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728B1 -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728B1
KR100407728B1 KR10-2001-0014703A KR20010014703A KR100407728B1 KR 100407728 B1 KR100407728 B1 KR 100407728B1 KR 20010014703 A KR20010014703 A KR 20010014703A KR 100407728 B1 KR100407728 B1 KR 100407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glass reactor
gas
reactor
red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743A (ko
Inventor
정인하
류호진
민진영
이정원
이재원
임성팔
양명승
박현수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to KR10-2001-001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7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주기 기술개발의 공정중 하나인 산화환원 공정에 플라즈마 기체 반응을 적용하여 사용후핵연료를 산화환원을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발생장치부(1), 고주파전류공급단자(2), 유리반응기(3), 가스주입부(4), 가스배출부(5), 구동모터 및 감속기(6)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스 주입배출부를 통하여 들어온 반응기체는 플라즈마 발생장치부 및 고주파 전류공급단자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유리반응기내에서 전리된다. 전리된 플라즈마 기체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유리반응기 속에 투입된 사용후핵연료와 반응을 하여 산화환원을 하도록 하는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환원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최종분말의 상태를 매우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추후 계속되는 핵연료 소결공정을 수행할 경우 보다 우수한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Oxidation-Reduction Apparutus using Plasma for a Spent Nuclear Fuel}
본 발명은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주기 기술개발의 공정중 하나인 산화환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산화환원 공정에 플라즈마 기체 반응을 적용하여 사용후핵연료를 산화환원 시킴으로써 종래의 기술을 사용할 때보다 더욱 원활하게 산화환원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 후행 핵주기 기술 개발은 원자력 기술의 선진화에 따라 현재 국내에서 활발히 추진 중에 있다.
현재 이러한 후행 핵주기 관련 기술 중 기존의 핵연료 재료 습식 취급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건식 공정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추진 중에 있는 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를 가공하여 중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로 다시 사용하는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주기 기술개발의 모든 공정은 건식 공정으로 연구 개발 중에 있다.
우리 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발전로용 경수로와 중수로를 모두 보유하고 있다. 현재 운전중인 경수로로부터 대량 배출되어 축적되고 있는 사용후 핵연료는 천연 우라늄 (∼0.7 w/o)보다 높은 핵분열성 물질(∼1.5 w/o)을 갖는데 이를 중수로에서 다시 활용할 수 있다면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라는 두 가지 목적달성과 함께 핵연료 주기 기술 자립기반을 닦을 수 있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사용후핵연료를 건식가공하여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는 중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연료로 재이용하기 위한 기술이 거의 완성 단계에 와 있다.
이 기술은 건식 방법에 의하여 사용후핵연료에 함유된 U-235, Pu-239, 241 등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경수로형 사용후핵연료를 중수로형 핵연료로 가공하여 중수로형 원자력발전소에 이용하기 때문에 민감 핵물질 취급에 예민한 국제 사회의 신용을 얻을 수 있고, 중수로형 핵연료로 사용되는 천연 우라늄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경수로형 사용후핵연료의 처분 량도 감소시킬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건식 방법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사용후핵연료 절단 공정, 탈피복 공정, 산화환원 공정, 분쇄 공정, 과립화 공정, 혼합 공정, 압분 공정, 소결 공정, 연마 공정, 연료봉 제조 공정, 연료 다발 제조 공정 등이다.
이 중 혼합 공정 이후의 공정은 작업이 차폐 시설내에서 이루어 진다는 점외에는 기존 중수로형 핵연료 제조 공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 방법의 특징은 과립화 공정 이전 단계인 사용후핵연료 절단 공정, 탈피복 공정, 산화환원 공정, 분쇄 공정, 과립화 공정 등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 가운데 특히 산화환원 공정을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산화환원 공정이란 탈피복된 사용후핵연료를 산화, 환원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드는 공정으로 원리는 다음과 같다.
