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076B1 -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076B1
KR100414076B1 KR10-2001-0087393A KR20010087393A KR100414076B1 KR 100414076 B1 KR100414076 B1 KR 100414076B1 KR 20010087393 A KR20010087393 A KR 20010087393A KR 100414076 B1 KR100414076 B1 KR 100414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base station
terminal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021A (ko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0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 노선의 변경으로 버스 노선번호가 변경된 경우 노선버스 주차장 위치에 설치된 DSRC 기지국을 이용하여 각각의 버스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의 버스 노선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버스 외부로 표시되는 노선번호를 변경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버스관제 단말기(10)가 버스 노선번호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버스 노선번호의 변경으로 판단되면 버스관제 단말기(10)가 DSRC 기지국(40)으로 노선번호 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제2 단계와, DSRC 기지국(40)이 차량 단말기로 노선번호 변경 정보를 송출하는 제3 단계와, 차량 단말기가 노선번호를 변경하고 그 변경 확인 메시지를 DSRC 기지국(40)으로 송출하는 제4 단계와, 상기 DSRC 기지국(40)이 해당 차량 단말기의 노선번호 변경 확인 메시지를 버스 관제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AUTOMATION CHANGE METHOD AND SYSTEM FOR ROUTE INFORMATION OF VEHICLES}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노선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정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에게 대중 교통의 노선 정보, 해당 차량 경유지의 트래픽(traffic) 상태 정보 등 차량 운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대중 교통 이용 고객에게 해당 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 해당 교통 수단의 도착 안내, 배차 간격, 환승 정보 등 버스 이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교통 정보 시스템은 운전자나 대중 교통 이용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제안 방식에는 FM-DARC(Frequency Modulation-Data Radio Channel)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서비스 방식, Beacon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서비스 방식, 셀룰러(cellular)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서비스 방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서비스 방식 등이 있다.
FM-DARC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교통 정보 서비스 방식은 기존 FM 방송 채널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 속도가 최대 16Kbps이고 통신 셀 크기는 수십 Km 이므로 광역 서비스와 기존 방송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송수신기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방송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하향 링크만이 제공되는 단방향 서비스의 제약이 따랐다.
Beacon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교통 정보 서비스 방식은 차량 단말기와 노변 기지국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여러 개의 차량 단말기와 다중 접속이 지원되지 않으므로 셀 내에서 2개 이상의 단말기가 동시에 무선 채널을 액세스할 때에는 링크 셋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셀룰러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교통 정보 서비스 방식은 차량 운전자에게 이동시에도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Circuit 통신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계속 통화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서비스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IMT-2000 무선 통신 방식과 연동된 교통 정보 서비스 방식은 음성 서비스 뿐만 아니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주파수 대역폭이 다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말기에 정보 분석 기능, 정보 송출 기능 등을 부여하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고 여러 단말기의 다중 접속을 지원하며 circuit 데이터 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근거리 무선 전용 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방식을 적용한 교통 정보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DSRC 방식은 5.8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노변 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DSRC 기지국)과 DSRC 단말기(On-Board Equipment; OBE) 사이에 양방향 무선 통신하는 방법으로, 노변 기지국에 연결된 안테나에 의해서 형성되는 통신 가능 영역(Communication Zone) 내를 DSRC 단말기가 장착된 차량이 통과할 경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방식이다.
특히, DSRC 방식을 적용한 교통정보 시스템중 버스의 도착시간과 운행노선 ,교통정보 등과 같은 버스 운행 관련 정보를 정류장에 설치된 기기와 운행 중인 버스내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BIS(Bus Information System)라 한다.
이러한 BIS에서는 버스 내에 장착되는 차량 단말기인 BIS 단말기를 차량 제어부와 연계하여 버스노선번호를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한 경우 BIS 단말기를 장착한 노선 버스가 운행하는 노선이 변경되었다면 변경노선에 대한 정보로 변경시켜 주어야 BIS 단말기가 BIS 서버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일, 노선변경에 따른 정보 변경이 안되었을 경우 BIS 단말기는 BIS 기지국으로부터 필요없는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BIS 단말기에 대해 노선번호 정보를 변경된 노선번호 정보로 반드시 갱신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BIS 단말기에 대해 변경된 노선번호정보로 변경하기 위해서 BIS 단말기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버스관제 단말기와 RS-232C 라인 또는 이더넷 포트로 연결하여 상기 BIS 단말기의 노선번호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서 변경시킨 후 다시 차량에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버스 노선의 변경으로 버스노선번호가 변경된 경우 노선버스 주차장 위치에 설치된 DSRC 기지국을 이용하여 각각의 버스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의 버스 노선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버스 외부로 표시되는 노선번호를 변경하도록 창안한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버스 노선번호 자동 변경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스노선번호 자동 변경을 위한 동작 순서도.
