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259B1 - 프레임지주형궤도차의클램프조립체 - Google Patents

프레임지주형궤도차의클램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259B1
KR100414259B1 KR1019960027597A KR19960027597A KR100414259B1 KR 100414259 B1 KR100414259 B1 KR 100414259B1 KR 1019960027597 A KR1019960027597 A KR 1019960027597A KR 19960027597 A KR19960027597 A KR 19960027597A KR 100414259 B1 KR100414259 B1 KR 10041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trut
side frames
pair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032A (ko
Inventor
아아르 버어그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스탠다드 리서치 앤드 디자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탠다드 리서치 앤드 디자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탠다드 리서치 앤드 디자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7000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58Diagonal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이격된 바퀴제와 상기 바퀴체에 의해 지지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측부이격된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궤도차 트럭에 관한 것이다. 볼스터는 궤도용 차량의 차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부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그들사이의 상대적인 길이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측부 프레임에 연결된 지주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는 그 중앙선의 대향측상에서 측부 프레임에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스트럿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럿은 측부 프레임의 중앙을 교차하며 상기 스트럿들을 부착하기 위한 클램프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스트럿을 수납하도록 형성된 채널을 각각 갖는 한쌍의 클램프관을 포함한다. 각각의 클램프관은 스트럿에 용접되며, 클램프관의 대향면들을 서로 직접 부착시키는 고정구가 제공된다. 상기 클램프관은 서로 용접된다.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수평면상에서는 상기 스트럿를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측부 프레임들 사이의 비틀림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수직면상에서는 제한적인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Description

