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542B1 -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542B1
KR100405542B1 KR10-2001-0028914A KR20010028914A KR100405542B1 KR 100405542 B1 KR100405542 B1 KR 100405542B1 KR 20010028914 A KR20010028914 A KR 20010028914A KR 100405542 B1 KR100405542 B1 KR 100405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foam
lower plate
memb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414A (ko
Inventor
김상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5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발포충진재에 관한 것으로, 인너필러(3a)와 아웃터필러(3b) 중 어느 한 필러(3a)의 안쪽면에 적층되면서 복수개의 고정부재(31)를 매개로 나사결합되도록 된 상판부재(41) 및 하판부재(42)와, 상기 상하판부재(41,42)사이에 끼워져 적층되면서 상기 고정부재(31)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된 발포부재(43)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발포충진재(40)사이에 들뜸현상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발포부재(43)가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사이의 빈공간으로 완전히 충진되게 되며, 아울러 주행중 발생되는 소음이 최대한 감소되면서 승차감이 향상되게 되고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발포충진재{foaming agen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발포충진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포충진재의 설치시 들뜸현상이 방지되면서 미충진되는 부위가 생기는 것을 미리 예방함은 물론, 발포부재의 수량을 감소시켜 원가의 절감 및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발포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패널과 패널이 서로 접합됨으로써 그 내부공간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형성하는 부위가 많이 있는데,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은 대부분 발포중진재에 의해 충진되어 있으며, 이 발포중진재에 의해 주행중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되면서 전체적인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이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는 대표적인 부위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필러(1; 일명 A필러라 함)와 센터필러(2; 일명 B필러라 함) 및 리어필러(3; 일명 C필러라 함)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어필러(3)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리어필러(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가 양단이 서로 접합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사이에는 발포충진재가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는 내부공간에 발포성형되어 충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발포충진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부재(11)와 제1발포부재(12)가 일체로 형성된 제1발포충진재(10) 및 제2접착부재(21)와 제2발포부재(22)가 일체로 형성된 제2발포충진재(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제1발포충진재(10)는 제1접착부재(11)에 의해 상기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을 따라 접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제2발포충진재(20)는 제2접착부재(21)에 의해 상기 리어아웃터필러(3b)의 안쪽면을 따라 접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에 제1발포충진재(10)를 접합시키면서, 상기 리어아웃터필러(3b)의 안쪽면에 제2발포충진재(20)를 접합시키고,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의 양단을 각각 면접합시켜 리어필러(3)의 형상을 갖도록 결합시킨 다음, 발포성형의 공정라인으로 상기 리어필러(3)를 통과시키게 되면 상기 제1발포충진재(10)의 제1발포부재(12)와 상기 제2발포충진재(20)의 제2발포부재(22)가 고온의 열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사이의 빈공간으로 충진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제품의 리어필러(3)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포충진재에 의하면, 상기 제1발포충진재(10)와 제2발포충진재(20)가 제1접착부재(11) 및 제2접착부재(21)에 의해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의 안쪽면에 각각 접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의 안쪽면에 오일(oil)과 같은 작업공정유나 또는 수분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발포충진재(10)와 제2발포충진재(20)를 접착시키게 되면 작업공정유나 또는 수분이 묻어 있는 부분에서는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부분적인 들뜸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1발포충진재(10)와 제2발포충진재(20)가 리어인너필러(3a)와리어아웃터필러(3b)의 안쪽면에 완전히 접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발포부재(12) 및 제2발포부재(22)가 발포되면, 상기 제1,2발포충진재(10,20)가 리어필러(3)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충진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주행중 발생되는 소음도 효과적으로 차단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감소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너필러의 안쪽면과 아웃터필러의 안쪽면 중 어느 한 필러의 안쪽면에만 발포충진재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필러의 안쪽면에 작업공정유나 또는 수분이 묻어 있더라도 상기 필러와 발포충진재사이가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들뜸현상을 예방하고, 이로 인해 발포충진재가 리어필러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충진시키도록 하여, 주행중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발포충진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포충진재는, 인너필러와 아웃터필러 중 어느 한 필러의 안쪽면에 적층되면서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나사결합되도록 된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와, 상기 상하판부재사이에 끼워져 적층되면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된 발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도 3은 종래구조에 따라 리어필러의 내부에 발포충진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의 발포부재가 리어필러의 내부에서 발포되어 충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가 리어필러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리어필러 3a - 리어인너필러
