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168B1 - 치수안정성이증가된2축연신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수안정성이증가된2축연신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168B1
KR100412168B1 KR1019960018644A KR19960018644A KR100412168B1 KR 100412168 B1 KR100412168 B1 KR 100412168B1 KR 1019960018644 A KR1019960018644 A KR 1019960018644A KR 19960018644 A KR19960018644 A KR 19960018644A KR 100412168 B1 KR100412168 B1 KR 10041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propylene
ply
polypropylene film
film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644A (ko
Inventor
파이퍼 헤르베르트
부슈 데틀레프
슐뢰글 귄터
코쳄 칼-하인츠
드리스 토마스
빈터 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0154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121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9519260A external-priority patent/DE19519260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48795 external-priority patent/DE19548795A1/de
Application filed by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6004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43Polymerization with metallocene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10T428/2826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2축으로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기술하였다. 필름의 n-헵탄-불용성 함량은,13C-NMR 분광기에 의해 측정하여, 97% 이상의 사슬 아이소택틱 지수를 갖는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를 기술하였다.

Description

치수 안정성이 증가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승온에서 치수 안정성이 증가된 2축 연신된 단일 플라이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2축 연신된 리프로필렌 필름들은 공지되어 있다. 이 필름들은 일반적으로 소위 스텐터 공정(stenter process)에 의한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 다층 필름이다.
이 공정에 있어서, 중합체들은 압출기에서 용융되고, 균질화된다. 용융물은 여과되고, 슬롯 다이에서 수집되는데, 이들을 압출시켜 용융 필름을 수득한다. 용융 필름은 냉각 롤 상에 캐스팅(casting)되고, 이를 고화시켜 비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 필름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2축 연신시킨다. 횡방향 연신 후, 필름은 실온으로 냉각하고, 양 가장자리에서 다듬고, 두께 프로필을 측정하고, 필요할 경우, 필름은 표면 처리한다. 이어서, 필름을 권취시키고, 포장하여 소비자용으로 준비된 절취 롤을 수득한다.
boPP 필름들의 사용과 관련된 특성은 주로 2축 연신에 의해 결정된다. boPP 필름들은 뛰어난 두께 프로필의 결과로서 높은 기계적 강도, 승온에서 양호한 치수 안정성, 광택성 외관 및 뛰어난 평활성을 갖는다.
이러한 양호한 특성들 및 뛰어난 가공 특성에 기초하여 boPP 필름은 매우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가장 중요한 수요 분야는 생산량의 약 70%를 충당하는 포장 분야이다. 또한, boPP 필름은 기술적인 용도로 사용된다. 금속화, 적층 및 커패시터의 제조에 있어서 전기 절연재(유전체)로서의 이 필름의 사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기술적인 적용, 예컨대 금속화에 있어서, 또는 필름을 콘덴서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필름은 특히 승온에서 매우 높은 치수 안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심지어는 빈번히 필요하다. 즉, 승온에서조차 필름의 열수축성이 매우 낮아야 한다.
따라서, 필름, 예를 들어 콘덴서 필름의 금속화 동안 온도 상승이 필름의 표면에서 일어나고, 따라서 금속의 증착 동안 유리된 열량(반응열)에 기인하여 필름의 내부에서도 온도 상승이 일어난다. 필름의 내부에서 온도의 증가가 -동일한 금속 층에 대해- 클수록 필름은 얇아진다. 이러한 적용은 항상 박막을 향하는 경향을 띤다. 10년전, 이 적용에 있어서 평균 필름 두께는 약 9㎛이었으나, 오늘날은 7㎛보다 상당히 작다.
필름 온도 상승에 따른 필름의 과도한 수축이 금속화된 필름의 권취에 있어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만일 필름의 수축 용량이 너무 크면, 롤 및/또는 금속 층 상의 중첩 형태가 손상된다.
이러한 상황은 금속화된 필름의 커패시터로의 추가 가공에 있어서도 유사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금속화 필름을 협소한 스트립으로 절단한 다음, 원형 권선으로 전환한다. 몇몇 적용에 있어서 이들 원형 권선은 평면 압착된 커패시터로 전환된다. 두가지 경우에 있어서, 전기 접촉이 납땜 또는 수핑(고온에서 용융된 금속의 분무)에 의해 원형 또는 편평한 권선의 표면에 제공된다. 이 동안, 필름 권선의 표면은 상당히 고온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승온의 결과로서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의 필름의 수축이 접촉부에서 파양 및/또는 필름 상의 금속층에 대한 부분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은 본원에서 불리하다.
과도한 수축은, 더욱이 온도 상승이 장시간 사용시 및/또는 피크 부하 동안 주위 환경에서 또는 커패시터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커패시터 적용에 있어서 더욱 불리하다.
상기의 문제점은 커패시터의 제조에 있어서 필름 수축이 가능한 가장 낮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바람직하게 한다.
포장 분야, 예를 들면 담배의 포장에 있어서, 필름이 가능한 가장 낮은 열 수축을 갖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의 가공 동안, 보다 높은 기계 속도 및 낮은 필름 두께로 향하는 경향을 띤다. 또한, 중첩되지 않는 가능한 한 가장 기밀한 포장 외관이 목적시 된다.
반면, 담배 팩의 포장에 있어서, 팩이 1980년대에 처리되는 순환 속도는 약250단위/분이었으나, 오늘날은 약 500단위/분이다. 경제성 및 환경적인 이유 때문에, 그 당시 필름 두께는 대략 20㎛에서 오늘날은 약 16㎛로 감소되었다.
높은 기계 속도에서, 가열-밀봉 조오(jaw)의 온도는, 가열 밀봉 시간이 일정하게 더욱 단축되고 있으므로, 담배 팩의 기밀하게 밀봉된 방향 기밀 포장을 수득하기 위해 상당히 증가되어야 한다. 필름이 얇을수록, 이 작업 동안 필름 온도는 더 높아진다.
