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082A - 콘크리트 벽돌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082A
KR20030031082A KR1020030019245A KR20030019245A KR20030031082A KR 20030031082 A KR20030031082 A KR 20030031082A KR 1020030019245 A KR1020030019245 A KR 1020030019245A KR 20030019245 A KR20030019245 A KR 20030019245A KR 20030031082 A KR20030031082 A KR 20030031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brick
height
concrete brick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태
유태신
Original Assignee
최성태
유태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태, 유태신 filed Critical 최성태
Priority to KR102003001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1082A/ko
Publication of KR2003003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08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 또는 옹벽, 암절개지 또는 그 밖의 토공구조물을 간편하게 지면에 축조시 수직으로 쌓은 축대에서 상하 벽돌이 결합시 이 맞물림의 견고한 벽돌을 제공하는 동시에 보다 강한 토양의 외부압력에 견딜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각각 단차져 형성된 상부 결합면과 하부 결합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면과 하부 결합면에 아랫방향으로 5°∼ 20°인 경사각을 부여하고, 내측 수직면의 높이와 외측 수직면의 높이가 같은 길이가 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벽돌{A CONCRETE BRICK}
본 발명은 도로변 또는 옹벽, 암절개지 또는 그 밖의 토공구조물을 지면에 수직하게 축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또는 옹벽, 암절개지 또는 그 밖의 토공구조물을 축조시 그 축조되는 방법에 따라 대개 4가지 방식의 구조를 갖게된다.
즉, 90도 직각으로 구조물을 쌓은 직각 경사각의 구조, 80도 내지 60도 범위내에서 쌓은 고경사각의 구조, 60도 내지 30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중경사각구조 및3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는 저경사각의 구조물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으며, 상기한 저경사각의 경우에는 벽돌이 바닥부에 닿은 면적이 크기 때문에 별도의 특수한 구조를 요하지 아니하는 사각벽돌로 축조하는 경우에도 충분히 외압에 견딜 수가 있다.
특히 90도의 수직구조를 가지는 방식의 경우에는 수직구조이기 때문에 외력에 약한 단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도로변 또는 옹벽, 암절개지 또는 그 밖의 토공구조물을 수직으로 축조할 때 직사각형의 벽돌을 겹쳐쌓기 방법으로 축조물을 건축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수분을 함유한 객토 또는 인공토양의 자중에 의해 벽돌 축조물이 와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고 제 71-236호의 축대용 콘크리트 블록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단순한 구조로 강한 외압에 장기간 노출시 붕괴의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즉, 이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는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단차져 형성된 계단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수직축대를 축조하는 경우에 상하 블록이 결합에 의하여 수직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단순히 포개놓은 구조로서 외압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벽돌을 쌓으면 자체적으로 서로 록킹되어 토양의 자중에 의해 석축이 붕괴되지 않으며 도로변의 경사지 또는 옹벽 등을 간편하게 축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수직(90도)으로 쌓은 축대에서 상하 벽돌이 결합시 이 맞물림의 견고한 벽돌을 제공하는 동시에 보다 강한 토양의 외부압력에 견딜 수 있는 콘크리트 벽돌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상부면이 단차져 형성되고, 하부면이 상기 상부면에 대응되게 단차져 형성되고, 내측 수직면의 높이와 외측 수직면의 높이가 같은 벽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면의 내측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하부면의 내측면은 상기 상부면의 내측면의 경사각과 같은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축조방식을 예시한 측면도,
도 3는 도 1의 콘크리트 벽돌이 축조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0 : 콘크리트 벽돌 31 : 상부면
32 : 상부결합면 35 : 하부면
36 : 하부결합면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돌(3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체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 벽돌(30)의 위쪽과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부면(31) 및 하부면(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부면(31)과 하부면(35)에 각각 단차져 형성된 상부 결합면(32)과 하부 결합면(36)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 결합면(32)과 하부 결합면(36)에 아랫방향으로 경사각(r)을 부여하고, 내측 수직면의 높이(f)와 외측 수직면의 높이(e)가 같은 길이가 되게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상부면(31)의 내측면(32)에서 경사진 경사각(r)와 하부면(35)에서경사진 경사각(r)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고, 이때 내측 수직면의 높이(f)와 외측 수직면의 높이(e)가 같다.
