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22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225B1
KR100406225B1 KR10-2001-0014484A KR20010014484A KR100406225B1 KR 100406225 B1 KR100406225 B1 KR 100406225B1 KR 20010014484 A KR20010014484 A KR 20010014484A KR 100406225 B1 KR100406225 B1 KR 100406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ircuit board
control circuit
vegetabl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933A (ko
Inventor
오이까와마꼬또
나까야마데루까즈
고노가즈아끼
오까모또다께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1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 본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야채실을 설치한 구성의 것에 있어서, 제어 회로 기판과, 냉장고 본체에 배치된 각 전기 부품을 접속하기 위한 리드선을 적극적으로 짧게 할 수 있고, 또 고내의 유효 용적을 줄이는 일도 없게 할 수 있다.
냉장고 본체(21)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있는 야채실(28)의 배면부에 제어 회로 기판(46)을 배치하는 동시에, 전기 부품의 리드선 등을 정리하여 수납하는 수납부(47)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제어 회로 기판(46)과, 냉장고 본체(21)에 배치된 전기 부품 사이를 접속하는 리드선의 길이를 적극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랍식의 야채실(28)의 배면부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되는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 여유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고내의 유효 용적을 줄이지 않고 제어 회로 기판(28) 및 수납부(47)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야채실을 설치한 구성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가정용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야채실을 설치한, 소위 미드 야채실 타입의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냉장고의 종래예를 도7 내지 도11에 도시한다.
우선, 도7 및 도8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는 최상부에 냉장실(2a)이, 그 아래에 야채실(2b)이 설치되고, 그 야채실(2b)의 아래에 제빙실(2c)과 교환실(2d)이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고, 그리고 최하부에 냉동실(2e)이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2b)과, 그 아래의 제빙실(2c) 및 교환실(2d)의 사이에는 단열성을 갖는 구획벽(1a)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획벽(1a)에 의해, 냉장실(2a) 및 야채실(2b)의 냉장 온도 구역과, 제빙실(2c) 및 냉동실(2e)의 냉동 온도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또, 교환실(2d)은, 복수의 온도대 중 하나의 온도대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야채실(2b)의 고내측에는 냉장 온도 구역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실용 냉각기(3a) 및 냉장실용 팬(4a)이 배치되고, 또 냉동실(2e)의 고내측에는 냉동 온도 구역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실용 냉각기(3b) 및 냉동실용 팬(4b)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2a)의 배후면 고외측의 상부에는 냉장고 본체(1)의 단열벽(1a)을 전방부측으로 오목하게 하여 기판 수용부(5)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기판 수용부(5)에 제어 회로 기판(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 회로 기판(6)과, 냉장고 본체(1)에 설치된 각 전기 부품과의 사이에는 리드선 및 커넥터를 거쳐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2a)에 있어서, 정면으로부터 보아 왼쪽 아래부분 깊숙한 곳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7a)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제1 수납부(7a)에, 냉장실(2a)측의 온도 센서(8) 등의 전기 부품이나 제빙실(2c)에 설치된 자동 제빙기(9)의 제빙 접시(도시 않음)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장치(10) 관계의 리드선 및 커넥터가 수납되게 되어 있다. 또, 냉장실용 냉각기(3a)의 배후부에 설치된 내부 상자 보강용 내부 상자 보강판(11)(도10 참조)의 좌측부에는 제2 수납부(7b)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제2 수납부(7b)에 제상 히터(12) 등의 리드선 및 커넥터가 수납되게 되어 있다. 또, 냉장실용 냉각기(3a)의 전방부에 설치된 냉각기 카버(13)(도11 참조)의 좌측부에는 제3 수납부(7c)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제3 수납부(7c)에, 상기 냉장실용 팬(4a) 등의 리드선 및 커넥터가 수납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제어 회로 기판(6)이, 냉장고 본체(1)의 배면 상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어 회로 기판(6)과, 냉장고 본체(1)에 배치된 각 전기 부품을 접속하기 위한 리드선이 길어지며, 그 만큼 비용도 높아져 버린다. 또, 리드선의 외피에는 일반적으로 염화 비닐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리드선의 사용량이 많으면, 환경에도 나쁘다. 또, 상기 제어 회로 기판(6)을 배치하기 위해, 냉장실(2a) 배후부에 기판 수용부(5)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냉장실(2a)의 유효 용적을 감소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냉장고 본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야채실을 설치한 구성의 것에 있어서, 제어 회로 기판과, 냉장고 본체에 배치된 각 전기 부품을 접속하기 위한 리드선을 적극적으로 짧게 할 수 있고, 또 고내의 유효 용적을 줄이는 일도 없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4 중 X1 - X1 선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종단 측면도.