3b - 리어아웃터필러 31 - 고정부재
40 - 발포충진재 41 - 상판부재
42 - 하판부재 43 - 발포부재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의 발포부재가 리어필러의 내부에서 발포되어 충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중진재는 패널과 패널이 서로 접합됨으로써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는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주행중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되면서 전체적인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는 대표적인 부위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필러(1; 일명 A필러라 함)와 센터필러(2; 일명 B필러라 함) 및 리어필러(3; 일명 C필러라 함)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어필러(3)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리어필러(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가 양단이 서로 접합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가 스크류와 같은 다수개의 고정부재(31)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사이의 공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가 발포부재(43)가 발포성형되어 충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복수개의 고정부재(31)를 매개로 나사결합되도록 된 사각평판모양의 상판부재(41) 및 하판부재(42)와, 상기 상하판부재(41,42)사이에 끼워져 적층되면서 상기 고정부재(31)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된 발포부재(4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부재(43)는 소정의 두께를 갖춘 사각평판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위가 관통되는 링의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포부재(43)는 발포성형의 공정라인에서 고온의 열에 의해 링의 안쪽방향과 바깥쪽방향으로 발포되면서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사이의 빈공간을 충진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하판부재(41,42)와 발포부재(43)에는 상기 고정부재(31)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소정크기의 관통구멍(41a,42a,43a)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인너필러(3a)에는 상기 관통구멍(41a,42a,43a)을 통과한 고정부재(31)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소정크기의 나사구멍(3c)이 다수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상판부재(41)와 발포부재(43) 및 하판부재(42)를 서로 적층시키고, 적층된 상기 상판부재(41)의 일면을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에 면착시킨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부재(31)를 이용해 상기 상판부재(41)와 발포부재(43) 및 하판부재(42)를 동시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가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가 설치된 리어인너필러(3a)에 리어아웃터필러(3b)의 양단을 각각 면접합시켜 리어필러(3)의 형상을 갖도록 결합시킨 다음, 발포성형의 공정라인으로 상기 리어필러(3)를 통과시키게 되면 상기 발포부재(43)가 리어인너필러(3a)에 리어아웃터필러(3b)사이의 틈새를 통해 링의 안쪽방향과 바깥쪽방향으로 동시에 발포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사이의 빈공간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의 발포부재(43)에 의해 충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제품의 리어필러(3)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가 상하판부재(41,42)및 발포부재(43)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서 고정부재(31)에 의해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에 나사결합되게 되면, 상기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에 오일(oil)과 같은 작업공정유나 또는 수분이 묻어 있게 되더라도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발포충진재(40)사이가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들뜸현상을 예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가 리어인너필러(3a)의 안쪽면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발포부재(43)가 발포성형되게 되면, 상기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사이의 빈공간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부재(43)에 의해 완전히 충진되게 되며, 이로 인해 주행중 발생되는 소음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승차감이 향상되게 되고 아울러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충진재(40)에는 한 개의 발포부재(43)만이 사용되게 되므로, 도 3은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발포부재(12,22)가 리어인너필러(3a)와 리어아웃터필러(3b)의 안쪽면의 각각 설치되던 종래의 발포충진재보다, 상기 발포부재(43)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원가가 절감되면서 차량의 중량도 감소되고 아울러 연비도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판부재및 발포부재로 이루어진 발포충진재가 서로 적층되면서 리어인너필러의 안쪽면에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나사결합되어져, 상기 리어인너필러와 발포충진재사이에 들뜸현상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발포부재가 상기 리어인너필러와 리어아웃터필러사이의 빈공간으로 완전히 충진되게 되며, 아울러 주행중 발생되는 소음이 최대한 감소되면서 승차감이 향상되게 되고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향상되어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인너필러(3a)와 