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918B1 -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918B1
KR100488918B1 KR10-2001-0035380A KR20010035380A KR100488918B1 KR 100488918 B1 KR100488918 B1 KR 100488918B1 KR 20010035380 A KR20010035380 A KR 20010035380A KR 100488918 B1 KR100488918 B1 KR 100488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internet
phone
communication network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442A (ko
Inventor
라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머텍
Priority to KR10-2001-003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9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전환장치와 PC용 소프트웨어에 의한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PSTN)을 이용하여 이동전화를 거는 경우, 발생되는 공중전화망 사업자 몫의 과금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접속전환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터넷으로 우회시켜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연결시키므로써 소비자의 통신요금을 줄이고, 특정 이동통신사업자에게 유선전화에 의한 이동통신호출을 집중시킴으로써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용감소를 위하여 인터넷을 통한 우회경로를 만들었으며, 소비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기존 기간사업자의 통화절차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치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소비자 입장에서 편리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어 시장형성이 가속화될 수 있고, 사업자의 입장에서 현행 과금체계의 타 통신사업자 몫의 비용을 절감하고 자신의 경로를 이용한 소비자에 대한 과금으로 새로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Apparatus of connecting internet-phone and mobile network and Business method using thereof }
본 발명은 인터넷 폰과 이동통신망을 연동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폰은 1995년도 보칼트랙이 VoIP 용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최초로 시작한 이후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방식이 급속히 발전을 해왔다. 우리 나라에서는 1998년 별정1호 사업자가 폰 투 폰(Phone to phone) 방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이후 2000년 1월 다이얼패드가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주목받게 되었다,
IP Telephone이라고도 하는 이 방식은 음성을 데이터 신호로 변조하고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고 64kbps 신호를 5.3K, 6.3K, 8K로 압축하여 H.323 등의 전송표준화 규약을 이용하여 패킷 인터넷 망을 통해서 보낸다. 인터넷 전화는 양측 단에 사용되는 단말기 종류에 따라 PC to PC, PC to PHONE, PHONE to PHONE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의 기술 원리는 음성부호화 및 압축기능, 실시간 데이터 전송기술, 패킷 복구기술, 게이트웨이 기술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음성정보의 부호화는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송하기 위한 저비트율, 고압축률, 고음질 부호화를 적용한다. 음성부호화 기술로는 PCM, 적응예측코딩,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 LPC(LINEAR PREDICTIVE CODING)등이 사용중이다. 실시간 전송 기술은 RTP(REAL TIME TRANSPORT PROTOCOL)가 95년부터 인터넷 전송품질을 인정받아 주로 사용된다.
한편, 게이트웨이 구현 기술은 아날로그 음성정보를 기존 회선 교환망에서 패킷 교환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변환시키는 망 연결 장치인 게이트웨이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게이트웨이의 기본기능은 디지탈 신호처리기가 담당하고 게이트웨이 내에서 압축 알고리즘을 활용한 음성 압축 및 대기, 소거 등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인터넷 게이트웨이는 두 지점간 연결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이는 서로 호환되는 게이트웨이가 양쪽 종단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기능을 응용하여 현재까지의 인터넷 전화는 발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는 회선중 일부 혹은 전부가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삭제
삭제
PC to PC 방식은 PC에 연결된 헤드셋과 전용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통화를 하되 상호 호출을 위해 중앙에 서버를 두고, 여기서 연결을 위한 IP 정보제공은 서비스 사업자가 존재하고(예: 넷미팅), 호출 대상자가 PC를 켜고 이 서버에 등록되어 있어야만 통화가 가능하다.
