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559B1 -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559B1
KR100407559B1 KR10-2000-0059433A KR20000059433A KR100407559B1 KR 100407559 B1 KR100407559 B1 KR 100407559B1 KR 20000059433 A KR20000059433 A KR 20000059433A KR 100407559 B1 KR100407559 B1 KR 100407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enter
communication
call
reg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858A (ko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김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철 filed Critical 김승철
Priority to KR10-2000-005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55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7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858A/ko
Priority to PCT/KR2001/001686 priority patent/WO2002032155A1/en
Priority to AU2001294319A priority patent/AU200129431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04Q3/0045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involving hybrid, i.e.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or multi-vend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8Grouping or interlacing selector groups or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9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in systems involving PBX or KT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별정통신 사업자가 빌딩들이 밀집된 구역을 일정하게 분할하고 해당 구역에 속한 특정 빌딩에 지역통신센터를 설치한 후 지역통신센터와 해당 구역 내에 속한 모든 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구내 교환기를 연결하고, 대단위 지역내에 속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를 통합 관리하는 매트로 통신센터를 설치한 후, 각 지역통신센터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들이 이용하는 국내/국제전화 통화 및 구내통신을 제어하며,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이용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하여 해당 전화 가입자들로부터 통화료를 지불받은 후, 통신회선 이용에 따른 소정의 비용을 기간통신 사업자 및 국제전화망 통신사업자에게 지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빌딩주 측에서는 교환설비 없이도 빌딩 내부는 물론 인접된 빌딩내의 전화 가입자들과 구내통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전화 가입자 측에서도 서로 다른 국번을 가진 전화 가입자들 간에 구내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기간통신 사업자를 이용하는 것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System fo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local wire-communication center}
본 발명은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소 규모의 기업체들이 밀집한 빌딩들을 대상으로 일정 구역의 빌딩들을 하나의 지역단위로 설정한 후 해당 지역의 특정 빌딩에 지역통신센터를 구축함과 동시에 각 지역통신센터를 통합 관리하는 매트로(Metro) 통신센터를 대단위 지역별로 설치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국내 및 국제 전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우리 나라는 WTO(World Trade Organization) 기본통신협상에 따른 통신시장의 단계적 개방의 일환으로 음성 재판매, 인터넷 전화, 콜백 서비스 등의 틈새형 서비스를 "별정통신 서비스"로 명명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다.
별정통신 서비스란 기존 기간통신사업체로부터 통신설비나 서비스를 사거나 빌려서 원하는 고객에게 기존 기간통신업체보다 더욱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양질의 다양한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이 원하는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이 원하는 별도의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통신 시스템으로서, 틈새형 시장의 육성으로 통신사업자 측면에서는 경쟁을 촉진하여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용자 측면에서는 경쟁체제에 따른 요금인하 및 품질향상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며, 국가 전체적으로는 국내 정보통신망의 고도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상술한 별정통신 서비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특정 전화 가입자가 기간통신 사업자를 이용하지 않고 별정통신 사업자를 통해 국제전화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전화 가입자는 별정통신 사업자측에 부여된 특정 별정번호를 우선 입력한 후 통화하고자 하는 국제전화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면, 기존의 기간통신 사업자를 통하지 않고 별정통신 사업자를 통해 국제전화를 이용하게 되며, 국제전화 이용에 따른 비용은 해당 별정통신 사업자측으로부터 청구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별정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업자들은 단순히 불특정 전화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음성 재판매와 같은 틈새형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아직까지 일정지역 내의 빌딩들을 서비스 대상으로 