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882B1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882B1
KR100415882B1 KR10-2000-0069702A KR20000069702A KR100415882B1 KR 100415882 B1 KR100415882 B1 KR 100415882B1 KR 20000069702 A KR20000069702 A KR 20000069702A KR 100415882 B1 KR100415882 B1 KR 10041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fixed
movable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9880A (ko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10-2000-006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8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having torsion or bending or flex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써, 소정의 회동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작용아암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회동축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내슬롯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와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작용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부재와; 고정부재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볼트와, 회전축볼트에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안내슬롯을 통해 각각 외부로 노출되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회전축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동편과, 각 스프링부재의 양 고정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일단은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임의로 탄력의 세기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완력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완력기{CHEST EXPANDER}
본 발명은,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력기란 팔이나 어깨의 근력을 위해 사용하는 운동기기의 일종으로써,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완력기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한 쌍의 작용아암에 마련된 파지부를 각각 잡은 다음, 한 쌍의 작용아암이 상호 접근되도록 가압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팔이나 어깨에 근력이 부여되도록 하며, 다시, 힘을 풀어 한 쌍의 손잡이부를 상호 이격시키게 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팔이나 어깨에 근력이 이완되도록 하는 원리로 작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같은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팔 및 어깨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완력기에 있어서는, 완력기에 마련되어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단일의 완력기가 가지는 탄력의 크기는 늘 일정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력의 세기가 일정치 않은 아이와 어른들이 모두 단일의 완력기를 사용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을 빼거나 별도의 스프링을 더 설치함으로써 탄력을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완력기도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은 탄력의 세기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완력기가 가지는 탄력의 세기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면, 근력의 세기가 일정치 않은 아이와 어른들이 모두 단일의 완력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임의로 탄력의 세기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스프링부재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도 1 완력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완력기 111 : 회동축부
116 : 작용아암 123 : 연장부
127 : 고정부재 128 : 안내슬롯
130 : 스프링부재 140 : 탄력조절부
141 : 회전축볼트 143 : 노브
149 : 핀블럭 155 : 가동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회동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작용아암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회동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내슬롯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작용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볼트와, 상기 회전축볼트에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상기 안내슬롯을 통해 각각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동편과, 상기 각 스프링부재의 양 고정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회동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작용아암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슬롯이 형성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회동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작용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연장부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회전축볼트와, 상기 회전축볼트에 각각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상기 안내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편과, 상기 스프링부재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갖는 탄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회동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회동축부에 결합되고, 거의 수평방향의 축선을 갖는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안내슬롯이 형성된 고정아암과; 상기 작용아암과 상기 고정아암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작용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아암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회전축볼트와, 상기 회전축볼트에 각각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상기 안내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편과, 상기 스프링부재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용아암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갖는 탄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부터 제4실시예까지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력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회동축부(111)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116)과, 작용아암(116)의 측연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123)와, 회동축부(111)에 결합되어 한 쌍의 연장부(123)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27)와, 고정부재(127)와 한 쌍의 연장부(123)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작용아암(116)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한 쌍의 스프링부재(130)와, 스프링부재(130)의 양 고정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고정부재(127)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하는 탄력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작용아암(116)은, 긴 봉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말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파지부(1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끌림을 방지하는 고무패드(미도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홈의 형태로 이루어져 손가락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파지부(118)는 후술할 제2 내지 제4실시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파지부(118)에 대향된 작용아암(116)의 단부에는, 회동축부(111)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브래킷(112)이 삽입되는 힌지부(119)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브래킷(112)과 각 힌지부(119)에는 힌지핀(122)의 통과를 위한 핀공(114,1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브래킷(112)에 형성된 핀공을 제1핀공(114)이라 하고 힌지부(119)에 형성된 핀공을 제2핀공(120)이라 하며, 도면 부호 역시 구별한다. 그리고, 힌지브래킷(112)과 힌지부(119)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태로도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힌지부(119)에 인접된 각 작용아암(116)에는, 작용아암(116)의 판면으로부터 반 고리 형상으로 연장된 연장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123)의 단부에는, 후술할 스프링부재(130)의 제2고정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핀(124)이 삽입되는 관통공(125)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핀(124)에는, 스프링부재(130)의 제2고정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 연장부(123)는 작용아암(116)과는 달리 판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재질로써 연장부(123)를 형성하고자 할 때는 금속재질의 작용아암(116)과 별도로 제작하여 작용아암(116)의 판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작용아암(116) 및 연장부(123)가 플라스틱일 경우에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127)는 회동축부(11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측면에는 고정부재(1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안내슬롯(128)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27)와 한 쌍의 연장부(123) 사이에는, 고정부재(127)와 한 쌍의 연장부(123)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작용아암(116)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130)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 스프링부재(130)의 양 고정단부 중, 고정부재(127) 측에 결합되는 것을 제1고정단부라 하고 연장부(123)에 결합되는 것을 제2고정단부라 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130)의 제1고정단부는 가동편(155)에 결합되고 제2고정단부는 연장부(123)의 관통공(125)에 삽입되는 고정핀(124)에 결합된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130)는 한 쌍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음은 두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한편, 고정부재(127)와 스프링부재(130) 사이에는, 스프링부재(130)의 제1고정단부의 고정위치를 고정부재(127)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작용아암(116)의 상호 접근에 의해 발생되는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탄력조절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탄력조절부(140)는, 도 3 및 도 4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7)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볼트(141)와, 회전축볼트(141)에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한 쌍의 안내슬롯(12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회전축볼트(141)의 회전시 회전축볼트(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동편(155)과, 스프링부재(130)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가동편(155)에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부(123)에 결합되는 걸림부(132,133)를 포함한다.
