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892B1 -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892B1
KR100412892B1 KR10-2001-0067804A KR20010067804A KR100412892B1 KR 100412892 B1 KR100412892 B1 KR 100412892B1 KR 20010067804 A KR20010067804 A KR 20010067804A KR 100412892 B1 KR100412892 B1 KR 100412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vehicle
inner panel
panel
cow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312A (ko
Inventor
양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8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카울인너리어패널과 A필라의 하부부위를 이루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의 접합부위를 보강해 정면 충돌이나 40% 오프세트충돌 시 밀려드는 엔진을 저지하면서 카울박스의 실내쪽으로의 변형을 차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울박스를 이루면서 차량 실내 쪽으로 향하는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이 카울인너리어패널(2)의 절곡된 끝 부위에서 서로 용접·접합되면서 차량의 측면을 이루는 A필라(P)의 하부부위에서 도어 힌지 부위를 이루도록 서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 및 이 패널(2,1,3)에 의해 형성된 절곡 부위를 가로질러 덧대어진 거세트플레이트(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Protecting structure to be pushed cowl box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이나 40% 오프세트(Offset)충돌 시 카울부위의 실내로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륜 구동 차량의 전방은 엔진등과 같은 각종 주요 장치들이 장착된 엔진룸을 이루면서 대시패널을 매개로 차량의 실내와 구획되는데, 이와 같이 엔진룸과 차량 실내를 구획하는 대시패널부위의 상부부위로 통상, 차량 폭을 가로지르는 카울박스가 구비되어 와이퍼등이 장착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카울박스는 그 양 측면에서 차량의 측면을 이루는 A필라(P)부위와 서로 용접·접합되어 그 강성을 강화하게 되는데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실내 쪽으로 향하는 카울인너리어패널(2)의 절곡된 끝 부위가 차량의 양 측면을 이루는 A필라(P)의 하부부위에서 도어 힌지 부위를 이루면서 서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에 용접·접합되는 한편, 카울박스의 측면부위를 이루는 카울사이드아우터멤버(2')가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에서 차량 전방쪽으로 이어져 도시되어 있지 않은 카울 멤버 패널등과 함께 카울박스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정면 충돌이나 40% 오프세트(Offset)충돌 시 충격에 의해 엔진이 차량 실내쪽 즉, 카울박스 부위로 이동될 때 가해지는 충격량을 카울박스의 양 측면으로 접합된 A필라(P)부위로 분산시켜 밀려드는 엔진에 의한 충격을 어느정도 저감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면 충돌이나 40% 오프세트(Offset)충돌 시 가해지는 충격이 매우 커 엔진의 실내쪽으로의 밀림이 큰 경우에는 카울박스를 이루는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A필라(P)의 하부부위를 이루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의 용접·접합부위가 극히 일부분만이 서로 덧대어져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밀려드는 엔진에 의한 충격을 충분히 이겨내기에는 매우 취약해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 오프세트(Offset)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밀려드는 엔진에 의해 상기 카울인너리어패널(2)부위가 엔진룸과 차량 실내를 구획하는 대시패널 쪽으로 변형되면서 실내로 침입해 승객에게 부상을 입히는 구조적인 한계를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카울인너리어패널과 A필라의 하부부위를 이루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의 접합부위를 보강해 정면 충돌이나 40% 오프세트충돌 시 밀려드는 엔진을 저지하면서 카울박스의 실내쪽으로의 변형을 차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울박스를 이루면서 차량 실내 쪽으로 향하는 카울인너리어패널과, 이 카울인너리어패널의 절곡된 끝 부위에서 서로 용접·접합되면서 차량의 측면을 이루는 A필라의 하부부위에서 도어 힌지 부위를 이루도록 서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 및 이 패널에 의해 형성된 절곡 부위를 가로질러 덧대어진 거세트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카울박스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부위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구조를 갖춘 카울박스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부위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방향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인너패널 2 : 카울인너리얼패널
2' : 카울사이드아우터멤버
3 : 사이드아우터패널 5 : 거세트플레이트
5a : 플랜지 6 : 카울인너리어플레이트
7 : 고정부재
P : A필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구조를 갖춘 카울박스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부위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카울박스를 이루면서 차량 실내 쪽으로 향하는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이 카울인너리어패널(2)의 절곡된 끝 부위에서 서로 용접·접합되면서 차량의 측면을 이루는 A필라(P)의 하부부위에서 도어 힌지 부위를 이루도록 서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 및 이 패널(2,1,3)에 의해 형성된 절곡 부위를 가로질러 덧대어진 거세트플레이트(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거세트플레이트(5)는 그 양 쪽으로 절곡된 플랜지(5a)가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7)를 매개로 그 양 단이 각각 고정되되, 상기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는 플랜지(5a)와 패널(1,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인너패널(1)안 쪽에서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는 반면, 상기 카울인너리어패널(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는 카울인너리어패널(2)에 용접·접합되는 카울인너리어플레이트(6)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체결과 충격 흡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차체를 이루는 A필라(P)의 하부부위로 연결되어 도어 힌지 부위를 이루면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과, 이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의 접합부에 차량 실내 쪽으로 향하는 카울인너리어패널(2)의 절곡된 끝 부위를 서로 용접·접합시킨 후, 이어 상기 