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368B1 - Ni 및 Fe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i 및 Fe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368B1
KR100406368B1 KR10-1998-0056708A KR19980056708A KR100406368B1 KR 100406368 B1 KR100406368 B1 KR 100406368B1 KR 19980056708 A KR19980056708 A KR 19980056708A KR 100406368 B1 KR100406368 B1 KR 100406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ions
fecl
ferrite
m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953A (ko
Inventor
이훈하
이재영
김대영
손진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5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3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006Compounds containing, besides nickel,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에 Cl2를 불어넣거나 혹은 산소 분위기하에서 염산을 첨가하여 폐액내에 존재하는 Fe+2이온을 Fe+3이온으로 완전히 산화시키고, 이와 같이 Fe+2이온이 Fe+3이온으로 산화된 용액에 Ni,Cu 및 Z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스크랩을 에칭폐액내 Fe+3이온의 총몰수를 기준으로 0.5배가 되도록 첨가함으로써 용해된 Fe+2이온 대비 (Ni+2+Zn+2+Cu+2)의 몰비를 2:1로 조절한 다음, 미리 계산해놓은 Ni+2이온의 몰수를 기준으로 FeCl2용액을 2배만큼 첨가함으로써 Fe+2와 (Ni+2+Zn+2+Cu+2)의 몰비가 정확하게 2:1인 Ni-Zn-Cu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Ni함유 FeCl3에칭폐액내에 함유되어 있는 FeCl3를 이용함으로써 Fe+2총몰수와 (Ni+2+Zn+2+Cu+2)의 몰비가 페라이트 조성인 2:1을 만족하는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페라이트 모액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MOTHER SOLUTION OF Ni-Zn-Cu FERRITE BY USING Ni AND Fe CHLORIDE CONTAINING SPENT ETCHING SOLUTION}
본 발명은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도우마스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하여 Ni-Zn-Cu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의 브라운관에 원형 혹은 사각형의 홈을 일컫는 샤도우마스크(shadow mask)는 Ni을 함유한 Fe 합금, 즉 인바(Invar) 합금을 FeCl3에칭액으로 국부 에칭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연속적으로 에칭 작업을 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에 의해 인바 합금 모재가 용해되고 용액내에는 FeCl2와 NiCl2가 발생된다.
2FeCl3+ Ni = 2FeCl2+ NiCl2
2FeCl3+ Fe = 3FeCl2
따라서 어느 정도 작업이 진행되면, FeCl2와 NiCl2함량이 많아져 에칭능이 떨어진다. 이를 용액의 피로도가 증가하였다고 말한다. 따라서 피로도 관리를 위하여 FeCl2와 NiCl2이 특정 농도 이상으로 늘어나면 용액을 폐기하고 새로운 FeCl3용액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에칭 폐액은 Fe 분말 처리를 거쳐 Ni을 Fe 분말에 치환시켜 제거한 후 그 용액을 염소 산화하여 FeCl3로 재활용하는 방법(일본 특허 제95-87474)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는 상기식 1의 반응으로 생성된 Ni 이온을 전기화학적으로 치환석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iCl2+ 2Fe = FeNi + FeCl2
상기 반응식 3에 의해 FeNi 슬러지가 폐기물로 발생되며 생성된 FeCl2는 Cl2로 산화시켜 FeCl3로 재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FeNi 슬러지 처리 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고가의 Fe분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일반적인 FeCl3제조 방법, 즉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FeCl2폐산을 산화하여 FeCl3를 제조하는 방법에 비하여 FeCl3생산성 측면에서 경제적이지못하였다.
