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695B1 -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 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 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695B1
KR100414695B1 KR10-2001-0009054A KR20010009054A KR100414695B1 KR 100414695 B1 KR100414695 B1 KR 100414695B1 KR 20010009054 A KR20010009054 A KR 20010009054A KR 100414695 B1 KR100414695 B1 KR 10041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iven gear
metal strip
winding
neck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459A (ko
Inventor
김영귀
Original Assignee
김영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2001-000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6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 B21L11/005Making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부(20);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30);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하부피동기어(41) 및 하부피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게 상부피동기어(42)가 축설된 가공다이(40); 하부피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로울러(43) 및 상부피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로울러(44); 지주대의 상단에 금속띠가 권취되어 풀리도록 한 권취드럼(61); 금속띠를 상·하로울러의 사이에 수평되게 공급시키는 안내로울러(62); 상·하로울러를 빠져나온 금속띠가 와이어 외주면에 권취되게 일측에 진입홈과 타측에 권취홈이 형성된 권취다이(70); 상기 본체의 상단 일측에는 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진입시키는 공급가이드관(80) 및 타측 적소에는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된 목걸이줄을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가이관(8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와이어를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단위시간당 다량의 목걸이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 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EQUIPMENT MANUFACTURE NECKLACE OF MATEL BAND FOR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와이어를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단위시간당 다량의 목걸이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와이어의 외주면에 금속띠를 말아 목걸이줄을 제조하는 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금속띠를 단순히 와이어 외주면에 말아줄뿐 와이어를 자동으로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위시간당 목걸이를 제조하는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부수적으로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와이어를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제2목적은 단위시간당 다량의 목걸이줄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고, 제3목적은 이로 인해제품의 품질과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상단 적소에 구비된 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며,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부; 상기 브라켓트의 적소에 구비되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본체의 상단 적소에 구비되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하부피동기어 및 하부피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게 상부피동기어가 축설된 가공다이; 상기 가공다이의 타측에 구비되며, 하부피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로울러 및 상부피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로울러; 상기 본체의 상단 적소에 지주대가 세워지고, 이 지주대의 상단에는 금속띠가 권취되어 풀리도록 한 권취드럼; 상기 가공다이의 적소에 구비되며, 금속띠를 상·하로울러의 사이에 수평되게 공급시키는 안내로울러; 상기 가공다이의 적소에 구비되며, 상·하로울러를 빠져나온 금속띠가 와이어 외주면에 권취되게 일측에 진입홈과 타측에 권취홈이 형성된 권취다이; 상기 본체의 상단 일측에는 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진입시키는 공급가이드관 및 타측 적소에는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된 목걸이줄을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가이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상태의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와이어
3: 금속띠 4: 목걸이줄
20: 콘트롤부 30: 모터
40: 가공다이 42,41: 상·하부피동로울러
44,43: 상·하부로울러 50: 이동다이
61: 권취드럼 70: 권취다이
본 발명에 적용된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는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각종 부품이 고정 설치되는 본체(1)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의 상단 적소에 구비된 브라켓트(10)에는 스위치(21) 조작에 의해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부(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10)의 적소에는 구동기어(31)를 회전시키는 모터(3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의 상단 적소에는 가공다이(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가공다이(40)의 적소에는 구동기어(31)와 상호 맞물려 회전되는 하부피동기어(41) 및 하부피동기어(41)와 상호 맞물려 회전되게 상부피동기어(42)가 축설된다.
또한 상기 가공다이(40)의 타측에는 하부피동기어(4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로울러(43) 및 상부피동기어(4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로울러(44)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 상기 상부로울러(44)는 이동다이(50)에 축설되는 것으로, 프레임(51)에 축설된 간격조절볼트(52)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이동다이(50)에 축설된상부로울러(44)가 상하로 이동되며 하부로울러(43)와의 간격을 조절함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상단 적소에는 지주대(60)가 세워지고, 이 지주대(60)의 상단에는 금속띠(3)가 권취되어 풀리도록 한 권취드럼(6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다이(40)의 적소에는 금속띠(3)를 상·하로울러(44)(43)의 사이에 수평되게 공급시키는 안내로울러(6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공다이(40)의 적소에는 상·하로울러(44)(43)를 빠져나온 금속띠(3)가 와이어(2) 외주면에 권취되게 일측에 진입홈(71)과 타측에 권취홈(72)이 형성된 권취다이(7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상기 권취홈(72)은 와이어(2)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금속띠(3)가 와이어(2) 외주면에 권취되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체(1)의 상단 일측에 와이어(2)를 수평방향으로 진입시키는 공급가이드관(80)이 구비되고, 타측 적소에는 와이어(2) 외주면에 금속띠(3)가 권취된 목걸이줄(4)을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가이관(81)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와이어(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2) 대신에 체인이나 그 밖의 목걸이줄(4)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그 어떤 소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콘트롤부(20)의 스위치(21)를 조작하여 본 발명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구동시키게 된다.
즉, 전원이 인가된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일측의 구동기어(31)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31)의 구동에 의해서는 이와 상호 맞물린 하부피동기어(41)가 회전하고, 상기 하부피동기어(41)의 회전에 의해서는 이와 상호 맞물린 상부피동기어(42)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피동기어(42)(41)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함께 일측에 축설된 상부로울러(44)와 하부로울러(43)가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로울러(44)와 하부로울러(43)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띠(3)가 통과하게 된다.
