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878B1 -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 Google Patents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878B1
KR830002878B1 KR1019810004663A KR810004663A KR830002878B1 KR 830002878 B1 KR830002878 B1 KR 830002878B1 KR 1019810004663 A KR1019810004663 A KR 1019810004663A KR 810004663 A KR810004663 A KR 810004663A KR 830002878 B1 KR830002878 B1 KR 83000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ock
plate
block plat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김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영 filed Critical 김덕영
Priority to KR101981000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암벽 녹화블록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중 화살표 A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 절결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녹화블록을 암벽표면에 축조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공법에 의하여 축조된 녹화벽의 단층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판 1' : 토사적재부
2 : 대형 지지블록 2' : 소형지지블록
5, 5 : 장방형공 6 : 외측격벽
6' : 중간격벽 7 : 돌출부
8 : 요입부 9, 9' : 보강공
10 : 앙카철선체결고리 13, 13' : 돌출부
14, 14' : 요입부 15, 15' : 공동부
17 : 콘크리트기초 18 : 돌출부
20 : 앙카철선 22 : 흙주머니
본 발명의 절취된 풍화암, 연암(軟岩) 및 경암(硬岩) 등의 암벽 비탈면의 녹화보호를 위하여 적상 조립 구축할 수 있게된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암벽 비탈의 구배가 1 : 0.8-1 : 0.3의 급경사로서 특별히 위험한 곳만을 전면적으로 시멘트모르타트 품어 붙이기 공법으로 덮어 씌우고 기타 일부의 비탈은 하단부만을 석축 또는 콘크리트 블록 쌓기나 콘크리트 옹벽 등으로 보호하고 대부분은 그냥 암벽을 노출시킨 상태로 방치하고 있으므로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풍화작용이 촉진되어 암석덩어리가 전락하여 통행인 및 차량에 위험요소가 되기 때문에 낙석방호 시설을 하거나, 낙석주의표식을 설치하여 경고하기도 하며, 때로는 크게 붕괴하여 통행을 완전이 차단하는 일도 발생하며 한편 자연환경으로서의 녹화를 위하여 암벽 비탈을 녹화할 수 있도록 충분히 눕혀 주는 방안도 있으나 암벽 노출 개소가 대부분 산악지여서 절취고가 높은 관계로 옹지의 추가적인 확보와 절취토량의 증가로 공사비가 과대해지므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죽재 등으로 망을 엮어 넝쿨을 심어 녹화를 도모하고 있는 곳도 있으나 임시 방편에 불과하다.
또한 시멘트 모르타르 품어 붙이거나 석축 또는 콘크리트 옹벽 등으로 일부 시공하는 공법은 비교적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면서도 살풍경한 폐단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 이르러 암벽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로서 암벽 비탈면에 경사 방향으로 여러개의 나사철근을 암벽면에 고정한 앙카철근에 의하여 소정간격으로 배설하고, 이들 나사철근에 수개의 지지판들 관통시켜 횡설한 후 그 지지판과 지지판 사이에 토사를 충진시키고 나서 각 지지판의 선단간에 표면판을 감입설치하여 법면을 보호하는 구조와 공법이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모 소 55-54452호에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법면보호구조 및 공법은 다수의 지지판과 그 선단부에 설치된 표면판을 비탈면에 앙카철근으로 공정시킨 수개의 나사철근으로 지탱하게 된 구성이므로 지지판과 표면판 및 그 지지판 사이에 충진된 토사의 하중이 몇 개의 나사철근에 부하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가 되지 못할 뿐 아니라 각 지지판을 나사철근의 상단부로부터 끼워내려 조립해야 되므로 그 시공상 애로가 많으며 또한 비탈면의 녹화가 불가능한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암벽 비탈면에 조립구축하여 녹화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암벽 비탈면을 보호할 수 있는 암벽 녹화블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이들 녹화블록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그리고 시공이 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는 축조공법을 제공코저 하는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암벽 