 하여 케이스로 만듬으로서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토록 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를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메모 또는 명함케이스

Description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A case for memo paper or name card}
본 발명은 플라스틱 시트를 접어서 조립하여 메모지 또는 명함 등의 케이스로 사용토록 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평판의 플라스틱 시트를 접어서 케이스로 만들어 사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물품의 포장케이스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포장케이스로 사용된 후에 휴대용 케이스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종래의 케이스는 별도의 수납부(포켓)을 형성하여 덮개(뚜껑)로 개폐토록 되는 것은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수납부(포켓)의 형상이 일정한 형태를 갖게 됨으로 이러한 형상으로의 제조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수납부(포켓)이 일정한 형상을 갖추기 때문에 운반이나 보관 시에 부피로 인하여 물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평판의 플라스틱 시트를 접어지게 하여 케이스로 만듦으로서 저렴한 가격과 물류비용의 절감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토록 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를 가할 수 있도록 하고, 접어진 상태에서도 케이스의 형태를 갖추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개도.
도 2는 절첩편이 접어지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절첩편 2: 만곡선
3: 구멍 4: 후크단추
5: 개구부 6: 포켓
7: 걸이구멍 8: 걸이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평판의 플라스틱 시트를 밑판을 중심으로 각각의 변에 상하좌우로 절첩편(1a,1b,1c,1d)을 형성하여 상하절첩판(1a,1b)은 서로 중첩되게 하고, 중첩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절첩판(1a)에는 구멍(3)을 천공하여 하부에 위치된 절첩판(1b)에 형성된 후크단추(4a)가 노출토록 되고 이와 같이 노출된 상태에서 좌우 절첩판(1c,1d)이중첩되면서 좌우 절첩판(1c,1d)에 각각 형성된 후크단추(4b)가 하부절첩판(1b)에 형성된 후크단추(4a)와 결합되면서 조립되는 구성이다.
이때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스로 사용을 위하여 빈 공간이 형성될 경우에 빈 공간이면서도 부풀어진 상태로 형성토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절첩판(1a,1b,1c,1d)이 돌출되어져 접어지는 부분에는 모두 밑판을 중심으로 만곡선(2)이 형성토록 하고 상기 만곡선에 의한 절첩판(1a,1b,1c,1d)이 접어질 경우에 상부절첩판(1a)은 좌우절첩판(1c)의 만곡선(2)이 시작되는 상부절첩판(1a)과 수평선(10)을 기준으로 접어지도록 함으로서 상부절첩판(1a)이 접어진 후에도 만곡선(2)에 의하여 펼쳐지려는 힘에 의하여 빈공간이 부풀어진 상태가 유지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하좌우에 형성된 절첩판(1a,1b,1c,1d)은 서로의 제품형태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것이지만 반듯이 4방향에서 중첩되어지게 되어야 하는 것이고, 만일 전체적인 형상이 3각형이나 5각형일 경우에는 3방향이나 5방향에서 중첩토록 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밑판(9)의 이면에 별도의 포켓(6)을 융착시키고 융착된 포켓(6)의 중앙에는 개구부(5)를 형성하여 포켓(6)에 수납된 명함이나 또는 패스카드를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되어진 케이스에는 걸이끈(8)을 이용하여 걸이구멍(7)에 연결함으로서 휴대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운반이나 보관 시에 펼쳐진 상태로 운반이나 보관이 됨으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제조 시에도 절단한 후 후크단추만을 결합하는 것으로 제조가 완료되어짐으로서 간편한 제조공정으로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시에 절첩판을 접으면 절첩판과 밑판의 연결이 만곡선으로 형성됨으로 절첩판이 접어진 상태에서 접혀진 부분의 면적이 넓어짐으로 접혀질 경우에 받는 힘에 대한 응력이 크게 되어 절첩판이 접어진 상태에서 조립되어진 케이스는 빵빵하게 부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펼쳐진 상태에서 운반 및 보관을 하고 사용시에만 조립하여 사용하고 조립된 상태에서도 케이스의 형상이 유지토록 함으로서 간편한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Claims (5)

  1. 평판의 플라스틱 시트를 상하좌우로 절첩편(1a,1b,1c,1d)을 형성하여 상하절첩판(1a,1b)은 서로 중첩되면서 중첩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절첩판(1a)에는 구멍(3)을 천공하여 하부에 위치된 절첩판(1b)에 형성된 후크단추(4a)가 노출토록 되고 이와 같이 노출된 상태에서 좌우 절첩판(1c,1d)이 중첩되면서 좌우 절첩판(1c,1d)에 각각 형성된 후크단추(4b)가 하부절첩판에 형성된 후크단추(4a)와 결합되면서 조립되는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빈공간이 형성될 경우에 빈공간이면서도 부풀어진 상태로 형성토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절첩판(1a,1b,1c,1d)이 돌출되어져 접어지는 부분에는 모두 만곡선(2)이 형성토록 함으로서 절첩판(1a,1b,1c,1d)이 접어질 경우에 접어진 후에도 펼쳐지려는 힘에 의하여 빈공간이 부풀어진 상태가 유지토록 되는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밑판(9)을 형성하는 부분에 별도의 포켓(6)을 융착시킨 후 포켓(6)의 중앙에는 개구부(5)를 형성하여 포켓(6)에 수납된 명함이나 또는 패스포드를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전체적인 형상이 3각형일 경우에 절첩편이 3방향에서 접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절첩편(1a,1b,1c,1d)의 접어짐이 수평선(10)에 의하여 접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KR10-1999-0049541A 1999-11-09 1999-11-09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KR10041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541A KR100416371B1 (ko) 1999-11-09 1999-11-09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541A KR100416371B1 (ko) 1999-11-09 1999-11-09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86A KR20010045986A (ko) 2001-06-05
KR100416371B1 true KR100416371B1 (ko) 2004-01-31

Family

ID=1961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541A KR100416371B1 (ko) 1999-11-09 1999-11-09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70Y1 (ko) * 2014-09-02 2014-12-31 김대수 캐리어 지갑
KR102285558B1 (ko) * 2020-08-24 2021-08-03 이호익 사진 지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317U (ko) * 1972-04-25 1974-01-2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317U (ko) * 1972-04-25 1974-01-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86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371B1 (ko)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KR100850291B1 (ko) 노트
KR102096712B1 (ko) 포장용 상자
CN209064555U (zh) 一种抽屉式包装组合件
JP3028740U (ja) 収納ケース
CN201317542Y (zh) 一种包装盒
CN218056059U (zh) 一种具有防盗锁的易开启直发快递包装箱
JP3123215U (ja) カード類の収納構造
CN216103682U (zh) 一种便于开启的酒盒
KR101034650B1 (ko) 정리용 상자
CN213229383U (zh) 一种水果包装箱
CN212314160U (zh) 一种礼盒
CN213229372U (zh) 一种包装盒
CN215664440U (zh) 一种可支立展示的礼品盒
CN211568726U (zh) 一种蜂窝箱
CN211494988U (zh) 一种抬起展示盒结构
KR200404516Y1 (ko) 다용도 휴대용 화장지 지갑
KR200244514Y1 (ko) 케익상자
JP3197852U (ja) 紙製バッグ
JPH01198396A (ja) ファイルボックス
JPH07267240A (ja) 蓋一体式包装箱
KR101041885B1 (ko) 조립식 저금통
JP2000296840A (ja) 吊り下げ式容器
KR200343732Y1 (ko) 명함 케이스
JP2006089088A (ja) 箱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227

Effective date: 200308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10006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227

Effective date: 2003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