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560B1 -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 Google Patents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560B1
KR100568560B1 KR1020040088316A KR20040088316A KR100568560B1 KR 100568560 B1 KR100568560 B1 KR 100568560B1 KR 1020040088316 A KR1020040088316 A KR 1020040088316A KR 20040088316 A KR20040088316 A KR 20040088316A KR 100568560 B1 KR100568560 B1 KR 10056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per
flange portion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449A (ko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수 filed Critical 서정수
Priority to KR102004008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5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68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38Rolled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한 겹의 종이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더라도 뚜껑 체의 일정 강도가 유지되며 쌍을 이루게 될 컵용기의 개구부 크기가 조금씩 상이하더라도 상호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결합에 따른 호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이뚜껑은, 원형의 평면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0)의 주변 테두리측을 따라 수직방향의 소정높이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어진 플렌지부(20)와; 상기 플렌지부(2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세절 형성되어져 있는 주름홈(21)과; 상기 플렌지부(20)와 본체부(10)가 만나는 내측 코너부를 따라 형성되어진 착탈홈(11)을 포함하는 뚜껑체(1)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이뚜껑, 코너, 착탈홈

Description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A PAPER VESSEL COVER}
도 1은 본 발명 종이뚜껑의 성형전 전개된 저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종이뚜껑의 성형된 상태의 저면측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종이뚜껑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종이뚜껑과 컵용기의 결합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종이뚜껑이 컵용기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종이뚜껑의 사용상태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체 3 : 곡률부
10 : 본체부 11 : 착탈홈
12 : 보강홈 20 : 플렌지부
21 : 주름홈 30 : 컵용기
31 : 컬링부
본 발명은 컵라면, 아이스크림 등의 식품 용기나 각종 음료용 종이컵에 있어서, 내용물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종이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러한 용기의 뚜껑을 제작이 용이하고 친 환경적 소재인 종이재료로 제작함으로서 생산단가를 저감시킴과 함께 컵용기의 크기 가변에 따른 호환성을 개선시킨 종이뚜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경제의 발달과 더불어 인간의 생활문화도 복잡다양화 하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즉석식품이 제품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즉석식품들은 대부분 일회용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컵라면과 같은 음식물을 수납하는 것에서 부터 물이나 테이크아웃용 커피와 같은 음료에 까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내용물의 분출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일회용 용기에 사용되는 뚜껑은 주로 플라스틱재로 만들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는 열과 압력을 가할 경우 용이하게 희망하는 형태로 변형되고, 그 온도를 내리면 그 모양이 오래 보존되는 특성이 있어서, 쉽게 사출기를 이용하여 뚜껑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뚜껑을 폐기하는 경우 썩지 않는 플라스틱의 특성으로 인해 그 처분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환경에도 지대한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되는 플라스틱재는 수백년이 지나도록 자연분해가 어려운 재질로서, 별다른 처리방법이 없이 땅속에 매립 폐기되고 있어 자연환경을 극도로 오염시키고 있고, 소각처리시에는 대기오염은 물론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나 각종 발암물질을 배출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환경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플라스틱 재료가 아닌 쉽게 폐기 처분할 수 있는 제재인 두꺼운 백판지(펄프재)로 뚜껑을 만들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으나, 이러한 판지재는 대부분 원료를 수입해야 하는 고가이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증가됨과 함께 종이의 특성상 성형이 어려워 테두리부를 원형으로 별도 제작하여 합체해야 하는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강도저하에 따른 형상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기술상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종이뚜껑의 경우는 테두리의 강도보강을 위해 2개 이상의 박판 종이재료를 합체하여 롤링작업을 실시함으로서 테두리부에 주름을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기술역시 테두리부의 중단에 종이컵과의 체결홈이 형성됨으로 인해 상호간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으며 컵용기의 개구측 크기와 정확히 일치해야만 사용이 가능함으로 인해 호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종이재질의 뚜껑이 갖고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한겹의 종이재료를 이용하여 뚜껑체를 제작함에 있어 컵용기 의 크기 가변에 따른 호환성이 증대되어짐은 물론 컵용기와 안정적인 결합상태의 유지 및 외관상의 미려함을 함께 만족시킬 수 있는 종이뚜껑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원형의 평면형상을 이루는 본체부의 주변 테두리측을 따라 수직방향의 소정높이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어진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주름홈와; 상기 플렌지부와 본체부가 만나는 내측 코너부를 따라 형성되어진 착탈홈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뚜껑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종이뚜껑의 성형전 전개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원형의 뚜껑체(1)는 원형의 평면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중앙측에는 본체부(10)를 이루고, 상기 본체부(10)의 주변 테두리측을 따라 절곡이 이루어질 플렌지부(2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플렌지부(20)를 따라서는 다수의 주름홈(21)이 일정간격으로 세절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주름홈(21)은 도 3의 단면에서와 같이 종이가 관통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홈을 이루는 것으로, 이와같은 구조로 인하여 플렌지부(20)의 절곡 성형과정 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주름홈(21)이 조금씩 수축되어지면서 균일한 주름상태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체(1)는 플렌지부(20)의 외주를 따라 연속되는 다수의 곡률부(3)가 만곡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본체부(10) 상에는 지름의 크기를 달리하는 복수의 보강홈(12)이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는 성형이 완성된 종이뚜껑의 외관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때에는 상기 플렌지부(20)와 본체부(10)가 만나는 내측 코너부를 따라 착탈홈(11)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며 제작된 본 발명 종이뚜껑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 종이재질의 뚜껑체(1)는 컵용기(30)의 상단 개구부에 씌워져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함과 함께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되는 것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컵용기(30) 상단의 개구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주변을 따라 컬링부(31)가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뚜껑체(1)의 결합시 상기 컬링부(31)가 착탈홈(11)에 끼워지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체(1)의 결합시 착탈홈(11)이 뚜껑체(1)의 내측 모서리부에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컬링부(31)는 종이뚜껑의 본체부(10)와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고, 또한 상호간에 접촉면적 증가에 따른 결합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게된다.
즉, 기존에는 컵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착탈홈이 플렌지부의 중단에 형성되어져 있어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없었으나, 본 발명 뚜껑체(1)의 경우는 결합시 컬링부(31)가 뚜껑 본체부(10)와도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서리측에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결합력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뚜껑체(1)의 플렌지부(20)에는 일정 간격으로 주름부(21)가 형성되어져 있어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컵용기(30)에 뚜껑체(1)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컬링부(31)의 지름 크기가 조금씩 상이하더라도 그 크기에 따라 플렌지부(20)의 크기가 유동되어짐으로서 향상된 호환성을 갖게됨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본체부(10)상에 하향으로 돌출되어진 원형의 보강홈(12)을 복수개 형성시킴으로서 종이뚜껑의 강도보강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원형의 보강홈(12)과 함께 뚜껑체(1)의 주변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곡률부(3)가 주름홈(21)과 어울어져 커텐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게되어 제품의 외관을 한층 미려하게 나타낼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종이뚜껑은, 한 겹의 종이재료 만을 사용하여 재단 및 성형과정을 거쳐 제작하더라도 뚜껑체의 일정 강도가 유지되어 질 수 있으며 착탈 홈이 코너부에 형성되어져 있어 컵용기와의 결합시 상호간의 결합상태가 한층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질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종이뚜껑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주름홈의 작용에 의해 플렌지부의 신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쌍을 이루게 될 컵용기의 개구부 크기가 조금씩 상이하더라도 상호간에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됨으로서 용기의 크기에 따른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3)