설정한 후 지역통신센터를 구축하고, 해당 지역통신센터 내의 모든 전화 가입자들에게 국내 및 국제전화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별정통신 사업자는 물론, 기간통신 사업자들은 전화 가입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내 교환기(PBX;Private Branch Exchange)가 설치되어 있는 특정 빌딩 또는 기업체 내에서 전화 사용자들이 별도의 통화료 없이 상호간에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구내 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빌딩이나 또는 전용선을 사용하는 기업체 내부의 특정 전화 사용자가 국번을 제외한 전화번호를 누르면, 관할 전화국을 거치지 않고 구내 교환기를 통해 상대방 전화 사용자와 연결하여 무료로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내통신 서비스의 경우, 별정통신 사업자 또는 기간통신 사업자는 서로 다른 국번을 가진 전화 가입자들 간에는 구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중소 규모의 기업체들이 밀집한 빌딩들을 대상으로 일정 구역의 빌딩들을 하나의 지역단위로 설정한 후 해당 지역의 특정 빌딩에 지역통신센터를 구축함과 동시에 각 지역통신센터를 통합 관리하는 매트로 통신센터를 대단위 지역별로 설치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국내 및 국제 전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지역통신센터 또는 매트로 통신센터 내에 속한 모든 전화 가입자들이 상호간에 무료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지역통신센터 및 매트로 통신센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각 서브루틴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역통신센터 11 : 스위치 수단
12 : 압축/복원 수단 13 : 방화벽 수단
14 : 저장 수단 15 : 정산 수단
16 : 패킷관리 수단 17 : 백업 수단
20 : 매트로 통신센터 30 : 교환국
40 : 관할 전화국 50 : 국제 관문국
60 : 국제전화 통신망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이용에 따른 전화회선 연결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교환국, 관할 전화국 및 국제 관문국이 구비된 통신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빌딩들이 밀집된 일정 구역 내의 특정 빌딩에 설치됨과 동시에 일정 구역 내에 속한 모든 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구내 교환기와 연결되고, 각 빌딩에 속한 모든 전화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고, 각빌딩의 전화 가입자들이 국내 및 국제전화 통화를 위해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전용선을 통해 외부와 연결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제어하며,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사용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하여 해당 전화 가입자에게 청구하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와; 대단위 지역내에 속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와 전용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특정 지역통신센터로부터 국내전화 통화가 요청되면 교환국을 통해 관할 전화국으로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특정 지역통신센터로부터 국제전화 통화가 요청되면 교환국, 국제 관문국을 거쳐 국제전화 통신망을 통해 해당 국가의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매트로 통신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은, (1) 별정통신 사업자가 빌딩들이 밀집된 구역을 일정하게 분할한 후, 해당 구역에 속한 특정 빌딩에 지역통신센터를 설치하고, 지역통신센터와 해당 구역 내에 속한 모든 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구내 교환기를 연결하는 과정과; (2) 대단위 지역내에 속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를 통합 관리하는 매트로 통신센터를 설치하는 과정과; (3) 각 지역통신센터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들이 이용하는 국내/국제전화 통화 및 구내통신을 제어하는 과정과; (4)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이용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한 후 해당 전화 가입자들에게 통화료를 청구하여 지불받고, 통신회선 이용에 따른 비용을 기간통신 사업자 및 국제전화망 통신사업자에게 지불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역통신센터(10)는 빌딩들이 밀집된 일정 구역(예를 들어, 반경 1.5Km) 내의 특정 빌딩에 설치되고, 일정 구역 내에 속한 모든 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구내 교환기와 전용선 등을 통해 연결되고, 각 빌딩에 속한 모든 전화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고, 각 빌딩의 전화 가입자들이 국내 및 국제전화 통화를 위해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전용선을 통해 후술되는 매트로 통신센터(20)와 연결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제어하며,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사용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하여 해당 전화 가입자에게 청구한다.
이때, 상술한 지역통신센터(10)는, 국내전화 통화를 위해 특정 전화 가입자가 입력하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어 있는 해당 지역통신센터(10)에 속한 전화번호인 경우, 구내통신 서비스로 전환하여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 교환국(30)을 통하지 않고 내부의 구내 교환기를 통해 전화통화를 연결하고, 전화통화에 따른 통화료를 부과하지 않거나 또는 전화통화에 따른 통화료를 기존의 국내 통화료보다 낮게 책정하여 부과한다. 이러한 구내통신 서비스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구내번호 체계를 사용할 필요없이 가입자가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그대로 이용하게 된다.
