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037B1 -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037B1
KR100414037B1 KR10-2002-0020484A KR20020020484A KR100414037B1 KR 100414037 B1 KR100414037 B1 KR 100414037B1 KR 20020020484 A KR20020020484 A KR 20020020484A KR 100414037 B1 KR100414037 B1 KR 10041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portion
output connector
inpu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535A (ko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이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욱 filed Critical 이재욱
Priority to KR10-2002-002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0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535A/ko
Priority to PCT/KR2003/000695 priority patent/WO2003090316A1/en
Priority to AU2003221099A priority patent/AU2003221099A1/en
Priority to CNA038084066A priority patent/CN1647320A/zh
Priority to TW092108981A priority patent/TW20040817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 장치는, 제1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1접속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입력커넥터; 및 제2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제2접속단자부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어 있는 출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커넥터에는, 상기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 간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단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이 이루어진 인출단자부의 수만큼에 해당하는 제1접속단자부는 더미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Cable connecting device and Parti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전송회선에 선택적으로 포트(Port)가 접속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포트의 사용가능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는 근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신케이블을 통해 허브(Hub)와 같은 집선장치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데이터 전송회선의 분배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짐으로 인해 케이블 설비작업이 일단 완료된 후에는 케이블 배선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통상적으로 사무실은 개개의 컴퓨터 단말기를 둘러싸는 파티션(Partition)이 설치되며, 허브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컴퓨터 단말기에 접속되는 케이블은 바닥에 매입되거나, 벽과 바닥이 접하는 구석부분을 따라 설치가 되므로 컴퓨터 단말기의 배치상태를 변경해야 할 경우에는 새롭게 케이블 배선작업을 하거나, 번거롭게 기존의 케이블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비록, 이와 같은 문제점의 대안으로 미국특허 제5160276호를 통해 개시된 커넥터 구조가 있었으나, 이 발명의 경우 각각의 커넥터에 항시 사용가능한 링크단자가 인출되므로 비경제적인 측면이 있으며, 인출포트 수를 확장하려면 이웃하는 커넥터 사이에 별도의 확장모듈을 장착해야 하는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커넥터의 조작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을 통해 사용가능한 포트의 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케이블 커넥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케이블 커넥팅 장치를 구비한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블 커넥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결합도.
도 3은 포트 P1 및 포트 P2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입력커넥터에 출력커넥터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포트 P1이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입력커넥터에 출력커넥터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포트 P1 및 포트 P2가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입력커넥터에 출력커넥터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 장치를 두 개 연결하여 사용가능한 포트의 수를 확장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 장치를 파티션에 설치한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제1전송케이블 2...제2전송케이블 5...입력커넥터
6...제1접속단자부 7...인출단자부 8...고정수단
10...출력커넥터 11...제2접속단자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 장치는, 제1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1접속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입력커넥터; 및 제2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제2접속단자부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어 있는 출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커넥터에는, 상기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 간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단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이 이루어진 인출단자부의 수만큼에 해당하는 제1접속단자부가 더미(Dummy)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커넥터는 입력커넥터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케이블 커넥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전송케이블(1)이 접속되는 입력커넥터(5)와, 상기 제1전송케이블(1)과 동일한 수의 제2전송케이블(2)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커넥터(5) 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출력커넥터(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커넥터(10)와 입력커넥터(5) 간의 결합위치는 후술하게 되는 바와 같이 가변적이다.
도면에서, 제2전송케이블(2)은 허브측 방향으로부터 연결되는 전송케이블에 해당하며, 상기 제2전송케이블(2)과 동일한 수로 구성되는 상기 제1전송케이블(1)은 허브나 포트에 비해 하류의 워크 스페이스(Work Space), 즉 특정 디바이스와의 접속없이 단순히 다음 단과의 링크(Link)를 수행하는 케이블에 해당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 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상기 제1전송케이블(1)은 다음 단 케이블커넥팅 장치의 출력커넥터(10)와 일대일로 연결된다.
도면에는, 비록 입력커넥터(5) 측에 4개의 제1전송케이블(1)과 2개의 포트(P1,P2)가 구비되고, 출력커넥터(10) 측에 상기 제1전송케이블(1)과 동일한 수의 제2전송케이블(2)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전송케이블(1)과 포트의 수는 다양한 수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a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 장치의 구성이 좀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접속단자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출력커넥터(10)와, 상기 제2접속단자부(11)와 동일한 수의 제1접속단자부(6)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단자부(7)가 형성되어 있는 입력커넥터(5)를 포함한다.
제2접속단자부(11)에는 상기 제2전송케이블(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정 갯수의 결합핀(11a)이 형성되며, 제1접속단자부(6)에는 상기 제1전송케이블(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결합핀(11a)을 수용하기 위한 결합공(6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핀(11a)과 결합공(6a)의 형성위치는 상호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결합핀(11a)의 핀수는 예컨대, 8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단말기가 전화기일 경우 4핀으로 구성되는 등 사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핀수는 가변적이다.