회전축볼트(141)는, 각기 그 위치에 따라, 고정부재(127)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노브(143)와, 회동축부(111)에 삽입되는 삽입부(144)와, 노브(143)와 삽입부(144)를 연결하며 외측에 수나사산을 갖는 축부(146)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부(144)와 축부(146) 사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잘록하게 함몰된 함몰부(1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함몰부(147)에는, 회전축볼트(141)의 이탈을방지하는 핀블럭(149)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회동축부(111)의 판면에 형성된 핀블럭관통공(151)으로 핀블럭(149)을 삽입하여 핀블럭(149)의 측면이 함몰부(147)에 삽입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볼트(141)는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가동편(155)은, 회전축볼트(141)의 축부(146)에 스크루결합되어 회전축볼트(141)의 회전시 이동될 수 있는 가동부(156)와, 가동부(156)로부터 연장되며 안내슬롯(12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157)를 갖는다. 제1실시예에서 결합부(157)의 개구(158)에는 스프링부재(130)의 제1고정단부가 결합되는데 이를 제1걸림부(132)라 하고 연장부(123)의 고정핀(124)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130)의 제2고정단부를 제2걸림부(133)라 한다. 결국, 제1걸림부(132)와 제2걸림부(133)는, 각기 스프링부재(130)의 제1고정단부와 제2고정단부를 의미하므로, 제1 및 제2고정단부에는 참조부호를 생략하고 제1 및 제2걸림부(132,133)에만 참조부호를 구별하여 붙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력기(100)의 사용상태를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교적 근력이 센 어른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력기(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볼트(141)의 노브(14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편(155)이 노브(143)쪽으로 치우치도록 한다. 그러면, 가동편(155)에 결합된 스프링부재(130)의 제1걸림부(132) 역시, 노브(143)쪽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실시예에 따른 완력기(100)에 탄력의 크기를 가장 크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비교적 악력이 약한 어린 아이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력기(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축볼트(141)를 회전시켜 가동편(155)이 삽입부(144)측으로 치우치도록 한다. 그러면, 가동편(155)에 결합된 스프링부재(130)의 제1걸림부(132) 역시, 삽입부(144)측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실시예에 따른 완력기(100)에 탄력의 크기가 작아져 어린 아이도 용이하게 완력기(1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재(130)의 제1걸림부(132)의 고정위치가 고정부재(127)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력기(100)에 형성되는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자신의 근력 세기에 맞추어 완력기(1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력기(200)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에 대한 설명 중, 전술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면에 참조부호만 달리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력기(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회동축부(211)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216)과, 작용아암(216)의 측연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223)와, 회동축부(211)에 결합되어 한 쌍의 연장부(223)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27)와, 고정부재(227)와 한 쌍의 연장부(223)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작용아암(216)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한 쌍의 스프링부재(230)와, 스프링부재(230)의 양 고정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연장부(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하는 탄력조절부(240)를 포함한다.