프레임 지주형 궤도차의 클램프 조립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인 파크릿지 소재의 스탠다드 리서치 앤드 디자인 코포레이션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제4.570.544호 및 제5.243.920호에 기재된 형태의 프레임 지주형 궤도차 트럭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국특허 제4.570.544호에 있어서, 측부 프레임과 상호연결되는 대각선형의 지주나 스트럿(strut)은 샤클66에 의해 상호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5.243.920호의 특허에 있어서, 스트럿은 2개의 클램프판으로 구성된 클램프판 조립체에 의해 그 교차지점에서 상호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클램프판은 클램프판의 대향면과 스트럿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체 패드와 채널을 구비한다. 또한, 클램프판을 서로 지지하는 고정구도 제공된다.
본 발명은 클램프 조립체의 강도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상술한 미국특허 제5.243.920호의 글램프에 대한 개량발명이다. 상기 미국특허 제5.243.920호의 탄성중합체 패드는 제거되었으며, 플램프판의 크기는 증가되었고, 상기 클램프판은 프레임 지주 스트럿에 용접되며, 클램프판은 서로 용접된다. 이러한 용접된 조립체는 스트럿들 사이의 상호연결부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스트럿의 상호연결부를 위하여 단단하게 형성된 중앙위치부를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들 사이의 상대적인 길이방향의 이동을 개선하고 트럭을 안정시키기 위해 한쌍의 횡단 스트럿이 사용되는 프레임 지주형 트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횡단 스트럿을 측부 프레임 사이에 부착하기 위하여 강도가 증가된 개량 클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종래의 탄성중합체 패드를 제거한 형태의 클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트럿에 각각 용접되고 서로 용접되는 한쌍의 대면한 클램프판이 제공되는 클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청구범위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인식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상기 미국특허 제4.570.544호에는 종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바퀴체상에 지지되는 한쌍의 측부 프레임을 갖는 궤도용 트럭이 기재되어 있다. 트럭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횡단 스트럿은 측부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길이방향 이동에 대한 측부 프레임의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측부 프레임사이로 연장된다. 탄성중합체 부재는 바퀴체의 편주경도(yaw stiffness)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바퀴체와 측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된다. 그 결과, 트럭의 측부경도와 편주경도는 최적의 트럭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미국특허 제5.243.920호에는 횡단 스트럿을 상기 측부 프레임사이의 중간지점의 위치에 지지하는 클램프의 영역에서 상기 미국특허 제4.570.544호의 트럭에 대한 개선점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5.243.920호의 클램프 조립체는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은 강도가 증가된 클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를 형성하는 2개의 판사이의 이격부재로서탄성중합체 부재를 요구하지 않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종래의 측부 프레임은 도면부호 10 으로 도시되었으며, 바퀴체(12, 14)상에 장착된다. 바퀴체는 종래의 롤러 베어링에 장착되며, 측부 프레임은 볼스터(1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볼스터(16)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프링(17)에 의해 측부 프레임상에 지지된다.
횡단 스트럿(18, 20)은 상기 측부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길이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측부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다. 횡단 지주 또는 횡단 스트럿(18, 20)의 각각의 단부는 장착 브래킷(22)에 의해 측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브래킷은 베이스판(24)에 의해 측부 프레임에 부착된다. 단부 블록 조립체(26)는 상기 브래킷(22)에 부착되며, 횡단 스트럿(18, 20)의 각각을 지지하면서 그 내부에서 연장되는 도시않은 코형상부(nose)를 갖는다. 상기 단부 블록 조립체와 그에 대한 장착부는 편주경도와 측부경도를 제공하는 탄성중합체 부재를 포함한다.
클램프 조립체는 도면부호 30 으로 도시되었으며 제4도 내지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상부 클램프판(32)과 하부 클램프판(34)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판들의 형상은 동일하다. 각각의 클램프판은 중앙의 채널(36)을 포함하며, 이러한 중앙 채널의 내부에는 상기 스트럿들중 어느 하나의 중앙 평탄부(38)가 위치된다. 제6도는 클램프판의 평면도로서 장축선(51)과 단축선(52)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판은 채널이 클램프판의 장축선(51)을 따라 연장되는, 거의 평행사변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각 클램프판의 4개의 엣지또는 측부(43)는 그 길이가 거의 동일하다. 각각의 클램프판의 대향측상에는 도면부호 42로 도시된 볼트나 나선형 고정구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39, 40)가 설치되며,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판의 각각의 측부상에는 이러한 고정구들이 하나씩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클램프판은 제4도의 용접비드(4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 스트럿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판이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형태로 조립된 후에는, 상기 클램프판들은 제7도에 용접비드(4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엣지를 따라 서로 용접된다.
사용시, 클램프 조립체는 횡단 스트럿 사이에 단단하고 강력한 상호연결부를 제공한다. 각각의 스트럿은 클램프판에 용접되며, 클램프판이 제7도에 도시된 형상으로 조립된 후 이들은 결합엣지를 따라 서로 용접된다. 고정구는 최종의 용접 동작전에 클램프판을 희망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클램프판은 상기 미국특허 제5.243.920호에 도시된 판보다 상당히 넓다. 또한, 상기 미국특허 제5.243.920호에서의 클램프판 사이에 위치된 탄성중합체 패드는 제거되며, 클램프판의 형상이 매우 다르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서술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제1도는 궤도차 트럭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궤도차 트럭의 저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궤도차에 사용된 스트럿의 측면도.
제4도는 클램프판과 그에 연결된 스트럿의 평면도로서, 상기 부재들을 지지하는 용접부가 도시된 도면.
제5도는 클램프 조립체의 상부 평면도.
제6도는 클램프판의 확대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7-7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측부 프레임 12, 14: 바퀴체
16: 볼스터 18, 20: 횡단 스트럿
30: 클램프 조립체 32, 34: 클램프판
36: 채널 38: 평탄부

Claims (6)

  1. 한쌍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바퀴체(12, 14)와,
    상기 바퀴체에 의해 지지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측부 이격된 측부 프레임(10)과,
    차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는 볼스터(16)와,
    상기 측부 프레임 사이에서 상대적인 길이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측부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부 프레임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트럭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향으로 경사진 한쌍의 횡단 스트럿(18, 20)을 포함하는 지주와,
    상기 스트럿을 그 연결부에 부착하기 위한 클램프 조립체(30)와,
    클램프판의 대향면을 서로 직접 부착시키는 고정 수단(42)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럿은 측부 프레임의 중앙을 교차하며;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스트럿을 수납하도록 형성된 채널(36)을 각각 갖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 클램프판(32, 34)을 포함하고, 각각의 클램프판은 스트럿에 용접되고, 상기 클램프 판은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지주형 궤도차의 클램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판(32, 34)은 그 중앙에 채널(36)이 위치되어 있는 평행사변형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지주형 궤도차의 클램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횡단채널의 양측부상에 위치되는 2개의 고정수단(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지주형 궤도차의 클램프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판 조립체는 측부 프레임에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지주형 궤도차의 클램프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프판(32, 34)은 길이가 동일한 4개의 측부(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지주형 궤도차의 클램프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프판(32, 34)은 장축선(51)과 단축선(52)을 가지며, 상기 채널(36)은 장축선(51)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지주형 궤도차의 클램프 조립체.
KR1019960027597A 1995-07-10 1996-07-09 프레임지주형궤도차의클램프조립체 KR100414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99,935 1995-07-10
US08/499,935 US5584250A (en) 1995-07-10 1995-07-10 Center clamp assembly for frame brace rail tru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032A KR970006032A (ko) 1997-02-19
KR100414259B1 true KR100414259B1 (ko) 2004-03-26