인출단자부(7)에는 인출포트가 형성되는 인출케이블(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부(6)와 동일한 구조로 상기 입력커넥터(5) 측에 부가적으로형성이 되어 상기 출력커넥터(10)와 입력커넥터(5)의 결합시 선택적으로 상기 제2접속단자부(11)와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제2접속단자부(11)와 결합을 이루는 인출단자부(7) 수 만큼의 제1접속단자부(6)는 다음 단으로의 모든 시그널(Signal) 전송이 없는 더미(Dummy)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커넥터(10)와 입력커넥터(5) 간의 결합은 사용자가 출력커넥터(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입력커넥터(5)에 끼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커넥터(5)의 길이방향을 따라 출력커넥터(1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하로 출력커넥터(10)를 조절하여 결합위치를 선택한 후 상기 출력커넥터(10)를 밀어넣음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력커넥터(5)에서 출력커넥터(10)가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그 일 실시예로는, 입력커넥터(5) 측에 출력커넥터(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출력커넥터(10)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입력커넥터(5) 일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턱(5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출력커넥터(10)와 입력커넥터(5)가 서로 소정의 기어구조(미도시)를 통해 맞물리며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일정간격씩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출력커넥터(10)는 입력커넥터(5)의 수용공간 내에서 슬라이딩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출력커넥터(10)를 밀어넣었을 때 상기 결합공(6a)에 결합핀(11a)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출력커넥터(10)가 다시 뒤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수단(8)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8)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입력커넥터(5)의 가이드턱(5a) 부분에 복수개의 체결공(8b)을 형성한 후 볼트(8a)를 삽입하여 상기 출력커넥터(10)를 밀어서 고정하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b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출력커넥터(10)가 입력커넥터(5)에 삽입된 후 볼트(8a)를 통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밖에, 상기 입력커넥터(5)에 출력커넥터(10)가 결합되도록, 상기 출력커넥터(1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소정의 프레임(미도시)을 구성하여 상기 입력커넥터(5)에 체결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 2a를 비롯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는 포트 P1 및 P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커넥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출력커넥터(10) 측의 각각의 제2접속단자부(11)는 하류 링크 L1 내지 L4에 대응하는 입력커넥터(5) 측의 제1접속단자부(6)에 접속되어 시그널을 다음 단으로 보내고, 포트 P1 및 P2에는 제2접속단자부(11)가 접속되지 않으므로 사용 불가능 상태가 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출력커넥터(10)를 한 칸 쉬프트(Shift)하여입력커넥터(5)에 결합함으로써 가장 상측의 제2접속단자부(11)가 하류 링크 L2에 대응하는 제1접속단자부(6)에 접속되고, 가장 하측의 제2접속단자부(11)는 포트 P1에 대응하는 인출단자부(7)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경우 하류 링크 L1은 더미가 되어 시그널의 전송이 없는 상태가 되며, 포트 P1은 사용가능 상태, 포트 P2는 사용 불가능 상태가 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출력커넥터(10)를 다시 한 칸 쉬프트(Shift)하여 가장 상측의 제2접속단자부(11)가 하류 링크 L3에 대응하는 제1접속단자부(6)에 결합되고, 가장 하측의 제2접속단자부(11)는 포트 P2에 대응하는 인출단자부(7)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경우 하류 링크 L1 및 L2가 더미 상태가 되고, 포트 P1 및 P2는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동작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팅 장치는 사용가능한 포트의 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요구되는 포트 수 만큼 인출단자부(7)가 형성된 입력커넥터(5)를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팅 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구성한 후 각각의 케이블 커넥팅 장치, 즉 각각의 워크 스페이스에서의 사용가능한 포트 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면에는 P1, P2, P3에 해당하는 세 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소정의 구획에 따라 배치되는 파티션에 바람직하게 적용하여 편리하게 배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팅 장치를, 케이블이파티션(15)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인출포트가 파티션(15)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한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커넥터(10)와 입력커넥터(5) 간의 결합위치를 조작하여 포트의 사용유무 상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파티션 구조는, 각각의 파티션에 제1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1접속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입력커넥터(5)가 장착되며, 상기 제1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부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어 있는 출력커넥터(10)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파티션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커넥터(5)에는, 상기 출력커넥터(10)와 입력커넥터(5) 간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단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이 이루어진 인출단자부의 수만큼에 해당하는 제1접속단자부가 더미상태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커넥터와 입력커넥터의 결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해당 워크 스페이스에서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포트의 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초기 배선이 편리함은 물론 실내의 컴퓨터 단말기 배치상태가 바뀌더라도 별도의 번거로운 재배치 작업 없이 포트의 사용가능 상태를 위치별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제1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1접속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입력커넥터; 및
    제2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제2접속단자부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어 있는 출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커넥터에는,
    상기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 간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단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이 이루어진 인출단자부의 수만큼에 해당하는 제1접속단자부가 더미상태가 되는 케이블 커넥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커넥터가 입력커넥터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출력커넥터가 상기 입력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팅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팅 장치를 복수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제1전송케이블이 다음 단 출력커넥터에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팅 장치.