필름의 과도한 수축은, 특히 소위 연질 팩에 있어서, 포장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중첩 형성을 초래한다. 또한, 높은 필름 수축은 팩이 찌그러지거나 구부러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인쇄된 표준 포장 필름에 있어서, 필름의 낮은 수축이 마찬가지로 유리하다. 필름의 인쇄 동안, 예를 들면 높은 건조 온도 및 이에 따라 보다 빠른 처리 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 가열 동안의 수축이 부작용을 일으킨다면 가능한 한 최소의 수축이 항상 유리하다.
필름 수축은 연신 온도, 특히 횡방향 연신 동안의 온도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연신 온도 및 열-경화 온도는 횡방향 텐터 프레임에서 필름을 장시간 보유 하면서 가능한 한 높게 선택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불리한 효과는 필름의 투명성 및 광택이 악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과도하게 높은 연신 온도는 불량한 두께 프로필 및 낮은 기계적 강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온에서 높은 치수 안정성, 즉 낮은 수축률에 의해 차별화되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축 값은 양방향, 즉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 있어서 가능한 한 낮아야 한다. 동시에, 포장 필름으로서 사용시 요구되는 고광택, 낮은 헤이즈, 균일한 두께 프로필 등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다른 유리한 특성들이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증가된 필름 인열로 인한 불량한 두께 프로필 또는 낮은 경제적 효율 등의 결점은 공정을 개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피하여야 한다.
당해 목적은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플라이(ply)를 갖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되고, 기본 플라이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은 다음 특징 중의 하나를 갖는다:
- 2개의 구조적 쇄 결손부 사이의 폴리프로필렌 분자의 평균 아이소택틱 블록 길이가 통계적으로 평균 40 이상이고,
-13C-NMR 분광기에 의해 측정된 폴리프로필렌의 n-헵탄 불용성 분획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가 95% 이상이며,
- 분자량 분포도인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Mw/Mn)가 4 미만이고,
- 폴리프로필렌의 n-헵탄 가용성 분획이 1% 미만이고,
-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필름의 수축률이 5% 미만이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나타내며, 이들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은 다층이거나 단일 플라이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기본 플라이로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기본 플라이는 존재하는 모든 플라이 중의 가장 큰 두께를 갖는 플라이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양태에서 기본 플라이는 전체 필름 두께의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8%를 구성한다. 다층 양태에 있어서, 필름은 이의 기본 플라이 위에 하나 이상의 상부 플라이 또는 필요에 따라, 양 측면 상에 상부 플라이들을 가지며, 이들은 필름의 외부 플라이를 형성한다. 추가의 다층 양태에 있어서, 필름은 이의 기본 플라이 위에 하나 이상의 중간층 또는 필요에 따라 양측면 상에 중간층들을 갖는다.
필름의 기본 플라이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이하 기술되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의 기본 플라이에 기초하여 적어도 85 내지 10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중량%, 특히 90 내지 95중량%를 함유하며, 이는 boPP 필름의 기본 플라이에 통상 사용되는 종래의 아이소택틱 프로필렌 중합체와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이들 구조적인 차이점은 신규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프로필렌 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구조적 차이의 특징은 2개의 구조적 쇄 결손부 사이의 프로필렌 중합체의 평균 아이소택틱 블록 길이가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프로필렌 단위라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은 중합체의 특정 구조에 관련된 추가의 변수들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정의된 평균 아이소택틱 블록 길이 이외에, 폴리프로필렌은 각각의 경우 출발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미만 내지 0.6중량%, 특히 0.5 내지 0.005중량%의 특히 낮은 n-헵탄 가용성 분획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필렌 중합체의 n-헵탄 불용성 분획은 일반적으로 매우 아이소택틱성이다.13C-NMR 분광기에 의해 측정된 n-헵탄 불용성 분획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는 95% 이상, 바람직하게는 96% 이상, 특히 97 내지 99%이다.
분자량 분포도는 중합체의 구조를 특성화하기 위한 추가의 적합한 변수이다. 이것은 비교적 협소한 것이 유리하다.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4 미만, 특히 3 미만이다. 특히 1.5 내지 2.7의 범위 이내이다.
극히 낮은 n-헵탄 가용성 분획, 높은 쇄 아이소택틱 지수 및 매우 협소한 분자량 분포도에도 불구하고, 이들 신규 폴리프로필렌을 연신시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놀라운 것이다. 또한, 신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필름이 실질적으로 개선된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은 매우 놀라운 것이다.
메탈로센 촉매에 의한 이의 제조에 기인하는 폴리프로필렌의 구조적 차이점은 필름의 치수 안정성에 유리하다. 즉 승온에서 낮은 수축에 대해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수축은 일반적인 목적의 PP를 포함하는 필름의 경우보다 메탈로센 PP를 포함하는 기본 플라이를 갖는 필름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낮다.
상기 구조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9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4 내지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중량%의 프로필렌 단위를 함유한다. 10중량% 이하 또는 0 내지 6중량% 또는 0 내지 2중량%의 상응하는 공단량체 함량은, 존재할 경우, 일반적으로 에틸렌을 포함한다. 중량%로의 데이터는 각각의 경우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준으로 한다. 융점은 일반적으로 140 내지 175℃,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65℃, 특히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62℃이며, 용융 유동 지수(21.6N 하중 및 230℃에서 DIN 53735에 따라 측정)는 1.0 내지 30g/10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6g/10분이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은 유리하게는 메탈로센 촉매가 사용되는 그 자체로 공지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논제가 아니다. 상응하는 공정은 이미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유럽 특허 제0 302 424호, 제0 336 128호, 제0 336 127호 및 제0 576 970호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는 다수의 상이한 중합-활성 중심들을 갖고, 각각 상이한 중합체를 제조한다. 이는 매우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쇄를 유도한다. 실제로, 쇄 길이(Mn)가 10,000 미만인고 두 개의 왁스성 중합체 및 Mn이 1,000,000을 초과하는 초고분자량 중합체가 수득된다. 동시에, 활성 중심은 이들의 입체특이성에 따라 변한다. 스펙트럼은 신디오-특이성을 통해 완전히 비특이적인 중심에서 아이소-특이성 중심까지 분포되고, 후자는 또한 상이한 아이소-특이성을갖는다. 이는 상이한 결정화도, 즉 상이한 융점을 갖는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및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생성물 혼합물을 유도한다.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은 필름의 포장을 유도하고,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은 압출 및 필름 경도의 감소를 유도하며,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은 상이한 융점을 갖는 물질, 즉 균질한 제품이 아니다.
