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75B1 - 방수용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용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75B1
KR100414975B1 KR10-2001-0034902A KR20010034902A KR100414975B1 KR 100414975 B1 KR100414975 B1 KR 100414975B1 KR 20010034902 A KR20010034902 A KR 20010034902A KR 100414975 B1 KR100414975 B1 KR 100414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main body
shee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451A (ko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Priority to KR10-2001-003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7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향 개방되면서 소정의 방수액이 저장되도록 내부를 하향 요입되게 한 공간(11)을 가지며, 내부 공간(11)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롤러(12)가 구비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의 상단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21)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권취 롤(60)을 권취하는 롤러(22)가 구비되는 롤 거치부(20)와; 상기 롤 거치부(20)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의 상단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외측방으로 구비되는 제2지지대(31)와 상기 제2지지대(3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롤러(32)가 구비되는 가이드부(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방수액이 침잠된 시트(61)를 인출시켜 시공면(70)에 간단히 부착시키는 손쉬운 시공성과 공기의 단축 및 간편한 작업성과 함께 보다 적은 인력으로도 충분히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수용 시공장치{Construction apparatus for water-proof}
본 발명은 방수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형으로 구비되는 망사형 시트가 방수액을 통과하면서 인출되도록 하여 방수액이 일체로 함침된 상태에서 필요로 하는 길이로 시공면에 바로 부착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용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이나 주차장 상부 그리고 지하실 외벽 및 공동구등에는 외부의 습기로부터 건물의 벽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수 공사를 하게 된다.
방수 공사는 방수용 판재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과중한 비용과 시공성이 좋지 못해 현재는 주로 벽면에 직접 방수액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방수 공사를 하고자 하는 시공면(1)인 벽면이나 바닥면에 우선 방수액을 일정한 두께로서 도포한 후 이 방수액의 표면이 건조되기를 기다려 망사의 형상인 시트(3)를 건조된 방수액막(2)에 부착한다.
시트(3)는 방수액의 흘러내림이나 마감재와의 접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보강재로서 구비되는 것으로서, 통상 일정 폭의 롤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시공시에는 시공 부위의 길이를 감안하여 알맞은 길이로서 재단해서 사용하게 된다.
시트(3)를 방수액막(2)에 부착시에는 2인 이상의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방수액막(2)의 표면으로 전체 또는 군데군데 묻히게 하므로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시트(3)를 방수액막(2)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공구가 방수비이며, 이외에도 시공 작업시 소요되는 가위 또는 여타의 공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방수층은 상술한 바와같이 방수액 도포와 보강재인 시트(3)를 교호로 도포 및 부착하므로서 필요로 하는 두께로서 형성하게 된다.
다시말해 도 2에서와 같이 방수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방수액막(2)에 망사형 시트(3)를 부착하고, 다시 망사형 시트(3) 위로 방수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방수액막(2)을 형성하고, 또다시 망사형 시트(3)를 부착하게 되는 방식으로 필요로 하는 두께로서 형성시킨 후 마지막에는 마감재로 커버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방수층을 형성하게 되면 시공면에 일일이 방수액을 도포해야만 하고, 또한 도포된 방수액이 건조되길 기다려야 하므로 작업 인력과 시공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함께 도포된 방수액막(2)에 보강재인 시트(3)를 부착시 시트(3)의 부착이 불균일하므로 부착이 미약한 부위가 다수 발생되어 박리되는 현상이 다수 발생되기도 하고, 특히 시트(3)가 한쪽으로 쏠리면서 부착면으로부터 들뜨게 되는 작업 불량과 부착하기 전에 우선 시트(3)를 필요로 하는 길이로서 일일이 재단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부착면으로부터 들뜨게 되는 부분이 다수 발생되면 방수액의 유실이 많아지게 되므로서 재료비를 증가시키게 되고, 특히 방수액 도포 및 시트(3)의 부착을 위한 인력의 과다 소요로 노무비가 증가되므로서 결국 인건비 상승이라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롤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시트를 인출시 방수액에 잠시 침잠되도록 하면서 바로 시공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속도와 인건비를 절감시키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길이로 시트를 인출시켜 부착시킨 상태에서 절단만 하면 되므로 시트 재단의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편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 벽면의 방수층 구조도,
도 2는 방수층을 복층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시공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거치부에서의 제1지지대의 안치홈을 예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보관 및 이동시의 접혀지는 상태를 예시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수용 시공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방수 시공을 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1 : 공간
12 : 롤러 20 : 롤 거치부
21 : 제1지지대 22 : 롤러
30 : 가이드부 31 : 제2지지대
32 : 롤러 50 : 방수액
60 : 권취 롤 61 : 시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향 개방되면서 소정의 방수액이 저장되도록 내부를 하향 요입되게 한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롤러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의 상단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권취 롤을 권취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롤 거치부와; 상기 롤 거치부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의 상단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외측방으로 구비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용 시공장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부호 10은 본체부로서, 본체부(10)는 상향 개방되면서 소정의 깊이로 하향 요입되는 공간(11)을 갖는 구성이다.