사용후핵연료의 주성분은 U-238 이고,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U-235, Pu-239, 241 등 핵분열성 물질이 약 1.5%, 핵분열 생성물이 약 3% 정도 포함되어 있는데, 화학적으로 우라늄의 화합물은 UO2이며, 다른 원소의 화합물도 대부분 산화물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후핵연료의 화학적 주성분은 사용하기 전의 핵연료와 마찬가지로 UO2형태로 볼 수 있는 데 이를 중수로형 핵연료로 만들기 위하여는 일단 분말로 만들어 중수로형 핵연료 소결체 크기로 다시 가공하여야 한다. 그런데 UO2를 산화시키면 U3O8으로 되면서 상변화에 따른 밀도 차이 때문에 내부 응력에 의해 미세한 분말로 변화한다. U3O8분말을 다시 환원하면 UO2분말이 된다.
여기서 얻어진 분말의 상태에 따라 소결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핵연료 소결체의 물성이 좌우되기 때문에 산화환원 공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지금까지 산화환원 공정은 일반적으로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기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탈피복한 사용후핵연료를 전기로에 넣고 문을 닫은 후 공기 분위기하에서 400℃ 정도로 3-4 시간 고온 산화시켜 U3O8분말을 만든 다음, 이어서 수소분위기 700℃ 정도에서 3-4 시간 환원시켜 UO2분말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UO2분말을 제조하는 소결체의 제조벙법에 대해서는 특허공개 제2000-19009호에서 "핵연료 소결체의 제조방법"으로 공개되었다.
상기 공개된 발명에 의하면, 사용후 UO2소결체를 산화성 기체분위기로 유지하면서 300~800℃ 온도로 가열하여 산화시킨다. 여기에서 산화성 기체로는 공기, 산소, 공기와 불활성기체의 혼합, 산소와 불활성기체의 혼합 기체 중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종래의 산화환원 방법은 환원시 분말층에 따라 환원 정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수소와 직접 맞닿은 외부 분말층은 환원이 쉽게 일어나지만 안쪽의 분말층은 수소와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유리된 산소가 신속히 제거되기 어렵기 때문에 환원이 불충분하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충분히 환원된 분말을 얻기 위해서는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환원시키던가, 산화, 환원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공개 제2000-19009호의 방법에 의하면, 산화반응 과정에서미반응 소결체 조각 및 분말 응집체가 섞여 있으므로 별도로 체를 이용하여 여과시켜야 하는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 환원 공정의 원거리 조절이 용이하고, 반응 조절성이 뛰어나며, 아울러 뛰어난 반응성을 갖는 플라즈마 기체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플라즈마 발생장치부, 플라즈마 공급단자, 유리반응기, 가스 주입배출부, 구동모터 및 감속기 등으로 구성된 장치를 제시하고,
상기 가스 주입부를 통하여 유리반응기에 들어온 반응기체는 플라즈마 발생장치부 및 플라즈마 공급단자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전리되며, 상기 전리된 플라즈마 기체는 구동 감속기 및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유리반응기 속에 투입된 사용후핵연료와 반응을 하여 산화환원을 시키는 방법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튜브인입부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회전부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요부인 유리반응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플라즈마발생장치부 2, 12, 13 : 플라즈마공급단자
3 : 유리반응기 4 : 가스주입부
5 : 가스배출부 6 : 구동모터 및 감속기
7 : 회전부 8 : 지지대
9 : 기대 10 : 접합부
11 : 유리반응기지지부 20 : 튜브인입부몸체
21 : 관통구 22 : 원판형접합부
23 : O링부 24, 25 : 베어링부
30 : 원통형체결구 31 : 개구
32 : 나사체결부 33 : 회전체
34 : 고정캡부 40 : 반응기몸체
41 : 돌기부 42 : 접합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 가스주입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글래스로 된 유리반응기(3)와,
상기 유리반응기의 홀측과 접합되는 회전부(7)와, 상기 회전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6)와, 상기 회전부(7)에 인입되는 가스튜브를 포함하는 가스주입부(4) 및 가스배출부(5)와,
상기 모터 및 감속기(6)와 회전부(7)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지지대(8)와, 지지대(8)에 접합되어 장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기대(9)와, 상기 유리반응기(3)에 플라즈마를 공급하기 위한 플라즈마발생장치(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소정 면적을 갖고 지면 등에 놓이게 되는 기대(8)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 소정위치에 감속기능을 구비한 구동모터 및 감속기(6)를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회전부(7) 및 유리반응기(3)를 지지하는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지지대(8)와, 상기 모터(6)로부터 상기 회전부(7)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7)의 일단에 삽입되는 가스주입튜브를 구비하는 가스주입부(4)와, 상기 가스주입부(4)의 소정위치에 접속되어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5)와, 상기 회전부(7)의 타단에 밀착하여 접합되는 글래스 재질의 대형 비이커 형상의 유리반응기(3)와, 상기 유리반응기(3)에 플라즈마기체 