중합화 조건의 작은 변동은 3개의 특징적인 쇄 형태의 조성에 변동을 초래한다. 즉, 단독으로 특성화될 수 없는 상이한 제품을 다시 초래한다.
한편, 메탈로센 촉매는 메탈로센-리간드 구의 변형으로 각각 바람직한 중합체 형태로 단독으로 특성화될 수 있는 중합 중심을 갖는다. 쇄 길이 분포도는 균일하다. Mw/Mn은 작고, 1.7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7[슐쯔-플로리 분포(Schultz- Florey distribution)]의 범위 내이다. 더욱이, 활성 중심은 또한 균일한 입체특이성을 가지며, 이는 균일한 융점을 갖는 쇄 또는 균일한 입체특이성 구조를 갖는 쇄를 유도한다. 따라서, 이들의 평균 아이소택틱 블록 길이에서만 약간 상이한 중합체 쇄가 형성된다. 이는 또한 균일한 융점에 반영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필름의 기본 플라이는, 필요할 경우, 상기 메탈로센 프로필렌 중합체 이외에 통상의 첨가제를 각각 유효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통상의 첨가제로는 차단 방지제, 중화제, 안정화제, 대전 방지제 및/또는 윤활제가 있다.
바람직한 대전 방지제는 알칼리 금속 알칸설포네이트, 폴리에테르-개질된,즉 에톡실화 및/또는 프로폭실화 폴리디오가노실록산(폴리디알킬실록산, 폴리알킬페닐실록산 등) 및/또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라디칼을 포함하고 ω-하이드록시-(C1-C4)-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본질적으로 직쇄의 포화된 지방족 3급 아민이 있으며, 알킬 라디칼 중에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알킬아민이 특히 적합하다. 대전 방지제의 유효량은 0.05 내지 0.5중량%이다. 더욱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가 대전 방지제로서 0.03% 내지 0.5%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적합한 차단 방지제는 실리카, 탄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인산칼슘 등의 무기 첨가제, 및/또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비혼화성 유기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벤조구안아민/포름알데히드 중합체, 실리카 및 탄산칼슘이 있다. 차단 방지제의 유효량은 0.1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중량%이다.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6㎛, 특히, 2 내지 5㎛이고, 유럽 특허 제0 236 945호 및 독일 특허 제38 01 53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구형 입자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윤활제는 고급 지방족 아민, 고급 지방족 에스테르, 왁스 및 금속 비누 뿐만 아니라,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있다. 윤활제의 유효량은 0.01 내지 3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중량%이다. 고급 지방족 아미드를 기본 플라이에 0.01 내지 0.2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적합한 지방족 아미드는 에루크아미드이다. 폴리디메틸실록산, 특히 점도가 5,000 내지 1,000,000㎟/S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을 0.02 내지 2.0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에틸렌 중합체, 프로필렌 중합체, 및 기타 α-올레핀 중합체에 대해 안정화 작용을 갖는 통상적인 화합물일 수 있다. 이의 첨가량은 0.05 내지 2중량%이다. 페놀계 안정화제, 알칼리 금속 스테아레이트/알칼리 토금속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알칼리 토금속 카보네이트가 특히 적합하다. 분자량이 500g/mol 이상인 0.1 내지 0.6 중량%, 특히 0.15 내지 0.3중량%의 양의 폐놀계 안정화제가 바람직하다.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3,5-디-3급 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이 특히 유리하다.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크기가 0.7㎛ 이하이고, 절대 입자 크기가 10㎛ 미만이며, 비표면적이 40㎡/g 이상인 디하이드로탈사이트, 칼슘스테아레이트 및/또는 탄산칼슘이다.
바람직한 다층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 중합체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상부 플라이 또는 필요할 경우 양 측면 상에 상부 플라이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부 플라이는 각각의 경우에 상부 플라이를 기준으로 하여 7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중량%, 특히 90 내지 98중량%의 α-올레핀 중합체 및 각각의 경우에 유효량의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α-올레핀 중합체의 예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에틸렌 및 1-부틸렌 또는 프로필렌 및 1-부틸렌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1-부틸렌의 삼원공중합체, 또는
상기한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중의 둘 이상의 혼합물, 또는
필요할 경우, 상기한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와 혼합된, 상기한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중의 둘 이상의 배합물이 있으며,
특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각각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부틸렌 함량이 2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중량%의 프로필렌/1-부틸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각각 삼원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중량%이고 1-부틸렌 함량이 2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1-부틸렌 랜덤 삼원공중합체, 또는
각각 중합체 배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에틸렌 함량이 0.1 내지 7중량%이고 프로필렌 함량이 50 내지 90중량%이며 1-부틸렌 함량이 10 내지 4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1-부틸렌 삼원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부틸렌 공중합체와의 배합물이 바람직하다.
상부 플라이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융점은 14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65℃이다. 아이소택틱 호모폴리프로필렌을 기준으로하여 6중량%이하의 n-헵탄 가용성 분획을 갖는 아이소택틱 호모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단독중합체의 용융 유동 지수는 일반적으로 1.0g/10분 내지 20g/10분이다.
상부 플라이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기한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의 용융 유동 지수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30g/10분이다. 융점은 120 내지 14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공중합체와 삼원공중합체의 배합물의 용융 유동 지수는 5 내지 9g/10분이고, 융점은 120 내지 150℃이다. 상기의 모든 용융 유동 지수는 230℃에서 및 21.6N의 힘에서 측정된다(DIN 53 735).