본체부(10)의 공간(11)에는 소정량의 방수액이 채워지게 되는 부위이며, 이러한 공간(11)에는 하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롤러(12)가 축지지되도록 한다.
이때의 롤러(12)는 공간(11)의 하부에서 하나만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으로 각각 2개의 롤러(12)가 구비되는 구조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본체부(10)는 특히 도시한 바와같이 저면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름수단(13)이 구비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체부(10)에는 상단부의 양측으로 각각 롤 거치부(20)와 가이드부(30)가 구비되도록 한다.
롤 거치부(20)는 소정의 두께로 권취된 롤형상의 권취 롤이 지지되도록 하는 부위로서, 크게 제1지지대(21)와 롤러(22)로서 이루어진다.
제1지지대(21)는 하단이 본체부(10)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형상이다.
한편 제1지지대(21)는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양끝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 구조물이다.
롤러(22)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1지지대(2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권취 롤을 걸 수 있도록 한 실질적인 권취 롤의 거치부재이다.
한편 롤러(22)는 제1지지대(21)로부터 탈장착이 되야 하므로 제1지지대(21)의 상단부는 도 5에서와 같이 상단부가 롤러(22)의 양끝단부의 직경보다는 같거나 큰 직경으로 상향 개방되는 안치홈(21a)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부(30)는 본체부(10)의 상단부에서 일측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롤 거치부(20)와 대응되는 타측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본체부(10)의 끝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형상이다.
가이드부(30) 또한 롤 거치부(20)와 마찬가지로 제2지지대(31)와 롤러(32)로서 이루어진다.
즉 제2지지대(31)는 도 6에서와 같이 롤 거치부(20)의 제1지지대(21)와 같이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공간(11)의 양끝단부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제2지지대(31)의 본체부(10)에 고정되는 일단은 도 7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공간(11) 내측에서 상단부측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게 하므로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타단이 공간(11)의 상단부로 회전하여 위치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한쌍의 제2지지대(31)간으로는 제2지지대(31)의 하단부와 상단부측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권취 롤로부터 인출되는 시트의 안전한 인출을 위한 롤러(32)를 각각 구비되게 한다.
가이드부(30)에서의 롤러(32)는 롤 거치부(20)에서의 롤러(22)와는 달리 제2지지대(31)로부터 굳이 탈장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순히 회전 가능하게 제2지지대(31)간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부(30)의 상단부측으로 구비되는 롤러(32)는 인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롤러(32)의 일단이 제2지지대(31)의 외측에서 조작 핸들(40)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2a는 가이드부(30)의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2지지대(31)간을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봉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본 발명은 우선 시공면이 수직면인 경우에는 건물의 최상부에, 만일 바닥면인 경우에는 일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공면측으로 가이드부(30)가 위치되도록 한 후 도 8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공간(11)에 소정량의 방수액(50)을 채우고, 롤 거치부(20)의 롤러(22)에는 권취 롤(60)이 거치되도록 한다.
거치된 권취 롤(60)로부터 시트(61)를 인출시켜 공간(11)에 침잠되도록 하면서 공간(1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12)를 권회하여 다시 타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30)의 각 롤러(32)를 통해 인출되도록 한다.
한편 시트(61)를 인출시 미리 공간(11)에 방수액(50)을 채우게 되면 작업자의 손이 오염될 수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시트를 인출시킨 뒤 방수액(50)이 채워지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트(61)의 인출 끝단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체(62)를 달아 매어 인출되는 시트(61)가 이 중량체(62)에 의해서 올바르게 시공면(70)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시트를 인출시키게 되면 시트에 방수액(50)이 도포되는 상태로 인출되므로 이를 도 9에서와 같이 시공면(70)에 밀착시키고, 별도의 공구 즉 방수비등을 이용하여 긴밀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시공면(70)에 시트(61)를 부착한 후 상단부에서 시트(61)를 절단하고, 일정 시간을 기다려 방수액(50)이 건조되면 다시 그 위로 재차 전술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시트(61)를 부착하여 필요로 하는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방수용 시공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종전과 같이 시공면에 방수액을 도포한 후 다시 보강용 시트를 부착시키는 이중의 작업을 생략하고, 방수액(50)이 침잠된 상태인 시트(61)를 인출시켜 시공면(70)에 바로 부착시키기만하면 되므로 시공 공정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전과 같이 망사형 시트를 부착하기 전에 필요로 하는 길이로 미리 재단할 필요없이 시공면(7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단부를 절단만 하면 되므로 재단의 번거로움이 생략되면서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가 있도록 한다.