발생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동판(12)(13) 등으로 이루어진 플라즈마공급단자(2)와, 상기 플라즈마공급단자(2)에 플라즈마기체 발생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플라즈마발생장치(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구성에서 상기 지지대(8)와 상기회전부(7)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접착되어 상기 가스배출부(5)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8)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유리반응기(3)를 지지하기 위한 유리반응기(3)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상기 본발명의 실시예의 회전부(7) 내부에 삽입되고 가스주입튜브가 관통하여 상기 유리반응기(3)로 튜브가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유리반응기(3)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튜브인입부 및 접합부의 상세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A)는 정단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구성은 가스주입튜브인입부와 상기 유리반응기(3)와의 접합부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내부에 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방향의 관통구(21)와, 상기 관통구(21)의 양단에 튜브와 맞닿아 밀폐와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부(24)(25)가 형성된 소정길이의 튜브인입부몸체(20)와, 상기 튜브인입부몸체(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고 주연부에 상기 튜브인입부몸체(2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있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서 원주를 따라 형성된 O링형상의 밀폐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인입부몸체(20)의 관통구(21)와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 접합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판형접합부(22)의 주연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내측에 형성된 O링형상의 밀폐부(23)는 상기 유리반응기(3)와 접합되었을 때, 밀폐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품들 이다.
도 3은 상기 튜브인입부몸체(20)를 수용하면서 상기 유리반응기(3)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부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를 이루는 요소는 본 발명의 지지대에 고정결합되는 원통형체결구(30)와, 상기 원통형체결구(3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구동모터 및 감속기(6)의 회전력을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으로 받아 상기 유리반응기(3)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체(33)와,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고 상기 가스주입튜브를 상기 튜브인입부몸체(20)로 가이드하기 위한 고정캡부(34)로 이루어진다.
도 3의 미설명 부호인 (31)은 원통형체결구(30)와 튜브인입부몸체(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이고, (32)는 상기 모터부의 지지대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지지부에 상기 원통형체결구(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체결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리반응기(3)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유리재질로 형성한 대형 비이커형상의 반응기몸체(40)와, 상기 반응기몸체(40)의 내측에 폐쇄된 부위측에 돌출 형성되는 소정갯수의 돌기부(41)와, 상기 반응기몸체(40)의 개구부측에 형성된 상기 원판형접합부(22)와 맞닿아 밀폐 고정되는 접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응기몸체(40)의 외주면을 따라 플라즈마공급단자(12)(13)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플라즈마 발생장치부
플라즈마 발생장치부(1)는 사용후핵연료의 산화환원반응 목적과 조건에 따라 DC (direct current), AC (alternating current), RF(radio frequency), MW(micro wave), ECR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등의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② 플라즈마 공급단자
플라즈마 공급단자(2)는 플라즈마 발생장치부(1)에서 공급한 다양한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므로 플라즈마 공급단자가 연결되는 부분은 다량의 열 및 유도전류가 발생되므로 단자고정을 위한 지지대는 내열성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전류의 저항 또는 유도전류가 생기지 않도록 전기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유리반응기
사용후핵연료가 담겨질 유리반응기(3)는 다양한 반응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파이렉스 글래스(pyrex glass)로 제작되어진다. 또한 유리반응기(3) 접합부는 플랜지 형식으로 O-ring 등을 장착하여 유리반응기가 회전 중에도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유리반응기 내면에는 4군데 정도 길이방향의 돌출부 또는 홈을 설치하여 유리반응기 내부의 분말이 회전도중에 잘 혼합되도록 한다.