PC to PHONE 방식은 호출자의 PC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PC to PHONE 방식의 인터넷폰 사업자에게 연결하고, 이 사업자가 호출 대상자의 인근지역 PSTN 교환기에 자신의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연결하고 주로 시내 국제 전화망을 이용하여 호출대상자를 호출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써 PC to PHONE 방식 서비스 제공자는 사내전화비용과 게이트 유지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PC to PHONE 방식의 인터넷 전화는 2000년부터 무료서비스가 제공되어 왔으나 광고에 의존한 영업모델의 한계에 따른 계속되는 적자로 유료서비스로 속속 전환되고 있으나 그 수익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다이얼패드 등의 서비스는 바로 이 분야에 속하는 방식으로써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사업자의 비용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삭제
삭제
PHONE to PHONE 방식은 이를 더욱 발전시켜 이 방식의 서비스를 신청한 가입자에게 특정번호(서비스 제공자 교환기)를 먼저 입력하게 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하고, 수신된 호출은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호출대상자 지역의 게이트웨이까지 인터넷 패킷 전송을 하고, 이를 다시 지역 PSTN 교환기에 경유시켜 호출대상자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호통화를 연결하여 주는 서비스로서,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간의 구간을 인터넷 망을 사용함으로써 저가의 장거리 전화 서비스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인터넷 전화는 일반 PSTN 용 전화기 또는 PC 를 단말기로 하여 PSTN 일부구간을 인터넷 망으로 전환시켜 서비스를 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다른 한편, 현재 이동통신망은 PSTN 망과는 별도로 자체적인 망을 서비스 제공자별로 구축 또는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동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함)간의 통신을 기본으로 하고, PSTN 망과의 연동서비스를 부가하여 일반 전화기와 핸드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구성은 PSTN 망 구간을 경유하므로써 추가적인 통화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대부분의 이동통신 사업자는 자신의 수익 일부(약 35%)를 PSTN 사업자에게 할당하므로써 소비자가 일반전화로 휴대폰과의 통신을 가능케 하고 있다. 또한, 사업자가 다른 핸드폰간의 통화(예컨데, 019에서 011로)에서는 사업자 간의 수익분배 계약에 의하여 수익을 나누고 있다. 예컨데, 발신자 핸드폰(예: 011-xxx-xxxx)에 의해서 정해진 사업자(011)가 자신의 전화망내의 가입자간의 통화시는 100%의 수익을, 다른 사업자의 이동통신망(예: 016)에 연결호출시는 호출 주선자로써의 정해진 수익을 배당받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각 이동통신 사업자는 수익성 악화에도 불구하고 자사의 핸드폰을 무료로라도 배포하여 자가망 상호호출은 물론 타망 호출 주선자로써의 수익을 차지하려는 영업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러나 한편 일반 전화기로 핸드폰을 호출하는 경우는 핸드폰으로 직접 호출시와는 달리, 일반 전화기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지배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KT의 단말기 역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 전화기에서 핸드폰의 호출은(예: 232-1234 → 011-XXXX) PSTN의 제공자인 KT가 전화연결 주선자로써의 역활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수익을 분배받고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과 인터넷폰 망을 직접 연동함으로써 기존의 통신방식에서 핸드폰 호출시 부담하게 되는 PSTN망 경유의 통신비용과 통화주선 비용을 줄이고, 일반 전화기를 특정 핸드폰 사업자에게 자동으로 연결케 할 수 있는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를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환장치; 이동통신망의 중앙관제DB와 통신하여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접속될 경우, 접속을 위한 해당 게이트웨이의 IP정보를 제공하는 DB서버; 상기 접속전환장치를 통해 일반 전화기가 연결되면, 상기 DB서버로 자동 접속되도록 된 소프트웨어가 구동되어 일반 전화기를 해당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 핸드폰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관제 DB와 다수의 이동통신교환기와 해당 이동통신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하여 핸드폰을 이용한 통화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및 상기 이동통신망의 각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VoIP 프로토콜에 따라 핸드폰과 인터넷폰을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 구성되어 공중전화망을 거치지 않고서도 일반 전화기를 핸드폰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로 핸드폰 호출시, 종래의 PSTN망을 거치지 않고 인터넷망으로 우회하고, 특정 이동통신사업자만을 인터넷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폰 망과 이동통신망과의 연동기술로써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필요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최소비용으로 일반 전화기와 PC를 연동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전화기를 들고 호출번호 입력시 자동으로 인터넷폰이 구동되게 하는 기술과, 이를 위하여 PC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를 들었을 때 PC의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실행되고 전화기의 톤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PSTN 전화기와 같은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기술, 그리고 유동 IP를 사용하는 PC 사용자를 핸드폰으로 호출시 항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PC 사용자의 유동 IP를 이동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에 알려주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비공인 IP 또는 방화벽 안쪽에 있는 PC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가 연동될 수 있는 기술과, PC에 연결된 전화기를 PC가 꺼져있을 때 외부에서 호출시 기존의 PSTN망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호출될 수 있게 하는 기술, 그리고 인터넷폰 방식에 의해 호출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교환기에 연결시켜주는 게이트웨이 기술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사업자의 통신망 부하를 줄이기 위해 일반 전화기로 호출하는 핸드폰이 위치한 기지국에 직접 인터넷폰을 접속시키는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사업자의 과금체계 구현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사업자에게 통화 시작/종료시간, 통화내역 등을 전달하는 기술, 그리고 가입자의 등록 인증을 사용자 전화번호와 연계해서 구현하는 기술 등이 필요하다.