저활성화 양태에 있어서는, 상부 플라이는 추가로 상기한 상부 플라이 중합체와 혼합되거나 배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추가로 함유한다. 저활성화 상부 플라이들의 조성 및 세부사항은, 예를 들면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유럽 특허 제0 563 796호 또는 제0 622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부 플라이(들)는 또한 상기 기본 플라이에 대해 기술한 메탈로센-촉매화 프로필렌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대전 방지제, 차단 방지제, 윤활제, 중화제 및 안정화제 등의 상기 기본 플라이용으로 기술된 첨가제들을 상부 플라이(들)에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상기 양태에서 기술된 양은 상부 플라이의 상응하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들)는 차단 방지제, 바람직하게는 SiO2및 윤활제,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필름은 적어도 상기한 기본 플라이,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상부 플라이를 포함한다. 이의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서, 필름은 반대면에 추가의 상부 플라이를 가질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중간층(들)을 기본 플라이 또는 상부 플라이(들) 사이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바람직한 양태는 3개의 플라이이다. 제2 상부 플라이의 구조, 두께 및 조성은 이미 존재하는 상부 플라이와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제2 상부 플라이는 마찬가지로 상기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 중 하나를 함유할 수 있지만, 제1 상부 플라이의 것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2 상부 플라이는 또한 기타 통상의 상부 플라이 중합체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부 플라이(들)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특히 0.4 내지 1.5㎛이고, 양면 상의 상부 플라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일 수 있다.
중간층(들)은 상부 플라이용으로 기술된 α-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중간층(들)은 기본 플라이용으로 기술된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중간층(들)은 개별 플라이에 대해 기술된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중간층(들)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3㎛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특히 1.5 내지 10㎛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프로필렌의 전체 두께는 광범위한 범위 내에서 매우 다양하고, 목적하는 용도에 좌우된다. 전체 필름 두께의 약 40 내지 100%를 구성하는 기본 플라이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0㎛, 특히 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6내지 30㎛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 자체로 공지된 공압출 공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 공정에 있어서, 플라이 또는 필름의 개별 플라이에 상응하는 용융물(들)은 편평한 다이를 통해 공압출시키고, 이렇게 수득된 필름은 하나 이상의 고화용 롤러 상으로 인발한 다음, 필름은 2축 연신시키고, 2축 연신된 필름을 열고정시키고, 필요에 따라 처리하려는 표면 플라이에 코로나-처리 또는 불꽃-처리한다.
2축 연신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하고, 연신은 먼저 종방향(기계 방향)으로 수행한 다음, 횡방향 (기계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수행하는 연속 2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먼저, 개별 플라이의 중합체(들)를 통상의 공압출 공정에서와 같이 압출기에서 압착시키고, 액화하고, 필요할 경우, 첨가되는 첨가제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 중에 이미 존재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용융물을 동시에 슬롯 다이(편평한 필름 다이)를 통해 힘을 가하고, 압출된 다층 필름을 하나 이상의 인발 롤러상에서 인발하고, 이 동안 이는 냉각되고 고화된다.
이어서, 이렇게 수득된 필름을 종방향 및 압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신시켜, 분자쇄의 연신을 유도한다. 종방향 연신은 목적하는 연신비에 상응하는 상이한 속도로 작동하는 두 롤러들의 도움으로 편리하게 수행되고, 횡방향 연신은 적절한 텐터 프레임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종방향 연신비는 3 내지 9,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5이다. 횡방향 연신비는 4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1, 특히 7내지 10이다.
필름의 2축 연신에 이어서 열 경화(열 처리)가 뒤따르며, 필름은 100 내지 160℃의 온도에서 0.1 내지 10초 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필름은 권취 장치에 의해 통상의 방식으로 권취된다.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의 온도에서, 가열 및 냉각 순환에 의해 압출된 필름을 냉각시키고, 고화시킴으로써 인발 롤러(들)를 유지시키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이 수행되는 온도는 비교적 광범위한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으며, 필름의 목적하는 특성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종방향 연신은 8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횡방향 연신은 10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7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 후, 필름의 한 표면 또는 양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방법 중의 하나로 코로나-처리 또는 불꽃-처리한다. 처리 강도는 일반적으로 37 내지 50mN/m, 바람직하게는 39 내지 45mN/m이다.
편리한 코로나 처리에 있어서, 필름은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두 컨덕터 소자 사이를 통과하고, 고압, 대부분 경우에 교류 전압(약 5 내지 20kV 및 5 내지 30kHz)이 분무 방전 또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전극 사이에 인가된다. 분무 방전 또는 코로나 방전으로 인하여, 필름 표면 상의 공기가 이온화되고, 필름 표면의 분자와 반응하여 극점들이 본질적으로 비극성 중합체 매트릭스 상에 형성된다.
극성 불꽃(미국 특허 제4,622,237호 참조)을 사용하는 불꽃 처리를 위해, 직류 전압을 버너(음극) 및 냉각 롤러 사이에 인가한다. 인가된 전압 수준은 400 내지 3,000V,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V의 범위 이내이다. 인가된 전압으로 인해, 이온화된 원자는 중합체 표면에서 높은 운동 에너지로 증대된 가속 및 충돌을 경험하게 된다. 중합체 분자내의 화학적 결합은 보다 쉽게 분해되고, 유리 라디칼의 형성이 보다 쉽게 진행된다. 이러한 경우 중합체 상의 열 응력은 표준 불꽃 처리에서보다 훨씬 약하고, 처리된 면의 밀봉 특성이 비처리된 면의 밀봉 특성보다 훨씬 양호한 필름이 수득된다.
메탈로센 PP를 포함하는 기본 플라이를 갖는 신규 필름은 특히 종방향(기계 방향)에서 매우 낮은 수축 값을 특징으로 한다.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수축 값은 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이다.
다음의 측정 방법들이 원료 및 필름의 특성화에 사용되었다.
