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867B1 -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그를 탑재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그를 탑재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867B1
KR100414867B1 KR10-2001-0087793A KR20010087793A KR100414867B1 KR 100414867 B1 KR100414867 B1 KR 100414867B1 KR 20010087793 A KR20010087793 A KR 20010087793A KR 100414867 B1 KR100414867 B1 KR 10041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microcontroller
output
pi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717A (ko
Inventor
배종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8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8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DS와의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입력핀; 상기 입력핀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생성수단;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핀;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동작모드 이외의 특정모드에서 상기 출력핀을 사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신호(EA)를 상기 출력핀으로 전달하는 제1스위칭수단;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출력노드와 상기 출력핀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클럭발생수단의 출력노드로부터 상기 출력핀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고, 상기 특정모드에서는 디스에이블되는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그를 탑재한 시스템{Micro controller with low noise clock generator and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장형 클럭생성기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탑재한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클럭생성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는 클럭에 동기되어 동작되며, 이러한 클럭을 외부에서 직접 인가받거나 클럭생성기를 내장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내부에서 생성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클럭생성기를 내장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되는 클럭생성기는 통상 외부에 수정 발진자(crystal osilator)의 안정된 소신호 클럭을 입력받아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MDS(Micro controller Developement System : 이하 "MDS"라 한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한 시스템 개발시에,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된 시스템의 프로토 타입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모듈이외에 기억장치, 콘솔, 프린터, 에뮬레이터 및 프로그래머블 메모리를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등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되는 종래의 클럭생성기와 그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클럭 입력핀(XTAL_in)과, 클럭 출력핀(XTAL_out) 및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다.
상기 내장형 클럭생성기는 클럭 입력핀(XTAL_in)을 입력으로 하고 클럭 출력핀(XTAL_out)을 출력으로 하는 인버터(11)와, 인버터(11)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바이어스 저항(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장형 클럭생성기에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소스(30)는 내장형 클럭생성기의 클럭 입력핀(XTAL_in)과 클럭 출력핀(XTAL_out)에 클럭을 생성하는 수정 발진기(Quartz crystal oscilator)(33)와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캐패시터(31, 32)로 구성된다.
상기 수정 발진기(33)에서 생성되는 클럭은 미약한 전위레벨을 가진 소신호로서 내장형 클럭생성기는 상기 소신호를 폴-스윙된 클럭 신호로 만든다. 즉, 소신호는 클럭 입력핀(XTAL_in)으로 입력되어 상기 인버터(10)에서 반전되면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 전위 레벨로 풀업(pull-up) 또는 풀다운(pull-down)되어 클럭 출력핀(XTAL_out)으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클럭 출력핀(XTAL_out)의 출력은 다시 수정 발진기(33)로 피드백되어 풀스윙(full swing)하는 클럭 신호로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회로로 인가된다.
도 2는 개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내장형 클럭생성기와 MDS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서 MDS 지원등의 특수한 용도에 사용되는 핀을 클럭핀과 공유하기 위한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입력핀(XTAL_in)과, 상기 입력핀(XTAL_in)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클럭 생성모드일때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생성기(41)와, MDS 지원모드일때 마이크로 컨트롤러(40)의 내부신호(EA)를 클럭 출력핀(XTAL_out)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및 제2 스위칭부(42. 43)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40) 및 MDS 지원모드시 상기 입력핀(XTAL_in)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내부에 클럭을 제공하는 외부클럭생성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클럭생성기(41)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한 시스템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발진기이며, MDS 모드 선택신호(MDS)에 따라 두가지의 모드(mode)로 동작되는 바, 상기 MDS 모드 선택신호(MDS)가 "로우"이면 상기 스위치(42)가 액티브되어 클럭 생성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MDS 모드 선택신호(MDS)가 "하이"이면 상기 스위치(43)가 액티브되어 MDS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MDS 모드 선택신호(MDS)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된 제어 레지스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생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MDS 시스템에 탑재되어 운용될때는 하이 레벨이 출력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출력되도록 셋팅된다.
클럭 생성모드에서는 클럭 입력핀(XTAL_in)을 통해 외부의 수정 발진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입력된 소신호 레벨의 클럭신호가 클럭생성기(41)에서 증폭된후 스위치(42)의 입력단에 인가되어 클럭 출력핀(XTAL_out)을 통해 외부의 수정 발진기로 피드백되고, 수정 발진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는 이를 다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클럭생성기(41)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내부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도 1에 도시된 통상적인 클럭생성기로서 동작하게 된다.
