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180Y1 - 악력기 - Google Patents

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180Y1
KR200221180Y1 KR2020000029039U KR20000029039U KR200221180Y1 KR 200221180 Y1 KR200221180 Y1 KR 200221180Y1 KR 2020000029039 U KR2020000029039 U KR 2020000029039U KR 20000029039 U KR20000029039 U KR 20000029039U KR 200221180 Y1 KR200221180 Y1 KR 200221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air
gripper
rotating shaft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2020000029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180Y1/ko
Priority to JP2002535745A priority patent/JP3923013B2/ja
Priority to PCT/KR2001/001742 priority patent/WO2002032509A1/en
Priority to CNB018174469A priority patent/CN1226062C/zh
Priority to US10/399,723 priority patent/US6881177B2/en
Priority to AU2001294335A priority patent/AU2001294335A1/en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작용아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양 고정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상기 작용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하는 탄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임의로 탄력의 세기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악력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악력기{HANDGRIP}
본 고안은,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력기란 손 및 팔뚝의 근력을 위해 사용하는 운동기기의 일종으로써, 취급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악력기는, 사용자가 한 쌍의 손잡이부를 파지한 다음, 한 쌍의 손잡이부가 상호 접근되도록 가압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손이나 팔에 근력이 부여되도록 하며, 다시, 힘을 풀어 한 쌍의 손잡이부를 상호 이격시키게 되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원리로 작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부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행위를 수 차례 반복함으로써 손 및 팔뚝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악력기에 있어서는, 악력기에 마련되어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단일의 악력기가 가지는 탄력의 크기는 늘 일정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악력기가 가지는 탄력의 크기가 사용자의 임의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면, 악력의 세기가 일정치 않은 아이와 어른들이 모두 단일의 악력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임의로 탄력의 세기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악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 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악력기가 갖는 탄력의 세기가 가변되는 상태를 가상적으로 도시한 악력기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악력기 13,13' : 손잡이부
16a,16a' : 제1작용아암 16b,16b' : 제2작용아암
20,20' : 스프링부재 30,30' : 탄력조절부
31 : 회전축볼트 31' : 핀고정부
38 : 가동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작용아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양 고정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상기 작용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하는 탄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력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작용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작용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볼트와; 상기 회전축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볼트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편과; 상기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다른 하나의 작용아암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축이 설치된 상기 작용아암은 중공의 관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력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작용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핀수용부와, 상기 핀수용부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핀을 갖는 핀고정부와; 상기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핀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다른 하나의 작용아암에 결합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12)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부(13)와, 손잡이부(13)의 회동에 의해 역시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16a,16b)과, 작용아암(16a,16b)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손잡이부(13)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20)를 갖는다.
손잡이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직 축선에 대해 상호 만곡되어 있으며, 양 손잡이부(13) 중 어느 하나에는, 엄지를 뺀 네 손가락이 파지되는 파지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므로, 도면처럼 손잡이부(13)가 만곡되지 않고 직선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파지부(14)가 파지홈이 아닌 미끌림을 방지하는 고무패드(미도시)의 형태로도 대체될 수 있다.
손잡이부(13)에는, 손잡이부(13)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어 손잡이부(13)의 회동에 의해 역시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작용아암(16a,16b)이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작용아암(16a,16b)은, 손잡이부(13)가 상호 접근되었을 때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손잡이부(13)가 상호 이격되었을 때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작용아암(16a,16b) 중, 중공의 관상체로 이루어진 작용아암을 제1작용아암(16a)이라 하고 나머지를 제2작용아암(16b)이라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작용아암(16a,16b) 사이에는 스프링부재(20)가 개재된다. 스프링부재(20)는, 한 쌍의 작용아암(16a,16b)에 각각 결합되는 양 고정단부를 가지며, 손잡이부(13)의 상호 접근시, 상호 벌어지는 작용아암(16a,16b)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인장력을 갖는다.
한편, 한 쌍의 작용아암(16a,16b)과 스프링부재(20)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20)의 양 고정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작용아암(16a,16b)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악력기(10)에 부여되는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탄력조절부(30)가 마련되어 있다.