그러나 폐액 처리를 위하여는 불가피하게 상기식 3의 방법에 따라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Ni-Zn-Cu 페라이트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출발원료인 Fe2O3, NiO, ZnO, CuO 분말을 건식 또는 습식 혼합하여 700∼1000℃에서 가소 공정을 거친 후 이를 미분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각각의 고순도 원료 분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원료 구입비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샤도우마스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 폐액을 활용하여 Ni-Cu-Zn 페라이트용 원료 분말 제조용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a)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에 Cl2를 불어넣거나 혹은 산소 분위기하에서 염산을 첨가하여 폐액내에 존재하는 Fe+2이온을 Fe+3이온으로 완전히 산화시키는 단계;
(b)이와 같이 Fe+2이온이 Fe+3이온으로 산화된 용액에 Ni,Cu 및 Z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스크랩을 에칭폐액내 Fe+3이온의 총몰수를 기준으로 0.5배가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 및
(c)중화폐액중의 Ni+2이온의 몰수를 기준으로 2배의 몰수로 FeCl2용액을 첨가하므로써 Fe+2와 (Ni+2+Zn+2+Cu+2)의 몰비가 2:1인 Ni-Zn-Cu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 폐액내에 존재하는 FeCl3가 강력한 에칭능이 있어 폐기물인 금속 스크립내 Ni, Zn 및 Cu를 쉽게 이온화시킬 수 있다는 점과 Ni이 FeCl3와 반응시 FeCl3몰수의 1/2만큼 용해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 폐액으로부터 Ni-Zn-Cu 페라이트 모액을 회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단계(a)에서는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내에 존재하는 Fe+2이온을 Fe+3이온으로 완전히 산화시킨다.
이는 반응식 1 및 2에 의해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내에 FeCl2가 생성되므로 Fe+2를 Fe+3로 산화시키지 않고 직접 단계(b)에서와 같이 금속 스크랩을 투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단계(b)에서 페라이트 조성 2:1은 Fe+3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조절하게 되나, 상기 식 1에 의해 폐액중에 잔류하는 Fe+2함량에 의하여 Fe:(Ni-Zn-Cu)의 조성이 2:1이상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폐액내에 Ni, Zn 및 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스크랩을 투여하기 전에 폐액내에 Fe+2이온을 산화하여 Fe+3이온, 즉 FeCl3로 완전히 산화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Fe+2의 산화는 에칭폐액에 Cl2를 불어넣거나 혹은 산소 분위기하에서 염산을 첨가하여 수행한다. 이에 따라 Fe+2는 하기식 4 및 5와 같은 Fe+3으로 산화된다.
FeCl2+ 1/2Cl2= FeCl3
FeCl2+ O2+ HCl = FeCl3+ 1/2H2O
본 발명의 단계(b)에서는 Fe+2이온이 모두 Fe+3이온으로 산화된 용액에 Ni,Cu,Zn으로 이루어진 금속 스크랩을 첨가한다.
이때 금속 스크랩을 에칭폐액중의 Fe+3이온의 총몰수를 기준으로 0.5배가 되도록 첨가한다. 이때 염화철(Ⅲ)와 Ni,Cu,Zn 금속 스크랩은 하기식 6과 같이 반응하여 용해된 Fe+2이온과 Ni, Zn 및 Cu이온농도의 합과의 몰비는 페라이트 조성과 같은 2:1을 유지하게 된다.
2FeCl3+ NixCuyZn1-(x+y)= 2FeCl2+ NixCl2x+ CuyCl2y+ Zn1-(x+y)Cl2(1-(x+y))
그러나 여기에서도 실제로는 반응식 1에 의하여 폐액중에 형성된 NiCl2로 인하여 페라이트 조성에서 Ni 성분 함량이 증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Fe+2이온과 (Ni+2+Zn+2+Cu+2)의 몰비는 오히려 2:1이하가 된다.
따라서 Fe+2와 Ni+2이온의 몰수를 2:1로 조절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단계(c)에서는 Ni+2이온의 몰수를 기준으로 2배의 FeCl2용액을 첨가한다.