1.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에 의한 영업방법
전화를 이용한 기존의 통신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혹은 다수의 유선교환국을 거쳐 일반 전화기 사이에 통화하는 방식(41,42), 유선 교환국과 이동 교환국을 연동하여 일반 전화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하는 방식(43), 하나 혹은 다수의 이동교환국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하는 방식(44,45)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데, 이동통신 사업자 A(예: 011)가 A사에 자동 접속하게 설정된 이동단말기(예: 011-xxx-xxxx)를 판매 또는 사용기간 약정하여 저가로 분배하여 준 경우에 A사 가입자끼리 통화시에는 도 4의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사 가입자(호출자)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출을 A사의 중계기를 거쳐 기지국에 접수되고, 통화 대상자가 A사 가입자인 경우(예: 011-xxx xxxx)는 직접 A사의 해당 기지국과 통화 대상자가 위치한 셀의 중계기를 거쳐 호출 및 통화를 연결시킨다. 이때 통화료는 전액 A사가 고지하고 소유한다.
A사 가입자가 다른 이동통신 회사 가입자와 통화시 즉, A사 가입자(예: 011-xxxxxxx)가 B사 가입자(예:016-xxxxxxx)를 호출시에는 도 4의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사 가입자가 위치한 셀의 A사 중계기를 거쳐 해당지역 기지국에 연결되고, 여기서 B사의 지역 기지국으로 통화를 연결시켜주며, 이때 호출 연결에 따른 일정 비용을 B사에 지불한다. 즉, A사는 A사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호출통화가 많을수록 많은 수익을 갖게 된다. 이같은 이유로 각 이동통신 사업자는 자사 등록 단말기의 숫자 증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일반 전화기로 A사 가입자 호출 통화시 즉, 일반 전화기로 A사 가입자 호출 통화시는 도 4의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전화기는 PSTN망을 거쳐 KT에 연결되고, KT가 A사 기지국(또는 중앙국)에 통화를 연결시켜주게 된다. 이때는 KT가 비용을 일반전화 가입자에게 청구하고 이 금액중 일부만큼 A사에 지불한다(약 65%). 따라서 이 경우 일반 전화기는 KT의 지정 단말기(이동통신 호출용)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는 핸드폰에 의한 호출시장 확대만을 노력할 뿐이고, 전화기에 의한 호출통화 시장은 KT가 장악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A사 가입 핸드폰으로 전화기를 호출했을 때에도 유사하게 적용되므로 일정 비율의 수익을 KT에 지불해야 한다.