카울인너리어패널(2)의 절곡부위의 안 쪽 면으로 그 일단부위가 용접·접합된 카울인너리어플레이트(6)의 타 부위를 통해 고정부재(7)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울인너리어플레이트(6)에 의해 카울인너리어패널(2)에서 돌출되게 그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재(7)에 거세트플레이트(5)의 한쪽부위에 형성된 플랜지(5a)를 카울인너리어플레이트(6)에 겹쳐지게 끼워준 후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어, 상기 거세트플레이트(5)의 반대부위를 카울박스의 측면부위를 이루는 카울사이드아우터멤버(2')가 용접·접합된 사이드아우터패널(3)과 폐 단면을 이루는 사이드인너패널(1)부위로 위치시킨 후, 상기 거세트플레이트(5)의 플랜지(5a)와 사이드인너패널(1)을 고정부재(7)로 관통해 사이드인너패널(1)안 쪽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울박스를 이루면서 차량 실내 쪽으로 향하는 카울인너리어패널(2)의 절곡된 부위에 용접·접합되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사이에 형성된 모서리부위를 거세트플레이트(5)가 가로지르므로 이에 따라, 상기패널(2,1,3)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위의 강성이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의 모서리부위를 형성하는 접합부위에 의해 1차로 확보되면서 상기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사이드인너패널(1)의 모서리부위를 가로지르는 거세트플레이트(5)에 의해 2차로 확보되므로 결국, 상기 카울박스를 이루는 카울인너리어패널(2)의 강성이 2중으로 강화되어진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정면 충돌이나 특히, 40% 오프세트(Offset)충돌 시 충격에 의해 엔진이 차량 실내쪽 즉, 카울박스 부위로 이동되면서 카울박스의 측면부위로 큰 충격력(F)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의 모서리부위를 가로질러 덧대어진 거세트플레이트(5)가 변형되면서 가해진 충격력(F)을 흡수·완충해 밀려드는 엔진에 의해 카울인너리어패널(2)부위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실내로의 침입 정도를 약화시켜 승객의 부상을 최소화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울박스를 이루는 카울인너리어패널과 A필라부위를 이루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위가 패널들의 접합부위와 모서리부위를 가로지르는 거세트플레이트에 의해 2중으로 강화되어, 차량의 정면 충돌이나 40% 오프세트충돌 시 밀려드는 엔진을 저지하면서 카울박스의 실내쪽으로의 변형을 크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카울박스를 이루면서 차량 실내 쪽으로 향하는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이 카울인너리어패널(2)의 절곡된 끝 부위에서 서로 용접·접합되면서 차량의 측면을 이루는 A필라(P)의 하부부위에서 도어 힌지 부위를 이루도록 서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 및 이 패널(2,1,3)에 의해 형성된 절곡 부위를 가로질러 덧대어진 거세트플레이트(5)로 이루어진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세트플레이트(5)는 그 양 쪽으로 절곡된 플랜지(5a)가 형성되어 카울인너리어패널(2)과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7)를 매개로 그 양 단이 각각 고정되되, 상기 사이드인너·아우터패널(1,3)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는 플랜지(5a)와 패널(1,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인너패널(1)안 쪽에서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는 반면, 상기 카울인너리어패널(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는 카울인너리어패널(2)에 용접·접합되는 카울인너리어플레이트(6)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KR10-2001-0067804A 2001-11-01 2001-11-01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KR100412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804A KR100412892B1 (ko) 2001-11-01 2001-11-01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804A KR100412892B1 (ko) 2001-11-01 2001-11-01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312A KR20030037312A (ko) 2003-05-14
KR100412892B1 true KR100412892B1 (ko) 2003-12-31

Family

ID=2956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804A KR100412892B1 (ko) 2001-11-01 2001-11-01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7896B2 (en) 2012-08-21 2014-10-14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for dispersing collision energy of front pillar during car cras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7896B2 (en) 2012-08-21 2014-10-14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for dispersing collision energy of front pillar during car cra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312A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5842B2 (ja) 車両のフード装置
JP3335780B2 (ja) 車両のセンタピラー下方部の車体構造
US8585134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JP3335781B2 (ja) 車両のセンタピラー部全周閉断面構造
EP2123496B1 (en) Automotive door with enhanced side collision performance
KR100362719B1 (ko) 차량의 전면 보강구조
JP2003170861A (ja) 自動車フロントピラーの補強構造
JP2000289650A (ja) 室内衝撃吸収構造
JP3580934B2 (ja) ピラーの補強構造
KR101393885B1 (ko) 대시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KR100412892B1 (ko) 차량의 카울박스 밀림방지구조
JP5151495B2 (ja) 自動車のフードストッパ構造
KR20010087448A (ko) 자동차의 리어엔드 크로스멤버 보강구조
JP7103439B2 (ja) 自動車の側部構造及び自動車
KR101807057B1 (ko) 차량용 사이드 실 유닛
JPH05294257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0402113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JPH0134939Y2 (ko)
KR200197871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KR100309612B1 (ko) 고강성구조를가지는자동차의실사이드실
WO2020256042A1 (ja) フレーム構造
KR20030000524A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 어퍼 보강구조
KR200179579Y1 (ko) 승용차 사이드 씰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00391659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JPH0781509A (ja) 衝撃吸収機能付きスペーサーブロック及びハンガー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