녹화불록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본부재가 되는 합성수지제 블록판(1)과 이들 블록판(1)을 지지하기 위해 그 블록판(1)상에 적상할 수 있게 된 대소형 시멘트재 지지블록(2)(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합성수지제 블록판(1)은 직사각형으로 된 평판체의 전연부를 적당한 곡율반경을 갖인 만곡면을 이루도록 상향만곡시켜 토시적재부(1')를 형성하고, 그 만곡된 토사적재부(1')의 좌우측단부에는 각기 상호 계합될 수 있도록 접속돌편(3)과 접속요홈(4)을 형성하고, 평판체의 후반부에는 2개의 장방형공(5)(5')을 천설하며, 그 양 장방형공(5)(5')의 의측격벽(6)과 중간격벽(6')은 그 중앙부를 상부로 굽혀 각기 돌출부(7)와 요입부(8)가 형성되게 하고, 그 돌출부(7)와 요입부(8)가 형성된 외측격벽(6) 및 중간격벽(6')의 중심부 및 전 후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보강공(9) 내벽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앙카철선 체결고리(10)를 돌설하고 그 하측에는 앙카 철선안내홈(11)을 설치한 구조로 되고 또 이 블록판(1)을 재료와 중량을 적게하면서 충분한 자체 강성을 유지하도록 판체 자체는 얇게 형성하고 대신에 그 판체의 저면에 서로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고 보강돌조(12)(12)들을 사방 주변 및 중간 중간에 적당 간격으로 돌설하여 보강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시멘트제 대소형 지지블록(2)(2')은 각기 블록판(1)의 의측격벽(6)과 중간격벽(6') 상부에 적상할 수 있도록 상면 중앙에 돌출부(13)(13')와 저면 중앙에 요입부(14)(14')를 형성하고 그 중앙 및 양측에 공동부(15)(15')를 형성한 구조로서 대형 지지불록(2) 및 소형 지지블록(2')은 동일한 구조로 되고 또 동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나, 대형 지지블록(2)은 그 폭을 소형지지블록(2')보다 2배로 크게 한 것이며, 곡선반경이 적은 곳에 대형을, 기타 장소에는 소형을 사용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녹화블록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먼저 암벽비탈면(16)의 밑부분에 그 비탈면(16)과 평행하게 콘크리트 기초(17)를 현장타설방법으로 설치하되, 그 콘크리트 기초(17)의 상부면은 비탈면(16)과 직각을 이루고 또한 블록판(1)을 요입부(8)와 일치 감합되는 돌출부(18)를 구비하도록 형성하여 그 기초(17)상부에 합성수지제 블록판(1)을 만곡된 토사적재부 (1')가 전면을 향하고 장방형공(5)(5')이 암벽쪽에 인접되게 연속 배열하여 인접된 두 토사적재부(1')의 양단측에 형성된 접속돌편(3)과 접속요홈(4)을 상호 계합 접속시킨다.
그리고 블록판(1)의 후측 암벽 적당위치에 앙카보울트(19)를 고정설치하여 그 앙카보울트(19)에 앙카 철선(20)의 일단을 체결하고, 그 앙카 철선(20)을 블록판(1) 저면의 철선 안내홈(11)으로 도입하여 철선(20)의 타일단을 철선 체결고리(10)에 걸어 긴착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블록판(1)의 설치가 끝나면 외측격벽(6)과 중간격벽(6') 상부에 각각 대소형 지지블록(2)(2')을 그 요입부(14)(14')가 블록판(1)의 돌출부(7)와 일치되도록 재차하고 그 위에 같은 요령으로 암벽의 구배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단수만큼 지지블록(2)(2')을 적상하며 그 위에 다시 제2단의 합성수지 블록판(1)을 같은 방법으로 설치한다.
또 블록판(1)을 설치할 때 블록판(1)과 암벽비탈면(16) 사이에는 율석(2')을 충진하고 시멘트 지지블록(2)과 지지블록 (2')사이와 장방형공(5)(5')내에는 토석혼합물을 넣을 흙주머니(22)를 쌓아 올리고 암벽비탈면(16)의 암석의 절리방향이 위험하거나, 블록판(1) 뒤 공간이 커서 과중 토압이 작용될 곳은 충분한 깊이로 앙카 철근을 설치하여 각 블록판(1)의 보강공 (9)(9') 및 지지블록(2)(2')의 공동부(15)(15')에 끼운 이형철근과 연결한 후 구라우팅하여 암벽 및 블록판(1)의 안정을 보강한다.
조립이 끝나면 각단의 토사적재부(1') 위의 공간에 양질의 토사(23)를 그 표면이 적당한 구배의 경사로 이루도록 채우고 잘 알려진 방법으로 관목을 심거나 잔듸를 심어 관수할 착케 한다.
각단의 블록판(1)은 그 연결부가 동일선상에 오도록 연결 적상할 수도 있으나 벽돌 쌓기와 같이 서로 이음부가 어긋나게 적상하는 것이 전체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블록판(1)은 그 저면에 돌설된 보강돌조(12)(12')에 의하여 블록판 전체의 강성을 유지하는 동기에 토사 적재부(1')를 지지하고 또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지지블록(2)(2')을 통해 기초암반에 전달한다.
각 블록판(1)에는 장방형공(5)(5')이 천설되어 있어 블록판(1)의 자중을 경감시키고 흙주머니 (22) 쌓기자업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각단의 장방형공(5)(5')은 동일 연직면상에 놓이게 되어 흙주머니(22)가 수직상의 하중지지기 둠으로 쌓이게 되므로 흙주머니(22)의 중량은 기초면에 직접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블록판(1)에 작용되는 하중은 경감됨과 동시에 축조된 구조물이 안정된다.