즉, 권취드럼(61)에 권취된 금속띠(3)는 안내로울러(62)를 따라 풀리면서 상기 상·하로울러(44)(43)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로울러(44)는 금속띠(3)의 두께에 따라 소정간격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프레임(51)에 체결된 간격조절볼트(52)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간격조절볼트(52)의 하단에 체결된 이동다이(5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다이(50)에 체결된 상부로울러(44)는 이동다이(50)의 상하 작동에 의해 하부로울러(43)와의 간격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금속띠(3)의 두께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로울러(44)(43)를 통과한 금속띠(3)는 전방으로 직진하면서 권취다이(70)에서 말리면서 와이어(2) 외주면에 권취되는 것이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공급가이드관(80)으로 진입한 와이어(2)는 권취다이(70)의 진입홈(71)과 권취홈(72)을 통과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측방향에서 진입한 상기 금속띠(3)는 권취홈(72)에 맞닿으면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말림과 동시에 와이어(2)에 외주면에 권취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권취홈(72)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금속띠(3)가 말림과 동시에 경사진 권취홈(72)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금속띠(3)가 말리면서 일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와이어(2)도 금속띠(3)가 말리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일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금속띠(3)가 권취된 목걸이줄(4)은 타측의 배출가이드관(81)을 통해 계속 일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와이어를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단위시간당 다량의 목걸이줄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고, 이로인해제품의 품질과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본체의 상단 적소에 구비된 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며,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목걸이줄 제조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부;
    상기 브라켓트의 적소에 구비되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본체의 상단 적소에 구비되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하부피동기어 및 하부피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게 상부피동기어가 축설된 가공다이;
    상기 가공다이의 타측에 구비되며, 하부피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로울러 및 상부피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로울러;
    상기 본체의 상단 적소에 지주대가 세워지고, 이 지주대의 상단에는 금속띠가 권취되어 풀리도록 한 권취드럼;
    상기 가공다이의 적소에 구비되며, 금속띠를 상·하로울러의 사이에 수평되게 공급시키는 안내로울러;
    상기 가공다이의 적소에 구비되며, 상·하로울러를 빠져나온 금속띠가 와이어 외주면에 권취되게 일측에 진입홈과 타측에 권취홈이 형성된 권취다이;
    상기 본체의 상단 일측에는 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진입시키는 공급가이드관 및 타측 적소에는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된 목걸이줄을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가이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울러는 이동다이에 축설되고, 프레임에 축설된 간격조절볼트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이동다이에 축설된 상부로울러가 상하로 이동되며 하부로울러와의 간격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3. 창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권취홈은 와이어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금속띠가 와이어 외주면에 권취되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KR10-2001-0009054A 2001-02-22 2001-02-22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 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KR10041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054A KR100414695B1 (ko) 2001-02-22 2001-02-22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 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054A KR100414695B1 (ko) 2001-02-22 2001-02-22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 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459A KR20010044459A (ko) 2001-06-05
KR100414695B1 true KR100414695B1 (ko) 2004-01-13

Family

ID=1970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054A KR100414695B1 (ko) 2001-02-22 2001-02-22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 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6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94U (ko) * 1987-06-15 1989-03-02 문순삼 조립식 지게
JPH0678816A (ja) * 1990-02-08 1994-03-22 Georg Bunz 鎖状の装身具
EP1245168A2 (en) * 2001-03-26 2002-10-02 Roana Antonio E Figli S.N.C. An ornamental manufactured product of the type called "wound graduated or degrad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94U (ko) * 1987-06-15 1989-03-02 문순삼 조립식 지게
JPH0678816A (ja) * 1990-02-08 1994-03-22 Georg Bunz 鎖状の装身具
EP1245168A2 (en) * 2001-03-26 2002-10-02 Roana Antonio E Figli S.N.C. An ornamental manufactured product of the type called "wound graduated or degrad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459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26116A (ja) スクリュー製造方法と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CN111195666B (zh) 一种全自动冲筋设备
TW202028097A (zh) 用來捲繞並更換捲筒材料之捲軸的裝置及專用方法
KR100414695B1 (ko) 와이어 외주면에 금속 띠가 권취되는 목걸이줄 제조장치
US3567101A (en) Production of spirally wound pipe
US27149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amless flexible tubing
US2011022688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nding a lengthy rubber material
JPH1119428A (ja) フィルタ製造装置
JP2008512247A (ja) ストリップの格納及び排出装置
CN104476778A (zh) 橡胶履带用钢丝帘布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ITMI972514A1 (it) Macchina trafilatrice multipasso dotata di dispositivo di regolazione e controllo migliorati della tensione del filo in lavorazione, particolarmente per la trafilatura di fili metallici
US3339396A (en) Wire drawing and feeding mechanism
CN1335219A (zh) 吹瓶机的输送装置
CN214448566U (zh) 一种无胎自粘防水卷材成型装置
US3266694A (en) Wire handling machine
JP2775419B2 (ja) 管圧延装置
KR0132365B1 (ko) 셔터 도어용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997055B1 (ko) 고무시트 냉각장치
JP2002336746A (ja) 塗装ライン搬送装置
KR910001543B1 (ko) 대상재(帶狀材)의 루핑장치
JPH0437877Y2 (ko)
JPH0437876Y2 (ko)
JP2000176597A (ja) 線材矯正供給装置
KR20010112150A (ko) 이형선재의 연속압연장치
KR200339022Y1 (ko) 강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