회동축부(211)에는, 한 쌍의 작용아암(216)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장부(223)는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측면에는 연장부(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안내슬롯(228)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227)는 회동축부(21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스프링부재(230)의 제1고정단부가 연결되는 연결고리(229)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재(227)와 한 쌍의 연장부(223) 사이에는, 고정부재(227)와 한 쌍의 연장부(223)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작용아암(216)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230)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 스프링부재(230)의 양 고정단부 중, 고정부재(227) 측에 결합되는 것을 제1고정단부라 하고 연장부(223)에 결합되는 것을 제2고정단부라 한다. 제2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230) 각각의 제1고정단부는 고정부재(227)의 연결고리(229)에 결합되고 제2고정단부는 연장부(223)에 마련된 가동편(255)에 결합된다.
한편, 연장부(223)와 스프링부재(230) 사이에는, 스프링부재(230)의 제2고정단부의 고정위치를 연장부(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작용아암(216)의 상호 접근에 의해 발생되는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탄력조절부(240)가 마련되어 있다.
탄력조절부(240)는, 연장부(223)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볼트(241)와, 회전축볼트(241)에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한 쌍의 안내슬롯(22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회전축볼트(241)의 회전시 회전축볼트(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동편(255)과, 스프링부재(230)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가동편(255)에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부(223)에 결합되는 걸림부(232,233)를 포함한다.
회전축볼트(241)는, 각기 그 위치에 따라, 연장부(223)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노브(243)와, 회동축부(211)에 삽입되는 삽입부(244)와, 노브(243)와 삽입부(244)를 연결하며 외측에 수나사산을 갖는 축부(246)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부(244)와 축부(246) 사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잘록하게 함몰된 함몰부(2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함몰부(247)에는, 회전축볼트(241)의 이탈을 방지하는 핀블럭(249)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회동축부(211)의 판면에 형성된 핀블럭관통공(251)으로 핀블럭(249)을 삽입하여 핀블럭(249)의 측면이 함몰부(247)에 삽입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볼트(241)는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가동편(255)은, 회전축볼트(241)의 축부(246)에 스크루 결합되어 회전축볼트(241)의 회전시 이동될 수 있는 가동부(256)와, 가동부(256)로부터 연장되며 안내슬롯(22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257)를 갖는다. 제2실시예에서 결합부(257)의 개구(258)에는 스프링부재(230)의 제2고정단부가 결합되는데 이를 별도로 제2걸림부(233)라 하고 고정부재(227)의 연결고리(229)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230)의 제1고정단부를 제1걸림부(232)라 한다. 결국, 제1걸림부(232)와 제2걸림부(233)는, 각기 스프링부재(230)의 제1고정단부와 제2고정단부를 의미하므로,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고정단부에는 참조부호를 생략하고 제1 및 제2걸림부(232,233)에만 참조부호를 구별하여 붙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력기(200)의 사용상태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교적 근력이 센 어른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력기(2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축볼트(241)의 노브(24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편(255)이 노브(243)쪽으로 치우치도록 한다. 그러면, 가동편(255)에 결합된 스프링부재(230)의 제2걸림부(233) 역시, 노브(243)쪽으로 배치됨으로써, 제2실시예에 따른 완력기(200)에 탄력의 크기를 가장 크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비교적 악력이 약한 어린 아이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력기(2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축볼트(241)를 회전시켜 가동편(255)이 삽입부(244)측으로 치우치도록 한다. 그러면, 가동편(255)에 결합된 스프링부재(230)의 제2걸림부(233) 역시, 삽입부(244)측으로 배치됨으로써, 제2실시예에 따른 완력기(200)에 탄력의 크기가 작아져 어린 아이도 용이하게 완력기(2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재(230)의 제2걸림부(233)의 고정위치가 연장부(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력기(200)에 형성되는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자신의 근력 세기에 맞추어 완력기(2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력기(300)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에 대한 설명 중, 전술한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면에 참조부호만 달리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력기(3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회동축부(311)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316)과, 회동축부(311)에 결합되는 고정아암(323)과, 작용아암(316)과 고정아암(323)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작용아암(316)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부재(330)와, 스프링부재(330)의 양 고정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고정아암(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하는 탄력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작용아암(316)의 단부에는 파지부(318)가 마련되어 있으며, 회동축부(311)에는 거의 수평방향의 축선을 갖는 고정아암(323)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아암(323)은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용아암(316)을 향한 외측면에는 고정아암(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안내슬롯(328)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아암(323)과 한 쌍의 작용아암(316) 사이에는, 고정아암(323)과 한 쌍의 작용아암(316)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작용아암(316)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330)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 스프링부재(330)의 양 고정단부 중, 고정아암(323) 측에 결합되는 것을 제1고정단부라하고 작용아암(316)에 결합되는 것을 제2고정단부라 한다. 제3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330)의 제1고정단부는 가동편(355)에 결합되고 제2고정단부는 작용아암(316)에 마련된 걸림고리(329)에 결합된다.