한편, MDS 지원모드로 동작할때는 MDS 모드 선택신호(MDS)에 응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내부의 칩에서 출력되는 내부 신호(EA)를 스위치(43)의 입력단으로 인가받아 출력하며, MDS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클럭생성기(41)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MDS 시스템(60)에 별도의 외부클럭생성기(50)를 추가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40)의 클럭 입력핀(XTAL_in)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로 클럭(clock)을 전달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된 클럭생성기(41)의 클럭 출력핀(XTAL_out)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클럭 출력핀(XTAL_out)을 MDS 지원 등 특수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최초 설계시 주파수 특성이 결정되며, 최대 동작 주파수까지는 일정한 출력진폭을 유지하도록 설계되므로 입력핀(XTAL_in)으로 인가되는 클럭 이외에도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MDS 시스템에서 혼입된 잡음 성분을 최소 동작 주파수에서 최대 동작 주파수에 걸쳐 일정한 진폭을 갖도록 증폭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MDS 시스템에 인가되는 클럭이 최대 동작 주파수 보다 낮은경우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함께 증폭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에 노이즈가 증가하여 잡음특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클럭 소스에 의한 노이즈를 줄이면서도 클럭 출력 핀을 다른 용도에 사용되는 핀과 공유할 수 있는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그를 탑재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되는 클럭생성기를 도시한 블럭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기술에 따른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MDS와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와 그에 따른 MDS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2클럭생성부 200 : 제1클럭생성부
300 : 제1스위칭부 400 : 제2스위칭부
500 : 제어 레지스터
MDS : Micro controller Developement System
EA :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신호
XTAL_out :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클럭 출력핀
XTAL_in :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클럭 입력핀
XTAL_I : MDS의 클럭 입력핀
XTAL_O : MDS의 클럭 출력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입력핀; 상기 입력핀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생성수단;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핀;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동작모드 이외의 특정모드에서 상기 출력핀을 사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신호(EA)를 상기 출력핀으로 전달하는 제1스위칭수단;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출력노드와 상기 출력핀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클럭발생수단의 출력노드로부터 상기 출력핀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고, 상기 특정모드에서는 디스에이블되는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잡음 클럭생성기를 내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그를 포함한 MDS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탑재한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외부에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입력핀(XTAL_in)과, 상기 입력핀(XTAL_in)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풀-스윙 증폭하여 클럭을 생성하는 제1클럭생성부(200)와, 상기 제1클럭생성부(200)로부터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에 출력하는 출력핀(XTAL_out)과,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MDS 모드로 동작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신호(EA)를 상기 출력핀(XTAL_out)으로 전달하는 제1스위칭부(400)와, 제1클럭생성부(200)의 출력노드와 상기 출력핀(XTAL_out)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된 제1클럭생성부(200)가 클럭 생성 모드일때는 상기 제1클럭생성부(200)의 출력노드로부터 상기 출력핀(XTAL_out)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고, 상기 MDS 모드에서는 디스에이블되는 제2스위칭부(300) 및 상기 제1 스위칭부(400)와 제2 스위칭부(300)의 스위치(300a ∼ 300n)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제어 레지스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MDS 모드에서 상기 입력핀(XTAL_in)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내부회로에 클럭을 제공하는 제2클럭생성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클럭생성부(200)는 상기 입력신호를 풀-스윙 증폭하여 클럭을 생성하는 인버터(210) 및 상기 인버터(210)의 입력노드 및 출력노드 사이에 접속된 저항(220)을 포함하여 실시 구성되며,
상기 제2 스위칭부(300)는, 상기 제1클럭생성부(200)의 출력노드로부터 상기 출력핀(XTAL_out) 사이에 병렬접속된 다수의 스위치(300a ∼ 300n)를 포함하여 실시 구성되며,
상기 제어 레지스터(5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MDS 모드로 동작시에는 제1스위칭부(400)를 인에이블 시키고, 클럭 생성모드 일때는 각각의 스위치(300a ∼ 300n)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을 가진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내장된 제1클럭생성부(200)가 클럭 생성모드로 동작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클럭 입력핀(XTAL_IN)과 클럭 출력핀(XTAL_out)에는 수정 발진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통상적인 마이크로 컨트롤러로서 동작하며, 수정 발진기에서 생성되는 소신호를 제1클럭생성부(200)에서 풀-스윙된 출력신호로 만든다.
이어서, 제2스위칭부(300)에서는 제어 레지스터(5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sw1 ∼ swn)에 응답하여 스위치(300a ∼ 300n)중 적어도 하나를 단락시킨다.