이는 반응식 1에 의해 생성된 NiCl2로 인하여 결과물인 페라이트 모액 조성중에서 Ni 함량이 늘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생성된 NiCl2농도의 2배만큼 FeCl2를 첨가함으로써 Fe+2총몰수와 (Ni+2+Zn+2+Cu+2)의 몰비가 정확하게 2:1이 되는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최적 페라이트 조성을 맞추기 위해서 Ni함유 에칭폐액에 존재하는 Fe+2이온을 Fe+3이온으로 완전히 산화시키고, 이와 같이 Fe+2이온을 Fe+3이온으로 완전히 산화시킨 용액에 Ni,Cu,Zn인 금속 스크랩을 Fe+3이온의 총몰수의 0.5배가 되도록 첨가하여, Fe+2이온 농도와 (Ni+2+Zn+2+Cu+2)의 몰비를 2:1로 조절한 다음, 에칭폐액내 Ni+2이온 몰수 대비 2배의 FeCl2용액을 첨가함으로써 Fe+2총몰수와 (Ni+2+Zn+2+Cu+2)의 몰비가 2:1로 정확하게 조절된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제조된 페라이트 모액에 종래의 Ni-Zn-Cu 페라이트 분말 제조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Ni-Cu-Zn 페라이트 분말을 제조해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전자회사 샤도우마스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Ni함유 FeCl3에칭 폐액을 분석한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Fe+2 Fe+3 Ni+2 Cu+2 Zn+2
함량(g/ℓ) 53.15 161.25 24.2 0.025 0.020
몰비(몰/ℓ) 0.952 2.887 0.412 0.0004 0.0003
이 용액에 Cl2가스를 불어넣어 1시간동안 반응시켜 용액 1ℓ내에 존재하는 Fe+2이온을 Fe+3이온, 즉 FeCl3로 완전히 산화시켰다.
그후 혼합 조성이 Ni0.1Cu0.3Zn0.6인 금속 스크랩을 용액내에 존재하는 Fe+3몰수의 0.5배인 1.916몰을 첨가하였다. 그후 폐액내에 존재하던 Ni+2이온의 몰수를 기준으로 FeCl2를2배만큼, 즉 FeCl2ㆍ4H2O의 형태로 0.824몰(0.412몰×2배)에 해당하는 용액 500ml를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따라서 용액의 총 부피는 1.5ℓ였다.
그후 제조된 용액을 분석한 결과를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FeCl2 NiCl2 ZnCl2 CuCl2
총몰수 4.663몰 0.605몰 1.153몰 0.576몰
상기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용액내의 (Ni+2+Zn+2+Cu+2)의 총몰수는 2.334몰이었으며, Fe+2대 (Ni+2+Zn+2+Cu+2)의 몰비는 4.663:2.334, 즉 1.998:1로 습식 분석 오차범위내에서 페라이트 조성인 2:1의 비율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Ni함유 FeCl3에칭폐액에내 함유되어 있는 FeCl3를 이용함으로써 Fe+2총몰수와 (Ni+2+Zn+2+Cu+2)의 몰비가 페라이트 조성인 2:1을 만족하는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

  1. (a)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에 Cl2를 불어넣거나 혹은 산소 분위기하에서 염산을 첨가하여 폐액내에 존재하는 Fe+2이온을 Fe+3이온으로 완전히 산화시키는 단계;
    (b)이와 같이 Fe+2이온이 Fe+3이온으로 산화된 용액에 Ni,Cu 및 Z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스크랩을 에칭폐액내 Fe+3이온의 총몰수를 기준으로 0.5배가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 및
    (c)Ni+2이온의 몰수를 기준으로 2배의 FeCl2용액을 첨가하므로써 Fe+2와 (Ni+2+Zn+2+Cu+2)의 몰비가 2:1인 Ni-Zn-Cu 페라이트 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i 및 Fe 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 방법
KR10-1998-0056708A 1998-12-21 1998-12-21 Ni 및 Fe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방법 KR100406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708A KR100406368B1 (ko) 1998-12-21 1998-12-21 Ni 및 Fe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708A KR100406368B1 (ko) 1998-12-21 1998-12-21 Ni 및 Fe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953A KR20000040953A (ko) 2000-07-15
KR100406368B1 true KR100406368B1 (ko) 2004-02-14

Family

ID=1956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708A KR100406368B1 (ko) 1998-12-21 1998-12-21 Ni 및 Fe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3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01A (ko) 2016-11-25 2018-06-05 (주) 케이엠씨 고농도 염화제이철 제조를 위한 폐에칭액 재활용 방법