④ 가스 주입배출부
가스주입부(4) 및 가스배출부(5)는 유리반응기에 연결되어 있으나 회전하지는 않는다. 배출관과 가스주입부 및 배출부와는 테플론 씰 또는 미케니컬 씰 등을 사용하여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⑤ 구동 감속기 및 모터
구동 감속기 및 모터(6)는 체인 등의 구동 전달 장치를 사용하여 유리반응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체인 등을 사용하여 모터로부터 유리반응기로 상기 회전부(7)를 매개로 하여 정확하게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유리반응기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다양한 범위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산화환원장치가 상기 가스주입부, 회전부 및 유리반응기가 상기 모터 지지대와 유리반응기 지지부가 결합된 부위를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씩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플라즈마 발생장치부(1)에서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전리되는 플라즈마 기체의 분위기를 조절하면서 산화, 환원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조절성이 뛰어나 추후 계속되는 공정에 적합한 분말의 제조에 용이하며, 아울러 플라즈마 기체의 뛰어난 반응성으로 산화환원 시간도 단축시켜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유리반응기(3)에 사용후핵연료를 넣고 회전시키며 산화, 환원을 할 수 있으며, 유리반응기(3)의 회전과 함께 유리반응기 내면에 설치된 4군데 정도 길이방향의 돌기(41) 또는 홈에 의하여 골고루 섞이게 된다. 따라서 산화, 환원 과정중 분말이 골고루 플라즈마 기체와 잘 반응하게 되어 매우 균일한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산화, 환원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원자로 후행 핵주기 기술 개발에 있어 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를 가공하여 중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로 다시 사용하는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주기 기술개발의 모든 공정에서 가장 핵심인 공정중의 하나는 산화환원 공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산화환원 공정으로 얻은 분말의 상태에 따라 최종 핵연료 소결체의 품질이 좌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로 사용후핵연료를 산화환원시키게 되면 산화 환원 조절성이 뛰어나 분말의 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계속되는 핵연료 소결체 제조공정에 적합한 분말을 얻는데 용이하며,
아울러 플라즈마 기체의 뛰어난 반응성으로 산화환원 반응시간도 단축시켜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리반응기를 회전시키면서 산화환원을 할 수 있으며, 유리반응기 내면에 설치된 길이방향의 홈에 의하여 산화환원을 통하여 생성된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반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종분말의 상태를 매우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말을 가지고 추후 계속되는 핵연료 소결공정을 수행할 경우 보다 우수한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9)

  1. 사용후핵연료의 산화환원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플라즈마발생장치와,
    상기 플라즈마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플라즈마기체 발생동력에 의한 전리된 플라즈마기체를 이용하여 산화환원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유리반응기와,
    상기 유리반응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수단과,
    상기 유리반응기에 가스를 주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주입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반응기에는 상기 플라즈마발생장치로부터 플라즈마기체 발생동력을 인가받아 전리된 플라즈마기체를 상기 유리반응기에 공급하기 위한 플라즈마공급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공급단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동판으로써 상기 유리반응기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반응기는 파이렉스 글래스(Pyrex Glass) 재질의 대형 비이커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의 소정부위에는 길이방향의 돌기 또는 홈을 복수개 설치하여 유리반응기 내부의 분말이 회전도중에 잘 혼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유리반응기의 홀측과 접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로 이루어지는 구동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반응기는 가스주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와 밀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유리반응기가 접합되는 부위는 상기 회전부측에는 중심에 가스주입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원판형 플랜지 형상의 구조로써 소정 부위에 밀폐용 링이 원주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리반응기의 접합부는 상기 원판형의 플랜지에 대응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부는 감속기능을 내장한 모터가 장치를 지지하는 기대상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모터가 고정 설치된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유리반응기에 고정되는 유리반응기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주입부, 회전부 및 유리반응기가 상기 모터 지지대와 유리반응기 지지부가 결합된 부위를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씩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9. 삭제