그리고 건조시킨 방수액막에 망사형 시트를 부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다수의 작업 인력이 필요로 되었으나 본 발명을 이용한 시공에서는 보다 적은 인력으로도 손쉽게 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작업 인력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시공장치를 이용해서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방수액이 침잠된 시트(61)를 인출시켜 시공면(70)에 간단히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보다 손쉬운 시공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시트(61)에 방수액(50)이 미리 침잠되게 한 상태에서 단순히 이를 인출하여 부착시키기만 하므로 공정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가 있으므로 공기의 단축이 기대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간편한 작업성과 함께 보다 적은 인력으로도 충분히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가 있는 매우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상향 개방되면서 소정의 방수액(50)이 저장되도록 내부를 하향 요입되게 한 공간(11)을 가지며, 내부 공간(11)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롤러(12)가 구비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의 상단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권취 롤(60)을 거치하는 롤러(22)가 구비되는 롤 거치부(20)와;
    상기 롤 거치부(20)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의 상단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외측방으로 구비되는 제2지지대(31)와 상기 제2지지대(3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롤러(32)가 구비되는 가이드부(30);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저면에는 이동이 가능토록 구름수단(13)이 구비되는 방수용 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롤러(12)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방수용 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거치부(20)의 제1지지대(21)에는 상단부로 권취 롤(60)을 거치할 수 있는 안치홈(13)을 형성한 방수용 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0)의 제2지지대(31)에는 외측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롤러(32)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 핸들(40)이 구비되는 방수용 시공장치.
KR10-2001-0034902A 2001-06-20 2001-06-20 방수용 시공장치 KR10041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902A KR100414975B1 (ko) 2001-06-20 2001-06-20 방수용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902A KR100414975B1 (ko) 2001-06-20 2001-06-20 방수용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451A KR20020096451A (ko) 2002-12-31
KR100414975B1 true KR100414975B1 (ko) 2004-01-16

Family

ID=2771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902A KR100414975B1 (ko) 2001-06-20 2001-06-20 방수용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2A (ja) * 1985-04-16 1986-01-07 東和工業株式会社 防水シ−トの施工方法
JPS62182323U (ko) * 1986-05-09 1987-11-19
JPH0842090A (ja) * 1994-07-29 1996-02-13 Kyokuto Sanki Co Ltd 防水シートの貼付け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2A (ja) * 1985-04-16 1986-01-07 東和工業株式会社 防水シ−トの施工方法
JPS62182323U (ko) * 1986-05-09 1987-11-19
JPH0842090A (ja) * 1994-07-29 1996-02-13 Kyokuto Sanki Co Ltd 防水シートの貼付け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451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3412B1 (en) Apparatus for unrolling rolls of insulation in vertical strips from the top down
RU252100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защитных сеток на стены тоннелей или потолки тоннелей
US5425143A (en) Multiple pool cover deployment method and apparatus
US6105938A (en) Agricultural elevation system
KR100414975B1 (ko) 방수용 시공장치
US3830441A (en) Method of installation of thermal building insulation and stretchers therefor
US4069283A (en) Method of curing and protecting a concrete column
KR100258417B1 (ko) 벽면작업용로봇장치
SU670698A1 (ru) Консольное покрытие
CN116497675B (zh) 一种道路施工用多功能养护设备及其使用方法
CN214298719U (zh) 一种用于自动抹灰机的链条自动收放装置
CH677198A5 (en) Permanently mounted facade cleaning apparatus - has jib on roof for cabin cleaning suspension and guiding cables, also frames with suction cups
CN219325392U (zh) 一种屋面预制板加工装置
JP2571872Y2 (ja) クレーン用ワイヤ巻き替えウインチ
KR20090004874U (ko)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CN220784361U (zh) 一种混凝土养护装置
CN210115298U (zh) 贴合机沾灰筒架结构
JP2987321B2 (ja) 仮設テントにおけるシートの開閉機構
JP3745855B2 (ja) 屋根状空気膜構造体
CN215923145U (zh) 一种施工材料用的放置装置
CN219950141U (zh) 一种通信线缆收放装置
RU2717779C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обоев
CN207823310U (zh) 一种bopp薄膜表面eva涂覆装置
JPH0518385Y2 (ko)
JPH084311A (ja) 住宅建築作業用の仮設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