한편,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업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일반 전화기와 핸드폰간의 상호 호출시 발생하는 PSTN망 의존성으로 인한 수익 분배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PSTN망 구간을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A사) 전용 인터넷망으로 대체하므로써, KT에 지불되는 비용의 절감은 물론 일반 전화기(101)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예: B, C, D사) 호출시 A사를 경유해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B,C,D 등)에 연결시켜주므로써 KT가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할당받는 수익(호출 주선자 배당)을 A사로 흡수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핸드폰 별정통신 사업자(이하 간단히 별정통신사업자 혹은 IHP라 한다.; 220)는 가입자 IP를 관리하기 위한 IP 데이터베이스서버(224)를 구비함과 아울러 인터넷(105)에 연결되어 있고, 음성 게이트웨이(222)를 통해 공중전화망(PSTN:104)에도 연결되어 있다. 각 이동통신망 사업자(210-1~210-N)는 IP게이트웨이(212)를 통해 인터넷(105)에 접속됨과 아울러 PSTN(104)에 연결되어 있고, 각 가정 혹은 사무실의 사용자(200)는 일반 전화기(101) 혹은 무선전화기, 접속전환장치(102), PC(103), 헤드셋(204), 인터넷폰(20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접속전환장치(102)는 일반전화기(101) 혹은 무선전화기를 인터넷(105)이나 공중전화망(104)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경우 일반 전화기(101)를 인터넷(105)측으로 연결하여 인터넷폰을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측의 핸드폰이나 다른 인터넷폰과 통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넷 핸드폰 별정통신 사업자(IHP: 220)는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210-1)에 속할 수도 있다.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예: A사;210-1)는 도 2에 도시된 PC(103)와 전화기(101), PSTN 연동장치인 접속전환장치(102) 또는 이 기능이 포함된 부가장치를 분배하고, 사용자가 인터넷(105)으로 등록절차 및 관련 SW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예: A사)는 이와 같은 장치 및 SW 분배를 통하여 자사의 핸드폰을 분배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A사(210-1)는 기존 설비 투자에 커다란 투자없이 핸드폰 통화 시장 확대 및 수익 확대가 가능하므로 통화료를 사용자에게 줄여서 부과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영업수익 모델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핸드폰 별정통신 사업자(IHP: 220)는 초고속망에 연결된 PC(103)를 가지고 있는 전화 사용자(가정, 직장)(200)를 대상으로 PC(103)와 전화기(101)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환장치(102)와 인터넷폰 S/W를 배포한다. 이때 접속전환장치(102)와 S/W는 특정 이동통신사업자(210-1)에 직접 연결토록 고정되어 있다. 접속전환장치(102)를 갖지 못한 사용자는 해드셋(204)을 PC(103)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폰(202) 소유자는 PC(103)에 연결할 필요 없이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접속전환장치(102)와 S/W를 설치한 사용자(200)는 핸드폰 번호를 누르면 자동으로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예컨데, 011사업자 ;210-1) 게이트웨이(212)와 인터넷폰으로 연결되고,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210-1)는 자신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폰과 핸드폰을 연결시키고 요금을 부과한다. 이때 통화는 PSTN망(104)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PSTN사업자의 연결 주선 배당을 줄 필요가 없으며, 타 이동통신 호출 시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210-1)가 PSTN 사업자의 역할을 대신하므로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210-1)는 자사 가입 핸드폰의 증가 없이도 동일한 영업 수익 확대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요금의 추가적인 인하가 가능하고, 이 같은 유인요인으로 사용자에게 저가로 접속전환장치(102)와 S/W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전환장치(102)는 제조원가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원가회수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업방법을 구현하는 방식은 가입자(200)가 특정 이동통신사업자(210-1)에게 직접 접속하여 통화하는 직접방식과, 가입자(200)가 별정통신사업자(IHP)(220)에 접속하여 통화를 요구하면 별정통신사업자(220)가 이동통신 사업자 혹은 PSTN사업자에 요구하여 통화로를 구성하는 간접 연결방식, 및 이를 혼합하는 직-간접 방식이 있다.
직접 연결 방식의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정통신 사업자(IHP)는 본 발명을 위한 영업방법 및 장치의 사용을 허가하고, 가입자의 호출시 직접 특정 이동통신 회사에 접속케 하여 특정 이동통신 회사로부터 사용과금의 일정률을 수익으로 배당하는 방식이다.
간접 연결 방식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HP사업자는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여 사용자의 PC가 ON/OFF 상태 및 현재의 IP를 파악 관리하고, 이들 정보를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알려주고 통화를 구현시키면서 일정 수익을 배당받는 방식이다. 이 경우 IHP가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가입자간의 인터넷폰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IHP를 통한 가입자간 인터넷폰 서비스는 호출 대상자의 PC가 ON/OFF 여부에 상관없이 인터넷 또는 PSTN을 통해 자동으로 호출이 가능하므로(주기적인 가입자 PC상태 점검기능 및 접속전환장치의 PSTN 자동 연동구조로 인하여) PSTN 사업자에게는 별정통신 사업자로써의 호출주선 수익을 얻을 수 있고, 가입자에게는 통화구성에 따른 저가의 통신료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직접-간접 혼합 방식은 가입자의 핸드폰 호출은 직접방식으로 연결하고, 기타 전화기 호출은 간접방식에 의해 IHP에서 수행하므로써 IHP의 업무부하를 줄이고 수익창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핸드폰에 의한 가입자 호출 시에도 IHP를 경유하여 인터넷/PSTN으로 통화가 구성되므로 동일한 수익구조 형성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200)는 접속전환장치(102)와 S/W를 분배받아 설치하고, 이동통신 통화요금과 PSTN 전화기간 통화요금을 대폭적으로 할인 받는다 예컨데, 이동통신 30-40%, PSTN 90%).
