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705B1 - 콘크리트 벽돌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705B1
KR100415705B1 KR10-2000-0059565A KR20000059565A KR100415705B1 KR 100415705 B1 KR100415705 B1 KR 100415705B1 KR 20000059565 A KR20000059565 A KR 20000059565A KR 100415705 B1 KR100415705 B1 KR 10041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ortion
concrete
concrete brick
delete delet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527A (ko
Inventor
최성태
유태신
Original Assignee
최성태
유태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태, 유태신 filed Critical 최성태
Priority to KR10-2000-005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7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 또는 경사지의 옹벽, 암절개지 또는 그 밖의 토공구조물을 간편하게 축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에 관한 것으로 30도 내지 60도 범위의 축조각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돌의 규격화와 안정된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한 비율로 유지되는 높이 및 폭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높이 중간에서 가변폭 을 갖고 형성되는 수평안착부와, 상기 수평안착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안착부 와, 상기 가변폭내에 일측으로 외부 경사면을 형성하고,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고정폭으로 구성하여 콘크리트 벽돌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벽돌{A CONCRETE BRICK}
본 발명은 도로변 또는 경사지의 옹벽, 암절개지 또는 그 밖의 토공구조물을 간편하게 축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소위 철망-객토식 경사지 축조방법으로 일컬어지는 종래의 방법은 경사면(1)에 철망(2)을 깔고, 앵커볼트(3)를 격자 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고정한 후, 그 위에 객토 또는 인공토양(4)을 포설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초목의 식생여건을 부여할 수 있지만 시공방법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옹벽축조방법은 기초지반(5) 위에 사각 형상의 벽돌 (6)을 축조한 후 객토 또는 인공토양(7)을 채웠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분을 함유한 객토 또는 인공토양의 자중에 의해 벽돌 축조물이 와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3과 같은 직사각형의 L자형 블록으로 내부에 수평부(20a) 및 수직부(20c)를 가지며, 상면외부(20b)과 수직표면의 외부(17b)에 경사면(17a)을 형성시킨 콘크리트 블록이 제안되었다.이 블록의 수평부 (20a) 및 수직부 (20c)는 결합부의 역할을 하여 다음 블록이 내부 수평부 및 수직부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록킹되면서 축조할 수 있게 하여 인공토양의 압력에 의하여 축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었다.그러나 이와같은 콘크리트 블록은 규격화하는데 다음과 같은 많은 제약이 따라 실생활에 적용이 활발하지 못한 것이었다.즉, 콘크리트 블록이나 벽돌을 축조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운반 및 시공의 편리를 위하여 제품이 규격화 될 것- 옹벽의 축조시 주위의 여러 가지 토양 및 주의환경에 따라 축조 경사각을 상이하게 하여야 되므로 다양한 경사각을 수용할 수 있는 규격의 제품일 것- 보다 견고하고 외부 토양의 압력을 분산하기 쉬운 구조를 가진 제품일 것,등의 많은 제약이 존재하게 되고, 대개의 경우 옹벽의 축조시 환경평가를 받아 설정된 경사각으로 옹벽을 축조하고 있다.그러나 상기한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에는 다양한 경사각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블록의 가로 및 세로의 비가 서로 상이하고, 몸체의 상부 위치에 수평부(20a) 및 수직부(20c)가 형성되어 있어 경사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한계폭 (20b)가 변경되는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규격화된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돌을 쌓으면 자체적으로 서로 록킹되어 토양의 자중에 의해 석축이 붕괴되지 않으며 도로변의 경사지 또는 옹벽 등을 간편하게 축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설정범위내에서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축조시 규격화된 벽돌을 제공하여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견고히 구축될 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고 경사각을 이루는 축조시 벽돌의 무게중심이 아래 있게 하여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은 동일한 비율로 유지되는 높이 및 폭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높이 중간에서 가변폭 을 갖고 형성되는 수평안착부와, 상기 수평안착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안착부 와, 상기 가변폭내에 일측으로 외부 경사면을 형성하고,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고정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징은 상기 콘크리트 벽돌의 몸체들을 결합하여 축조시 이루어지는 옹벽의 축조 각이 30도 내지 60도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하고, 상기 변폭내에 형성되는 외부 경사면을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구성하고, 자중을 고려하여 상기 수평안착부에 구멍이 형성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로변 경사지 축조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도로변 경사지 축조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 측면도로써 다른 형태를 도시한 일예,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이 축조되는 경사각에 따라 형성되는 규격을 나타낸 개략도,
도 7a 내지 7c는 콘크리트 벽돌이 축조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축조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축조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몸체 11 : 수평안착부
12 : 수직안착부 13 : 경사면
