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27B1 - 핸즈프리킷을 통해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전화기 및 그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핸즈프리킷을 통해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전화기 및 그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27B1
KR100414927B1 KR10-2001-0024174A KR20010024174A KR100414927B1 KR 100414927 B1 KR100414927 B1 KR 100414927B1 KR 20010024174 A KR20010024174 A KR 20010024174A KR 100414927 B1 KR100414927 B1 KR 100414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portable telephone
virtual machine
extended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001A (ko
Inventor
최용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핸즈프리킷을 통해 다른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버츄얼 머신과, 버츄얼 머신 어플리케이션과, 확장된 명령에 의해 상기 버츄얼 머신을 기동하는 버츄얼 머신 기동부와, 확장된 명령에 의해 상기 버츄얼 머신상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동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즈프리킷은 자신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가 다른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 혹은 외부의 부가 단말기기로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을 배분해주기 위한 디스트리뷰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은 기존의 핸즈프리킷에 다른 프로토콜을 캡슐화시켜 넣을 수 있도록 명령을 마련하며, 상기 명령에는 상기 부가 단말기의 종류와 휴대용 전화기 내에 연결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즈프리킷을 통해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 및 그 프로토콜{PORTABLE TELEPHONE CAPABLE OF COMMUNICATION WITH AUXILIARY DEVICE THROUGH HANS-FREE KIT AND PROTOCOL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부가 단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즈프리킷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와 다른 부가 단말기기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와 핸즈프리킷이 연결된 이후에는 휴대용 전화기에다른 부가 단말기를 연결할 수가 없다. 휴대용 전화기에 다른 부가 단말기를 부착하면 휴대용 전화기의 고유 기능인 음성통신기능은 사용하지 못하게 되며, 음성통신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면 휴대용 전화기를 다시 핸즈프리킷에 옮겨야 하는 불편이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 안에서는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하는 부가 단말기를 하나밖에 사용할 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차량에 이미 핸즈프리킷을 장착해놓았다면 다른 부가 단말기의 구입도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안에서의 휴대용 전화기에 핸즈프리킷을 포함해서 여러 부가 단말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핸즈프리킷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와 다른 부가 단말기기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프로토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즈프리킷을 통해 다른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버츄얼 머신과, 버츄얼 머신 어플리케이션과, 확장된 명령에 의해 상기 버츄얼 머신을 기동하는 버츄얼 머신 기동부와, 확장된 명령에 의해 상기 버츄얼 머신상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동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즈프리킷은 자신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가 다른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 혹은 외부의 부가 단말기기로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을 배분해주기 위한 디스트리뷰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은 기존의 핸즈프리킷에 다른 프로토콜을 캡슐화시켜 넣을 수 있도록 명령을 마련하며, 상기 명령에는 상기 부가 단말기의 종류와 휴대용 전화기 내에 연결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핸드폰에 핸즈프리킷을 통해 다른 외부 단말기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상기 핸드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핸드폰에 핸즈프리킷을 통해 다른 외부 단말기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핸즈프리킷과 다른 외부 단말기 및 핸드폰과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핸드폰에 핸즈프리킷을 통해 다른 외부 단말기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상기 핸드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전화기 100, 핸즈프리킷 300, 기타 부가 단말기 200, 그리고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 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전화기 100은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 400을 지원하는 것으로, 타 기능은 기존의 휴대용 전화기와 같다. 상기 핸즈프리킷 300은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 400을 지원하며 경우에 따라 다른 부가 단말기를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 400은 핸드폰 100과 핸즈프리킷 300 및 기타 부가 단말기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기존의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을 확장시킨 것이다. 이는 기존의 핸즈프리킷에 다른 프로토콜을 캡슐화시켜 넣을 수 있도록 명령을 마련하여 해결한다. 이 명령에는 부가 단말기의 종류와 휴대용 전화기 내에 연결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참조부호 D는 휴대용 전화기에 버츄얼 머신(virtual machine)이 존재할 경우 프로토콜 400에서 언급된 명령 이후를 버츄얼 머신상의 적절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배분하는 것을 나타낸다.
버츄얼 머신 기동부 E는 확장된 명령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의 버츄얼 머신을 기동한다.
어플리케이션 기동부 F는 확장된 명령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의 버츄얼 머신상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참조부호 300은 상기 핸즈프리킷 이외에 상기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 400을 이용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부가 단말기이다.
디스트리뷰터 H는 핸즈프리킷 300에서 부가 단말기기 300 혹은 상기 핸즈프리킷 300내의 핸즈프리기능 블록(HFK) I 혹은 핸즈프리킷 300내의 부가기능 블록 J로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 400을 배분해준다.
도 2는 핸드폰에 핸즈프리킷을 통해 다른 외부 단말기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핸즈프리킷과 다른 외부 단말기 및 핸드폰과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다.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은 인캡슐 영역 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영역 2, 크기 영역 3, 그리고 내부 프로토콜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부가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킷의 경우를 설명한다.
(1) 핸즈프리킷에서 휴대용 전화기으로의 정보 전송시 일반적인 핸즈프리 동작은 기존과 같이 동작한다. 여기서 핸즈프리킷 300에서 휴대용 전화기 100으로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 400이 전송되는 경우, 휴대용 전화기 100은 D에 의하여 해당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의 인캡슐된 부가 프로토콜을 해석하여 버츄얼 머신 C상에 있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이때 버츄얼 머신 C이 기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버츄얼 머신 기동부 E에 의하여 버츄얼 머신을 기동하고 어플리케이션 기동부 F에 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켜 D에 의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2) 휴대용 전화기에서 핸즈프리킷으로의 정보 전송시 일반적인 핸즈프리 동작은 기존과 같이 동작한다. 여기서 휴대용 전화기 100에서 핸즈프리킷 300으로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 400이 전송되는 경우, 디스트리뷰터 H는 해당하는 부가기능을 갖는지 확인하고 부가 기능을 갖는 경우 해당 부가 기능을 동작시킨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핸즈프리킷에 부가 단말기가 다시 연결된 경우를 설명한다.
전술한 (1)과 같으나 핸즈프리킷 300으로 전송된 프로토콜 400이 핸즈프리킷 300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스트리뷰터 H는 부착된 다른 부가 단말기 부가 단말기기 300을 확인한다. 부착된 다른 부가 단말기기 300이 있으면 디스트리뷰터 H는 전송된 프로토콜 400을 부가 단말기기 300으로 바이패스(bypass)시킨다.
반대로, 부착된 다른 부가 단말기기 300이 핸즈프리킷 300으로 프로토콜 400을 전송한 경우, 디스트리뷰터 H는 휴대용 전화기 100으로 바이패스시키며 다음 동작은 상기 (1)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와 핸즈프리킷은 핸즈프리킷 자체에 부가기능[항법(navigation) 등]을 추가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핸즈프리킷에 다시 휴대용 전화기의 부가 단말기를 추가하여 연결시킬 수 있어 차량 안에서의 휴대용 전화기에 부가 단말기 접속에 있어서 확장성을 부여한다. 또한 부가 단말기 접속의 확장성을 통하여 버츄얼 머신상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구현과 기능 부여가 가능하다.