즉, 특정 전화 가입자가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 통화하기 위해 전화번호(예를들어, 1234-1234)를 입력하면,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 해당 전화번호가 동일한 지역통신센터(10) 내에 있는 전화번호인지를 우선 확인하고, 구내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전화번호인 경우 통화료를 부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각 전화 가입자들은 지역통신센터(10) 측으로부터 구내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모든 전화번호를 사전에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지역통신센터(10)에서 제공하는 구내통신 서비스는, 특정 지역통신센터(10)에 국한되지 않고 매트로 통신센터(20) 내의 각 지역통신센터(10)에 속한 모든 전화 가입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통신 사업자는 상술한 하나의 지역통신센터(10)에 포함되는 전화 가입자 수를 한정하지는 않지만, 안정적인 통화 서비스를 위해 약 14,000 회선으로 설정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로 통신센터(20)는 대단위 지역(예를 들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내에 속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10)와 전용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특정 지역통신센터(10)로부터 국내전화 통화가 요청되면 교환국(30)을 통해 관할 전화국(40)으로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특정 지역통신센터(10)로부터 국제전화 통화가 요청되면 교환국(30), 국제 관문국(50)을 거쳐 국제전화 통신망(60)을 통해 해당 국가의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술한 매트로 통신센터(20)에 속한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10) 각각은, 시스템 다운이나 오동작이 발생될 경우 국내 및 국제전화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교환국(30), 관할 전화국(40), 국제 관문국(50) 및 국제전화 통신망(60)은 기간통신 사업자와 국제전화망 통신사업자가 운영하는 것으로서, 별정통신 사업자는 통신회선 이용에 따른 소정의 비용을 기간통신 사업자와 국제전화망 통신사업자에게 지불한다. 또한, 별정통신 사업자는 경우에 따라 교환국(30), 관할 전화국(40), 국제 관문국(50) 등의 설비를 장기간 임대하여 국내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도 2는 상술한 도 1의 지역통신센터(1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수단(11)은 전화통신을 위한 특정 전화 가입자의 음성 신호를 상대방 전화 가입자에게 출력하기 위해 라우팅(routing)을 수행하며, 상대방 전화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특정 전화 가입자에게 출력하기 위해 라우팅을 수행한다.
압축/복원 수단(12)은 스위치 수단(11)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교환국(30)으로 출력하며, 교환국(30)으로부터 입력되는 압축된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스위치 수단(11)으로 출력한다.
방화벽(fire wall) 수단(13)은 외부의 해킹으로부터 전화 가입자 정보 및 지역통신센터의 운영프로그램을 보호한다.
저장 수단(14)은 복수의 전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정산(billing) 수단(15)은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이 이용하는 국내 및 국제전화 통화료 계산 및 통화요금고지, 수납 및 체납관리, 트래픽 분석과 통화특성 분석을 수행한다.
패킷관리 수단(16)은 데이터의 위치, 송수신 순위 결정 및 데이터 압축을 수행한다.
백업(back-up) 수단(17)은 외부전원의 정전을 대비하여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고, 비상발전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백업 수단(17)은 정전시 지역통신센터의 전원을 유지하는 UPS(Uninterrupted Power Supply), 정전대비용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뱅크(battery bank), 외부(예를 들어, 한국전력) 공급전원의 정전시 비상발전을 수행하는 백업 제너레이터(back-up generator)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10)를 통합 관리하는 매트로 통신센터(20)의 구성은, 상술한 특정 지역통신센터(1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지역통신센터(10)를 이용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별정통신 사업자는 빌딩들이 밀집된 구역을 일정하게 분할한 후, 해당 구역에 속한 특정 빌딩에 지역통신센터(10)를 설치하고, 지역통신센터(10)와 해당 구역 내에 속한 모든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구내 교환기를 전용선 등으로 연결하여야 한다(S1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별정통신 사업자는 중소 규모의 업체들이 입주한 빌딩들이 밀집된 지역을 대상으로 일정 구역으로 분할하고(S11), 일정 구역으로 분할한 각 지역을 대표하는 특정 빌딩마다 지역통신센터(10)를 설치한다(S12).