한편, 고정아암(323)과 스프링부재(330) 사이에는, 스프링부재(330)의 제1고정단부의 고정위치를 고정아암(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작용아암(316)의 상호 접근에 의해 발생되는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탄력조절부(340)가 마련되어 있다.
탄력조절부(340)는, 고정아암(323)의 양단에 회동축부(311)를 향해 각각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회전축볼트(341)와, 회전축볼트(341)에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안내슬롯(328)을 통해 각각 외부로 노출되며, 회전축볼트(341)의 회전시 회전축볼트(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동편(355)과, 스프링부재(330)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가동편(355)에 결합되고 타단은 작용아암(316)의 걸림고리(329)에 결합되는 걸림부(332,333)를 포함한다.
회전축볼트(341)는, 각기 그 위치에 따라, 고정아암(323)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노브(343)와, 회동축부(311)에 삽입되는 삽입부(344)와, 노브(343)와 삽입부(344)를 연결하며 외측에 수나사산을 갖는 축부(346)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부(344)와 축부(346) 사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잘록하게 함몰된 함몰부(3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함몰부(347)에는, 회전축볼트(341)의 이탈을 방지하는 핀블럭(349)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회동축부(311)의 판면에 형성된 핀블럭관통공(351)으로 핀블럭(349)을 삽입하여 핀블럭(349)의 측면이 함몰부(347)에 삽입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볼트(341)는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가동편(355)은, 회전축볼트(341)의 축부(346)에 스크루 결합되어 회전축볼트(341)의 회전시 이동될 수 있는 가동부(356)와, 가동부(356)로부터 연장되며 안내슬롯(32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357)를 갖는다. 제3실시예에서 결합부(357)의 개구(358)에는 스프링부재(330)의 제1고정단부가 결합되는데 이를 별도로 제1걸림부(332)라 하고 작용아암(316)의 걸림고리(329)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330)의 제2고정단부를 제2걸림부(333)라 한다. 결국, 제1걸림부(332)와 제2걸림부(333)는, 각기 스프링부재(330)의 제1고정단부와 제2고정단부를 의미하므로, 제1 및 제2고정단부에는 참조부호를 생략하고 제1 및 제2걸림부(332,333)에만 참조부호를 구별하여 붙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력기(300)의 사용상태를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교적 근력이 센 어른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력기(3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축볼트(341)의 노브(34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편(355)이 삽입부(344) 측으로 치우치도록 한다. 그러면, 가동편(355)에 결합된 스프링부재(330)의 제1걸림부(332) 역시, 삽입부(344) 측으로 배치됨으로써, 제3실시예에 따른 완력기(300)에 탄력의 크기를 가장 크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비교적 악력이 약한 어린 아이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력기(3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축볼트(341)를 회전시켜 가동편(355)이 노브(343) 측으로 치우치도록 한다. 그러면, 가동편(355)에 결합된 스프링부재(330)의 제1걸림부(332) 역시, 노브(343) 측으로 배치됨으로써, 제3실시예에 따른 완력기(300)에 탄력의 크기가 작아져 어린 아이도 용이하게 완력기(3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재(330)의 제1걸림부(332)의 고정위치가 고정아암(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력기(300)에 형성되는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자신의 근력 세기에 맞추어 완력기(3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330)의 제1걸림부(332)의 고정위치가 고정아암(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스프링부재(330)의 고정위치가 작용아암(3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 역시, 그 동작은 전술한 제3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완력기(400)의 요부 확대 단면도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1에 대한 설명 중,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면에 참조부호만 달리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완력기(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회동축부(411)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416)과, 작용아암(416)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아암(423)과, 한 쌍의연장아암(423)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작용아암(416)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430)와, 스프링부재(430)의 양 고정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상기 연장아암(4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하는 탄력조절부(440)를 포함한다.
제4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430)는 한 쌍의 연장아암(423) 사이에 하나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전술한 제1 및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4실시예에서, 연장아암(423)은 측면에 안내슬롯(428)을 갖는 중공의 관상체로 이루어져 있다.
스프링부재(430)와 한 쌍의 연장아암(423) 사이에는, 스프링부재(430)의 고정위치를 연장아암(4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작용아암(416)의 상호 접근에 의해 발생되는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탄력조절부(440)가 마련되어 있다.
