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337B1 -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 Google Patents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337B1
KR101728337B1 KR1020160098431A KR20160098431A KR101728337B1 KR 101728337 B1 KR101728337 B1 KR 101728337B1 KR 1020160098431 A KR1020160098431 A KR 1020160098431A KR 20160098431 A KR20160098431 A KR 20160098431A KR 101728337 B1 KR101728337 B1 KR 10172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telephone network
telephone
subscriber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선영
이진
박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6009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별정통신사의 가입자가 전화망 사업자에 가입한 하나의 대표전화번호만을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모든 내선 전화의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 및 발신할 수 있게 하여, 대표전화번호인 국선 1 회선에 대응하는 다수의 내선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고, 기본료 절감은 물론 단일 통화료 체계로 효율적인 통화요금 절감효과가 있는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Multi-Currency System for The Special Category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본 발명은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정통신사의 가입자가 전화망 사업자에 가입한 하나의 대표전화번호만을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모든 내선 전화의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 및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를 이용해 전화통화를 실현하고 있는데, 이렇게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화통화는 Vol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이 개발되면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VoIP 기술은 인터넷에서 표준 프로토콜로 하는 IP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해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음성까지 함께 실어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로서, VoIP 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IP 네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해 전화서비스를 통합 구현함으로써 전화나 팩스 전송에 소요됐던 회선비용을 크게 절감해 전화사용자들이 저렴한 요금으로 인터넷, 인트라넷 환경에서 전화서비스 특히, 시외전화 및 국제 전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편으로, 사설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 PBX)는 통신수요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회사나 건물에 교환기를 설치하여 일정 수의 국선을 내부의 모든 사용자들이 공유하고,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내선 및 국선을 통한 전화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전화 교환시스템으로, 이는 회사의 모든 종업원들에게 일일이 일반 전화 회선을 배정할 경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구내교환시스템을 IP 망으로 구성한 IP 기반의 사설 교환기, 즉 IP-PBX 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구내교환망의 관리가 기존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합됨으로써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부가서비스를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구내교환기에 연결된 내선전화를 VoIP 가 가능한 IP 폰(phone)으로 대체하여 전술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업내에서 고가의 IP-PBX 장비를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따른 인력 및 비용의 부담과, 원거리 통신서비스 비용절감의 필요성, 그리고 IP 기반의 다양한 부가기능이 요구되면서, 기업내에서 별도의 장비없이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IP 센트릭스 (Centrex)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IP 센트릭스 서비스란 원격지의 서비스 제공자가 IP 사설교환기(IP-PBX) 및 애플리케이션을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가입자들은 VoIP 시스템을 빌려서 사용하는 형태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IP-PBX 에 관련된 업무는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이 되며, 전화번호 및 통화량 등에 따라 가입자들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사용료를 납부하게 된다.
IP 센트릭스 서비스에 의하면 고가의 IP-PBX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고, 운영 및 유지 보수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므로, 특히 중소규모의 기업들이 IP 센트릭스 서비스를 선호하고 있으나, 기존의 전전자식 사설 교환기가 독자 구축 후 전화망 서비스 공급자와 분리 가능한 것과 달리 전화망 교환기의 소유권이 전화망 서비스 공급자에 속해 서비스 역시 종속적 일 수 밖에 없으며, 전화망 서비스 공급자의 기술적/사업적 판단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 역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자면, 기존의 PSTN 사설교환기 사용시 외부 회선의 수와 내선의 수는 필요에 따라 동일하거나 내선이 더 많도록 선택 가능했던 반면, 현재 서비스중인 모든 집합형 센트릭스 서비스는 내선과 외부 회선의 수는 항상 동일하다.