그리고, 각 지역의 특정 빌딩에 설치된 지역통신센터(10)와 해당 지역 내의 모든 빌딩 내에 구비된 구내 교환기를 전용선 등으로 연결하고(S13), 시스템 다운이나 오동작이 발생될 경우 국내 및 국제전화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구역별로 설치되어 있는 각 지역통신센터(10)들을 병렬로 연결한다(S14).
이때, 상술한 단계(S13)를 통해 특정 지역통신센터(10)와 해당 지역 내의 빌딩에 구비된 구내 교환기를 연결한 이후, 해당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 해당 지역 내의 모든 전화 가입자들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해당 지역 내의 모든 전화 가입자들에게 구내통신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물론, 이 경우는 별정통신 사업자가 특정 지역통신센터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들 간에만 구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과정(S10)을 통해 일정 구역별로 지역통신센터(10)를 구축한 이후, 별정통신 사업자는 복수의 일정 구역을 포함하는 대단위 지역내에 속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10)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매트로 통신센터(20)를 설치한다(S2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별정통신 사업자는 일정 구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구역을 하나의 대단위 지역으로 설정하고(S21), 설정된 대단위 지역별로 해당 대단위 지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10)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매트로 통신센터(20)를 설치한다(S22).
그리고, 대단위 지역별로 설치되어 있는 매트로 통신센터(20)와 기간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교환국(30) 사이를 전용선으로 연결한다(S23).
이제, 상술한 과정(S10)(S20)들을 통해 별정통신 사업자가 일정 구역별로 지역통신센터(10)를 설치하고 대단위지역별로 매트로 통신센터(20)를 설치한 이후, 각 지역통신센터(10)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들이 이용하는 국내/국제전화 통화 및 구내통신을 제어한다(S3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특정 지역통신센터(10)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가 전화통화를 위해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하면(S31),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가 국내 전화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인지 아니면 국제 전화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인지를 판단한다(S32).
특정 전화 가입자가 국내 전화통화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가 지역통신센터(10) 내에 속한 복수의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들중 하나인지를 판단한다(S33).
판단 결과,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가 해당 지역통신센터(10)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인 경우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 구내통신 서비스로 전환하여 해당 전화 가입자와 상대방 전화 가입자가 구내통신으로 전화통화를 진행하도록 한다(S34).
그러나, 상술한 단계(S33)의 판단 결과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가 해당 지역통신센터(10)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해당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매트로 통신센터(20)로 출력하고(S35), 매트로 통신센터(20)에서는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에 따라 교환국(30)을 통해 관할 전화국(40)으로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진행한다(S36).
한편, 상술한 단계(S32)의 판단 결과, 특정 전화 가입자가 국제 전화통화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매트로 통신센터(20)로 출력하고(S37), 매트로 통신센터(20)에서는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에 따라 교환국(30)과 국제 관문국(50)을 거쳐 국제전화 통신망(60)을 통해 해당 국가의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전화통화를 진행한다(S38).
이처럼 상술한 과정(S30)을 통해 전화 가입자가 국내 및 국제전화 또는 구내통신을 이용하면,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이용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한 후 해당 전화 가입자들에게 통화료를 청구하여 지불받고, 통신회선 이용에 따른 비용을 기간통신 사업자 및 국제전화망 통신사업자에게 지불한다(S4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역통신센터(10)에서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또는 국제전화 통화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한 후 누적하여 기록하고(S41), 통화료 청구를 위한 기간(예를 들어, 1개월)이 도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2).
판단 결과, 통화료 청구를 위한 기간이 도래되면, 지역통신센터(10)에서는복수의 전화 가입자별로 국내 또는 국제전화 통화에 따른 통화료를 청구하여 지불받는다(S43).