IHP(220)는 가입자 PC(103)의 ON/OFF 상태와 현재의 IP 주소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가입자의 통화요구가 있을 때 호출 대상자의(전화기) 현재의 IP를 알려주고 인터넷폰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단, PC(103)가 꺼져 있는 호출 대상자나 미가입된 호출 대상자의 경우는 IHP의 게이트웨이(222)를 경유, PSTN망(104)을 이용하여 전화 연동이 가능토록 한다. 이때는 PSTN망(104) 사용에 따른 사용요금을 통화요청 가입자에게 고지한다. 이 경우 가입자의 요금절감효과는 거의 없으나 자연스런 PSTN 연동이 가능하다.
사용자(200)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로써 기존의 전화기(101), 무선전화기, PC용 헤드셋(204)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예: 011)(210-1)가 분배한 접속전환장치(102)와 S/W를 설치하고 핸드폰 호출시(예: 016)는 일반 전화기(101)를 들고 핸드폰 번호를 누르면, 011사업자의 게이트웨이(212)로 접속되어 011 교환기를 거쳐 016 교환기로 통화가 구성되며, 011사업자를 통하여 과금이 고지된다. 이때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예: 011)는 016사업자로부터 통화 주선에 따른 배당을 받으므로써 이 범위내에서 사용자의 요금인하가 가능하다. IHP(220)는 이 경우 일정요율의 통화주선 요금을 011사업자(210-1)로부터 받는다.
상기와 같은 영업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망연동 기술로는 게이트웨이 방식과 게이트웨이 분산방식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업방법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폰을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에 연결하는 방법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게이트웨이에 직접 연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게이트웨이 연동방식은 게이트웨이의 집중으로 관리유지가 간편하나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의 전용망을 사용하므로 통화증가시 망의 부담이 증가한다.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게이트웨이에 연동하는 방식은 소형 게이트웨이를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직접 연결하므로써 이동통신 사업자 전용망을 사용치 않고, 인터넷 망을 사용하므로 인터넷폰 방식의 핸드폰 호출 통화 증가에 따른 추가적인 망증설이 불필요하다. 이 방식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중앙 통제국에서 관리하고 있는 핸드폰 가입자의 위치정보(셀이 위치한 중계기 또는 기지국)를 인터넷 핸드폰 별정통신 사업자(IHP)에 연동시키고,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IP를 보유한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인터넷에 연결시킨다. 이때 IHP가 호출대상 핸드폰이 위치한 지역의 게이트웨이 IP를 호출자 PC에 알려주므로써 호출자와 기지국 또는 중계기간 직접 인터넷폰 구성이 가능하다.
2. 게이트웨이 연동방식
본 발명에 따라 게이트웨이에 연동하는 방식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전화기(101), 접속전환장치(102), PC(103), PSTN(104), 인터넷(105), DB서버(106), 게이트웨이(107), 이동통신 교환국(108), 기지국(109), 중계기(110), 핸드폰(112)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입자는 접속전환장치(102)를 구비하여 일반 전화기(101)를 PC(103)를 통해 인터넷(105)으로 접속하거나 종래와 같이 공중전화망(PSTN: 104)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도 1의 구성에서는 PC(103)를 이용한 이동전화 통화 방식이 가능한데, 일반 전화기(101)와 PC(103)를 연동시켜주는 접속전환장치(102)를 거쳐 게이트웨이(107)에 연결되어 핸드폰 전화시 PC(103)를 통하여 핸드폰(112)과 통화할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1은 일반 유선전화기이고, 102는 일반 전화기(101)를 PC(103)나 PSTN전화망(104)으로 접속시켜주는 접속전환장치이다. 접속전환장치(102)는 사용자 전화기(101)의 사용방법에 따라 PC(103)와 전화기(101)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된 제품이다. 참조번호 103은 PC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정용 혹은 사무용 컴퓨터이고, 참조번호 104는 PSTN 망으로서 유선전화 선로망이다. 참조번호 105는 인터넷 망으로서 케이블모뎀, ADSL, 전용선 등을 포함하고, 참조번호 106은 접속전환장치(102)를 인터넷으로 연결시켜 사용자의 내역을 등록할 수 있는 서버이며, 또한 PC(103)의 상태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이하 DB)서버이다. 이러한 DB 서버(106)는 앞서 설명한 인터넷 핸드폰 별정통신사업자(IHP)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번호 107은 각 이동통신 회사의 중앙관제 DB서버와 연동되어 이동통신 교환기와 인터넷 망의 음성신호를 변환해주는 게이트웨이(프로토콜 인터페이스장치)이다. 참조번호 108은 각 이동통신회사의 가입자에 대한 DB 및 단말기의 현재위치, 상태 등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이고, 게이트웨이(107)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의 상태를 전송하는 기능도 있다. 참조번호 109는 이동 통신 회사의 기지국이고, 참조번호 110은 이동 통신 회사의 중계기이며, A사∼D사는 이동 통신사업자를 나타낸다.