수축률
종방향 및 횡방향 수축 값은 수축 공정 전의 필름의 치수(종방향 L0및 횡방향 Q0)의 각각의 증가와 관련된다. 종방향은 기계 방향이고, 따라서 횡방향은 기계 작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된다. 시험편을 순환 공기 오븐 중에서 5분 동안 120℃의 온도에 적용한다. 시험편을 완전히 냉각시킨 후,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치수의 증가를 연속적으로 재 측정한다(L1및 Q1). 이어서, 수축률은 원래 치수(L0및 Q0)와 비교하여 측정된 치수의 증가분의 차이로서 제시된다.
종방향 및 횡방향 수축률에 대한 이 측정 방법은 DIN 404 34에 상응한다.
용융 유동 지수
용융 유동 지수는 21.6N 하중 및 230℃에서 DIN 53 735에 따라 측정된다.
융점
DSC 측정법, 용융 곡선의 최대값, 20℃/분의 가열 속도.
수증기 및 산소 투과율
수증기 투과율은 DIN 53 122, 파트 2에 따라 측정된다. 산소 차단 효과는 53%의 대기 습도에서 드래프트(Draft) DIN 53 380, 파트 3에 따라 측정된다.
헤이즈
필름의 헤이즈는 ASTM-D 1003-52에 따라 측정된다.
광택도
광택은 DIN 67 530에 따라 측정한다. 반사값은 필름 표면의 광학적 특성으로서 측정한다. 표준 ASTM-D 523-78 및 ISO 2813과 유사하게 입사각을 60 또는 85로 설정한다. 설정된 입사각에서, 광 빔은 평면 시험 표면에 충돌하고, 후자에 의해 반사되거나 산란된다. 광전자 수용체에 입사된 광빔은 비례적인 전기값으로 표시된다. 측정된 값은 무차원적이며, 입사각과 함께 인용되어야 한다.
표면 장력
표면 장력은 소위 잉크 법(DIN 53 364)에 의해 측정된다.
인쇄 적성
코로나-처리된 필름은 이들의 제조 후 14일 동안(단기 평가) 또는 이들의 제조 후 6개월 동안(장기 평가)인쇄한다. 잉크 접착성은 자가-접착 테이프 시험으로 평가한다. 잉크 접착성은 자가 접착 테이프에 의해 잉크가 전혀 제거되지 않을 경우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상당량의 잉크가 제거될 경우에 불량한 것으로 평가된다.
인장 강도 및 파단신도
인장 강도 및 파단신도는 DIN 53 455에 따라 측정된다.
탄성률
탄성률은 DIN 53 457 또는 ASTM 882에 따라 측정된다.
고온 차단성의 측정
고온 차단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면에서 펠트에 접착 결합되고 73mm x 41mm x 13mm의 치수를 갖는 두 목재 블록을 포장하고, 측정할 필름에 밀봉시킨다. 200g의 하중을 목재 블록 상에 위치시켜 펠트 덮개가 서로 접하도록 하고, 이 장치를 70℃로 예열된 가열 오븐에 도입하여 2시간 동안 방치시킨다. 이어서, 실온(21℃)으로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하중을 목재 블록으로부터 제거하고, 상부 블록을 기계 장치에 의해 하부 블록으로부터 떼어낸다. 4개의 개별 측정에 걸쳐서 평가하고, 이로부터 최대 견인력(N으로 측정됨)을 측정한다. 개별 측정 중의 어느 것도 5N 이상이 아닐 경우 규정을 충족시킨 것이다.
분자량 측정
평균 분자량 Mw 및 Mn(중량평균분자량(Mw) 및 수평균분자량(Mn)) 및 분자 질량의 평균 불균일성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IN 55,672, 파트 1과 유사하게 측정한다. THF 대신에,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을 용출제로서 사용한다. 시험할 올레핀 중합체가 실온에서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측정은 승온(135℃)에서 수행한다.
아이소택틱 함량
단독중합체의 아이소택틱 함량 및 또한 필름의 아이소택틱 함량은 적합한 용매에서 원료 또는 필름의 불용성 분획에 의해 적절히 특성화시킬 수 있다. n-헵탄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통상적으로, n-헵탄을 비등시키면서 속슬레 추출(Soxhlet extraction)을 수행한다. 양호한 재현성을 수득하기 위해서, 속슬레 장치를 과립 대신에 압축분으로 충전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압축분의 두께는 50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중합체의 어택틱 함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충분한 추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추출 시간은 8 내지 24시간 이내이다.
백분율로 나타낸 아이소택틱 함량 PPiso의 작업상의 정의는 시료 중량에 대한 무수 n-헵탄 불용성 분획의 중량 비로 제시된다.
PPiso= 100 x (n-헵탄 불용성 분획/시료 중량)
무수 n-헵탄 추출물을 분석하면, 일반적으로 순수한 어택틱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추출에 있어서, 지방족 및 올레핀계 올리고머, 특히 아이소택틱 올리고머 및 또한 가능한 첨가제, 예를 들면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도 또한 측정된다.
쇄 아이소택틱 지수
상기 정의된 아이소택틱 함량 PPiso는 중합체의 쇄 아이소택틱도를 특성화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고해상도의13C-NMR 분광기에 의해 프로필렌 중합체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 II를 결정하는 경우의 원료는 선택된 NMR 시료가 아니라 n-헵탄 불용성 분획인 경우가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합체 쇄의 아이소택틱도를 특성화하기 위하여,13C-NMR 분광학적 트라이애드(triad) 아이소택틱 지수 II(트라이애드)를 실제로 사용한다.
트라이애드 관련 쇄 아이소택틱 지수(트라이애드)의 측정
중합체 또는 필름의 n-헵탄 불용성 함량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 II(트라이애드)는 상기 단독중합체 또는 상기 필름의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측정된다. 다른 국부적 주위 환경을 갖는 메틸기로부터 생성되는 트라이애드 신호의 강도를 비교한다.
13C-NMR 스펙트럼의 평가와 관련하여, 다음 두가지 경우을 구별하여야 한다:
A) 시험할 원료는 랜덤 C2함량이 없는 순수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B) 시험할 원료는 이하에서 C2-C3-공중합체로 언급되는 낮은 랜덤 C2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경우 A:
단독중합체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는 이의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측정된다. 상이한 주위 환경을 갖는 메틸기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의 강도를 비교한다. 단독중합체의13C-NMR 스펙트럼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소위 트라이애드라고 칭명되는 3 그룹의 신호가 발생한다:
1. 약 21 내지 22ppm의 화학적 이동에서, "mm-트라이애드"가 발생하며, 좌우에 직접 인접된 메틸기를 갖는 메틸기에 할당된다.