도3는 도1에서 DSRC 기지국 및 BIS 기지국의 상세 블록도.
도4는 TDMA/TDD 및 TDMA/FDD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5는 도1에서 DSRC 기지국과 차량 단말기 간의 통신 절차를 보인 신호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BIS 단말기로의 교통 안내 서비스를 위한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버스관제 단말기 20 : BIS 서버
31~33 : BIS 기지국 40 : DSRC 기지국
51~56 : BIS 단말기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관제 단말기가 차량 노선정보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차량 노선정보의 변경으로 판단되면 차량관제 단말기가 DSRC 기지국으로 노선정보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DSRC 기지국이 차량 단말기로 노선정보 변경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차량 단말기가 노선정보를 변경하고 그 변경 확인 메시지를 DSRC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DSRC 기지국이 해당 차량 단말기로부터의 노선정보 변경 확인 메시지를 차량 관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장착되어 DSRC 방식으로 수신된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차량 단말기와, 임의의 지역의 노변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 내로 상기 차량 단말기가 진입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와 DSRC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해당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도착 시간, 운행 구간 등의 정보를 안내 표시기로 전송하는 노변 기지국과, 상기 노변 기지국과 유선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차량 운행에 관련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노변 기지국에서 수집한 차량 운행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교통 정보 서버와, 이 교통 정보 서버와 유선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해당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신하고 각 운행 차량의 운행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관제 단말기와, 주차장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의 운행 관련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단말기로부터 운행 관련 정보 갱신 요구에 대해 각 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DSRC) 방식으로 변경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관련 정보를 갱신시키는 DSRC 기지국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버스 노선번호 변경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DSRC 방식의 버스 노선번호 변경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내에 장착되어 DSRC 방식으로 수신된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BIS 단말기(51~56)와, 임의의 지역의 노변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 내로 상기 BIS 단말기(51~56)가 진입되면 상기 BIS 단말기(51~56)와 DSRC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해당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도착 시간, 운행 구간 등의 정보를 안내 표시기(도면 미도시)로 전송하는 BIS 기지국(31~33)과, 상기 BIS 기지국(31~33)과 유선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차량 운행에 관련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BIS 기지국(31~33)에서 수집한 차량 운행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BIS 서버(20)와, 이 BIS 서버(20)와 유선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해당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각 운행 차량의 운행 정보를 상기 BIS 서버(20)로 전송하는 버스관제 단말기(10)와, 차량 주차장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의 운행 노선이 변경된 경우 상기 버스관제 단말기(10)로부터 버스 노선번호 변경 요구에 대해 각 차량에 장착된 BIS 단말기(51~56)와 근거리 전용 통신(DSRC)방식으로 버스 노선번호 변경 정보를 전송하여 노선번호 정보를 갱신시키는 DSRC 기지국(40)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BIS 기지국(31~33) 및 DSRC 기지국(40)은 차량에 장착된 BIS 단말기(51~56)와 최대 1Mbps의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채널 설정 및 정보 교환 효과를 높이기 위해 TDMA/FDD 또는 TDMA/TDD 방식의 다중접속 방식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의 주파수로 여러 차량 단말기와 동시에 통신이 가능함은 물론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밴드 주파수 및 저출력의 RF를 사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BIS 기지국(31~33) 및 DSRC 기지국(40)은 도3의 상세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부(310)와 제어부(320)를 일체화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주파부(310)는 송신 주파수를 방사하거나 주파수를 수신하는 안테나(311)와, ASK(Amplitude Sequence Keying) 변조된 신호를 정해진 무선 신호로 변환해 주는 업 컨버터(UP Converter)와 ASK 변조된 무선 신호를 복조가 가능한 ASK 신호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Down Converter)로 구성된 무선 변환부(RFC: RF Converter)(312)와, 데이터 신호를 ASK 변조 및 수신된 ASK 신호를 복조하는 ASK 모뎀(ASK MODEM)(313)과, 기지국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감지부(Sensor)(314)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연산 처리를 위한 CPU(321), CPU(321)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액티브 DSRC 프로토콜로 적합하게 통신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ASK 모뎀(313)으로 출력하는 송신 FPGA(TX, 322a) 및 ASK 모뎀(313)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CPU(321)가필요한 데이터 만을 추출해 내는 수신 FPGA(RX, 322b)를 포함하는 매체접속제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322)와, 램(RAM)(323a) 및 피롬(PROM)(323b)로 이루어진 메모리(323)와, 상기 감지부(315)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CPU(211)에 전달하는 버퍼(324)와, 사용자에게 상태 및 동작을 알리기 위해 LCD 표시기(326a) 및 기지국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LED(326b)로 이루어진 표시부(326)와, PC 또는 서버와 시리얼 통신하는 RS-232(327)와, 원거리에 있는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28)로 구성한다.