이동전화에 전화를 걸 때 폰 투 핸드폰(PHONE to HANDPHONE), 핸드폰 투 핸드폰(HANDPHONE to HANDPHONE) 사용방식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일반 전화(101)로 핸드폰(112)과 통화하고자 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일반 전화(101)로 핸드폰(112)에 전화를 할 경우, 종래에는 전화망(104)을 거쳐서만 통화가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PC(103)와 인터넷(105)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전화기(101)를 들고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접속전환장치(102)를 통하여 PC(103)에 연결되고, PC(103)는 인터넷(105)을 통하여 DB서버(106)에 연결된다. 이때 DB서버(106)는 해당 이동통신사업자의 중앙관제DB와 연결되어 통화하고자는 가입자의 전화상태, 현재위치, 연결상태 등을 전달받고, 이 정보를 전화를 건 PC(103)에 전달함과 동시에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107) IP를 전달함으로써 전화기에 연결된 PC(103)는 게이트웨이(107)와 접속된다. 게이트웨이(107)는 VoIP 통신프로토콜에 의해서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즉, 게이트웨이(107)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들어온 패킷을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능에 맞추어 데이터를 변환하여 이동통신교환기에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08)에 들어온 데이터는 핸드폰의 상태, 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해당 핸드폰(112)에 바로 연결시켜준다. 그러므로 전화를 건 사람은 전화망(PSTN)(104)을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105)을 이용하여 저렴하게 핸드폰(112)과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교환국(108)은 각 기지국(109)에서 착. 발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모든 기지국(109)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중앙관제기능과 공중전화망(104)의 교환기와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접속전환장치(102)는 유선 전화기(101)와 PC(103)를 연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써, 전화기의 상태 및 전화 신호음의 분리, HOOK 감시, RING 감시, DTMF 수신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103)에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접속전환장치(102)는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될 수 있는데, 사운드카드에 의한 제어방식과 USB 방식으로 제어하는 방식, 전화기에 일체형에 의한 제어 방식 등 여러 형태의 제어방식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가지의 형태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게이트웨이(107)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인터넷(105) 망의 패킷을 인터페이스하는 장치로써, 음성신호와 신호정보 전송을 위해서 고정화된 통화회선과 데이터링크를 인터페이스하는 장치이다. 우리 나라 PCS 이동통신 교환기는 IS-41.C 상호 접속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타망간 접속을 통한 상호운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109)은 단말기(112)와 이동통신 교환국(108)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제어장치, 데이터 터미널 및 전원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게이트웨이 분산방식(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게이트웨이 설치)
게이트웨이 분산방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전화기(101), 접속전환장치(102), 인터넷폰(202), 헤드셋(204), PC(103), PSTN(104), 인터넷(105), DB 서버(106), 게이트웨이(107), 이동통신 교환국(108), 기지국(109), 게이트웨이(610), 중계기(110), 핸드폰(112)으로 구성된다. 즉, 게이트웨이 분산방식은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접속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610)를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이동통신 사업자가 별도로 데이터 라인을 포설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보다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계라인 데이타량 초과시 데이터 분산처리 방법 및 데이터 선로 손상시 자동 백업체계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 기술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존의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초기 설비 투자가 적으며, 데이터량에 따라 인터넷 망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라인에 따른 비용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넷폰 간에는 인터넷 교환국을 거쳐 통화할 수 있고(51,52), 인터넷폰과 이동단말기 간에는 인터넷 교환국과 이동교환국을 거쳐 통화할 수 있으며(53), 이동단말기간에는 이동교환국 혹은 타이동교환국을 거쳐 통화할 수 있다(54,55). 그리고 인터넷과 이동단말기 간에는 인터넷 교환국과 이동교환국 및 타이동교환국을 거쳐 통화할 수 있다(56).
