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262B1 -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262B1
KR100405262B1 KR10-2002-0004054A KR20020004054A KR100405262B1 KR 100405262 B1 KR100405262 B1 KR 100405262B1 KR 20020004054 A KR20020004054 A KR 20020004054A KR 100405262 B1 KR100405262 B1 KR 100405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ntainer body
end portion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769A (ko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동
Priority to KR10-2002-000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2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제 용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를 포함한 뚜껑과 몸체의 결합된 구조와 부분적으로 표면형태를 달리 구성하여 적층이 용이하고 몸체의 보강과 손잡이가 미끄러지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용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수지제 용기는 단순한 돌기나 고리 형태의 손잡이 구조를 이루어 돌기형태는 쉽게 미끄러지고 고리형태는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세척상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이들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어 용기를 적층된 상태로 쌓아놓기도 불편하며, 용기본체나 뚜껑의 경우 별도의 보강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적정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소재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야 하므로 재료의 소모량이 커져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고, 사출성형에 의하여 생산하는 경우 추출핀에 의하여 표시부가 외부로 나타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방지하고자 용기를 이루는 용기본체와 뚜껑의 구조를 기존과 달리하여 독특하게 구성하여 강도의 개선, 사용의 편리, 경제적인 제작, 미려한 외관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Food Storage Container Structure}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제 용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를 포함한 뚜껑과 몸체의 결합된 구조와 부분적으로 표면형태를 달리 구성하여 적층이 용이하고 몸체의 보강과 손잡이가 미끄러지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용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수지제 용기는 단순한 돌기나 고리 형태의 손잡이 구조를 이루어 돌기형태는 쉽게 미끄러지고 고리형태는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세척상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이들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어 용기를 적층된 상태로 쌓아놓기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용기본체나 뚜껑의 경우 별도의 보강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적정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소재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야 하므로 재료의 소모량이 커져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더우기, 이러한 용기를 사출성형에 의하여 생산하는 경우 제조과정상 어쩔수 없이 금형 및 추출핀에 의하여 제품 표면에 표시부가 자연적으로 외부로 나타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결하고자 연구 개발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이루는 용기본체와 뚜껑의 구조를 기존과 달리 독특하게 구성하여 강도를 개선하고 필요한 강도에서 요구되는 소재의 두께를 보다 얇게 행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이 편리하고 미려한 외관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를 이루는 용기 본체와 뚜껑을 투명하게 제작하여 내부에 보관하게 되는 음식물의 종류, 량, 상태 등을 뚜껑을 열어 보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직접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용기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 상태 종단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 손잡이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4는 뚜껑에 형성한 요부와 용기본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5는 용기본체의 중간부에 단차부를 형성한 내용을 중심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6은 뚜껑의 상부에 용기본체를 적층한 상태로서 한가지의 바람직한 예를 예시하여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7은 뚜껑의 표면 일부에 반투명부를 형성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8은 용기 본체의 외측 저면에 반투명부를 형성한 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용기본체, 3:뚜껑, 10:수용공간, 12:단턱,
14,34:외주수평만곡단부, 16,36:반투명부
30:요부, 32:설치요부, 38:손잡이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용기본체의 내측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어 이 수용공간에 내용물을 넣고 그 상부엔 뚜껑을 덮어 씌워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보관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는 수용공간 일측엔 폐곡선 형태의 단턱을 형성하고, 외주연엔 거치용 외주수평만곡단부를 형성하고 외측 저면엔 반투명 표면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뚜껑은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수평만곡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엔 반투명 표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의 내측엔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를 얹어 놓을 수 있도록 넓게 요부를 마련하고 상기 요부의 중심부위엔 별도의 설치요부를 형성하여 상기 설치요부의 내측엔 상기 요부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광하협의 만곡 단면 형태인 한쌍의 돌출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보관용 용기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통적으로 용기본체(1)의 내측에 수용공간(10)을 가지고 있어 이 수용공간(10)에 내용물을 넣고 그 상부엔 뚜껑(3)을 덮어 씌워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보관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1)는 수용공간(10) 일측엔 폐곡선 형태의 단턱(12)을 형성하고, 외주연엔 거치용 외주수평만곡단부(14)를 형성하고 외측 저면엔 반투명부(1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뚜껑(3)은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수평만곡단부(34)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34)엔 반투명부(36)를 형성하며,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34)의 내측엔 상기 용기본체(1)의 하부를 얹어 놓을 수 있고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넓게 요부(30)를 마련하고 상기 요부(30)의 중심부위엔 별도의 설치요부(32)를 형성하여 상기 설치요부(32)의 내측엔 상기 요부(3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만곡 단면 형태인 한쌍의 돌출 손잡이(38)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에 있어서 단턱(12)의 경우, 용기본체(1)의 수용공간(10)이 상,하부로 구분이 갈 정도로 내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충분하게 강도를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에 있어서 외주수평만곡단부(14)의 경우, 내,외측 수평단부(18,20)의 사이에 만곡단턱(2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자체강도의 향상과 뚜껑(3)과의 결합시 상기 내,외측수평단부(18,20) 및 만곡단턱(22)이 뚜껑(3)에 형성된 외주수평만곡단부(34)의 내면으로서 수평단부(40)와 만곡단부(42)가 1차 내지 3차에 걸쳐 순차적으로 상호간 밀착되어 용기본체(1)의수용공간(10)에 보관중인 내용물로부터 냄새가 손쉽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거치대를 갖춘 경우에는 이 외주수평만곡단부(14)를 이용하여 거치가 가능하게 구성한다.