상기 고주파부(310) 및 제어부(320)는 전원 공급부(315)를 공유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방열 패드(340)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DSRC 기지국(31~33)을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고주파부및 제어부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주파부와 제어부 각각에 전원부 및 방열팬을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구성요소 추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하여 고주파부와 제어부 각각에 RS422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에서 고주파부의 제어, 신호전달, 모니터링을 위해서 많은 케이블이 설치됨에 따른 선로 손실, 잡음 특성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변에 설치되어 차량으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그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BIS 기지국(31~33)과 버스 주차장에 설치되어 각 차량의 버스 노선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DSRC 기지국(40)은 일정 범위 내의 차량에 장착된 BIS 단말기(51~56)와 TDMA/TDD 방식 또는 TDMA/FDD 방식의 다중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채널 설정 및 정보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즉, BIS 기지국(31~33)과 DSRC 기지국(40)은 BIS 단말기(51~56)를 장착한 차량이 일정 범위 내로 진입하면 고주파부(310)가 안테나(31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변환부(312)의 다운 컨버터에 의해 복조가 가능한 ASK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ASK 신호를 ASK 모뎀(313)을 통해서 복조한다.
상기 ASK 모뎀(313)에서 복조된 신호는 제어부(320)의 MAC FPGA(322)에 직접 입력된다.
상기 MAC FPGA(322)는 ASK모뎀(313)에서 복조된 신호를 수신 FPGA(322b)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 FPGA(332b)는 CPU(321)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CPU(321)로 전달된다.
상기 CPU(321)는 수신 데이터에 따라 BIS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 동작을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이때 메모리(323)의 램(323a) 및 피롬(323b)에 기록된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며 그 결과는 RS-232C(327) 및 인터페이스(Ethernet/ADSL/MODEM/PCS_Network)(328)를 통해 외부 서버 등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320)에서 BIS 단말기(51~56)로의 데이터 전달을 보면, CPU(321)에서 데이터가 생성되어 출력되고 MAC FPGA(322)의 송신 FPGA(322a)에서 상기 데이터를 ITS 액티브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적합하게 통신 프레임을 형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통신 프레임은 고주파부(310)의 ASK 모뎀(313)에 직접 입력되며, ASK 모뎀(313)은 상기 통신 프레임 데이터를 ASK 변조하여 무선 변환부(312)로 전달하고 무선 변환부(312)는 업 컨버터에서 ASK 변조된 무선 신호를 정해진 무선 신호로 변환해 주어 안테나(311)를 통해 송신 주파수로 차량 단말기로 방사한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부(310)와 제어부(320)는 하나의 전원 공급부(3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방열 패드(340)가 상기 내부 구성 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측면 케이스를 통해 효과적으로 방열한다.
즉, 고주파부(310)는 차량에 탑재된 BIS 단말기(51~56)와 주파수를 송수신하고 커넥터(301)를 통해서 제어부(320)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320)에서 상기 BIS 단말기(51~56)와 통신하도록 일체화하여 기존에 상호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 RS422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311)의 구조를 기판(PCB)를 이용한 패치 안테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IS 기지국(31~33)과 DSRC 기지국(40)은 TDMA/FDD 또는 TDMA/TDD 방식의 다중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의 주파수로 최대 8개의 BIS 단말기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상기 TDMA 방식은 하나의 주파수를 여러 개의 타임 슬롯으로 분할하여 타임슬롯당 하나의 채널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중접속기법이다.