2. 약 20.2 내지 21ppm의 화학적 이동에서, "mr-트라이애드"가 발생하며, 좌우에 직접 인접된 메틸기를 갖는 메틸기에 할당된다.
3. 약 19.3 내지 21ppm의 화학적 이동에서, "rr-트라이애드"가 발생하며, 직접적으로 인접한 메틸기가 없는 메틸기에 할당된다.
할당된 신호 그룹의 강도는 신호의 적분으로 측정한다. 쇄 아이소택틱 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Jmm, Jmr 및 Jrr은 할당된 신호 그룹의 적분값이다.
경우 B:
제1도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13C-NMR 스펙트럼의 확대도이다. 관심의 대상인 메틸기의 화학적 이동은 19 내지 22ppm의 범위내에 존재한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틸기의 스펙트럼은 3개의 블록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들 블록에 있어서, CH3기는 이의 국부적 주위 환경에 대한 할당이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트라이애드 서열로 나타난다:
블록 1:
PPP 서열의 CH3기(mm-트라이애드)
블록 2:
PPP 서열의 CH3기(mr- 또는 rm-트라이애드)
EPP 서열의 CH3기(m-쇄)
블록 3:
PPP 서열의 CH3기(rr-트라이애드)
EPP 서열의 CH3기(r-쇄)
EPE 서열의 CH3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n-헵탄 불용성 함량의 트라이애드 관련 쇄 아이소택틱 지수 II(트라이애드)의 측정시, PPP 트라이애드만이 고려되었다. 즉, 두 개의 인접하는 프로필렌 단위 사이에 존재하는 프로필렌 단위들의 것만이 고려되었다(참조: EP-B 제0 115 940호, 제3면, 48 및 49행).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트라이애드 아이소택틱 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의 계산:
1. Jmm은 블록 1의 피크 적분에 의해 주어진다.
2. 블록 1, 2, 3 중의 모든 메틸기 피크의 적분(Jtotal)을 계산한다.
3. 간단한 고찰에 의해, JPPP= Jtotal- JEPP- JEPE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시료 제조 및 측정:
폴리프로필렌 60 내지 100mg을 10mm NMR 튜브 내에서 칭량하고, 약 1.5:1의 비율의 헥사클로로부타디엔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올 약 45mm의 충전 높이가 될 때까지 첨가한다. 현탁액을 균질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일반적으로 약 1시간) 약 140℃에서 저장한다. 용해 공정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시료를 유리 막대로 때때로 교반한다.
13C-NMR 스펙트럼은 표준 측정 조건하에(반정량적으로), 승온에서(일반적으로, 365K) 기록한다.
평균 아이소택틱 블록 길이(niso)
평균 아이소택틱 블록 길이(niso)는 일반식 niso= 1 + 2 Jmm/Jmr에 따라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측정된다.
프로필렌 중합체의 제조
프로필렌 중합체는 이하의 실시예의 의해 기술되는 중합 반응에 의해 메탈로센 촉매의 보조하에 제조된다.
실시예 1
150dm3용량의 건조 반응기를 질소로 플러슁하고, 비등 범위가 100 내지 120℃인 나프타 컷 80dm3으로 20℃에서 충전시킨다. 이어서, 가스 공간을 2bar의 압력하에서 프로필렌으로 5회 플러슁 작업 및 분해에 의해 질소를 함유하지 않도록 플러슁한다.
액체 프로필렌 50ℓ를 첨가한 후, 톨루엔 중의 메틸알루미녹산 용액 64㎠(Al 100 mmol에 상응함, 응고점법 측정 1000g/mol에 따르는 분자량)을 첨가하고, 반응 성분을 50℃로 가열시킨다. 반응기의 가스 공간 1.2% 중의 수소 함량을 수소로 계량부가하여 설정하고, 후속적으로 전체의 중합 시간 동안(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온라인 상태로 체크함) 추가로 계량부가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메탈로센 rac-디메틸실란디일비스-(2-메틸-4,6-디이소프로필-1-인덴일)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20mg을 톨루엔 중의 메틸알루미녹산의 용액 16mℓ(Al 25 mmol에상응함)에 용해시키고, 반응기에 첨가한다.
반응기를 냉각에 의해 50℃에서 10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CO2가스 50dm3(S.T.P)을 첨가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종결시키고, 형성된 중합체를 현탁 매질로부터 분리하여 건조시킨다.
109.5kg PP/g 메탈로센 * h의 메탈로센 활성에 상응하는 중합체 분말 21.9kg을 수득한다. 중합체는 다음의 추가의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된다.
실시예 2
메탈로센 rac-디메틸실란디일비스(2-메틸-4,5-벤조-1-인덴일)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중합 반응을 반복한다. 중합 온도는 60℃이고, 중합 반응은 6.5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 경우 메탈로센 활성은 173kgPP/g 메탈로센 * h이다. 중합체는 다음의 추가의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된다.
실시예 3
메탈로센 rac-디메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페닐-1-인덴일)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10mg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중합 반응을 반복한다. 반응기의 가스 공간의 수소 농도는 1.8용적%이었다. 메탈로센 활성은 227kg PP/g 메탈로센 *h이다. 중합체는 다음의 추가의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된다.
실시예 4
중합 반응 동안 두 개의 상이한 수소 농도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중합 반응을 반복한다. 먼저, 10용적%의 수소 함량을 반응기의 가스 공간에 설정하고, 반응기의 프로필렌 압력이 프로필렌의 중합 결과로 6bar로 떨어질 때까지 후속적인 계량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어서, 수소를, 가스를 간단히 유출시킴으로써 1.0용적%로 감소시키고, 이 수소 농도에서 중합 반응을 계속한다.