다음, 상기 뚜껑(3)의 외주수평만곡단부(34)의 경우에는 전술한 용기본체(1)의 외주수평만곡단부(14)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호간 대응되게 형성하되, 내측의 수평단부(40) 및 외측의 만곡단부(42)가 연이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뚜껑(3)의 요부(30)와 함께 설치요부(32)의 손잡이(38)는 상광하협의 형태로서 만곡단면 형태로 구성하여 양측에서 일측은 엄지를 이용하고 나머지 일측은 나머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서로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잡는 경우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요부(30)의 내측 상부로서는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용기본체(1)를 요부(30) 내측에 얹어 놓을 경우에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본체(1)와 뚜껑(3)에 각각 형성되는 반투명부(16,36)의 경우엔 제조과정중 사출성형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추출핀에 의하여 흠집이나 자국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예상하여 이들 부위를 육안으로 쉽게 구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금형 및 추출핀의 표면에 미리 부식하여 처리하고 이에 따라 미세하고도 무수한 요철부가 형성된 반투명인 상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용기본체(1) 및 뚜껑(3)의 경우 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방식에 의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때, 소재는 수지중 강도, 내열성, 내냉성, 기타 내구성 등이 다른 기존의 수지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을 갖는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활용하되 반투명부(16)(36)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투명한 상태로 성형하여 내용물의 종류, 량, 상태 등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사용시, 식당, 가정 등에서 용기본체(1)의 수용공간(10)엔 각종 음식물로서 반찬, 채소, 야채, 과일 등 주,부식등을 넣고 뚜껑(3)을 덮은 다음 상온에서나 가온 또는 냉장상태로 보관하다가 필요한 경우에 뚜껑(3)을 열고 내용물을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물론, 부페 식당이나 시장, 대형 매장의 매대와 같이 별도의 거치대를 갖춘 경우에는 거치대상에 외주수평만곡단부(14)를 이용하여 거치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용기본체(1)에 있어서 단턱(12)이나 외주수평만곡단부(14)와 그리고 뚜껑(3)의 요부(10) 및 외주만곡단부(34)에 의하여 각각 충분하게 강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 및 뚜껑(3)에 대응되게 형성된 외주수평만곡단부(14)(34)에 의하여 3차에 걸친 상호간 밀착 결합에 따라 용기본체(1)의 수용공간(10)에 보관중인 내용물로부터 냄새가 손쉽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3)의 손잡이(38)는 상광하협의 만곡 형태로 구성되어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고 일단 잡으면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요부(10)의 내측 상부로서는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용기본체(1)를 요부(30) 내측에 얹어 놓을 경우에 서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1)와 뚜껑(3)엔 제조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반투명부(16,36)를 형성하여 추출핀에 의하여 발생되는 흠집이나 자국을 육안으로 쉽게 구분되는 것을방지하게 되고 나머지 부위는 모두 투명한 상태로 제작하여 내용물의 종류, 량, 상태 등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를 이루는 용기본체(1)와 뚜껑(3)의 구조를 기존과 달리 독특하게 구성하되, 단턱(12), 요부(30), 그리고 외주수평만곡단부(14,34)에 의하여 강도를 개선하고, 필요한 강도에서 요구되는 소재의 두께를 보다 얇게 행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게 되며, 요부(30)에 용기본체(1)를 얹어 안정적으로 쌓아 놓을수 있어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되고, 용기본체(1)의 외주수평만곡단부(14)나 뚜껑(3)의 손잡이(38)등에 의하여 거치나 사용에 편리성을 부여하게 되며, 반투명부(16,36)에 의하여 미려한 외관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를 이루는 용기본체(1)와 뚜껑(3)을 투명하게 제작하여 내부에 보관하게 되는 음식물의 종류, 량, 상태 등을 뚜껑을 열어 보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직접 확인이 가능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3)

  1. 용기본체(1)의 내측에 수용공간(10)을 가지고 있어 이 수용공간(10)에 내용물을 넣고 그 상부엔 뚜껑(3)을 덮어 씌워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는 수용공간(10) 일측엔 폐곡선 형태의 단턱(12)을 형성하고, 외주연엔 거치용 외주수평만곡단부(14)를 형성하고 외측 저면엔 반투명부(1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3)은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수평만곡단부(34)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34)엔 반투명부(36)를 형성하며, 상기 외주수평만곡단부(34)의 내측엔 상기 용기본체(1)의 하부를 얹어 놓을 수 있고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넓게 요부(30)를 마련하고 상기 요부(30)의 중심부위엔 별도의 설치요부(32)를 형성하여 상기 설치요부(32)의 내측엔 상기 요부(3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만곡 단면 형태인 한쌍의 