도2는 도4 중 X2 - X2 선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도4 중 X3 - X3 선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종단 측면도.
도4는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5는 냉각기 카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요부 사시도.
도6은 냉각기 카버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요부 사시도.
도7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도4에 상당하는 도면.
도8은 도7 중 X4 - X4 선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종단 측면도.
도9는 제1 수납부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제2 수납부 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1은 제3 수납부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냉장고 본체
28 : 야채실
40 : 냉장실용 냉각기(냉각기)
41 : 냉장실용 팬(전기 부품)
42 : 제상 히터(전기 부품)
46 : 제어 회로 기판
47 : 수납부
48 : 내부 상자 보강판
49 : 덮개
50 : 리드선
53 : 급수 장치(전기 부품)
56, 57 : 온도 센서(전기 부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냉장고 본체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야채실을 설치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본체에 배치된 전기 부품이 리드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제어 회로 기판을, 상기 야채실의 배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본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있는 야채실의 배면부에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함으로써, 제어 회로 기판을 냉장고 본체의 배후면 상부에 배치한 경우에 비해 그 제어 회로 기판과, 냉장고 본체에 배치된 전기 부품의 사이를 접속하는 리드선의 길이를 적극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야채실은 일반적으로 서랍식이며, 서랍식의 야채실 배면부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되는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함으로써, 고내의 유효 용적을 줄이지 않고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이, 제어 회로 기판은 야채실 배면부의 고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 제어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야채실 배면부의 고내측에, 상기 제어 회로 기판과 전기 부품 사이를 접속하는 리드선 등을 정리하여 수납하는 수납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야채실 배면부에 설치된 수납부에 리드선 등을 정리하여 수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납부가 복수의 곳에 나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 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시의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 수납부를 야채실 배면부에 설치함으로써, 야채실 배면부의 여유 공간을 한층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의 발명과 같이, 야채실 배면부의 고내측에 한 쪽 측부에 치우쳐서 냉각기를 배치하고, 야채실 배면부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와는 반대측의 측부의 고외측에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동시에 그 제어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고내측에 상기 제어 회로 기판과 전기 부품 사이를 접속하는 리드선 등을 정리하여 수납하는 수납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도, 야채실 배후에 설치된 수납부에 리드선 등을 정리하여 수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 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시의 작업성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경우, 야채실 배면부에 냉각기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서도, 그 냉각기를 한 쪽 측부에 치우쳐 배치하고, 그 냉각기와는 반대측의 측부에 제어 회로 기판과 수납부를 설치함으로써, 야채실 배면부의 여유 공간을 한층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수납부는 내부 상자 보강용의 내부 상자 보강판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수납부를 내부 상자 보강판에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수납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 내지 도4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21)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열 상자 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열 상자 부재(22)는 강판제 외부 상자(23)와, 플라스틱제 내부 상자(24)와, 이들 외부 상자(23)와 내부 상자(24) 사이에 발포 충전된 발포 단열재(25)로 구성되어 있다. 단열 상자 부재(22)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의 하부에 구획벽(26)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21)의 내부에는 최상부에 냉장실(27)이 그 아래에 야채실(28)이 설치되고, 그 야채실(28)의 아래에 제빙실(29)과 교환실(30)이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고, 그리고 최하부에 냉동실(31)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실(27 내지 31)의전방면에는 도어(27a 내지 31a)(단, 제빙실(29)의 도어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가 설치되어 있다. 