이러한 게이트웨이 분산방식은 게이트웨이 대신에 각 기지국이나 중계기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를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게이트웨이 방식과 비숫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망연동기술을 이용하여 설정 가능한 다양한 통화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1은 핸드폰에서 일반 전화기로 전화를 거는 경로를 도시한 예이고, 참조번호 72는 일반 전화기에서 인터넷을 거쳐 핸드폰으로 전화를 거는 경로를 도시한 예이며, 73은 일반 전화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일반 전화기로 전화를 거는 경로를 도시한 예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폰을 직접 이동통신망과 연동시킴으로써 PSTN망을 거쳐 이동통신망에 연결됨으로써 부과되는 접속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기를 인터넷을 통해 특정 이동통신사에 연동시킴으로써 특정 이동통신사의 가입자 증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일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들의 연동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연동을 이용한 영업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업방법의 수익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예,
도 4는 일반적인 통신망의 영업 수익 모델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인터넷폰을 위한 통신 경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망연동기술을 이용하여 설정 가능한 통화로의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일반 전화기 102: 접속전환장치
103: PC 104: 공중전화망
105: 인터넷 106: DB 서버
107: 게이트웨이 108: 이동통신교환국109: 기지국 110: 중계기112: 핸드폰 610: 게이트웨이

Claims (8)

  1. 일반 전화기를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환장치;
    상기 접속전환장치를 통해 일반 전화기가 연결되면, 특정 이동통신망으로 자동 접속되도록 된 소프트웨어가 구동되어 일반 전화기를 해당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VoIP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해 핸드폰과 인터넷폰으로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및
    다수의 이동통신교환기와 해당 이동통신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하여 핸드폰을 이용한 통화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 구성되어
    공중전화망을 거치지 않고서도 상기 일반 전화기를 상기 핸드폰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의 중앙관제DB와 통신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접속될 경우, 접속을 위한 IP정보를 제공하는 DB서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3. 일반 전화기를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환장치;
    이동통신망의 중앙관제DB와 통신하여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접속될 경우, 접속을 위한 해당 게이트웨이의 IP정보를 제공하는 DB서버;
    상기 접속전환장치를 통해 일반 전화기가 연결되면, 상기 DB서버로 자동 접속되도록 된 소프트웨어가 구동되어 일반 전화기를 해당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
    핸드폰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관제DB와 다수의 이동통신교환기와 해당 이동통신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하여 핸드폰을 이용한 통화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및
    상기 이동통신망의 각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VoIP 프로토콜에 따라 핸드폰과 인터넷폰을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 구성되어
    공중전화망을 거치지 않고서도 일반 전화기를 핸드폰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4. 일반 전화기를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환장치; 상기 접속전환장치를 통해 일반 전화기가 연결되면, 특정 이동통신망으로 자동 접속되도록 된 소프트웨어가 구동되어 일반 전화기를 해당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VoIP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통싱망과 인터넷을 통해 핸드폰과 인터넷폰으로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및 다수의 이동통신교환기와 해당 이동통신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하여 핸드폰을 이용한 통화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 구성된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전화기를 접속전환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VoIP 프로토콜에 따라 일반 전화기와 핸드폰을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일반 전화기와 이동전화단말기간의 상호 호출시 발생하는 PSTN망 경유구간을 인터넷폰망으로 대체하여 PSTN망 접속에 따른 수익분배손실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를 이용한 영업방법.