  4.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 구조로서,
    제1전송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1접속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입력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1전송케이블와 일대일 결합을 이루는 제2접속단자부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어 있는 출력커넥터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파티션을 서로 연결시, 일측 파티션의 출력커넥터가 타측 파티션의 입력커넥터와 결합을 이루고, 상기 출력커넥터와 입력커넥터 간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단자부가 상기 입력커넥터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이 이루어진 인출단자부의 수만큼에 해당하는 제1접속단자부가 더미상태가 되는 파티션 구조.
KR10-2002-0020484A 2002-04-15 2002-04-15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 KR10041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84A KR100414037B1 (ko) 2002-04-15 2002-04-15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
PCT/KR2003/000695 WO2003090316A1 (en) 2002-04-15 2003-04-08 Cable connecting device and parti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U2003221099A AU2003221099A1 (en) 2002-04-15 2003-04-08 Cable connecting device and parti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NA038084066A CN1647320A (zh) 2002-04-15 2003-04-08 缆线连接装置及其于隔间结构的应用
TW092108981A TW200408177A (en) 2002-04-15 2003-04-11 Cable connecting device and parti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84A KR100414037B1 (ko) 2002-04-15 2002-04-15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535A KR20020035535A (ko) 2002-05-11
KR100414037B1 true KR100414037B1 (ko) 2004-01-13

Family

ID=1972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484A KR100414037B1 (ko) 2002-04-15 2002-04-15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414037B1 (ko)
CN (1) CN1647320A (ko)
AU (1) AU2003221099A1 (ko)
TW (1) TW200408177A (ko)
WO (1) WO2003090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8966B3 (de) * 2007-11-30 2009-02-26 Link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für einen trennbaren Kabelübergang
EP2601710B1 (en) * 2010-08-09 2018-02-21 CK Technologies, Inc. Cable / harness test connector
JP6452565B2 (ja) * 2015-07-15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ケーブル整線部品
KR102583678B1 (ko) * 2022-02-25 2023-10-0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커넥터 가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557A (ja) * 1997-02-28 1998-09-14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ソケット
JPH10302895A (ja) * 1997-04-25 1998-11-1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モジュラーコネクタを備えた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745A (en) * 1998-02-23 2000-08-15 Dekko Engineering,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010095937A (ko) * 2000-04-12 2001-11-07 김태화 모니터가 구비된 파티션
KR20010067621A (ko) * 2001-02-23 2001-07-13 박창석 케이블 커넥터 접속위치 안내를 위한 파티셔너를 갖는프리 보드 커넥터 및 그 파티셔너
KR20030013204A (ko) * 2001-08-07 200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557A (ja) * 1997-02-28 1998-09-14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ソケット
JPH10302895A (ja) * 1997-04-25 1998-11-1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モジュラーコネクタを備えた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535A (ko) 2002-05-11
WO2003090316A1 (en) 2003-10-30
CN1647320A (zh) 2005-07-27
AU2003221099A1 (en) 2003-11-03
TW200408177A (en) 200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5696B2 (ja) 電子装置に搭載されるユニット及び当該電子装置の伝送線路の接続機構
CN101061766B (zh) 模块化的自动化系统
US7481680B2 (en) Patch panel with a motherboar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s jacks
JP5707905B2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システム
US5957714A (en) Mod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27505A1 (en) Switching system
JP5960993B2 (ja) 複数のインタフェースタイプおよび終端をサポートするフィールドバスインタフェース回路基板
MX2007011242A (es) Portador de modulo de divisor universal para centro de distribucion de fibras opticas.
KR100414037B1 (ko) 케이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구조
US8128419B2 (en) Distributor device for use in communication and data systems technology
GB2276048A (en) Communications connector system
BG62585B1 (bg) Щепселен съединител за телекомуникационната и информационнататехника
CN108899720B (zh) 一种线缆
KR102330343B1 (ko) 세대단자함 설치용 멀티커넥터
KR100877627B1 (ko) 전화 및 데이터 통합형 허브
KR200300959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사이드패널
KR20010016039A (ko) 힌지식가변형배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정보통신선로용공통장치함
CN1094264C (zh) 电连接器组合
WO2004011972A1 (en) Fiber optic link platform
KR200171299Y1 (ko) 8핀과 4핀 겸용 간선망 정보통신선 단자접속기
RU2546556C2 (ru) Установочный прибор с универсальной связью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отехнике зд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а с выполненными таким образом установочными приборами
CN211017515U (zh) 用于网线连接的直通式连接器
KR200295070Y1 (ko) 회선선택장치가 있는 전화기
JP2001326041A (ja) 結線変換コネクタ
CN103236595A (zh) 管理带簧片结点组件的导线终端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