상기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은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시간축 상에서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상기 FDD 방식은 BIS 기지국 또는 DSRC 기지국과 차량 단말기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때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설정하고 지정된 타임 슬롯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DSRC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TDMA/TDD 방식과 TDMA/FDD 방식의 프레임 구조는 도4(a)(b)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BIS 기지국(31~33) 및 DSRC 기지국(40)과 BIS 단말기(51~56) 간의 TDMA/FDD 통신 과정을 도5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DMA/FDD 방식의 프레임 구조는 도4(b)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CMS(Frame Control Message Slot), ACTS(Activation Slot) 및 MDS(Message Data Slot)를 구비하며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통신정보 방송, 채널요구, 채널할당,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정보 확인(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BIS 기지국(31~33) 또는 DSRC 기지국(40)에서 FCMS 타임 슬롯을 사용하여 통신채널사용에 관한 정보를 여러 차량 단말기를 위해 방송하면 상기 방송을 수신한 BIS 단말기(51~56)에서 채널 할당을 받기 위하여 상기 BIS 기지국(31~33) 또는 DSRC 기지국(40)으로 채널 할당을 요청하고 이후, 상기 채널 요청에 대하여 BIS 기지국(31~33) 또는 DSRC 기지국(40)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인 타임슬롯을 선정하여 BIS 단말기(51~56)로 통보하고 이에 대하여 BIS 단말기(51~56)가 BIS 기지국(31~33) 또는 DSRC 기지국(40)에서 정해준 타임 슬롯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후, BIS 단말기(51~56)에서 BIS 기지국(31~33) 또는 DSRC기지국(4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하여 수신 확인(ACK or NACK)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과정은 차량이 교차로 진입/진출 또는 특정 도로를 통과할 때 BIS 기지국과 해당 차량에 장착된 BIS 단말기 간에 이루어짐은 물론 버스 운행 노선의 변경으로 버스 주차장에서 버스 노선번호를 변경할 때 DSRC 기지국과 각 차량에 장착된 BIS 단말기 간에서 이루어진다.
우선, 버스 운행노선의 변경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 각 차량에 장착된 BIS 단말기(51~56)에 저장되어 있는 버스 노선번호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2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버스의 운행노선이 변경되었을 때 그 버스에 장착된 BIS 단말기(51~56)의 운행 노선 정보를 변경시켜 주어야 상기 BIS 단말기(51~56)가 BIS 서버(2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만약, 운행 노선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을 경우 BIS 단말기(51~56)는 BIS 서버(20)로부터 필요없는 정보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DSRC 기지국(40)을 버스 주차장에 설치하고 이 DSRC 기지국(40)과 버스관제 단말기(10)를 전용 회선으로 접속할 경우 BIS 단말기(51~56)의 노선버스 번호 변경을 원격지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버스관제 단말기(10)는 운행노선이 변경될 차량의 BIS 단말기(51~56)에 대한 버스 노선번호 변경 정보를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DSRC 기지국(40)으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DSRC 기지국(40)은 주차장에 주차해 있는 차량에 장착된 BIS단말기(51~56)로 FCMS 방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버스 운행을 위해 운전자가 엔진 시동을 걸면 BIS 단말기(51~56) 각각은 전원과 접속되면서 자동적으로 POWER ON 상태로 전환되어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DSRC 기지국(40)과 BIS 단말기(51~56) 간의 동작은 동일함으로 BIS 단말기(51)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DSRC 기지국(40)에서 송출된 FCMS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BIS 단말기(51)는 자신의 차량에 대한 ID를 포함하여 상기 DSRC 기지국(40)으로 채널 할당을 요구한다.
상기 DSRC 기지국(40)은 BIS 단말기(51)에 채널을 할당한 후 해당 버스에 대한 노선번호 변경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BIS 단말기(51)는 내부 메모리에 있는 노선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변경하여 저장하고 노선번호 변경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DSRC 기지국(4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DSRC 기지국(40)은 해당 버스에서 노선번호를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버스 관제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기 버스 관제단말기(10)는 변경된 버스의 OBU ID 관련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업데이트시킨다.
이후, 상기에서 운행노선 변경 과정이 완료된 BIS 단말기(51)는 버스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LED 노선번호판의 노선번호를 자동으로 변경시키고 버스에 탑승해 있는 승객을 위해 버스내에 설치되어 있는 LED 전광판에 변경된 운행노선버스에 대한 안내를 표시한다.
상기의 과정은 BIS 단말기(52~5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되어 노선번호 정보를변경하게 된다.
한편, 노선번호 정보가 변경된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변경 노선으로 운행하게 되면 차량에 장착된 BIS 단말기(51~56)는 도로변에 설치된 BIS 기지국(31~33)과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이를 도6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BIS 기지국(31~33)과 BIS 단말기(51~56) 간의 통신 과정은 동일함으로 BIS 단말기(51)와 BIS 기지국(31) 간의 통신 과정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BIS 기지국(31)는 FCMS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으며 상기 BIS 기지국(31)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로 BIS 단말기(51)를 장착한 버스가 진입하면 상기 BIS 단말기(51)는 상기 BIS 기지국(31)으로 채널 할당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BIS 기지국(31)은 비어있는 채널을 BIS 단말기(51)로 할당하고 BIS 전용망(60)을 통해 BIS 서버(20)로 상기 BIS 단말기(51)로 전송할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에 따라, BIS 서버(20)는 BIS 단말기(51)로 전송할 안내 메시지가 있는 경우 이를 BIS 기기국(31)으로 전송하기 위한 형태로 패킷화하여 상기 BIS 전용망(60)을 통해 상기 BIS 기지국(31)으로 전송한다.