각 실(27 내지 31) 중 최상부의 냉장실(27)의 도어(27a)는 일측부가 피봇된 회전식이지만, 다른 실(28 내지 31)은 각 도어(28a 내지 31a) 및 용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랍식으로 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21)의 내부는, 상기 구획벽(26)에 의해, 냉장실(27) 및 야채실(28)의 냉장 온도 구역과, 제빙실(29)과 냉동실(31)의 냉동 온도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또, 교환실(30)은, 냉장실(약 2℃), 야채실(약 5℃), 냉동실(약 -18℃), 부분 냉동실(약 -3℃), 칠드실(약 0℃), 와인 냉각실(약 8℃) 중 하나의 온도대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21)의 저부 후방부에는 기계실(32)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 기계실(32) 내에 압축기(33)나 기계실용 팬(34), 제상수 증발 접시(35) 등이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31)의 배후부에 있어서의 고내측에는 냉동 온도 구역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실용 냉각기(36) 및 냉동실용 팬(37), 제상 히터(38) 등이 배치되어 있어서, 이들의 전방면측에는 냉각기 카버(39)가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28)의 배면부에 있어서의 고내측에는, 한 쪽 측부, 이 경우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으로부터 보아 우측으로 치우쳐서, 냉장 온도 구역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실용 냉각기(40) 및 냉장실용 팬(41), 제상 히터(42) 등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정면측에는 냉각기 카버(4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냉장실용 냉각기(40)는 종래의 냉장실용 냉각기(3a)에 대해서,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고 있고, 냉각 면적으로서는 종래의 냉장실용 냉각기(3a)와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야채실(28)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단열 상자 부재(22)의 후방벽(22a)에 있어서, 냉장실용 냉각기(40)와는 반대측의 측부인 좌측 고외측에는 전방을 향해 오목한 기판 수용부(45)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기판 수용부(45) 내에 제어 회로 기판(46)이 배치되어 있다. 단열 상자 부재(22)의 후방벽(22a)의 배면에는, 기판 수용부(45) 및 제어 회로 기판(46)을 덮는 배면 카버(45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야채실(28)의 배면부에 있어서의 단열 상자 부재(22)의 후방벽(22a)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 기판(46)과 대향하는 고내측에는 리드선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47)는 도5 및 도6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상자 부재(22)의 내부 상자(24)를 보강하기 위한 냉장실용 냉각기(40)의 배후부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내부 상자 보강판(48)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서, 전방면에는 덮개(49)에 의해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 수납부(47)는 리드선(50)을 수납하는 리드선 수납부(47a)와,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를 수납하는 커넥터 수납부(47b)로 나뉘어져 있다. 야채실(28)의 상부에는 야채실 카버(51)가 설치되어 있다.
제빙실(29)의 상부에는 자동 제빙기(52)(도4 참조)가 배치되고, 또 냉장실(27)의 좌하부의 깊숙한 곳에 급수 장치(53)가 배치되어 있어서, 급수 장치(53)의 전방부에 도시하지 않은 급수 탱크가 세트되도록 되어 있다. 급수 탱크의 물은 급수 장치(53)로부터 급수 호스(54)를 통하여 자동 제빙기(52)의 도시하지 않은 제빙 접시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냉장실(27)의 후방부에는 냉기를 안내하는 덕트(55)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덕트(55)에 냉장실용 온도 센서(56)가설치되어 있다. 냉동실(31)에 있어서의 후방부에도 냉동실용 온도 센서(5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기(33), 기계실용 팬(34), 냉동실용 팬(37), 제상 히터(38, 42), 냉장실용 팬(41), 자동 제빙기(52), 급수 장치(53), 온도 센서(56, 57) 등의 전기 부품은 각각 리드 선을 거쳐서 상기 제어 회로 기판(4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이들 각 전기 부품 중 예를 들면 냉장실용 팬(41)이나 그 제상 히터(42), 급수 장치(53), 냉장실(27)측의 온도 센서(57) 등의 리드선(50)(도5, 도6 참조)은 상기 수납부(47)의 리드 선 수납부(47a)에 정리하여 수납되는 동시에, 그 리드선(50)에 접속된 커넥터(도시 않음)는 커넥터 수납부(47b)에 정리하여 수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냉장고 본체(21)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있는 야채실(28)의 배면부에 제어 회로 기판(46)을 배치함으로써, 제어 회로 기판(6)을 냉장고 본체(1)의 배후면 상부에 배치된 종래예에 비해, 그 제어 회로 기판(46)과, 냉장고 본체(21)에 배치된 전기 부품의 사이를 접속하는 리드선(50)의 길이를 적극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만큼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 야채실(28)은 일반적으로 서랍식이며, 서랍식의 야채실(28)의 배후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되는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 기판(46)을 배치함으로써, 고내의 유효 용적을 줄이지 않고 제어 회로 기판(46)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야채실(28) 배면부에 설치된 수납부(47)에 리드선(50) 등을 정리하여 수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납부가 복수의 장소로 나누어 설치하고 있던 경우에 비해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 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시의 작업성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 수납부(47)를 야채실(26)의 배면부에 설치함으로써, 야채실(28)의 배면부의 여유 공간을 한층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야채실(28)의 배면부에 냉장실용 냉각기(40)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서도 그 냉장실용 냉각기(40)를 한 쪽 측부에 치우쳐서 배치하고, 그 냉장실용 냉각기(40)는 반대측의 측부에 제어 회로 기판(46)과 수납부(47)를 설치함으로써, 야채실(28) 배후의 여유 공간을 한층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수납부(47)는 비교적 온도가 높은 야채실(28) 내에서, 게다가 냉장실용 냉각기(40)와는 단열 상자 부재(22)의 후방벽(22a) 및 단열재(44)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제상시의 온도 변화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그 수납부(47) 내에 수용된 커넥터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내부 상자 보강판(11)에 설치된 제2의 수납부(7b)에 수납된 커넥터에는 결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전기 화재 안전상의 관계면에서, 제2 수납부(7b)를 일체로 형성하는 내부 상자 보강판(11)의 재료로서는, 난연성의 ABS 수지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 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납부(47) 내에 수용된 