  5. 일반 전화기를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환장치; 이동통신망의 중앙관제DB와 통신하여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접속될 경우, 접속을 위한 해당 게이트웨이의 IP정보를 제공하는 DB서버; 상기 접속전환장치를 통해 일반 전화기가 연결되면, 상기 DB서버로 자동 접속되도록 된 소프트웨어가 구동되어 일반 전화기를 해당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 핸드폰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관제DB와 다수의 이동통신교환기와 해당 이동통신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하여 핸드폰을 이용한 통화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및 상기 이동통신망의 각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VoIP 프로토콜에 따라 핸드폰과 인터넷폰을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전화기를 접속전환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VoIP 프로토콜에 따라 일반 전화기와 핸드폰을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일반 전화기와 이동전화단말기간의 상호 호출시 발생하는 PSTN망 경유 구간을 인터넷폰망으로 대체하여 PSTN망 접속에 따른 수익분배손실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를 이용한 영업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업방법은
    사용자 인터넷폰을 상기 이동통신사에 연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IP, 전화번호, 이동통신사 게이트웨이의 IP를 사용자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고받고, 이들 정보를 중계하는 관리서버 사이트를 운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동통신사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통화료 절감에 따른 일정수익을 분배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를 이용한 영업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1-0035380A 2001-06-21 2001-06-21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KR100488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380A KR100488918B1 (ko) 2001-06-21 2001-06-21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380A KR100488918B1 (ko) 2001-06-21 2001-06-21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42A KR20020097442A (ko) 2002-12-31
KR100488918B1 true KR100488918B1 (ko) 2005-06-10

Family

ID=2771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380A KR100488918B1 (ko) 2001-06-21 2001-06-21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63A1 (ko) * 2011-11-30 2013-06-06 (주)케이시크 대체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역전화요금 산출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5204B1 (en) * 1997-03-06 2001-02-0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Internet phone to PSTN cellular/PCS system
KR20010068134A (ko) * 2001-04-26 2001-07-13 박명흠 구내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서비스제공 장치 및그 방법
KR20010092203A (ko) * 2000-03-21 2001-10-24 임명관 인터넷 폰 시스템 및 통화 접속 방법
KR20020001987A (ko) * 2000-06-29 2002-01-09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터넷폰 서비스를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7807A (ko) * 2000-10-05 2002-04-15 이종석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5204B1 (en) * 1997-03-06 2001-02-0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Internet phone to PSTN cellular/PCS system
KR20010092203A (ko) * 2000-03-21 2001-10-24 임명관 인터넷 폰 시스템 및 통화 접속 방법
KR20020001987A (ko) * 2000-06-29 2002-01-09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터넷폰 서비스를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7807A (ko) * 2000-10-05 2002-04-15 이종석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KR20010068134A (ko) * 2001-04-26 2001-07-13 박명흠 구내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서비스제공 장치 및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63A1 (ko) * 2011-11-30 2013-06-06 (주)케이시크 대체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역전화요금 산출방법
WO2013081401A1 (ko) * 2011-11-30 2013-06-06 (주)케이시크 역전화요금 산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42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9362B2 (en) Personal wireless gatewa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JP4659765B2 (ja) 網事業者協商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て音声通話のための最適経路を提供する電話システムとその提供方法
US7206401B2 (en) Remote PBX system and advanced communication terminals
CN101184014A (zh) 辅助桥接设备/电路、电话架构及桥接操作方法
KR100357476B1 (ko) 블루투스-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CN101529935A (zh) 有条件路由对固定电话号码进行的呼叫的方法
US6904038B1 (en) Distribu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AU1847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si-mobile telephone service
US8155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mploying underutilized communication channels as outbound gateways
KR100488918B1 (ko)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WO2004006552A1 (ja) 地域通信網を用いた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701462B1 (ko) 착신전환장치 및 그 방법
US20080037742A1 (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ayphone dial tone service system
US20070133775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cost of handling incoming/outgoing phone calls
CN100588213C (zh) 一种固定直拨网络电话的系统和方法
KR100328513B1 (ko) 원격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28337B1 (ko)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JP2001333223A (ja) 固定電話機から携帯電話機へ電話を掛けたときの通話料金を割安にする電話通信方式
KR100211516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을 이용한시스템 착발신
KR20020020617A (ko) 콜백 유무선교환기
US8958540B2 (en) Remote PBX system and advanc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654376B1 (ko) Ip 기반의 pbx 간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20010008035A (ko) 유료 전화 정보 사용시 메뉴별 요금 부과 방법.
CN107846523A (zh) 一种实现固定电话移动化的系统和方法
JP2004214781A (ja) 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