아웃터필러(3b) 중 어느 한 필러(3a)의 안쪽면에 적층되면서 복수개의 고정부재(31)를 매개로 나사결합되도록 된 상판부재(41) 및 하판부재(42)와, 상기 상하판부재(41,42)사이에 끼워져 적층되면서 상기 고정부재(31)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된 발포부재(43)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재(43)가 사각단면을 갖는 링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링의 내외부로 동시에 발포되어 상기 인너필러(3a)와 아웃터필러(3b)사이의 빈공간을 충진시키도록 된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KR10-2001-0028914A 2001-05-25 2001-05-25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KR100405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914A KR100405542B1 (ko) 2001-05-25 2001-05-25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914A KR100405542B1 (ko) 2001-05-25 2001-05-25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414A KR20020090414A (ko) 2002-12-05
KR100405542B1 true KR100405542B1 (ko) 2003-11-14

Family

ID=2770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914A KR100405542B1 (ko) 2001-05-25 2001-05-25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54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4681A3 (en) * 2008-07-29 2010-04-15 Henkel Ag & Co. Kgaa Reinforcement assembly
KR20220122109A (ko) 2021-02-26 2022-09-02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패널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
KR102470212B1 (ko) 2021-06-25 2022-11-23 (주)일지테크 스프링 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성형 발포 패드 프레임
KR20230000639A (ko) 2021-06-25 2023-01-03 (주)일지테크 플레이트와 스프링 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성형 발포 패드 프레임
KR20230000636A (ko) 2021-06-25 2023-01-03 (주)일지테크 메쉬 패널과 스프링 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성형 발포 패드 프레임
KR20230032466A (ko) 2021-08-31 2023-03-07 (주)일지테크 강철선과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구성된 차량용 발포 성형제품
KR20230032467A (ko) 2021-08-31 2023-03-07 (주)일지테크 지지바와 플레이트가 일체로 구성된 차량용 발포 성형제품
KR20230125368A (ko) 2022-02-21 2023-08-29 (주)일지테크 차량의 흡차음용 하이브리드 발포성형패드 어셈블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4681A3 (en) * 2008-07-29 2010-04-15 Henkel Ag & Co. Kgaa Reinforcement assembly
KR20220122109A (ko) 2021-02-26 2022-09-02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패널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
KR102470212B1 (ko) 2021-06-25 2022-11-23 (주)일지테크 스프링 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성형 발포 패드 프레임
KR20230000639A (ko) 2021-06-25 2023-01-03 (주)일지테크 플레이트와 스프링 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성형 발포 패드 프레임
KR20230000636A (ko) 2021-06-25 2023-01-03 (주)일지테크 메쉬 패널과 스프링 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성형 발포 패드 프레임
KR20230032466A (ko) 2021-08-31 2023-03-07 (주)일지테크 강철선과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구성된 차량용 발포 성형제품
KR20230032467A (ko) 2021-08-31 2023-03-07 (주)일지테크 지지바와 플레이트가 일체로 구성된 차량용 발포 성형제품
KR20230125368A (ko) 2022-02-21 2023-08-29 (주)일지테크 차량의 흡차음용 하이브리드 발포성형패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414A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0944A (en) Joint structure for sandwiched structural body
KR100405542B1 (ko) 자동차의 발포충진재
KR102009526B1 (ko) 접착된 복합 플라스틱 부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부품
KR101766118B1 (ko) 칵핏 모듈블록 어셈블리
US8096604B2 (en) Energy absorber for use as impact protection in a motor vehicle
US20040113455A1 (en) Energy absorbing impact deflector incorporating a thermoformed outer panel and an expanded foam insert
WO2010017254A2 (en) Integrated cockpit and front module assembly and method
US8444209B2 (en) Trim for vehicles and door trim for vehicles
WO2014109128A1 (ja) 自動車のバンパービーム構造
US20080315621A1 (en) Trim Panel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for Such a Trim Panel
JP2006502047A5 (ko)
JP3838555B2 (ja) 内装部品におけるアームレスト構造
US20090045613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JP4451273B2 (ja) 発泡充填具
JP2004338627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KR20190103273A (ko)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0258A (ko) 차량의 카울 보강 구조
JP2003300417A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3121950B2 (ja) クリップ取付座
GB2565212A (en) Crushable armrest assembly for side impact and structural performance
KR20190004440A (ko) 차량용 센터 필러 유닛
CN217477412U (zh) 车身侧部结构及汽车
JPH06286530A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WO2024004801A1 (ja) 自動車用のバックドア
KR200143698Y1 (ko) 자동차의 범퍼 페이스와 보강물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