탄력조절부(30)는, 제1작용아암(16a)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볼트(31)와, 회전축볼트(31)에 결합되어 회전축볼트(31)의 회전시 회전축볼트(31)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편(38)과, 스프링부재(20)의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가동편(38)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작용아암(16b)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갖는다.
중공의 제1작용아암(16a)에 수용되는 회전축볼트(31)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노브(32)와, 제1작용아암(16a)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3)와, 노브(32)와 삽입부(33)를 연결하며 외측에 수나사산을 갖는 축부(34)를 포함한다. 삽입부(33)와 축부(34) 사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잘록하게 만곡된 만곡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작용아암(16a)에 형성된 핀공(35)으로 핀블럭(37)을 삽입하여 핀블럭(37)의 측부가 만곡부(44)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작용아암(16a)에 고정된 핀블럭(37)에 의해 회전축볼트(31)는 정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가동편(38)은, 회전축볼트(31)의 축부(34)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볼트(31)의 회전에 의해 이동가능한 가동부(39)와, 가동부(39)로부터 연장되어 스프링부재(20)의 양 걸림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부(40)를 갖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재(20)의 양 걸림부 중, 결합부(40)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제1걸림부(20a)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걸림부(20b)라 한다. 결합부(40)는, 스프링부재(20)의 제1걸림부(20a)가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판면에 개구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이는 후크의 형태로 대체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고리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작용아암(16a)의 판면에는, 스프링부재(20)의 제1걸림부(20a)가 결합된 가동편(38)이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볼트(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안내슬롯(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작용아암(16b)의 단부에는, 소정의 핀수용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스프링부재(20)의 제2걸림부(20b)가 걸림유지되는 고정핀(19)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 사용상태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교적 악력이 센 어른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축볼트(31)의 노브(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편(38)이 노브(32)쪽으로 치우치도록 한다. 그러면, 가동편(38)에 결합된 스프링부재(20)의 제1걸림부(20a) 역시, 노브(32)쪽으로 배치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에 탄력의 크기를 가장 크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비교적 악력이 약한 어린 아이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축볼트(31)를 회전시켜 가동편(38)이 삽입부(33)측으로 치우치도록 한다. 그러면, 가동편(38)에 결합된 스프링부재(20)의 제1걸림부(20a) 역시, 삽입부(33)측으로 배치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에 탄력의 크기가 작아져 어린 아이도 용이하게 악력기(1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노브(32)를 조작하여 회전축볼트(31)를 회전시킴으로써, 악력기(10)에 형성되는 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자신의 악력의 세기에 맞추어 악력기(1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에서는, 탄력조절부(30')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에 대한 구성 중,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성과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참조부호만을 달리 표기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조절부(30')는, 한 쌍의 작용아암(16a',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작용아암(16a',1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핀고정부(31')와, 양 고정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핀고정부(3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고리(20a',20b')를 갖는다. 이하, 핀고정부(31')가 마련된 작용아암을 제1작용아암(16a')이라 하고 나머지를 제2작용아암(16b')이라 한다. 또한, 핀고정부(31')에 결합되는 걸림고리를 제1걸림고리(20a')라 하고 나머지를 제2걸림고리(20b')라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핀고정부(31')는, 제1작용아암(16a')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핀수용부(32a'~32e')와, 핀수용부(32a'~32e')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핀(33')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걸림고리(20a')는, 고정핀(33')에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단부를 고리형상으로 만곡시켜 형성한다. 고정핀(33')의 측면에는 고리상으로 만곡된 제1걸림고리(20a')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재(20')의 제2걸림고리(20b')는 제2작용아암(16b')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 때, 제2작용아암(16b')에도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핀수용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핀수용공(17')으로는 이탈방지홈(19')이 형성된 핀(18')이 삽입된다. 