돌출 손잡이(38)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의 외주수평만곡단부(14)는 내,외측 수평단부(18,20)의 사이에 만곡단턱(2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뚜껑(3)의 외주수평만곡단부(34)는 상기 용기본체(1)의 외주수평만곡단부(14)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호간 대응되게 형성하되, 내측의 수평단부(40) 및 외측의 만곡단부(42)가 연이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 및 뚜껑(3)을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하되, 상기 반투명부(16)(36)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투명한 상태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KR10-2002-0004054A 2002-01-24 2002-01-24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KR10040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54A KR100405262B1 (ko) 2002-01-24 2002-01-24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54A KR100405262B1 (ko) 2002-01-24 2002-01-24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254U Division KR200271278Y1 (ko) 2002-01-24 2002-01-24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69A KR20030063769A (ko) 2003-07-31
KR100405262B1 true KR100405262B1 (ko) 2003-11-17

Family

ID=3221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054A KR100405262B1 (ko) 2002-01-24 2002-01-24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65B1 (ko) * 2005-09-01 2007-05-23 (주)씨에스이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KR200483477Y1 (ko) * 2015-09-18 2017-05-18 이재천 김치용 밀폐용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2022U (ko) * 1976-04-21 1977-10-27
KR910005780Y1 (ko) * 1986-09-04 1991-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dat의 카셋트테이프하우징
KR20000016392U (ko) * 1999-01-25 2000-08-25 정상노 뚜껑에 운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
JP2001114317A (ja) * 2000-01-31 2001-04-24 Nitomuzu:Kk 食品保存容器
KR200231427Y1 (ko) * 2001-03-06 2001-07-19 주식회사 새샘 식품저장용기
KR200240842Y1 (ko) * 2001-04-20 2001-10-11 이태기 합성수지 용기
KR20030051936A (ko) *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현동 음식물 저장용기의 뚜껑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2022U (ko) * 1976-04-21 1977-10-27
KR910005780Y1 (ko) * 1986-09-04 1991-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dat의 카셋트테이프하우징
KR20000016392U (ko) * 1999-01-25 2000-08-25 정상노 뚜껑에 운반 손잡이가 형성된 용기
JP2001114317A (ja) * 2000-01-31 2001-04-24 Nitomuzu:Kk 食品保存容器
KR200231427Y1 (ko) * 2001-03-06 2001-07-19 주식회사 새샘 식품저장용기
KR200240842Y1 (ko) * 2001-04-20 2001-10-11 이태기 합성수지 용기
KR20030051936A (ko) *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현동 음식물 저장용기의 뚜껑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69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225B2 (en) Semi-rigid beverage receptacle
US20110259846A1 (en) Adapter systems for glass containers, liquid containme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KR101468648B1 (ko)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
USD513979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KR200396492Y1 (ko)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중컵
KR100405262B1 (ko)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KR20150002551U (ko) 환상 돌기가 구비된 물컵
KR200271278Y1 (ko) 식품 보관용 용기 구조
USD510860S1 (en) Container assembly for food items
JP3173094U (ja) 合成樹脂コップ
US20030150860A1 (en) Structure of top cap for containers
JPS58131038A (ja)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D483217S1 (en) Food steamer insert
USD514438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CN2719730Y (zh) 一种组合容器
JP3117755U (ja) コップ
CN205758219U (zh) 菱形加强外壁饮具
KR200354296Y1 (ko) 휴대용 보온 컵
KR200393169Y1 (ko) 하트형 커플 용기
CN217743413U (zh) 一种新型食汤一体式餐盒
KR200444442Y1 (ko) 손잡이가 구비된 광구 pet용기
CN218738273U (zh) 一种带有螺纹固定茶叶容器的保温杯
KR200240031Y1 (ko) 이중구조용기의 결합구조
CN210930679U (zh) 一种多用组合杯
KR100568560B1 (ko)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