메탈로센 rac-디메틸실란디일비스(2-에틸-4-페닐-1-인덴일)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10mg을 톨루엔 중의 메틸알루미녹산의 용액 16mℓ(Al 25mmol에 상응함)에 용해시키고, 반응기에 첨가한다.
162kg PP/g 메탈로센 * h의 메탈로센 활성에 상응하는 중합체 분말 16.2kg을 수득한다. 중합체는 다음의 추가의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된다.
필름의 제조
실시예 5
전체 두께가 5㎛인 투명한 단일 플라이 필름을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단계적 연신에 의해 제조한다. 필름용으로 사용된 원료는 고도의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훽스트 아게(Hoechst AG)사 제품) 99.85 중량% 및 안정화제 0.15중량%이다.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한다. 개별 공정 단계에 있어서 제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필름은 표에 열거한 특성을 갖는다(첫번째 라인: 실시예 5).
실시예 6
대칭형 구조를 갖고 전체 두께가 16㎛인 투명한 3개의 플라이로 구성된 필름을 공압출 및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연속 연신 단계에 의해 제조한다. 상부 플라이들의 두께는 각각 0.6㎛이다.
A-기본 플라이:
기본 원료의 폴리프로필렌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한다.
B-상부 플라이:
개별 공정 단계에 있어서 제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필름은 표에 열거한 특성을 갖는다(실시예 6).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5과 비교하여, 훽스트 아게사로부터 시판되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13C-NMR 분광기에 의해 측정된 필름의 n-헵탄 가용성 분획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는 93%이다. Mw/Mn은 4.5이고, n-헵탄 가용성 분획은 4중량%이다.
제1도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13C-NMR 스펙트럼 확대도이다.

Claims (16)

  1. - 2개의 구조적 쇄 결손부 사이의 폴리프로필렌 분자의 평균 아이소택틱 블록 길이가 통계적으로 평균 40 이상이고,
    -13C-NMR 분광기로 측정된 폴리프로필렌의 n-헵탄 불용성 분획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가 95% 이상이고,
    - 분자량 분포도인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Mw/Mn)가 4 미만이고,
    - 폴리프로필렌의 n-헵탄 가용성 분획이 1% 미만이고,
    -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필름의 수축률이 5% 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플라이(ply)를 갖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기본 플라이가13C-NMR 분광기에 의해 측정된 n-헵탄 불용성 분획의 쇄 아이소택틱 지수가 96% 이상인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본 플라이의 Mw/Mn이 3.0 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면에 α-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부 플라이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면 또는 양면에 α-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간층(들)이 기본 플라이 및 상부 플라이(들) 사이에 적용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본 플라이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저 플라이(들) 및/또는 중간 플라이(들)가 중화제 및/또는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들)가 윤활제 및/또는 차단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층(들)이 중화제, 안정화제, 대전 방지제 및/또는 차단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들)가 밀봉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들)가 밀봉 가능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필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름의 두께가 4 내지 100㎛이고, 기본 플라이가 전체 필름 두께의 약 40 내지 60%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일 플라이 필름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14. 개별 플라이의 중합체를 가열하고, 압출기에서 압착 및 용융시키고, 필름의 개별 플라이에 상응하는 용융물을 시트 다이를 통해 동시에 함께 압출시키고, 이렇게 수득된 필름을 인발 롤상에서 인발시키고, 필름을 냉각 및 고화시키고, 이렇게 수득된 예비필름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시키는데 있어, 종방향에서의 연신은 3:1 내지 9:1의 종방향 연신비로 수행하고, 횡방향에서의 연신은 4:1 내지 12:1의 횡방향 연신비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에 따르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포장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19960018644A 1995-05-31 1996-05-30 치수안정성이증가된2축연신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의제조방법 KR100412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9260A DE19519260A1 (de) 1995-05-31 1995-05-31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hinsichtlich Mechanik und Barriere
DE1995148795 DE19548795A1 (de) 1995-12-27 1995-12-27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erhöhter Dimensionsstabilität
DE19548795.8 1995-12-27
DE19519260.5 199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644A KR960040644A (ko) 1996-12-17
KR100412168B1 true KR100412168B1 (ko) 2004-05-24

Family

ID=2601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644A KR100412168B1 (ko) 1995-05-31 1996-05-30 치수안정성이증가된2축연신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86982A (ko)
EP (1) EP0755779B1 (ko)
JP (1) JPH091653A (ko)
KR (1) KR100412168B1 (ko)
AT (1) ATE195286T1 (ko)
AU (1) AU717318B2 (ko)
BR (1) BR9602574A (ko)
CA (1) CA2178112A1 (ko)
DE (1) DE59605705D1 (ko)
ES (1) ES215061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7679A (en) * 1997-10-17 1999-12-07 Fina Technology, Inc. Heat-seal strength in polyolefin films
DE19748359A1 (de) * 1997-11-03 1999-05-0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teilkristalliner Polyetherpolyole
JP4623831B2 (ja) 1998-10-28 2011-02-02 トレオファン・ジャーマニー・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ー・カーゲー 昇温下において改善された収縮性を有する二軸配向電気絶縁性フィルム
US6534153B1 (en) * 1999-12-09 2003-03-18 Exxonmobil Oil Corporation Matte surface film with improved matte appearance
US6420041B1 (en) * 1999-12-20 2002-07-16 Exxonmobil Oil Corporation Film with metallizable skin layer
TWI238169B (en) * 2000-12-22 2005-08-21 Basell Technology Co Bv Bioriented polypropylene films
US6824878B2 (en) 2001-06-12 2004-11-30 Exxonmobil Oil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sealable films with siloxane additives
US6863964B2 (en) 2002-10-09 2005-03-08 Exxonmobil Oil Corporation Metallized multilayer film
US7700707B2 (en) 2002-10-15 2010-04-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A2499951C (en) 2002-10-15 2013-05-28 Peijun Jiang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US20070045894A1 (en) * 2005-08-31 2007-03-01 Mcleod Michael A Process for producing polyolefin films
ES2558256T3 (es) * 2006-07-10 2016-02-02 Borealis Technology Oy Películas de polipropileno orientadas biaxialmente
ATE441931T1 (de) * 2006-07-10 2009-09-15 Borealis Tech Oy Kabelschicht auf der basis von polypropylen mit hoher elektrischer ausfall-spannungsfestigkeit
EP1883080B1 (en) * 2006-07-10 2009-01-21 Borealis Technology Oy Electrical insulation film
DE602006002512D1 (de) * 2006-07-10 2008-10-09 Borealis Tech Oy Kurzkettig verzweigtes Polypropylen