이후, 별정통신 사업자는 통신회선 이용에 따른 비용으로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이 지불한 통화료의 일부를 기간통신 사업자 및 국제전화망 통신사업자에게 지불한다(S44).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별정통신 사업자가 중소 규모의 기업체들이 밀집한 일정지역 내의 빌딩들을 서비스 대상으로 설정한 후 지역통신센터를 구축하고, 해당 지역통신센터 내의 모든 전화 가입자들에게 국내 및 국제전화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빌딩주 측에서는 해당 빌딩에 입주한 전화 가입자들이 별도의 교환설비 없이도 빌딩 내부는 물론 인접된 빌딩내의 전화 가입자들과 구내통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전화 가입자측에서도 서로 다른 국번을 가진 전화 가입자들 간에 구내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빌딩 또는 지역통신센터 내의 모든 전화 가입자들은 종래의 구내통신 서비스와는 다른 개념의 구내통신 서비스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기간통신 사업자를 이용하는 것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국내 및 국제전화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기간통신 사업자와 비교하여 통화 품질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는 양질의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전화를 통한 음성 통신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팩시밀리(facsimile)와 같은 데이터 통신 및 정보 통신 분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으며,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이용에 따른 전화회선 연결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교환국, 관할 전화국 및 국제 관문국이 구비된 통신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빌딩들이 밀집된 일정 구역 내의 특정 빌딩에 설치됨과 동시에 일정 구역 내에 속한 모든 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구내 교환기와 연결되고, 각 빌딩에 속한 모든 전화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고, 각 빌딩의 전화 가입자들이 국내 및 국제전화 통화를 위해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전용선을 통해 외부와 연결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제어하며,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사용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하여 해당 전화 가입자에게 청구하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 및
    대단위 지역내에 속해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와 전용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특정 지역통신센터로부터 국내전화 통화가 요청되면 상기 교환국을 통해 관할 전화국으로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특정 지역통신센터로부터 국제전화 통화가 요청되면 상기 교환국, 국제 관문국을 거쳐 국제전화 통신망을 통해 해당 국가의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매트로 통신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역통신센터는,
    전화통신을 위한 특정 전화 가입자의 음성 신호를 상대방 전화 가입자에게 출력하기 위해 라우팅(routing)을 수행하며, 상대방 전화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특정 전화 가입자에게 출력하기 위해 라우팅을 수행하는 스위치 수단;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교환국으로 출력하며,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입력되는 압축된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 출력하는 압축/복원 수단;
    외부의 해킹에 의한 전화 가입자 정보 및 지역통신센터의 운영프로그램을 보호하기 위한 방화벽 수단;
    복수의 전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이 이용하는 국내 및 국제전화 통화료 계산 및 통화요금고지, 수납 및 체납관리, 트래픽 분석과 통화특성 분석을 수행하는 정산(billing) 수단;
    데이터의 위치, 송수신 순위 결정 및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는 패킷관리 수단; 및
    외부전원의 정전을 대비하여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고, 비상발전을 수행하는 백업(back-up)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단은,
    정전시 상기 지역통신센터의 전원을 유지하는 UPS(Uninterrupted Power Supply), 정전대비용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뱅크(battery bank) 및 외부 공급전원의 정전시 비상발전을 수행하는 백업 제너레이터(back-up generato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통신센터는,
    국내전화 통화를 위해 특정 전화 가입자가 입력하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어 있는 해당 지역통신센터에 속한 전화번호인 경우,
    구내통신 서비스로 전환하여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 교환국을 통하지 않고 내부의 구내 교환기를 통해 전화통화를 연결하고, 전화통화에 따른 통화료를 부과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통신센터에서 제공하는 구내통신 서비스는,
    특정 지역통신센터에 국한되지 않고 매트로 통신센터 내의 각 지역통신센터에 속한 모든 전화 가입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통신센터는,
    국내전화 통화를 위해 특정 전화 가입자가 입력하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어 있는 해당 지역통신센터에 속한 전화번호인 경우,
    구내통신 서비스로 전환하여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 교환국을 통하지 않고 내부의 구내 교환기를 통해 전화통화를 연결하고, 전화통화에 따른 통화료를 기존의 국내 통화료보다 낮게 책정하여 부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로 통신센터에 속한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 각각은,