KR10-2001-0014703A 2001-03-21 2001-03-21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KR10040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703A KR100407728B1 (ko) 2001-03-21 2001-03-21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703A KR100407728B1 (ko) 2001-03-21 2001-03-21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924A Division KR100407727B1 (ko) 2003-09-18 2003-09-18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 핵연료 산화환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743A KR20020074743A (ko) 2002-10-04
KR100407728B1 true KR100407728B1 (ko) 2003-12-01

Family

ID=2769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703A KR100407728B1 (ko) 2001-03-21 2001-03-21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85B1 (ko) * 2005-11-15 2006-12-28 한국원자력연구소 사용후 핵연료의 공기산화로
KR100804132B1 (ko) * 2007-02-21 2008-02-19 한국원자력연구원 반응가스의 펄스분사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반응장치 및 그 방법
KR102251801B1 (ko) * 2019-09-02 2021-05-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가열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산화환원 처리방법
KR102366372B1 (ko) * 2020-06-30 2022-02-23 주식회사 한테크 파우더 플라즈마 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538A (en) * 1979-11-06 1981-06-06 Fujitsu Ltd Plasma oxidation method
US5301211A (en) * 1992-08-03 1994-04-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Fuel assembly sputtering process
WO1997027595A1 (en) * 1996-01-26 1997-07-31 British Nuclear Fuels Plc Fluorination
KR970057065U (ko) * 1996-04-03 1997-11-10 주식회사보양정공 플라즈마를 이용한 유해가스 처리 집진기
US6033493A (en) * 1994-12-01 2000-03-07 Framatome Process for coating a passivatable metal or alloy substrate with an oxide layer, and fuel assembly cladding and guide tubes and spacer grid coated with an oxide lay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538A (en) * 1979-11-06 1981-06-06 Fujitsu Ltd Plasma oxidation method
US5301211A (en) * 1992-08-03 1994-04-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Fuel assembly sputtering process
US6033493A (en) * 1994-12-01 2000-03-07 Framatome Process for coating a passivatable metal or alloy substrate with an oxide layer, and fuel assembly cladding and guide tubes and spacer grid coated with an oxide layer
WO1997027595A1 (en) * 1996-01-26 1997-07-31 British Nuclear Fuels Plc Fluorination
KR970057065U (ko) * 1996-04-03 1997-11-10 주식회사보양정공 플라즈마를 이용한 유해가스 처리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743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3147A (zh) 一种炔基碳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3151519A (zh) 一种超声场强化下氧化剂辅助修复失效钴酸锂材料方法
KR100407728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 장치
KR100407727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용후 핵연료 산화환원 방법
WO2007048170A1 (en) Reactor for producing controlled nuclear fusion
JP2006516160A (ja) 放射性廃棄物分解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873140A (zh) 一种锂离子电池石墨烯复合三元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962229A (zh) 一种钼掺杂片状二硒化钴/石墨烯复合电极材料的制备方法
Litvak et al. Archimedes plasma mass filter
CN107767966A (zh) 核反应堆系统
CN108461162A (zh) 一种二氧化铀/钼金属陶瓷复合燃料及其制备方法
Bernard Advanced fuel fabrication
CN106957065A (zh) 一种N、Ti3+共掺杂多孔TiO2纳米片的超快速制备方法
JPH07120580A (ja) 核燃料サイクル
KR20090089091A (ko)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KR100804132B1 (ko) 반응가스의 펄스분사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산화환원반응장치 및 그 방법
Tatenuma et al. Newly developed decontamination technology based on gaseous reactions converting to carbonyl and fluoric compounds
JPH02184792A (ja) 原子炉の炉心
Sullivan et al. AECL's progress in DUPIC fuel development
JPH02236197A (ja) Mox燃料ペレットおよびその充填方法
Dimayuga AECL's experience in MOX fuel fabrication and irradiation
CN108550851B (zh) 一种利用煅烧有机硅化物制备锂电池阳极材料的方法
KR20090109238A (ko) 고연소도 사용후핵연료를 이용한 핵연료 소결체 제조방법
CN110247048A (zh) 一种铋负极全固态二次电池及制备方法
RU2156000C2 (ru) Термоядер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