  1. 원형의 평면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0)의 주변 테두리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어진 플렌지부(20)와;
    상기 플렌지부(2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세절 형성되어져 있는 주름홈(21)과;
    상기 플렌지부(20)와 본체부(10)가 만나는 내측 코너부를 따라 형성되어진 착탈홈(11)을 포함하는 뚜껑체(1)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1)는 플렌지부(20)의 외주를 따라 연속되는 곡률부(3)가 만곡된 형태를 이루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홈(21)은 플렌지부(20)의 절곡작업 전에 일정 간격으로 기 형성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KR1020040088316A 2004-11-02 2004-11-02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KR100568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16A KR100568560B1 (ko) 2004-11-02 2004-11-02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16A KR100568560B1 (ko) 2004-11-02 2004-11-02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791U Division KR200367934Y1 (ko) 2004-08-20 2004-08-20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49A KR20060017449A (ko) 2006-02-23
KR100568560B1 true KR100568560B1 (ko) 2006-04-11

Family

ID=3712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316A KR100568560B1 (ko) 2004-11-02 2004-11-02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378A1 (ko) 2022-01-05 2023-07-13 골든팩키지 주식회사 식품용기용 종이뚜껑 제조방법 및 식품용기용 종이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378A1 (ko) 2022-01-05 2023-07-13 골든팩키지 주식회사 식품용기용 종이뚜껑 제조방법 및 식품용기용 종이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49A (ko)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9838A (zh) 给人惊奇的容器
JP5442304B2 (ja) 紙蓋及び紙蓋の製造方法
KR100554575B1 (ko) 종이뚜껑 성형장치
US8939349B2 (en) Disposable cup
JP3908384B2 (ja) 断熱容器
KR20130031755A (ko) 종이뚜껑
EP239625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of paper material, particularly for foodstuffs.
CN208790106U (zh) 包装用容器
KR100568560B1 (ko)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RU195580U1 (ru) Крышка из растительных волокон для бумажной посуды с биоразлагаемым полимерным слоем
KR200396492Y1 (ko)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중컵
KR200367934Y1 (ko) 호환성이 개선된 종이뚜껑
JP2014091540A (ja) 包装用容器
WO2009012521A1 (en) Disposable container
JP5587699B2 (ja) 包装用成型品の製造方法
KR200367200Y1 (ko) 종이뚜껑 성형장치
US2030059A (en) Plastic wall structure
KR200441874Y1 (ko) 라면용기
KR200358319Y1 (ko) 종이재로 이루어진 용기뚜껑
KR20210020557A (ko)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RU194015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одноразовая емкость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H11130157A (ja) 断熱容器
EP2540643A1 (en) Double-walled container
KR20050110262A (ko) 종이재로 이루어진 용기뚜껑
JP5326774B2 (ja) 紙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