    시스템 다운이나 오동작이 발생될 경우 국내 및 국제전화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8. (1) 별정통신 사업자가 빌딩들이 밀집된 구역을 일정하게 분할한 후, 해당 구역에 속한 특정 빌딩에 지역통신센터를 설치하고, 지역통신센터와 해당 구역 내에 속한 모든 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구내 교환기를 연결하는 과정;
    (2) 대단위 지역내에 속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를 통합 관리하는 매트로 통신센터를 설치하는 과정;
    (3) 각 지역통신센터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들이 이용하는 국내/국제전화 통화 및 구내통신을 제어하는 과정; 및
    (4)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및 국제전화 이용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한후 해당 전화 가입자들에게 통화료를 청구하여 지불받고, 통신회선 이용에 따른 비용을 기간통신 사업자 및 국제전화망 통신사업자에게 지불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1)은,
    (1-1) 별정통신 사업자가 중소 규모의 업체들이 입주한 빌딩들이 밀집된 지역을 일정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1-2) 일정 구역으로 분할한 각 지역의 특정 빌딩마다 지역통신센터를 설치하는 단계;
    (1-3) 각 지역의 특정 빌딩에 설치된 지역통신센터와 해당 지역 내의 빌딩에 구비된 구내 교환기를 연결하는 단계; 및
    (1-4) 일정 구역별로 설치되어 있는 지역통신센터들을 병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3)를 통해 지역통신센터와 해당 지역 내의 빌딩에 구비된 구내 교환기를 연결한 이후,
    지역통신센터에서는 해당 지역 내의 모든 전화 가입자들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해당 지역 내의 모든 전화 가입자들에게 구내통신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2)은,
    (2-1) 별정통신 사업자가 일정 구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구역을 하나의 대단위 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2-2) 대단위 지역별로 해당 대단위 지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역통신센터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매트로 통신센터를 설치하는 단계; 및
    (2-3) 대단위 지역별로 설치되어 있는 매트로 통신센터와 기간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교환국 사이를 전용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은,
    (3-1) 특정 지역통신센터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가 전화통화를 위해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3-2) 지역통신센터에서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가 국내 전화통화인지 아니면 국제 전화통화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3-3) 국내 전화통화인 경우,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가 해당 지역통신센터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3-4) 해당 지역통신센터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인 경우 구내통신 서비스로 전환하고, 해당 전화 가입자와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3-5) 해당 지역통신센터 내에 속한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매트로 통신센터로 출력하는 단계;
    (3-6) 매트로 통신센터에서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에 따라 교환국을 통해 관할 전화국으로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3-7) 상기 단계(3-2)의 판단 결과, 국제 전화통화인 경우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매트로 통신센터로 출력하는 단계; 및
    (3-8) 매트로 통신센터에서 해당 전화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에 따라 교환국과 국제 관문국을 거쳐 국제전화 통신망을 통해 해당 국가의 전화 가입자와의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전화통화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4)은,
    (4-1) 지역통신센터에서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의 국내 또는 국제전화 통화에 따른 통화료를 정산하여 누적, 기록하는 단계;
    (4-2) 통화료 청구를 위한 기간이 도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3) 통화료 청구를 위한 기간이 도래되면, 전화 가입자별로 국내 또는 국제전화 통화에 따른 통화료를 청구하여 지불받는 단계;
    (4-4) 별정통신 사업자가 통신회선 이용에 따른 비용으로 복수의 전화 가입자들이 지불한 통화료의 일부를 기간통신 사업자 및 국제전화망 통신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
KR10-2000-0059433A 2000-10-10 2000-10-10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KR100407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433A KR100407559B1 (ko) 2000-10-10 2000-10-10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PCT/KR2001/001686 WO2002032155A1 (en) 2000-10-10 2001-10-09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local wire-communication center
AU2001294319A AU2001294319A1 (en) 2000-10-10 2001-10-09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local wire-communication ce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433A KR100407559B1 (ko) 2000-10-10 2000-10-10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858A KR20010007858A (ko) 2001-02-05
KR100407559B1 true KR100407559B1 (ko) 2003-12-01

Family