14 : 구멍 α: 각도E : 고정폭 H : 높이S : 폭 X : 무게중심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은 "ㄴ" 형상으로서, 수평안착부(11)와, 상기 수평안착부(1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안착부 (12)로 구성된다.상기 수직안착부(12)는 외측면(13)이 각도(α)를 갖고 경사져 있으며, 이 콘크리트 벽돌을 형성하는 몸체(10)의 가로 및 세로 비를 나타내는 높이(H)와 폭(S)의 비를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는 벽돌의 규격화를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 측면도로써 다른 형태를 도시한 일례이고,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즉, 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안착부(1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면(13)이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0)의 자중을 고려하여 수평안착부(11)에 구멍(14)을 형성하여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있다.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이 축조되는 경사각에 따라 형성되는 규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콘크리트 벽돌을 형성하는 몸체(10)의 높이(H) 및 폭(S)은 상술한 바와같이 동일 비율로 구성되어있다. 이와같이 동일 비율로 정사각체의 몸체를 형성하는 경우 동일 부피에 보다 많은 콘크리트 벽돌을 쌓을수 있어 운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할수 있다.또한 상기 몸체(10)의 높이(H) 중간에서 가변폭(D)을 갖고 형성되는 수평안착부(11)와, 상기 수평안착부(1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안착부(12)를 형성하고 있다.상기 몸체(10)에 안쪽에 형성된 수평안착부(11) 및 수평안착부(12)에 다음 벽돌의 수직 및 수직 외부 표면이 놓여 쌓아지게 하여 축조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벽돌이 이와같은 방식으로 쌓은 경우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고 축조될 수 있다.또한 상기 가변폭(D)내에 일측으로 외부 경사면(13)을 형성하고,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고정폭(E)으로 구성되게 한다.여기서 몸체(10)의 높이(H)에서 그 중간지점으로 수평안착부(11)을 형성한 것은 벽돌의 축조시 경사각을 부여할수 있는 구조의 구격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는 도 6b 및 도 6c를 살펴 보아도 알수 있는 바와같이, 도 6a와 비교할 때 동일한 구조면서 다만, 외부 경사면(13)의 각도 및 수평안착부(11)의 길이의 변화된 것을 알수 있으며, 이와같이 규격이 변하는 경우에도 고정폭(E)은 동일한 길이를 유지할수 있는 동시에 몸체(10)의 높이 및 폭의 비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즉, 이와같는 콘크리트 벽돌의 경우에는 대략 60도 내지 30도의 경사각을 갖는 옹벽 및 콘크리트 벽돌로 축조를 하는 경우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벽돌의 몸체은 여전히 높이(H) 및 폭(S)은 동일비율을 유지할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운반 및 취급에 편리한 규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도 7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 7a 내지 7c는 콘크리트 벽돌이 축조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30도에서 60도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조시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먼저 도 7a와 같이 콘크리트 벽돌의 몸체(10)는 몸체(10)의 높이의 중간이상을 기준선으로 하여 수평안착부(11) 및 수직안착부(12)을 형성하고 있어 몸체(10)의 무게중심(X)이 몸체(10)의 1/2 이하에 위치하게 되므로 다소 높은 경사각(60도)으로 축조 하는 경우에도 안정될 수 있으며, 종래의 도 3의 무게중심보다도 더 아래 위치할 수 있다.또한 7b와 7c의 경우에도 벽돌의 축조시 그 축조되는 각이 상이하더라도 항상 수직안착부(12)의 접착면을 동일한 길이로 부여할 수가 있으며, 축조각이 상이하더라도 항상 고정폭(E)은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수 있어 축조후 외부 압력에 의하여(토양의 압력) 콘크리트 벽돌이 깨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이는 수평안착부(11) 및 수직안착부(12)을 몸체(10)의 1/2이 되는 지점을 기초로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로서 도 7c와 같이 30도 이하의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와 60도 이상을 유지하는 경사각의 경우에는 고정폭(E)의 길이가 상이하게 되어 규격화하는데 문제점은 있으나, 60도 내지 30도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규격화된 콘크리트 벽돌을 제공할 수가 있다.또한 ±10도 각도를 더주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축조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먼저 지반(51)에 단차진 기초부(52)를 형성시키고, 상기 기초부(52)에 콘크리트 벽돌의 몸체(10)를 쌓아 고정하고, 상기 콘크리트 벽돌의 안쪽면에 다음 콘크리트 벽돌의 몸체(10')를 상기 콘크리트 벽돌위에 쌓는 방식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쌓는다. 그 후 객토 또는 인공토양(53)을 콘크리트 벽돌의 축조물과 지반토 사이에 채운다. 이 때 축조물은 상부 콘크리트 벽돌의 몸체(10')가 하부 콘크리트 벽돌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으며 붕괴되지 않는다.이와같은 축조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몸체(10)의 수평안착부(11) 및 수직안착부(12)의 기준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60도 내지 30도의 범위내의 각도로 콘크리트 벽돌을 축조할 수 있다.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축조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축조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로변 경사지에 콘크리트 벽돌을 절반정도만 축조한 후 그 위에 선행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경사면에 철망(61)을 깔고, 앵커볼트(62)를 격자 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고정한 후, 그 위에 객토 또는 인공토양(53)을 포설하여 초목 등의 식생여건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은 도로변의 경사지 또는 암절개지에 축조물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위의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벽돌에 철근 보강재를 삽입하여 자체를 보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30도 내지 60도의 범위내에서 축조 각을 상이하게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벽돌의 외부의 경사면의 각도만 상이할 뿐 일정한 규격의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3)