커넥터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부(47)를 일체로 형성하는 내부 상자 보강판(48)의 재료로서는, 난연성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저렴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수납부(47)를 내부 보강판(48)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수납부(47)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본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있는 야채실 배면부에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제어 회로 기판을 냉장고 본체의 배후면 상부에 배치한 경우에 비해 그 제어 회로 기판과, 냉장고 본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 사이를 접속하는 리드선의 길이를 적극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만큼 비용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 야채실의 배면부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되는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함으로써, 고내의 유효 용적을 줄이지 않고, 제어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냉장고 본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야채실을 설치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은 도어 및 용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랍식이고,
    야채실의 고 내측 한 쪽 측부에 치우쳐 냉각기를 배치하고, 상기 냉각기는 반대측 측부의 고 외측에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된 전기 부품이 리드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제어 회로 기판이 배치되고 동시에, 그 제어 회로 기판과 단열벽을 거쳐서 대향하는 고 내측에 상기 제어 회로 기판과 전기 부품 사이를 접속하는 리드선 등이 정리되어 수납되는 수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 및 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각기가 야채실의 배면부에 있어서 가로로 늘어서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 기판은 야채실 배면부에 있어서의 단열 상자 부재의 후방벽을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한 기판 수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냉각기의 폭 치수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는 야채실을 갖는 냉장 온도 구역과 냉동 온도 구역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냉장 온도 구역을 냉각하는 냉장실용 냉각기와, 상기 냉동 온도 구역을 냉각하는 냉동실용 냉각기를 구비하고, 상기 야채실의 고 내측에는 상기 냉장실용 냉각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수납부는 내부 상자 보강용 내부 상자 보강판에 일체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1-0014484A 2000-09-04 2001-03-21 냉장고 KR100406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7017A JP4004722B2 (ja) 2000-09-04 2000-09-04 冷蔵庫
JP2000-267017 2000-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33A KR20020018933A (ko) 2002-03-09
KR100406225B1 true KR100406225B1 (ko) 2003-11-17

Family

ID=1875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84A KR100406225B1 (ko) 2000-09-04 2001-03-21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04722B2 (ko)
KR (1) KR100406225B1 (ko)
CN (1) CN1144994C (ko)
TW (1) TW56653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5560B1 (en) * 2003-01-21 2006-05-31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internal compartment divisible into independent temperature zones
KR100758990B1 (ko) * 2006-11-13 2007-09-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4949138B2 (ja) * 2007-06-28 2012-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5175578B2 (ja) * 2008-02-21 2013-04-03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00951294B1 (ko) * 2008-03-18 201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1846429B (zh) * 2010-06-28 2011-12-07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抽屉式冰箱的连线装置
JP6439135B2 (ja) * 2014-09-12 2018-1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439136B2 (ja) * 2014-09-16 2018-1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617270B2 (ja) * 2015-06-18 2019-12-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803530B2 (ja) * 2019-10-23 2020-1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33A (ko) 2002-03-09
CN1144994C (zh) 2004-04-07
JP4004722B2 (ja) 2007-11-07
CN1341835A (zh) 2002-03-27
JP2002081855A (ja) 2002-03-22
TW566530U (en)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1377B2 (en) Refrigerator
US20090058244A1 (en) Refrigerator
KR101519134B1 (ko) 냉장고
KR20020004962A (ko) 냉장고
CN113544448A (zh) 冰箱
KR100406225B1 (ko) 냉장고
KR20120011273A (ko) 냉장고
KR20200076460A (ko) 냉장고
JP6706749B2 (ja) 冷蔵庫
JP2012098010A (ja) 冷却貯蔵庫
WO2023280162A1 (zh) 冰箱
KR101260559B1 (ko) 냉장고
CN107735634B (zh) 冰箱
JP7436402B2 (ja) 冷蔵庫
JP2000337748A (ja) 冷蔵庫
JP6386274B2 (ja) 冷蔵庫
KR100193175B1 (ko) 보틈프리저식 냉장고
KR100331998B1 (ko) 냉장고
CN219390216U (zh) 用于冰箱的回风构件和冰箱
CN219390197U (zh) 冷冻冷藏设备
JP7481854B2 (ja) 冷蔵庫
JP2010071563A (ja) 冷蔵庫
KR0127435Y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2021169904A (ja) 冷蔵庫
KR200235174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