ID=1969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433A KR100407559B1 (ko) 2000-10-10 2000-10-10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07559B1 (ko)
AU (1) AU2001294319A1 (ko)
WO (1) WO200203215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9473A (en) * 1973-07-31 1975-01-07 Stromberg Carlson Corp Centralized attendant service arrangement for PABX complex
WO1994026073A1 (en) * 1993-04-29 1994-1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ubscriber services arrangemen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pabx access
US5422943A (en) * 1992-09-30 1995-06-06 At&T Corp. Private branch exchange networks
KR970078354A (ko) * 1996-05-17 1997-12-12 이준 중소규모 시내 전자 교환기에서의 구내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JP2000032515A (ja) * 1998-07-13 2000-01-28 Nec Corp 構内交換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849B1 (ko) * 1987-12-30 199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집단구내 사설교환기의 서비스방법
JP2675147B2 (ja) * 1989-07-14 1997-1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方法
JP3250742B2 (ja) * 1992-02-07 2002-0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構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9473A (en) * 1973-07-31 1975-01-07 Stromberg Carlson Corp Centralized attendant service arrangement for PABX complex
US5422943A (en) * 1992-09-30 1995-06-06 At&T Corp. Private branch exchange networks
WO1994026073A1 (en) * 1993-04-29 1994-1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ubscriber services arrangemen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pabx access
KR970078354A (ko) * 1996-05-17 1997-12-12 이준 중소규모 시내 전자 교환기에서의 구내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JP2000032515A (ja) * 1998-07-13 2000-01-28 Nec Corp 構内交換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94319A1 (en) 2002-04-22
WO2002032155A1 (en) 2002-04-18
KR20010007858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0130A (en) Independent central office which provides local and long distance calling services to new residential and commercial developments
MXPA00001969A (es) Metodo y sistema para la administracion de red de comunicacion global y visualizacion de informacion de precio de mercado.
US20020055879A1 (e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ASP) architecture for property management and call accounting
CN101540986B (zh) 一种预付费业务的计费方法及系统
Yan The impact of the regulatory framework on fixed-mobile interconnection settlements: the case of China and Hong Kong
KR100407559B1 (ko) 지역통신센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WO1999029065A2 (en) System for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debiting related to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20020061740A1 (en) Method and devices for charging individual connection costs for a subscriber terminal connected to a private telecommunication network
JP3389922B2 (ja) 移動体端末の通話料金可変方式
Apostolidis Accelerated data growth scenario, 154–155 Access, to Internet on proposed local access network, 224–225
Achterberg Competition policy and regulation: A case study of telecommunications
KR100374773B1 (ko) 단일의 전화번호 및 전자우편 주소를 이용한 통신서비스시스템
Sallai et al. Telecommunicat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Similarities, peculiarities and trends of change in the countries of transition
JPH07131558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の課金方式
JP3216839B2 (ja) 構内交換網における課金方式
Waverman Telecommunications: Are the regulators killing innovation?
KR100488918B1 (ko)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KR101174138B1 (ko) 스마트 단말에서 통화 요금을 최적화하는 통화 연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통화 연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194768B1 (ko) 착신전용전화기에 특수발신기능을 부여한 특수번호전화서비스의 호처리 방법
Xu Fixed-mobile interconnection: The case of China and Hong Kong SAR
Hayashi et al. Changes and deregulation in the Japanese telecommunications market
JP3134372B2 (ja) 課金交換局における発信課金エリア番号対応の課金制御方式
Unit 12 IL COLLOCATION
JP3349902B2 (ja) コードレス電話料金管理システム
Troughton The Future of Telecommunications in New Zea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