상기 경사각(r)은 5°∼ 20°범위가 바람직하다.
옹벽의 높이에 따라 낮으면 5°정도로 높으면 20°로하여 토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축대나 옹벽의 축조시 벽돌(30)들을 순서대로 포개쌓아 도 2와 같이 축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축조시 상부 결합면(32)과 하부 결합면(36)은 경사져 있어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되어 있는 길이보다 길게 된다.
따라서 상하의 벽돌(30)이 결합시 그 결합면적(길이가 길기 때문)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상하의 벽돌을 보다 견고히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의 벽돌(30)에 상부의 벽돌(30')이 축조되는 경우(도 3도 참조)에 도 2와 같이 하부 벽돌과 결합되는 상부 벽돌의 하부면(35)과 그 하부면(35)에서 경사진 하부 결합면(36)이 경사를 이루고 있어 외압이 화살표(38) 방향으로 작용하여도 밀려나지 않으며 붕괴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단차진 형상에 아랫방향의 경사각을 주고 있어 상하 벽돌의 결합시 이맞물림의 구조가 제공되어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축조되는 축조물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벽돌을 쌓으면 자체적으로 서로 록킹되어 토양의 자중에 의해 석축이 붕괴되지 않는 것으로 상하 벽돌이 결합시 이 맞물림의 견고한 벽돌을 제공하는 동시에 보다 강한 토양의 외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하의 벽돌이 결합시 상부 결합면과 하부 결합면은 경사져 있어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되어 있는 길이보다 길게되므로 결합시의 결합면적을 증대시켜 상하의 벽돌을 보다 견고히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의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벽돌에 철근 보강재를 삽입하여 자체를 보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상부면(31) 및 하부면(35)에서 각각 단차져 형성된 상부 결합면(32)과 하부 결합면(36)을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면(32)과 하부 결합면(36)에 아랫방향으로 5°∼ 20°인 경사각(r)을 부여하고, 내측 수직면의 높이(f)와 외측 수직면의 높이(e)가 같은 길이가 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돌.
KR1020030019245A 2003-03-27 2003-03-27 콘크리트 벽돌 KR20030031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245A KR20030031082A (ko) 2003-03-27 2003-03-27 콘크리트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245A KR20030031082A (ko) 2003-03-27 2003-03-27 콘크리트 벽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565A Division KR100415705B1 (ko) 2000-10-10 2000-10-10 콘크리트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082A true KR20030031082A (ko) 2003-04-18

Family

ID=2957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245A KR20030031082A (ko) 2003-03-27 2003-03-27 콘크리트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10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01509A1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WO2010052806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JP2010242474A (ja) 積上用l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利用する複数段擁壁構築の施工法
CN110678609A (zh) 组装式抗震挡土墙砌块系统
KR100415705B1 (ko) 콘크리트 벽돌
KR20030031082A (ko) 콘크리트 벽돌
CN103534423B (zh) 用于壁表面的可堆叠的平面模块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JP2010242473A (ja) 積上用l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専用基礎部材
KR100415706B1 (ko) 콘크리트 벽돌
JP2011174228A (ja) L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擁壁
KR200216381Y1 (ko) 콘크리트 벽돌
KR20030066514A (ko) 직립 축조 옹벽
KR200242401Y1 (ko) 기초석
KR101643692B1 (ko) 건축공사용 흙막이 구조물
KR100383124B1 (ko) 호안스톤옹벽의 축조방법
KR100456219B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10158074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고내구성 방수구조체 축조방법
KR101328438B1 (ko) 담장용 블록의 기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 담장
KR200328607Y1 (ko) 직립 축조 옹벽
US20220259812A1 (en) Masonry Block
KR102316014B1 (ko) 옹벽시공구조
KR10254662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US20230123583A1 (en) Corner Masonry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