각 블록판(1)과 지지블록(2)(2')은 돌출부(7)(13)(13')와 요입부(8)(14)(14')가 서로 감합되어 적상되므로 정상작업을 간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시공중이나 완공후의 블록간의 이탈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블록판(1)은 앙카철선(20)으로 암벽에 고정시킨 앙카보울트(19)에 걸어 긴착시켰으므로 더욱 견고히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흙주머니(22)는 합성수지제품을 사용하므로서 풍화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흙주머니(22)도 지지블록(2)(2')과 같이 암벽비탈면에 직각으로 쌓여지므로 충진토석의 안식각(安息角)과 무관하게 안정될 수 있고 흙주머니를 사용하므로 높은 장소에 토석을 충진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각 블록판(1)의 토사적재부(1')는 상향으로 만곡되어 있어 녹화용 토사층(23)을 충분한 두께로 채울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어 녹화면과 교대로 배열된 수평대를 여러줄로 형성하게 되므로 경관을 돋보이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지블록(2)(2')은 높이를 낮계하여 장중을 감소시켜서 취급을 쉽게하는 동시에 비탈면의 구배에 따라 변화되는 블록판(1) 일단 높이의 조정을 지지블록(2)(2')의 단수로서 할 수 있다. 이음부는 각 블록판(1)의0토사적재부(1')의 접속돌편(3)과 접속요홈(4)에 의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어지므로 이음부에 틈이 생기지 아니하고 또한 토사층(23)과 암벽전면의 율석층(21)사이에는 흙주머니(22)가 위치하여 토사가 율석 사이에 혼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충진토석 및 토사의 유출감량을 예방하고 율석층의 배수기능을 유지케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녹화블록을 사용하여 암벽비탈면에 녹화면을 시공하면 제4도에 예기한 바와 같이 비탈암벽은 율석층(21)과 블록판(1) 및 지지블록(2)(2') 흙주머니(22), 그리고 토사적재부(1')에 채운 토사층(23)으로 전면이 덮어지게 되고 용수 및 우수의 배수가 잘 되므로 풍화작용의 현상은 극도로 억제되므로 암석덩어리가 전락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살풍경한 암벽면을 녹화할 수 있어 미려한 경관을 장구히 유지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직사각형 평판체의 전연부를 상향 만곡시켜 토시적재부(1')를 형성하고 후반부에는 장방형공(5)(5')을 천설하며, 그 외측격벽(6)과 중간격벽(6')에는 돌출부(7)와 요입부(8)가 형성하여 그 중심부 및 양측에 상하로 관통된 보강공(9)(9')을 천설하고 중간격벽(6)의 보강공(9) 내벽에 앙카철선체결고리(10)를 돌설하고 그 하측에 철선안내홈(11)을 설치하여서 된 합성수지제 블록판(1)과 그 블록판(1)의 상부에 적상할 수 있게 상기한 돌출부(7) 및 요입부(8)와 계합하는 돌출부(13)(13')와 요입부(14)(14')를 상하면에 형성하고 중앙 및 양측에 공동부(15)(15')를 형성한 장방형의 대소형의 시멘트 지지블록(2)(2')으로 구성되는 암벽녹화 블록.
  2. 암벽비탈면의 밑부분에 비탈면과 직각으로 되게 현장 타설한 콘크리트 기초 상부에 토사적재부와 장방형공을 전·후반부에 형성한 합성수비제 블록판을 연접 재치하여 각 블록판을 암벽면에 고정한 앙카 보울트와 앙카 철선으로 체결시켜 고정하고 각 블록판의 의측격벽과 중간격벽 상면에 지지블록을 소정의 단수로 적상하고 그 적상된 블록판에 에해서 형성된 동일 연지연상의 장방형공을 통하여 수직상의 하중지기둠이 형성되게 흙주머니를 쌓아 올린 다음 그 상부에 다시 블록판을 재치 고정하는 요령으로 다층의 블록판을 축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 녹화블록의 축조공법.
KR1019810004663A 1981-12-01 1981-12-01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KR83000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663A KR830002878B1 (ko) 1981-12-01 1981-12-01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663A KR830002878B1 (ko) 1981-12-01 1981-12-01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878B1 true KR830002878B1 (ko) 1983-12-29

Family

ID=1922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663A KR830002878B1 (ko) 1981-12-01 1981-12-01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8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254A (en) Modular structures,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280121B1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EP0067551B1 (en) Reinforced earth structures and facing units therefor
AU2014237379B2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US5163261A (en) Retaining wall and soil reinforcement subsystems and construction elements for use therein
US55824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nchored earth restraining wall
US7114887B1 (en) Modular block anchoring techniques
US6416260B1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US8684633B2 (en) Modular block connecting techniques
US5356242A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ably connecting wall facing panels to the soldier beams of a tie-back or anchored wall
KR830002878B1 (ko) 암벽녹화블록 및 그 축조공법
KR100372821B1 (ko)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WO1990015909A1 (en) Formwork for forming structural beams
US5558470A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ably anchoring traffic barriers and wall facing panels to the soldier beams of a wall
JP3778392B2 (ja) 基礎ブロック
KR102600811B1 (ko)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JPS6011168Y2 (ja) 法面用土留壁構造体
KR100346947B1 (ko) 석축 보강 및 옹벽 공사방법
JPS6043495B2 (ja) 擁壁の構築方法
CA2630073A1 (en) Modular block structures
CA1261639A (en) El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steep slopes that can be sodded
JPH111927A (ja) 法面の土留工法とその土留壁構造体
JPS6344042A (ja) 発泡ブロツク構築物におけるアンカ−装置
JP2004169294A (ja) 富士山の崩壊予防方法
JPH07189271A (ja) 植栽ブロッ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