  1. 직사각형의 L자형 블록으로 내부에 수평부 및 수직부를 가지며, 상면외부와 수직표면의 외부에 경사면을 형성시킨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동일한 비율로 유지되는 높이(H) 및 폭(S)을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높이(H) 중간에서 가변폭(D)을 갖고 형성되는 수평안착부 (11)와, 상기 수평안착부(1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안착부(12)와,
    상기 가변폭(D)내에 일측으로 외부 경사면(13)을 형성하고,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고정폭(E)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폭(D) 내에 형성되는 외부 경사면(13)을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구성하고, 자중을 고려하여 상기 수평안착부(11)에 구멍(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돌.기 수직부(12)는 외측면(13)이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중을 고려하여 수평부(11)에 구멍(14)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돌.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0-0059565A 2000-10-10 2000-10-10 콘크리트 벽돌 KR10041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65A KR100415705B1 (ko) 2000-10-10 2000-10-10 콘크리트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65A KR100415705B1 (ko) 2000-10-10 2000-10-10 콘크리트 벽돌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229U Division KR200216381Y1 (ko) 2000-10-10 2000-10-10 콘크리트 벽돌
KR2020000028228U Division KR200216380Y1 (ko) 2000-10-10 2000-10-10 콘크리트 벽돌
KR2020000028227U Division KR200216379Y1 (ko) 2000-10-10 2000-10-10 콘크리트 벽돌
KR1020030019245A Division KR20030031082A (ko) 2003-03-27 2003-03-27 콘크리트 벽돌
KR10-2003-0019243A Division KR100415706B1 (ko) 2003-03-27 2003-03-27 콘크리트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527A KR20020028527A (ko) 2002-04-17
KR100415705B1 true KR100415705B1 (ko) 2004-01-24

Family

ID=1969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565A KR100415705B1 (ko) 2000-10-10 2000-10-10 콘크리트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170B1 (ko) * 2008-10-01 2011-09-07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264B (zh) * 2018-05-17 2023-12-05 安徽国基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护坡砖及挡土墙垒砌方法
CN108867554A (zh) * 2018-09-20 2018-11-23 连云港东浦建筑工业化发展有限公司 护坡砖和护坡结构
CN109208633A (zh) * 2018-10-31 2019-01-15 河南省豫捷建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重装配式无粘结挡土墙砖及其预制生产工艺
CN113322987A (zh) * 2021-07-07 2021-08-31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榫卯式多功能生态砌块护岸的构建方法
CN114856140B (zh) * 2022-06-09 2024-05-03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坡面上外墙标准砖砌筑装置及方法
CN114991096B (zh) * 2022-06-23 2023-11-07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低塑性混凝土材料坝预制排水混凝土模块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2807U (ko) * 1971-11-13 1973-08-09
US4909010A (en) * 1987-12-17 1990-03-20 Allan Block Corporation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2807U (ko) * 1971-11-13 1973-08-09
US4909010A (en) * 1987-12-17 1990-03-20 Allan Block Corporation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실용신안공보 71-236호(1971.3.20)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170B1 (ko) * 2008-10-01 2011-09-07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527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845A (en) System for building a structure
US5623797A (en) Block structure and system for arranging above-ground fencing, railing and/or sound barriers
US6416260B1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US20080184648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US11661719B2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401613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reinforcing mesh to wall panels
US5205675A (en) Precast cribbing wall system
KR100415705B1 (ko) 콘크리트 벽돌
US4903450A (en) Concrete footer block and foundation system formed therefrom
US4163621A (en) Method for forming a continuous footing with prefabricated footing blocks
US4703599A (en) Concrete masonry footer block foundation system and blocks therefor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US4798036A (en) Concrete masonry footer block foundation system and blocks therefor
US5107653A (en) Hollow stackable building block
KR100415706B1 (ko) 콘크리트 벽돌
US9267282B2 (en)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KR200216379Y1 (ko) 콘크리트 벽돌
KR200216380Y1 (ko) 콘크리트 벽돌
KR200216381Y1 (ko) 콘크리트 벽돌
JPH11107293A (ja) 建物の基礎構造、その基礎施工方法及び基礎用ブロック
JP2981009B2 (ja) 基礎構造
JPH11303105A (ja) もたれ式擁壁の基部擁壁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構造
KR100346947B1 (ko) 석축 보강 및 옹벽 공사방법
KR200242401Y1 (ko) 기초석
KR830002878B1 (ko)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