따라서 모든 내선 사용자는 지정된 외부 회선 및 전화번호를 가지게 되며, 이렇게 부여된 전화번호로 내선 사용자를 구분하고 내선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사용하는 기업입장에서 센트릭스가 제공하는 기본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결국 임대형 또는 독립형 IPPBX를 구축해야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어 도입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신이 주로 발생하는 아웃바운드 콜센터의 경우 모든 상담원이 거의 동시에 고객들에게 발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센트릭스 서비스가 상담원 관리 및 통화 이력관리 등 센트릭스가 제공하는 여러가지 복합기능을 사용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으나, 아웃바운드 콜센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 사무실과 통상의 고객센터용 인바운드 콜센터의 경우, 동시통화가 없거나 많지 않은데 비해 기본으로 부여된 많은 회선 수에 따른 과중한 기본료 부담은 물론 별도로 책정된 센트릭스 이용료, 해당 전화망 서비스 공급자가 지정한 전용 전화단말기 구입 또는 임대에 따른 비용 등 다중의 부담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373237 등록특허 10-1600288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정통신사의 가입자가 전화망 사업자에 가입한 하나의 대표전화번호만을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모든 내선 전화의 사용자가 동시에 전화를 수신 및 발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화망 사업자로부터 부여 받은 하나 이상의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통신하고 하나 이상의 내선 전화가 있는 가입자의 사설교환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00);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상기 사설교환기 또는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상기 사설교환기의 내선 전화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및 상기 가입자의 대표전화번호와 상기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상기 전화망 사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상기 내선 전화의 수를 저장하는 저장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10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사업자로부터 부여 받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통신하는 트렁크통신부(110);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내선 전화가 있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와 통신하는 PBX통신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가입자가 가입한 전화망 사업자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 중 현재 사용하지 않는 트렁크 회선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트렁크통신부(110)에서 상기 가입자의 상기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전화망 사업자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지 않는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트렁크통신부(110)를 제어하는 트렁크제어부(210); 상기 전화망 트렁크에서 상기 트렁크통신부를 통해 들어오는 전화 신호를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의 사설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의 상기 내선 전화에서 외부로 나가는 전화 신호를 상기 트렁크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의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전화망 사업자의 전화망 트렁크로 전송하게 PBX통신부(120)를 제어하는 PBX제어부(220); 및 상기 트렁크제어부(210) 및 상기 PBX제어부(220)를 통해 상기 전화망 트렁크와 상기 사설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제어부(230)는 (A) 상기 가입자의 대표번호로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전화망 사업자가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 중 현재 사용하지 않은 어느 한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으로 보내준 상기 전화 신호를 상기 트렁크제어부(210)로 제어 되는 상기 트렁크통신부(110)와 상기 PBX제어부(220)로 제어 되는 상기 PBX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가입자의 상기 대표번호의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의 상기 내선 전화가 외부로 발신하는 경우, 상기 PBX제어부(220)로 제어 되는 상기 PBX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내선 전화의 신호를 상기 사설교환기를 거쳐 상기 트렁크제어부(210)로 제어 되는 상기 트렁크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가입자가 가입한 상기 전화망 사업자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정통신사의 가입자가 전화망 사업자에 가입한 하나의 대표전화번호만을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모든 내선 전화의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 및 발신할 수 있게 하여, 대표전화번호인 국선 1 회선에 대응하는 다수의 내선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정통신사의 가입자가 전화망 사업자에 가입한 하나의 대표전화번호만을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모든 내선 전화의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 및 발신할 수 있게 하여, 기본료 절감은 물론 단일 통화료 체계로 효율적인 통화요금 절감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가 포함된 다중통화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의 통신부(11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의 제어부(2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관해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가 포함된 다중통화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화망 사업자로부터 부여 받은 하나 이상의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통신하고 하나 이상의 내선 전화가 있는 가입자의 사설교환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00)와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상기 사설교환기 또는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상기 사설교환기의 내선 전화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가입자의 대표전화번호와 상기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상기 전화망 사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상기 내선 전화의 수를 저장하는 저장부(3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통신부(100)가 사설교환기와 통신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데이터에 음성을 담아 통신(VoIP)하는 것이다. 이때, 사설교환기를 IP PBX라 하고, PBX는 Private Branch Exchange의 약자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통신부(100)와 통신하는 전화망 트렁크 회선은 전화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회선으로 트렁크 번호가 부여 되여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내전 전화는 VoIP 방식을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 또는 일반 내선 전화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저장부(300)가 상기 가입자의 대표전화번호와 상기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상기 전화망 사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상기 내선 전화의 수를 저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의 관리자가 필요할 경우 수정하기 위해 DB화 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내선 전화의 수를 저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에서 상기 내선 전화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의 통신부(11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10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사업자로부터 부여 받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통신하는 트렁크통신부(110)와 하나 이상의 상기 내선 전화가 있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와 통신하는 PBX통신부(12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트렁크통신부(110)가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통신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전화 수신 또는 발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같은 상기 가입자의 같은 상기 사설교환기의 같은 상기 내선 전화가 수신 또는 발신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의 사용 상황에 따라 다른 전화망 트렁크 회선을 사용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의 제어부(2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이다.