그리고, 이 핀(18')의 이탈방지홈(19')에는 스프링부재(20')의 제2걸림고리(20b')가 걸림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 사용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악력의 세기가 큰 어른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기(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복수의 핀수용부(32a'~32e') 중, 가장 상단에 형성된 핀수용부(32a')로 고정핀(33')을 삽입한 후, 스프링부재(20')의 제1걸림고리(20a')를 이 고정핀(33')에 걸림유지시킴으로써, 악력기(10')에 탄력의 크기를 가장 크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어린 아이와 같이 악력의 세기가 약한 경우에는, 복수의 핀수용부(32a'~32e') 중, 가장 하단에 형성된 핀수용부(32e')로 고정핀(33')을 삽입한 다음, 스프링부재(20')의 제1걸림고리(20a')가 이에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 아이도 용이하게 악력기(1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핀수용부(32a'~32e')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핀(33')을 삽입하고 이에 스프링부재(20')의 제1걸림고리(20a')가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악력의 세기에 맞추어 악력기(1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장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나, 손잡이부 및 작용아암의 작동방식이 도면과는 달리, 일반적인 가위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압축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작용아암에 스프링부재의 제2걸림부가 고정된 상태를 취하고 있으나, 제1작용아암에 대한 제1걸림부와 마찬가지로 제2작용아암과 제2걸림부도 유사한 구성을 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악력의 세기를 좀 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두 말할 여지가 없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핀수용부의 개수를 더 많이 형성하여 악력의 세기를 좀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임의로 탄력의 세기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악력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한 한 쌍의 작용아암과;
    상기 작용아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양 고정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상기 작용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하는 탄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작용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작용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볼트와;
    상기 회전축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볼트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편과;
    상기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가동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다른 하나의 작용아암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설치된 상기 작용아암은 중공의 관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작용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핀수용부와, 상기 핀수용부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핀을 갖는 핀고정부와;
    상기 양 고정단부에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핀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다른 하나의 작용아암에 결합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KR2020000029039U 2000-10-18 2000-10-18 악력기 KR200221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039U KR200221180Y1 (ko) 2000-10-18 2000-10-18 악력기
JP2002535745A JP3923013B2 (ja) 2000-10-18 2001-10-17 握力器
PCT/KR2001/001742 WO2002032509A1 (en) 2000-10-18 2001-10-17 Handgrip
CNB018174469A CN1226062C (zh) 2000-10-18 2001-10-17 手钳
US10/399,723 US6881177B2 (en) 2000-10-18 2001-10-17 Handgrip
AU2001294335A AU2001294335A1 (en) 2000-10-18 2001-10-17 Handgr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039U KR200221180Y1 (ko) 2000-10-18 2000-10-18 악력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810A Division KR100362931B1 (ko) 2000-11-18 2000-11-18 악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180Y1 true KR200221180Y1 (ko) 2001-04-16

Family

ID=7308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039U KR200221180Y1 (ko) 2000-10-18 2000-10-18 악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1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80139B (zh) 握力器
US6881177B2 (en) Handgrip
US4591151A (en) Torsional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US7448985B2 (en) Exercise and massage device
US4257591A (en) Elongated exercising device of variable length
US5681243A (en) Hand and forearm exercise device
US10981027B2 (en) Hand exerciser
US5449333A (en) Bar having O-rings to secure the weight
EP0401417A1 (en) Wrist exercise device
US4726580A (en) Exercise apparatus
KR100395890B1 (ko) 악력기
KR100362931B1 (ko) 악력기
KR200221180Y1 (ko) 악력기
KR100625851B1 (ko) 악력기
US6920666B1 (en) Control mechanism of a pull rod
US3357702A (en) Grip exercising device
KR20070006256A (ko) 완력기
KR100491950B1 (ko) 완력기
KR20080004601U (ko) 우레탄 폼을 이용한 골프연습용 그립
KR200402852Y1 (ko) 악력 단련기
JP3506636B2 (ja) 箸の使用法訓練具
KR200273271Y1 (ko) 악력기
KR200438280Y1 (ko) 팔운동기구
KR200194848Y1 (ko) 손가락의 개별운동이 가능한 지압기구가 부설된 악력기
KR100415882B1 (ko) 완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