탄력조절부(440)는, 각 연장아암(423)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회전축볼트(441)와, 회전축볼트(441)에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안내슬롯(428)을 통해 각각 외부로 노출되며, 회전축볼트(441)의 회전시 회전축볼트(4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동편(455)과, 스프링부재(430)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한 쌍의 가동편(455)에 각각 결합되는 제1걸림부(432) 및 제2걸림부(43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완력기(400)는 한 쌍의 노브(443)를 적절하게 회전시켜 한 쌍의 연장아암(423)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부재(430)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시킴으로써 제4실시예에 의한 완력기(400)가 갖는 탄력의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자신의 근력 세기에 맞추어 완력기(4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 내지 제4실시예서는, 인장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나, 완력기의 작동방식이 도면과는 달리, 일반적인 가위형태로 작동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압축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노브의 회전에 의한 회전축볼트의 회전으로 가동편이 이동됨으로써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회전축볼트 대신, 긴 막대상의 축에 안내레일을 형성하고, 가동편이 이에 도브테일 형상으로 슬라이딩 맞물림될 수 있도록 하여, 손으로 가동편을 직접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링부재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고정부재의 외측면에 축선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걸림고리를 형성한 후, 사용자가 스프링부재의 걸림부를 각 걸림고리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킴으로써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임의로 탄력의 세기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완력기가 제공된다.

Claims (9)

  1. 소정의 회동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작용아암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회동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내슬롯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작용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볼트와, 상기 회전축볼트에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상기 안내슬롯을 통해 각각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동편과, 상기 각 스프링부재의 양 고정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2. 삭제
  3. 삭제
  4. 소정의 회동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작용아암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슬롯이 형성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회동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작용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연장부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회전축볼트와, 상기 회전축볼트에 각각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상기 안내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편과, 상기 스프링부재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갖는 탄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5. 삭제
  6. 소정의 회동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회동축부에 결합되고, 거의 수평방향의 축선을 갖는 긴 봉상의 관상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안내슬롯이 형성된 고정아암과;
    상기 작용아암과 상기 고정아암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작용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아암 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회전축볼트와, 상기 회전축볼트에 각각 결합되어 일부 영역이 상기 안내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편과, 상기 스프링부재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용아암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갖는 탄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0-0069702A 2000-11-22 2000-11-22 완력기 KR10041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702A KR100415882B1 (ko) 2000-11-22 2000-11-22 완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702A KR100415882B1 (ko) 2000-11-22 2000-11-22 완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880A KR20020039880A (ko) 2002-05-30
KR100415882B1 true KR100415882B1 (ko) 2004-01-31

Family

ID=1970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702A KR100415882B1 (ko) 2000-11-22 2000-11-22 완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950B1 (ko) * 2002-07-11 2005-05-30 안태진 완력기
KR100673581B1 (ko) * 2005-07-07 2007-01-24 안태진 완력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373U (ko) * 1985-06-22 1987-02-20 최정삼 완력기
KR930006280U (ko) * 1991-09-28 1993-04-23 최정삼 완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373U (ko) * 1985-06-22 1987-02-20 최정삼 완력기
KR930006280U (ko) * 1991-09-28 1993-04-23 최정삼 완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880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924B1 (ko) 청소구 및 봉형상구
US6881177B2 (en) Handgrip
KR101999851B1 (ko) 악력기 겸용 복합 손운동 기구
EP1177818A1 (en) A combined sports shoe and roller skate
US7008354B2 (en) Adjustable scissors-action exerciser
KR102044623B1 (ko) 악력기
JP2005204777A (ja) マッサージ器
US3666267A (en) Wrist exerciser
US4831689A (en) Vertically slidably mounted brake for a resiliently supported caster wheel
KR100415882B1 (ko) 완력기
KR100673581B1 (ko) 완력기
KR100395890B1 (ko) 악력기
US11771952B2 (en) Chest expander
US20150165255A1 (en) Seated walker
KR100362931B1 (ko) 악력기
KR100491950B1 (ko) 완력기
KR200221180Y1 (ko) 악력기
JPH0441860Y2 (ko)
KR200402852Y1 (ko) 악력 단련기
JP3543344B2 (ja) マッサージ器
KR950007261Y1 (ko) 쇼핑백 개구부의 개폐장치
KR200173304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봉
KR0139500Y1 (ko) 효과음향과 후레쉬 기능을 갖는 완력기
KR200402848Y1 (ko) 탄력 조절 완력기
JP2000350765A (ja) マッサー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