KR20180059599A (ko) 2016-11-25 2018-06-05 (주) 케이엠씨 고농도 니켈 회수를 위한 폐에칭액 재활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697B1 (ko) * 2014-10-02 2016-02-16 주정함 펌핑 동작형 스크류 펌프
KR101594698B1 (ko) * 2014-10-02 2016-02-16 주정함 펌핑 동작형 수직 스크류 펌프
KR102225752B1 (ko) * 2018-09-13 2021-03-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기능성 페라이트 박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912A (ja) * 1990-08-24 1992-04-07 Daido Chem Eng Kk エッチング廃液の処理回収法
KR960007458A (ko) * 1994-08-12 1996-03-22 김충식 저염(低鹽)건강소금의 제조방법
KR960010091A (ko) * 1994-09-15 1996-04-20 이헌조 도장공정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952716A (ja) * 1995-08-18 1997-02-25 Tetsugen:Kk めっき廃液からのソフトフェライト用複合酸化物粉末の製造方法
KR19990050959A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폐액과 산화철을 활용한 니켈-동-아연페라이트 원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912A (ja) * 1990-08-24 1992-04-07 Daido Chem Eng Kk エッチング廃液の処理回収法
KR960007458A (ko) * 1994-08-12 1996-03-22 김충식 저염(低鹽)건강소금의 제조방법
KR960010091A (ko) * 1994-09-15 1996-04-20 이헌조 도장공정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952716A (ja) * 1995-08-18 1997-02-25 Tetsugen:Kk めっき廃液からのソフトフェライト用複合酸化物粉末の製造方法
KR19990050959A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폐액과 산화철을 활용한 니켈-동-아연페라이트 원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01A (ko) 2016-11-25 2018-06-05 (주) 케이엠씨 고농도 염화제이철 제조를 위한 폐에칭액 재활용 방법
KR20180059599A (ko) 2016-11-25 2018-06-05 (주) 케이엠씨 고농도 니켈 회수를 위한 폐에칭액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953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2758B1 (en) Method for separating rhenium and arsenic, and method for purifying rhenium
US20040161374A1 (en) Treated manganese or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0406368B1 (ko) Ni 및 Fe염화물 함유 에칭폐액을 활용한 Ni-Zn-Cu 페라이트 모액 제조방법
EP0356132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itanium oxide
US4040920A (en) Method of preventing pollution of sludge formed by electrolytic etching work
EP0301700B1 (en) Neutralization of sulfuric acid containing iron ions
KR100406367B1 (ko) NI함유에칭폐액재활용공정에서발생하는FeNi함유슬러지의재활용방법
US6245240B1 (en) Treatment of a solution containing iron salts
JPH05345189A (ja) 有機ハロゲン化合物含有廃水の処理方法
US5200159A (en) Purified solution containing iron and manganese, and method producing thereof
KR0122328B1 (ko) 염화제이철 수용액의 제조방법
JPS6247436A (ja) 高純度金属クロムの製造法
JP3823307B2 (ja) 高純度コバルト溶液の製造方法
JP4240982B2 (ja) マンガン濃度の低いコバルト溶液の製造方法
KR101441952B1 (ko) 정련로 더스트를 이용한 암모늄 황산망간 제조방법
KR20070027426A (ko) 아연 함유 용액으로부터 탈륨을 제거하는 방법
JPS6214018B2 (ko)
KR100513855B1 (ko) FeCl3에칭액 재활용 공정에서 발생하는 Ni 함유용액의 처리방법
KR100401993B1 (ko) 마그네시아-크롬계 폐내화물로부터 크롬산화물 제조방법
US3933973A (en) Treatment of lead sulphide bearing material
EP1539320B1 (en) Process for reducing chromium in nonvolatile residue resulting from air oxidation of cyclohexane
JPH07275609A (ja) 鉄系無機凝集剤の製造方法
US4526762A (en) Recovery of vanadium from acidic solutions thereof
JP2614197B2 (ja) 緑青発色処理液の再利用方法
US20230235426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leaching copper,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lytic copper using said equipment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