또한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가입자가 가입한 전화망 사업자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 중 현재 사용하지 않는 트렁크 회선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트렁크통신부(110)에서 상기 가입자의 상기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전화망 사업자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지 않는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트렁크통신부(110)를 제어하는 트렁크제어부(210)와 상기 전화망 트렁크에서 상기 트렁크통신부를 통해 들어오는 전화 신호를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의 사설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의 상기 내선 전화에서 외부로 나가는 전화 신호를 상기 트렁크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의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전화망 사업자의 전화망 트렁크로 전송하게 PBX통신부(120)를 제어하는 PBX제어부(220)와 상기 트렁크제어부(210) 및 상기 PBX제어부(220)를 통해 상기 전화망 트렁크와 상기 사설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제어부(2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 상기 연결제어부(230)는 먼저 상기 가입자의 대표번호로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전화망 사업자가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 중 현재 사용하지 않은 어느 한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으로 보내준 상기 전화 신호를 상기 트렁크제어부(210)로 제어 되는 상기 트렁크통신부(110)와 상기 PBX제어부(220)로 제어 되는 상기 PBX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가입자의 상기 대표번호의 사설교환기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제어부(230)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의 상기 내선 전화가 외부로 발신하는 경우, 상기 PBX제어부(220)로 제어 되는 상기 PBX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내선 전화의 신호를 상기 사설교환기를 거쳐 상기 트렁크제어부(210)로 제어 되는 상기 트렁크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가입자가 가입한 상기 전화망 사업자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으로 전송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통신부
110 : 트렁크통신부
120 : PBX통신부
200 : 제어부
210 : 트렁크제어부
220 : PBX제어부
230 : 연결제어부
300 : 저장부

Claims (4)

  1.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화망 사업자로부터 부여 받은 하나 이상의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통신하고 하나 이상의 내선 전화가 있는 가입자의 사설교환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00);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상기 사설교환기 또는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상기 사설교환기의 내선 전화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및
    상기 가입자의 대표전화번호와 상기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상기 전화망 사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상기 내선 전화의 수를 저장하는 저장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가입자가 가입한 전화망 사업자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 중 현재 사용하지 않는 트렁크 회선을 사용하기 위해 트렁크통신부(110)에서 상기 가입자의 상기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전화망 사업자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지 않는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트렁크통신부(110)를 제어하는 트렁크제어부(210);
    상기 전화망 트렁크에서 상기 트렁크통신부를 통해 들어오는 전화 신호를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의 사설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의 상기 내선 전화에서 외부로 나가는 전화 신호를 상기 트렁크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의 대표전화번호가 가입된 전화망 사업자의 전화망 트렁크로 전송하게 PBX통신부(120)를 제어하는 PBX제어부(220); 및
    상기 트렁크제어부(210) 및 상기 PBX제어부(220)를 통해 상기 전화망 트렁크와 상기 사설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제어부(230);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제어부(230)는,
    (A) 상기 가입자의 대표번호로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전화망 사업자가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 중 현재 사용하지 않은 어느 한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으로 보내준 상기 전화 신호를 상기 트렁크제어부(210)로 제어 되는 상기 트렁크통신부(110)와 상기 PBX제어부(220)로 제어 되는 상기 PBX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가입자의 상기 대표번호의 사설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의 상기 내선 전화가 외부로 발신하는 경우, 상기 PBX제어부(220)로 제어 되는 상기 PBX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내선 전화의 신호를 상기 사설교환기를 거쳐 상기 트렁크제어부(210)로 제어 되는 상기 트렁크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가입자가 가입한 상기 전화망 사업자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0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사업자로부터 부여 받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망 트렁크 회선과 통신하는 트렁크통신부(110);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내선 전화가 있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사설교환기와 통신하는 PBX통신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60098431A 2016-08-02 2016-08-02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KR10172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31A KR101728337B1 (ko) 2016-08-02 2016-08-02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31A KR101728337B1 (ko) 2016-08-02 2016-08-02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337B1 true KR101728337B1 (ko) 2017-04-19

Family

ID=5870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431A KR101728337B1 (ko) 2016-08-02 2016-08-02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3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6401B2 (en) Remote PBX system and advanced communication terminals
US9386158B2 (en) Controller for the intelligent interconnection of two communication networks, and method of use for same
US7519362B2 (en) Personal wireless gatewa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0518071B1 (ko) 콜센터 운용방법과 장치
US20070201688A1 (en) Cable telephony network supporting roaming VoIP terminals
US20100303061A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non-specific network protocols and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EP2099205A1 (en) Telephone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telephone connection control system
US7035935B1 (en) 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network
US20080123833A1 (en) Telephone system and call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102340604A (zh) 用于通信转发的方法和系统
KR101728337B1 (ko) 별정통신 사업자용 다중통화 장치
KR102118951B1 (ko) 통화중 녹음 방법 및 그 통신시스템
KR100342166B1 (ko) 인터넷 VoIP망을 이용하여 저렴한 통화 서비스를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729685B (zh) 服务请求方法、计算机电话集成cti设备及网络设备
KR20090000021A (ko) 콜 센터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773850B1 (ko) 통화중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60124295A (ko) IP-PBX시스템과 VoIP서비스를 이용한 콜센터호스팅서비스
KR20030043888A (ko) PSTN 겸용 VoIP전화를 이용한 VoIP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US11277521B1 (en) On premises gateways interconnecting VoIP systems,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private branch exchanges and other telephony infrastructure
US7924994B2 (en) Method of operating and configuring a telecommunication system; dispatcher software for identifying a client therein and telecommunication apparatus containing same
US8958540B2 (en) Remote PBX system and advanc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488918B1 (ko) 인터넷폰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업방법
KR20120066172A (ko) 에프엠씨 단말의 위치에 따른 발신 번호 및 서비스 설정 시스템 및 방법
JP5914889B2 (ja) 回線交換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942239B2 (ja) 回線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