DE602006006061D1 (de) * 2006-08-25 2009-05-14 Borealis Tech Oy Polypropylenschaumstoff
EP1967547A1 (en) * 2006-08-25 2008-09-10 Borealis Technology OY Extrusion coated substrate
DE602006013137D1 (de) * 2006-09-25 2010-05-06 Borealis Tech Oy Koaxiales Kabel
EP1939230B1 (en) * 2006-12-28 2009-03-04 Borealis Technology O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branched polypropylene
KR101356883B1 (ko) 2009-01-27 2014-01-28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콘덴서용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US20120008251A1 (en) * 2010-07-12 2012-01-12 Wei-Ching Yu Film capacitors comprising melt-stretched films as dielectrics
JP5974524B2 (ja) * 2011-03-17 2016-08-23 東レ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化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CN105473646B (zh) 2013-08-08 2019-05-14 伊欧维新有限责任公司 塑料系制成制品和用于形成所述制品的方法
JP6874373B2 (ja) * 2015-05-12 2021-05-19 東レ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106248711B (zh) * 2015-06-10 2018-03-0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聚丙烯中正庚烷抽提物含量的测定方法
EP3636680B1 (en) * 2018-10-08 2020-12-02 Borealis AG Foamable polypropylene composi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5426A1 (de) * 1993-09-27 1995-03-29 Hoechst Aktiengesellschaft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hinsichtlich Mechanik und Barrie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61811D1 (en) * 1983-01-25 1987-02-05 Mitsui Petrochemical Ind Film-forming propylene copolymer, film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film
IT1229054B (it) * 1984-06-22 1991-07-17 Esseci S R L Societa Costruzio Metodo fisico per trattare le superfici di laminati plastici poliolefinici, politetrafluorcetilenici, cartoni e fogli metallici come alluminio e banda stagnata, mediante una fiamma prodotta dalla combustione di una miscela di aria con idrocarburi gassosi arricchita con ossigeno, metalli alcalini, vapore di acqua e/o ionizzata
EP0479774B1 (en) * 1986-03-07 1996-06-26 Nippon Shokubai Co., Ltd. Method of improving the slipperiness of polyester film
US5236622A (en) * 1986-03-07 1993-08-17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a monodispersed glycol suspension of fine inorganic oxide 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on stability
JPS63182212A (ja) * 1987-01-20 1988-07-27 Mizusawa Ind Chem Ltd 非晶質シリカ乃至シリカアルミナ球状粒子及びその製法
US5236680A (en) * 1987-01-20 1993-08-17 Mizusawa Industrial Chemicals, Ltd. Preparation of amorphous silica-alumina particles by acid-treating spherical P-type zeolite particles crystallized from a sodium aluminosilicate gel
DE3709252A1 (de) * 1987-03-20 1988-09-29 Hoechst Ag Metallisierbare mehrschichtfoli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726067A1 (de) * 1987-08-06 1989-02-16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olefinpolymeren
DE3808267A1 (de) * 1988-03-12 1989-09-21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olefinpolymeren
DE3904469A1 (de) * 1989-02-15 1990-08-16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tistischen propylen-copolymers
DE4210969A1 (de) * 1992-04-02 1993-10-07 Hoechst Ag Seidenmatt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TW294669B (ko) * 1992-06-27 1997-01-01 Hoechst Ag
DE4228812A1 (de) * 1992-08-29 1994-03-03 Hoechst Ag Siegelbare Polypropyle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4242486A1 (de) * 1992-12-16 1994-06-23 Basf Ag Propylen-Homopolymere
US5468440B1 (en) * 1994-05-06 1997-04-08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of making oriented film or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5426A1 (de) * 1993-09-27 1995-03-29 Hoechst Aktiengesellschaft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hinsichtlich Mechanik und Barrie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50616T3 (es) 2000-12-01
BR9602574A (pt) 1998-10-06
CA2178112A1 (en) 1996-12-01
ATE195286T1 (de) 2000-08-15
DE59605705D1 (de) 2000-09-14
AU5465496A (en) 1996-12-12
EP0755779A1 (de) 1997-01-29
US6086982A (en) 2000-07-11
EP0755779B1 (de) 2000-08-09
JPH091653A (ja) 1997-01-07
KR960040644A (ko) 1996-12-17
AU717318B2 (en) 200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168B1 (ko) 치수안정성이증가된2축연신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의제조방법
US6071598A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ylene film having a high surface modulus
US6063482A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having improved tear propagation resistance
US5529843A (en) Sealable composite polypropylene film
JP3824718B2 (ja) シクロオレフィンポリマー含有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とその製法およびその用途
US5254394A (en) Heat-sealable packaging film
US6777067B1 (en) Heat sealable, biax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US20020032295A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structure having improved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JP3085415B2 (ja) 両側を密封することができ、収縮性を高め、バリヤー特性を改良した、二軸延伸多層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US5494717A (en) Matte, biaxially oriented, multilayer polypropylene film of high shrinkage,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AU717316B2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having improved water vapor and oxygen barrier properties
US6063483A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having improved migration values
US6410132B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the use of the film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280833B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having more than one layer,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5914079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a sealable film surface
KR100423819B1 (ko) 기계적특성과차단특성이개선된이축배향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의제조방법
JPH07133363A (ja) 白色フイルム
AU717307B2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having good optical properties
JP3139510B2 (ja) 白色二軸延伸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H05295146A (ja) 白色二軸延伸ポリオレフィン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