이때, 제2스위칭부(300)를 제어하는 제어 레지스터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되어 있으며, 설계자에 의해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영역으로 인텔社의 8051 계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경우 SFR(Special Function Register)영역에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위칭부(300)를 제어하는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레제스터(500)를 예로 들었으나, 이 외에도 마이크로 컨트롤러 내부에 별도의 제어회로를 두어 이를 구현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인가되는 클럭이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동작하는 최대 주파수보다 낮은경우 설계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인가되는 클럭에 맞추어 스위치(300a ∼ 300n)중 필요한 갯수를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도록 프로그래밍 하여 클럭 입력핀(XTAL_in)과 클럭 출력핀(XTAL_out) 사이에 위치하는 인버터의 이득을 조절하여 인가된 클럭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이득이 감소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300a ∼ 300n)는 각각 일정한 저항 성분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스위치(300a ∼ 300n)가 단락되는 갯수에 따라 제1클럭생성부(200)에 내장된 인버터(210)의 출력단을 출력핀(XTAL_out)과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된 제1클럭생성기(200)가 MDS 모드로 동작할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반도체 소자는 한번 회로가 결정되고 그 회로에 따라회로 디자인이 완성되면 추가적인 기능 및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것이 쉽지 않다.
원하는 회로를 집적회로화한 후, 이 집적회로를 테스트하기 위해 MDS 시스템에 탑재시 MDS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추가적인 신호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외부에 있는 제2클럭생성기(100)에 의해 클럭을 생성하고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인가하여 제1클럭생성기(200)가 클럭 생성을 위해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여분으로 남게되는 출력핀(XTAL_out)을 MDS 지원을 위한 추가적인 신호선으로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MDS 지원을 위한 추가적인 신호선"은, MDS 시스템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테스트시, 기존의 패키징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입출력되는 신호 이외에도 테스트 목적에 의해 마이크로 컨트롤러 내부에서 생성되는 내부신호를 얻기 위한 신호선을 말한다.
또한, 제어 레지스터(500)를 프로그래밍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MDS 모드로 사용될때는 제1스위칭부(400)를 인에이블시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신호중 하나(EA)를 출력핀(XTAL_out)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스위치(300a ∼ 300n)를 온-오프 시키는 제어신호(sw1 ∼ swn)를 모두 디스에이블 시킨다.
여기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MDS 시스템에 탑재되는 MDS 모드로 동작시에는, 제1스위칭부(400) 및 제2스위칭부(30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내에 내장된 제어 레지스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에는 MDS 시스템 내에 제1스위칭부(400) 및 제2스위칭부(300)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회로를 구비하여도 되며, MDS 시스템에 탑재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테스트 목적에 따라 MDS 시스템 내에서도 독립적인 마이크로 컨트롤러로서 동작하여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칭부(40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내장하고 제2스위칭부(30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는 MDS 시스템에 내장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제2클럭생성부(100)로부터 인가된 클럭을 인가받아 동작하게 되며, 출력핀(XTAL_out)은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신호중 MDS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신호(EA)를 MDS 시스템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가 완료된 시점에서는 집적회로에 필요한 입출력 패드를 추가하는 일이 매우 어려우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MDS 시스템에 탑재시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추가적인 입출력 핀이 필요한 경우가 매우 많은 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MDS 시스템에 탑재되어 사용될때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잡음 클럭생성기가 단지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클럭 출력핀 하나를 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는것이 아니며, 시스템 개발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특정 노드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여분의 입출력 핀을 제공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인가되는 클럭에 따라 노이즈를 감소시키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MDS 시스템에 탑재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MDS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사용되는 시스템이나 에뮬레이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인가되는 클럭의 노이즈를 감소 시키며, MDS 시스템에 탑재되어 시스템 개발시 여분의 출력핀을 운용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응용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용이하다.