이후, BIS 기지국(31)은 BIS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안내 메시지를 DSRC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하여 BIS 단말기(5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BIS 단말기(51)는 안내 메시지를 DSRC 채널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BIS 단말기(51)는 안내 메시지 수신 확인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BIS 기지국(31)으로 전송하고 상기 BIS 기지국(31)은 그 응답 메시지를 BIS 서버(2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은 BIS 단말기(52~56) 및 BIS 기지국(32,33)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BIS 서버(20)는 BIS 기지국(31~33)로부터 버스 운행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일정 주기마다 버스관제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버스관제 단말기(10)는 현재 변경된 운행 노선에 대한 버스 운행 관련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운행 노선이 변경된 경우 각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를 분리함이 없이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각 차량에 표시되는 노선 번호를 변경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통 정보 시스템의 차량 운행정보 변경 방법에 있어서, 차량관제 단말기가 차량 노선정보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차량 노선정보의 변경으로 판단되면 차량관제 단말기가 DSRC 기지국으로 노선정보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 단계와, DSRC 기지국이 차량 단말기로 노선정보 변경 메시지를 DSRC 방식으로 송출하는 제3 단계와, 차량 단말기가 노선정보를 변경하고 그 변경 확인 메시지를 DSRC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제4 단계와, 상기 DSRC 기지국이 해당 차량 단말기의 노선번호 변경 확인 메시지를 차량 관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노선정보 자동 변경 방법.
  2. 교통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내에 장착되어 DSRC 방식으로 수신된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차량 단말기와, 임의의 지역의 노변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 내로 상기 차량 단말기가 진입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와 DSRC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해당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도착 시간, 운행 구간 등의 정보를 안내 표시기로 전송하는 노변 기지국과, 상기 노변 기지국과 유선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차량 운행에 관련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노변 기지국에서 수집한 차량 운행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교통 정보 서버와, 이 교통 정보 서버와 유선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해당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각 운행 차량의 운행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관제 단말기와, 차량주차장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의 운행 관련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단말기로부터 운행 관련 정보 갱신 요구에 대해 각 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DSRC) 방식으로 변경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관련 정보를 갱신시키는 DSRC 기지국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DSRC 기지국 및 노변 기지국은 안테나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와 커넥터로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부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일체화하여 각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시스템.
KR10-2001-0087393A 2001-12-28 2001-12-28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 KR100414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393A KR100414076B1 (ko) 2001-12-28 2001-12-28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393A KR100414076B1 (ko) 2001-12-28 2001-12-28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021A KR20030057021A (ko) 2003-07-04
KR100414076B1 true KR100414076B1 (ko) 2004-01-07

Family

ID=3221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393A KR100414076B1 (ko) 2001-12-28 2001-12-28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945A (ko) * 2006-05-04 2007-11-08 지영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945A (ko) * 2006-05-04 2007-11-08 지영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021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549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망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장치
US68295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hannel information of roadside unit
KR100818398B1 (ko) 노면상태 및 교통상황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508807B1 (ko)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
KR100360266B1 (ko) 여행 정보 서비스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서비스 방법
JP2000090395A (ja) 車両間通信の送信装置及び方法
KR20110027203A (ko) V2i 기반 차량단말기(obu)의 다중채널 접속방법 및 장치
KR20020051391A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KR100624955B1 (ko)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및 텔레매틱스를 위한 통신장치 및방법
KR100842519B1 (ko) Dsrc 연동 텔레매틱스 시스템
KR100414076B1 (ko) 차량 운행정보 자동 변경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50170A (ko)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18199B1 (ko) 단거리 전용 고속 무선 통신 기반의 차량 탑재 장치
KR100393784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장치
KR100575104B1 (ko)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10113333A (ko) 근거리 전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와 차량단말간 상향 및 하향 신호 처리 방법
KR100842465B1 (ko)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5032A (ko) 지능형 교통망 시스템을 이용한 택시 운행관리 방법
KR100446743B1 (ko) 기지국간 연동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366117B1 (ko) 이중 채널 접속 환경에서의 wave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393785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 시스템의 통신 프레임 크기 가변 방법
KR100801914B1 (ko)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한 교통 흐름 판단 방법
JPH05191331A (ja) 車々間通信方式
KR20030069725A (ko)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차량 호출 시스템
JP2004297549A (ja) 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