Family

ID=2398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597A KR100414259B1 (ko) 1995-07-10 1996-07-09 프레임지주형궤도차의클램프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84250A (ko)
JP (1) JP2975312B2 (ko)
KR (1) KR100414259B1 (ko)
CN (1) CN1070790C (ko)
AU (1) AU692105B2 (ko)
CA (1) CA2178979C (ko)
MY (1) MY120671A (ko)
TW (1) TW33251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2838A (en) * 1997-01-02 1998-11-10 Standard Research And Design Corporation Frame brace universal mounting bracket assembly
US5992330A (en) * 1997-05-19 1999-11-30 Buckeye Steel Castings Co. Railway vehicle suspension aligned truck
US6357360B1 (en) * 1999-11-01 2002-03-19 Standard Car Truck Company Frame brace and center clamp
JP6023519B2 (ja) * 2012-09-06 2016-11-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の駆動台車
EA025678B1 (ru) * 2012-12-19 2017-01-30 Цицикар Рейлвэй Роллинг Сток Ко., Лтд. Тележк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7738053A (zh) * 2017-09-29 2018-02-27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一种交叉杆预组装装置及组装方法
CN107878495B (zh) * 2017-11-06 2019-07-09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一种转向架及其交叉连杆与侧架的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65188A (ko) * 1950-09-05
FR838218A (fr) * 1938-05-21 1939-03-01 Procédés de montage d'éléments tubulaires et produits résultant de l'utilisation desdits procédés
CA1192787A (en) * 1982-05-11 1985-09-03 Urban Transportation Development Corporation Ltd. Diagonally braced rail truck
US4870914A (en) * 1988-01-22 1989-10-03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Diagonally braced railway truck
US5243920A (en) * 1991-07-22 1993-09-14 Utdc Inc. Brace connection for frame braced truck
US5461986A (en) * 1994-07-05 1995-10-31 Standard Car Truck Company Diagonally braced rail truck with improved end block
CN2230360Y (zh) * 1995-12-04 1996-07-03 张佳林 燃油磁化节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30418A (ja) 1997-02-04
AU692105B2 (en) 1998-05-28
CA2178979A1 (en) 1997-01-11
KR970006032A (ko) 1997-02-19
CN1070790C (zh) 2001-09-12
JP2975312B2 (ja) 1999-11-10
TW332510U (en) 1998-05-21
MY120671A (en) 2005-11-30
CN1150099A (zh) 1997-05-21
US5584250A (en) 1996-12-17
CA2178979C (en) 2006-11-21
AU5835796A (en) 199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0458B2 (ja) ナックルブラケット
US5375871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comprising a wide base beam and axle shell
CA2431497C (en) Vehicle suspension
CN101175651B (zh) 具有钢板弹簧和选择性夹紧组件的车辆悬架
US7370872B2 (en) Rigid vehicle axle with integral trailing arms
AU719130B2 (en) Fabricated steer axle
US5634663A (en) Vehicle frame joint
AU2002236616A1 (en) Vehicle suspension
DE4232778C1 (de) Achseinbindung
JP2007523000A (ja) 自動車のフレーム
KR100414259B1 (ko) 프레임지주형궤도차의클램프조립체
US3751021A (en) Leaf spring clamp and support
JP2004244012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のための多機能ブラケット
US7070177B2 (en) Sandwich design of four bag suspension for bus and coach rear drive axles
EP1640191B1 (en) Method of welding axle connection device, device so welded
US6357360B1 (en) Frame brace and center clamp
CA2305610C (en) Center clamp assembly for frame brace rail truck
US6659481B2 (en) Attachment of a vehicle axle to an axle suspension
EP1086836A1 (en) Bearing bracket for attaching an axle assembly to the chassis of a vehicle
KR102149401B1 (ko) 알루미늄 프레임의 서스펜션 장착부 강성보강구조
AU694374B2 (en) Frame brace integral cross brace support bracket
CN112298359A (zh) 一种前副车架后安装座结构、前副车架及车辆
JP2520070Y2 (ja) オ−トバイの前部フレ−ム構造
JPH0532275B2 (ko)
JPH0798496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