Claims (11)

  1.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입력핀;
    상기 입력핀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생성수단;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핀;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동작모드 이외의 특정모드에서 상기 출력핀을 사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신호(EA)를 상기 출력핀으로 전달하는 제1스위칭수단;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출력노드와 상기 출력핀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클럭생성수단의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클럭발생수단의 출력노드로부터 상기 출력핀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고, 상기 특정모드에서는 디스에이블되는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이크로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수단은,
    상기 클럭발생수단의 출력노드로부터 상기 출력핀 사이에 병렬접속된 다수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핀으로 인가되는 클럭에 따라 상기 각 스위칭소자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모드별로 상기 제1스위칭수단과 상기 제2스위칭수단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핀으로 인가되는 클럭에 따라 상기 각 스위칭소자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모드별로 상기 제1 스위칭수단과 상기 제2스위칭수단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생성수단은 상기 입력신호를 풀-스윙 증폭하여 클럭을 생성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입력노드 및 출력노드 사이에 접속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7.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탑재한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외부에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입력핀;
    상기 입력핀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풀-스윙 증폭하여 클럭을 생성하는 제1 클럭 생성수단;
    상기 제1 클럭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에 출력하는 출력핀;
    상기 제1클럭생성수단의 동작모드 이외의 특정모드에서 상기 출력핀을 사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신호(EA)를 상기 출력핀으로 전달하는 제1스위칭수단; 및
    상기 제1클럭생성수단의 출력노드와 상기 출력핀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클럭생성수단의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제1클럭발생수단의 출력노드로부터 상기 출력핀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고, 상기 특정모드에서는 디스에이블되는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특정모드에서 상기 입력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내부회로에 클럭을 제공하는 제2클럭생성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탑재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수단은,
    상기 제1클럭발생수단의 출력노드로부터 상기 출력핀 사이에 병렬접속된 다수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핀으로 인가되는 클럭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각 스위칭소자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모드별로 상기 제1스위칭수단과 상기 제2스위칭수단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핀으로 인가되는 클럭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각 스위칭소자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드별로 상기 제1스위칭수단과 상기 제2스위칭수단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1-0087793A 2001-12-29 2001-12-29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그를 탑재한 시스템 KR10041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793A KR100414867B1 (ko) 2001-12-29 2001-12-29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그를 탑재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793A KR100414867B1 (ko) 2001-12-29 2001-12-29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그를 탑재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717A KR20030057717A (ko) 2003-07-07
KR100414867B1 true KR100414867B1 (ko) 2004-01-13

Family

ID=3221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793A KR100414867B1 (ko) 2001-12-29 2001-12-29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그를 탑재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8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226B1 (ko) * 1995-12-11 1998-11-02 양승택 시스템 클럭 발생기
KR0158490B1 (ko) * 1995-06-12 1998-12-15 김광호 프로그래머블 직렬 입출력회로
KR19990072694A (ko) * 1998-02-17 1999-09-27 가네꼬 히사시 클럭출력회로를갖는장치
KR20010011569A (ko) * 1999-07-29 2001-02-15 윤종용 외부 시스템 출력에 동기된 비디오 신호 출력장치
WO2001020784A1 (en) * 1999-09-15 2001-03-22 Thomson Licensing S.A. Multi-clock integrated circuit with clock generator and bi-directional clock pin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490B1 (ko) * 1995-06-12 1998-12-15 김광호 프로그래머블 직렬 입출력회로
KR0152226B1 (ko) * 1995-12-11 1998-11-02 양승택 시스템 클럭 발생기
KR19990072694A (ko) * 1998-02-17 1999-09-27 가네꼬 히사시 클럭출력회로를갖는장치
KR20010011569A (ko) * 1999-07-29 2001-02-15 윤종용 외부 시스템 출력에 동기된 비디오 신호 출력장치
WO2001020784A1 (en) * 1999-09-15 2001-03-22 Thomson Licensing S.A. Multi-clock integrated circuit with clock generator and bi-directional clock pin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717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892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ode switch method
EP1266235B1 (en) Controllable and testable oscillator apparatus for an integrated circuit
JPH0865146A (ja) 論理パルスをスタティック論理レベルに変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415347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動作モード設定用入力回路
KR100337722B1 (ko) 플립플롭의리셋회로
KR100414867B1 (ko) 저잡음 내장형 클럭생성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그를 탑재한 시스템
US20080054938A1 (en) Microcontroller with low noise peripheral
US7443222B1 (en) Dynamic clock control
US7208977B2 (en) Tristate startup operating mode setting device
US20030131275A1 (en) Microcontroller and system having a clock generator
KR100205608B1 (ko) 마이크로컨트롤러 개발 시스템
KR200178735Y1 (ko)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의 안정화 회로
KR20000002611A (ko) 반도체 집적 소자
KR100434480B1 (ko) 적은 테스트 핀수를 갖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JP2001515238A (ja) フルカスタムタイミングドメインおよびセミカスタムタイミングドメインに対する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3107025B2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試験方法
JP3093685B2 (ja) 集積回路およびその機能試験方法
KR100310822B1 (ko) 옵션제어회로
JP3007187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3082357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04118843A (ja) クロックソース切替システム
KR20010003626A (ko) 다목적 내장형 클럭 생성 회로
JPH01243164A (ja) Eprom内蔵シングル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224998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7114435A (ja) 信号送受電子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