Claims (5)

  1. 핸즈프리킷을 통해 다른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버츄얼 머신과,
    버츄얼 머신 어플리케이션과,
    확장된 명령에 의해 상기 버츄얼 머신을 기동하는 버츄얼 머신 기동부와,
    확장된 명령에 의해 상기 버츄얼 머신상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동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은 기존의 핸즈프리킷에 다른 프로토콜을 캡슐화시켜 넣을 수 있도록 명령을 마련하며, 상기 명령에는 부가 단말기의 종류와 휴대용 전화기 내에 연결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 휴대용 전화기에서 핸즈프리킷을 통해 다른 부가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지원하는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이, 인캡슐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영역과, 크기 영역, 그리고 내부 프로토콜 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4. 자신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가 다른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 혹은 외부의 부가 단말기기로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을 배분해주기 위한 디스트리뷰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핸즈프리킷 프로토콜은 기존의 핸즈프리킷에 다른 프로토콜을 캡슐화시켜 넣을 수 있도록 명령을 마련하며, 상기 명령에는 상기 부가 단말기의 종류와 휴대용 전화기 내에 연결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킷.
KR10-2001-0024174A 2001-05-03 2001-05-03 핸즈프리킷을 통해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전화기 및 그 프로토콜 KR100414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74A KR100414927B1 (ko) 2001-05-03 2001-05-03 핸즈프리킷을 통해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전화기 및 그 프로토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74A KR100414927B1 (ko) 2001-05-03 2001-05-03 핸즈프리킷을 통해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전화기 및 그 프로토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001A KR20020085001A (ko) 2002-11-16
KR100414927B1 true KR100414927B1 (ko) 2004-01-13

Family

ID=2770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174A KR100414927B1 (ko) 2001-05-03 2001-05-03 핸즈프리킷을 통해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전화기 및 그 프로토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5056A (ja) * 1999-03-23 2000-10-06 Sony Corp 車載用通信システム
KR20010059488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핸즈프리킷과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항법 장치
KR20010076599A (ko) * 2000-01-27 2001-08-16 이인수 휴대폰과 일체화되는 핸즈프리시스템
KR20020080773A (ko) * 2001-04-17 200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외장형 모듈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5056A (ja) * 1999-03-23 2000-10-06 Sony Corp 車載用通信システム
KR20010059488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핸즈프리킷과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항법 장치
KR20010076599A (ko) * 2000-01-27 2001-08-16 이인수 휴대폰과 일체화되는 핸즈프리시스템
KR20020080773A (ko) * 2001-04-17 200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외장형 모듈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001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6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and wireless protocol capability to a wireless device, such as a wireless phone
EP1270348B1 (en) Wireless user interface extension
US20030092384A1 (en) Piconetwork radiotelephone interfaces for vehicles including wireless pointing and display devices
US2002014280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r mounted electronic device
CN101808276A (zh) 一种车载通信终端及车载通信系统
JP2008053805A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US6879844B2 (en) Telephone dialing apparatus capable of directly downloading telephone directory from mobile phon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KR20040068956A (ko)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용 착탈식 하우징 커버
US8755792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040757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사용자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KR100414927B1 (ko) 핸즈프리킷을 통해 부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전화기 및 그 프로토콜
JP2010263558A (ja) 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メール操作装置
JP2003502900A (ja) 接合回路と関連方法および回路を含むマルチモード無線電話機
CN1630322B (zh) 车载通讯系统
KR100844734B1 (ko)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텔레매틱스 시스템
KR20010110378A (ko) 복수 단말기 교체와 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 모듈
JP2002057785A (ja) 自動車電話装置
JP2002537703A (ja) 無線ハンドセット
JP2917886B2 (ja) 無線電話機の操作支援システム
KR20020035298A (ko) 유에스비 포트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74587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3019889B2 (ja) 移動電話機
JP2002290538A (ja) 車両の無線通話システム
JP3062269U (ja) 各種携帯電話に適用する音声或いは外部ダイヤル式ハンドフリ―通話器の信号線
KR100610847B1 (ko) 차량 핸즈프리용 블루투스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